KR19990039085U - 문구용 칼 - Google Patents

문구용 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085U
KR19990039085U KR2019980005187U KR19980005187U KR19990039085U KR 19990039085 U KR19990039085 U KR 19990039085U KR 2019980005187 U KR2019980005187 U KR 2019980005187U KR 19980005187 U KR19980005187 U KR 19980005187U KR 19990039085 U KR19990039085 U KR 199900390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upport block
sheath
grooves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용범
Original Assignee
허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용범 filed Critical 허용범
Priority to KR2019980005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9085U/ko
Publication of KR19990039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085U/ko

Links

Landscapes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구용 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 후방 및 일측면이 트인 안내로(10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안내로(102)의 상,하면에 다수의 멈춤홈(104a,104b)들이 연이어지도록 형성되는 칼집(100)과; 칼집(100)내에서 전방으로 출입이 가능한 칼날(110)과; 칼집(100)의 안내로(102)를 따라 상기 칼날(110)을 전,후방 이동시키며, 일측면에는 제 1지지블록(124)과 제 2지지블록(125)이 고정홈(126)을 갖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더(120)와; 슬라이더(120)의 고정홈(126)에 고정되며, 양단이 칼집(100)의 멈춤홈(104a,104b)들에 삽입되어 슬라이더(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30)와; 슬라이더(120)의 제 1지지블록(124)과 제 2지지블록(125)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스토퍼(130)의 양단이 멈춤홈(104a.104b)들로부터 이탈되도록하여 슬라이더(120)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돌기(144)들이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140)와; 칼집(100)의 후방에 끼워져 안내로(102)로부터 슬라이더(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15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칼날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록킹하거나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칼날의 후퇴를 방지하여 절단효과를 높여주고, 비사용시에는 칼날이 쉽게 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문구용 칼
본 고안은 문구용 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칼날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록킹하거나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칼날의 후퇴를 방지하여 절단효과를 높여주고, 비사용시에는 칼날이 쉽게 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성을 높여주는 문구용 칼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문구용 칼은 사무실등에서 각종 문서, 테이프류 등을 절단하는 것으로서, 칼집에서 칼날을 선택적으로 칼집 전방으로 출몰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구용 칼을 도 1과 도 2를 참고로하여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문구용 칼은 칼집(10)이 구비된다. 칼집(10)은 전방 및 후방과 일측면이 트여져 있는 것으로 안내로(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로(12)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멈춤홈(14)들이 연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칼집(10)에는 칼날(20)이 슬라이더(30)에 결합된 상태로 칼집(10)의 후방으로 끼워지며, 안내로(12)에 끼워지는 슬라이더(30)에 의해 칼집(10)의 전방, 후방으로 왕복 이동한다. 한편, 슬라이더(30)는 칼날(20)이 칼집(10)에서 출입가능하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칼날(20)이 소정의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슬라이더(30)의 일측면에는 손잡이(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면에는 작동홈(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과 하면에는 칼집(10)에 끼워져 안내로(12)에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가이드홈(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가이드홈(36)의 바닥에는 작동홈(34)과 관통되는 관통공(3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36a)은 슬라이더(30)가 칼집(10)에 끼워졌을 때에 칼집(10)의 멈춤홈(14)과 대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관통공(36a)에는 슬라이더(30)가 소정의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스토퍼(38)가 끼워진다. 스토퍼(38)는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이며, 중앙이 절곡된 걸림부(38a)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걸림부(38a)가 가이드홈(36)의 관통공(36a)에 삽입되어 가이드홈(36)의 바닥면보다 돌출되도록 끼워지고, 항시 상부로 탄지되도록 그 양단이 작동홈(34)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있다. 걸림부(38a)는 도 2에서와 같이 슬라이더(30)가 칼집(10)에 끼워졌을 때에 칼집(10)의 멈춤홈(14)에 삽입되어 슬라이더(3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은 슬라이더(30)는 칼날(20)이 연결된 상태로 칼집(10)의 후방으로 끼워져 칼집(10)에 삽입되고, 개방된 칼집(10)의 후방은 캡(40)을 끼워 슬라이더(30)의 이탈을 막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30)가 칼집(10)에 끼워지면, 걸림부(38a)가 칼집(10)의 멈춤홈(14)에 삽입되어 슬라이더(30)의 이동은 정지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칼날(20)을 소정의 길이만큼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칼날(20)을 이동시키고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슬라이더(30)의 손잡이(32)를 칼집(10)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토퍼(38)는 그 걸림부(38a)가 칼집(10)의 멈춤홈(14)에 출입을 반복하며 전, 후방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더(30)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문구용 칼은 사용시에 칼날이 후퇴하여 절단물을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없으며, 사용자의 손을 다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즉, 칼집(10)의 멈춤홈(14)들에 걸리는 스토퍼(38)의 걸림부(38a)의 걸림정도가 빈약하여 절단물의 절단시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주면 칼날이 후퇴하여 절단물이 제대로 절단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칼날(20)이 쉽게 칼집으로부터 이동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자가 손을 다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칼날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록킹하거나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칼날의 후퇴를 방지하여 절단효과를 높여주고, 비사용시에는 칼날이 쉽게 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성을 높여주는 문구용 칼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문구용 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문구용 칼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구용 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문구용 칼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 과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문구용 칼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칼집 102: 안내로
104a,104b: 멈춤홈 110:칼날
120: 슬라이더 124: 제 1지지블록
125: 제 2지지블록 124a,125a: 작동공간부
124b,125b: 걸림턱 124c,125c: 가이드 홈
126: 고정홈 127,128: 지지편
127a,128a: 지지홈 130: 스토퍼
132: 지지편 134a: 제 1수평편
134b: 제 2수평편 136a: 제 1탄성편
136b: 제 2탄성편 138a: 제 1걸림부
138b: 제 2걸림부 140: 손잡이
144: 해제돌기 144a: 걸림돌기
150: 캡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방 및 후방이 트이고, 일측면이 트인 안내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안내로의 상,하면에 다수의 멈춤홈들이 연이어지도록 형성되는 칼집과; 상기 칼집내에 전방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재되는 칼날과; 상기 칼집의 안내로를 따라 상기 칼날을 전,후방 이동시키며, 일측면에는 제 1지지블록과 제 2지지블록이 고정홈을 갖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아울러 지지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지지블록의 하부와 제 2지지블록의 상부에는 지지편들이 형성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고정홈과 지지홈에 고정되며, 양단이 상기 칼집의 멈춤홈들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슬라이더의 제 1지지블록과 제 2지지블록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스토퍼의 양단이 상기 멈춤홈들로부터 이탈되도록하여 슬라이더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돌기들이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칼집의 후방에 끼워져 안내로로부터 슬라이더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지지블록과 제 2지지블록에는 상기 손잡이의 해제돌기들이 끼워지는 작동공간부가 일측면이 트인채로 전,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칼집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더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양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지지홈에 끼워지는 제 1수평편 및 제 2수평편과, 상기 제 1수평편 및 제 2수평편의 끝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제 1지지블록과 제 2지지블록의 작동공간부의 개방부에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의 해제돌기에 의해 가압되는 제 1탄성편 및 제 2탄성편과, 상기 제 1탄성편 및 제 2탄성편의 끝에서 절곡되어 칼집의 멈춤홈들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해제되는 제 1걸림부와 제 2걸림부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슬라이더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손잡이의 해제돌기들의 상면 및 하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문구용 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문구용 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그 요부 단면도들 이다. 이에 따르면, 문구용 칼은 칼집(100)이 구비된다. 칼집(100)은 전방 및 후방이 트여 있음은 물론 일측면이 트여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로(102)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이 안내로(102)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멈춤홈(104a,104b)들이 연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칼집(100)내에는 칼날(110)이 칼집(100)의 전방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재되며, 칼날(110)의 일측에는 결합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칼날(110)은 슬라이더(120)에 결합된 상태로 칼집(100) 안내로(102)의 후방에 끼워지며, 슬라이더(120)에 의해 칼집(10)의 전방, 후방으로 왕복 이동한다.
슬라이더(30)는 칼날(20)이 칼집(10)에서 출입가능하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칼날(20)이 소정의 위치에서 멈출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일측에는 칼날(110)의 결합공(11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이 트인 작동공간부(124a,125a)를 갖는 제 1지지블록(124)과 제 2지지블록(125)이 형성되어 있다. 제 1지지블록(124)과 제 2지지블록(125)은 작동공간부(124a,125a)의 개방부가 슬라이더(120)의 전,후방을 각각 향하도록 서로 대치됨과 아울러 고정홈(126)을 갖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제 1지지블록(124)의 하부와 제 2지지블록(125)의 상부에는 지지편(127,128)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편(127,128)들과 제 1지지블록(124)의 하면과 제 2지지블록(125)의 상면 사이에는 지지홈(127a,128a)이 형성된다. 또한, 제 1지지블록(124)의 상면 및 제 2지지블록(125)의 하면에는 슬라이더(120)가 칼집(100)에 끼워져 안내로(102)에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가이드홈(124c,125c)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공간부(124a,125a)의 바닥면과 상면에는 걸림턱(124b,12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120)에는 상기 슬라이더(120)가 칼집(100)에 형성된 안내로(102)의 소정의 위치에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스토퍼(130)가 설치된다. 이 스토퍼(130)는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으로서, 슬라이더(120)의 제 1지지블록(124)과 제 2지지블록(125) 사이에 형성된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지지편(132)이 제공되며, 지지편(132)의 양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제 1수평편(134a) 및 제 2수평편(13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수평편(134a) 및 제 2수평편(134b)은 제 1지지블록(124)의 하부 및 제 2지지블록(125)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홈(127a,128a)에 끼워져 스토퍼(130)를 슬라이더(120)에 더욱 견고히 지지시킨다. 또한, 제 1수평편(134a) 및 제 2수평편(134b)의 단부에는 제 1탄성편(136a) 및 제 2탄성편(136b)이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 절곡되어 있다. 제 1탄성편(136a) 및 제 2탄성편(136b)은 외부에서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제 1탄성편(136a)은 하방으로, 제 2탄성편(136b)은 상방으로 탄성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 1탄성편(136a) 및 제 2탄성편(136b)의 선단에는 칼집(100)의 멈춤홈(104a,104b)들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림 및 해제되는 제 1걸림부(138a)와 제 2걸림부(138b)가 절곡되어 있다. 이 제 1걸림부(138a)와 제 2걸림부(138b)는 제 1탄성편(136a) 및 제 2탄성편(136b)에 외력이 가해져 탄성 이동하면 칼집(100)의 멈춤홈(104a,104b)들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해제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120)의 일측에는 슬라이더(120)를 칼집(100)의 전,후방으로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140)이가 설치된다. 이 손잡이(140)의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슬라이더(120)를 파지하였을 때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수의 요홈(142)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복수의 해제돌기(1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해제돌기(14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지지블록(124)과 제 2지지블록(125)에 형성된 작동공간부(124a,125a)에 슬라이더(120)에 대해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손잡이(140)이가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작동공간부(124a,125a)의 개방부에 위치하는 스토퍼(130)의 제 1탄성편(136a) 및 제 2탄성편(136b)의 측변을 가압하여 칼집(100)의 멈춤홈(104a,104b)에 삽입되어 있는 스토퍼(130)의 제 1걸림부(138a)와 제 2걸림부(138b)를 이탈시키도록 한다.
한편, 도 3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140)가 슬라이더(12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손잡이(140)의 해제돌기(144)의 상면, 하면에는 제 1지지블록(124) 및 제 2지지블록(125)의 걸림턱(124b,125b)에 걸리는 걸림돌기(144a)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문구용 칼의 작동을 도 3 및 도 6과 도 7을 참고로하여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도 3은 슬라이더(120)가 록킹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스토퍼(130)의 제 1걸림부(138a)와 제 2걸림부(138b)가 칼집(100)의 멈춤홈(104a,104b)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칼날(11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한편, 사용자가 칼날(1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손잡이(14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손잡이(140)는 슬라이더(12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손잡이(140)에 일체로 형성된 해제돌기(144)들도 제 1지지블록(124) 및 제 2지지블록(125)의 작동공간부(124a,125a)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 1지지블록(124)에 삽입된 해제돌기(144)는 스토퍼(130)의 제 1탄성편(136a)를 가압하고, 따라서 제 1걸림부(138a)는 멈춤홈(104a)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슬라이더(120)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에서 손잡이(140)를 놓으면 제 1탄성편(136a)의 탄성력에 의해 제 1걸림부(138a)는 멈춤홈(104a)에 삽입되며, 따라서 슬라이더(120)는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한 록킹상태가 된다. 한편, 손잡이(140)는 해제돌기(144)가 항시 제 1탄성편(136a)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손잡이(140)를 놓음과 동시에 중립위치로 복귀하여 도 3과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칼날(1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4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손잡이(140)는 슬라이더(120)의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며, 손잡이(140)에 일체로 형성된 해제돌기(144)들도 제 1지지블록(124) 및 제 2지지블록(125)의 작동공간부(124a,125a)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 2지지블록(125)에 삽입된 해제돌기(144)는 스토퍼(130)의 제 2탄성편(136b)를 가압하고, 따라서 제 2걸림부(138b)는 멈춤홈(104b)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슬라이더(120)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소정의 위치에서 손잡이(140)를 놓으면 제 2탄성편(136b)의 탄성력에 의해 제 2걸림부(138b)는 멈춤홈(104b)에 삽입되어 슬라이더(120)는 록킹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140)를 놓음과 동시에 중립위치로 복귀하여 도 3과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구용 칼은 칼날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록킹하거나 해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칼날의 후퇴를 방지하여 절단효과를 높여주고, 비사용시에는 칼날이 쉽게 인출되지 않게 하여 안전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4)

  1. 전방 및 후방이 트이고, 일측면이 트인 안내로(102)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안내로(102)의 상,하면에 다수의 멈춤홈(104a,104b)들이 연이어지도록 형성되는 칼집(100)과;
    상기 칼집(100)내에 전방으로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재되는 칼날(110)과;
    상기 칼집(100)의 안내로(102)를 따라 상기 칼날(110)을 전,후방 이동시키며, 일측면에는 제 1지지블록(124)과 제 2지지블록(125)이 고정홈(126)을 갖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아울러 지지홈(127a,128a)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지지블록(124)의 하부와 제 2지지블록(125)의 상부에는 지지편(127,128)들이 형성되는 슬라이더(120)와;
    상기 슬라이더(120)의 고정홈(126)과 지지홈(127a,128a)에 고정되며, 양단이 상기 칼집(100)의 멈춤홈(104a,104b)들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30)와;
    상기 슬라이더(120)의 제 1지지블록(124)과 제 2지지블록(125)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스토퍼(130)의 양단이 상기 멈춤홈(104a.104b)들로부터 이탈되도록하여 슬라이더(120)의 이동을 허용하는 해제돌기(144)들이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140)와;
    상기 칼집(100)의 후방에 끼워져 안내로(102)로부터 슬라이더(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150)으로 이루어진 문구용 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블록(124)과 제 2지지블록(125)에는 상기 손잡이(140)의 해제돌기(144)들이 끼워지는 작동공간부(124a,125a)가 일측면이 트인채로 전,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에는 칼집(10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홈(124c,125c)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슬라이더(120)의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지지편(132)과, 상기 지지편(132)의 양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지지홈(127a,128a)에 끼워지는 제 1수평편(134a) 및 제 2수평편(134b)과, 상기 제 1수평편(134a) 및 제 2수평편(134b)의 끝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제 1지지블록(124)과 제 2지지블록(125)의 작동공간부(124a,125a)의 개방부에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140)의 해제돌기(144)에 의해 가압되는 제 1탄성편(136a) 및 제 2탄성편(136b)과, 상기 제 1탄성편(136a) 및 제 2탄성편(136b)의 끝에서 절곡되어 칼집(100)의 멈춤홈(104a,104b)들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해제되는 제 1걸림부(138a)와 제 2걸림부(138b)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0)가 상기 슬라이더(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손잡이(140)의 해제돌기(144)들의 상면 및 하면에는 걸림돌기(144a)가 형성되며, 상기 작동공간부(124a,125a)의 일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44a)가 걸릴 수 있는 걸림턱(124b,125b)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구용 칼.
KR2019980005187U 1998-04-04 1998-04-04 문구용 칼 KR199900390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87U KR19990039085U (ko) 1998-04-04 1998-04-04 문구용 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187U KR19990039085U (ko) 1998-04-04 1998-04-04 문구용 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85U true KR19990039085U (ko) 1999-11-05

Family

ID=6951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187U KR19990039085U (ko) 1998-04-04 1998-04-04 문구용 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908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390A1 (ko) * 2015-09-04 2017-03-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신축적 소작기구
KR101717061B1 (ko) * 2016-07-04 2017-03-16 주식회사 태익 자동절삭 및 리무버 겸용 아이라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390A1 (ko) * 2015-09-04 2017-03-0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신축적 소작기구
KR101717061B1 (ko) * 2016-07-04 2017-03-16 주식회사 태익 자동절삭 및 리무버 겸용 아이라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2885A (en) Knife apparatus
US4233734A (en) Retractable blade knife
US3660896A (en) Utility knife
EP1412140B1 (en) Utility knife
US7516550B2 (en) Saw tool
TWI283201B (en) Scissors
JPS6146153B2 (ko)
US4964554A (en) Locking knife and sheath assembly
US4011656A (en) Hair cutter
US6418624B1 (en) Artist's knife having an automatically retractable blade
CA2022803C (en) Device for cutting fruit, vegetables or the like into slices
EP0048077B1 (en) Refillable blade type knife
US20230118410A1 (en) Everyday retractable utility cutter
CA1244639A (en) Shaver with an auxiliary shear foil frame
US5964034A (en) Electric shaver having floating trimmer blades, a main blade, and hair raising portions
WO2016053784A1 (en) Push-stick storage systems for saws and table saw having such a system
US4922610A (en) Blade holder having a magazine
KR19990039085U (ko) 문구용 칼
US4012836A (en) Carton knife
KR20210012871A (ko) 안전 커터칼
US4630365A (en) Blade replaceable type barber razor
JP3325524B2 (ja) クイックバックスライダ
CN219705264U (zh) 美工刀
KR0132078Y1 (ko) 문구용 커터의 안전장치
KR200256953Y1 (ko) 문구용 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