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736U -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736U
KR19990038736U KR2019980004875U KR19980004875U KR19990038736U KR 19990038736 U KR19990038736 U KR 19990038736U KR 2019980004875 U KR2019980004875 U KR 2019980004875U KR 19980004875 U KR19980004875 U KR 19980004875U KR 19990038736 U KR19990038736 U KR 199900387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guide plate
refrigerator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04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736U/ko
Publication of KR199900387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736U/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30)의 얼음비산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 또는 얼음을 선택하여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40)가 구비된 냉장고의 얼음저장용기(V) 구조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각 또는 가루얼음을 취출하고자 할 때 하우징(51) 내부의 안내판(57a) 내측에서 회전하는 절단날(57)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얼음저장용기(V)의 얼음방출구(58)로부터 얼음(1)이 비산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판(57a)의 소정 구간에 리브(59)를 부착한 것으로서, 안내판(57a)에 리브(59)을 형성하여 상기 리브(59)에 조각 또는 가루얼음이 부딪힌 후 얼음취출통로(2)를 따라 취출되도록 하므로써 디스펜서(40)의 취출구에 받쳐진 컵(3) 밖으로 얼음이 튀어나가지 않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
본 고안은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의 얼음비산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 또는 얼음을 선택하여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얼음 취출시 디스펜서의 취출구에 받쳐진 컵 밖으로 얼음이 튀어나가지 않도록 냉동실측 얼음저장용기의 구조를 개선한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식생활 문화가 점차 서구화되면서 얼음 소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또한 소비자의 취향도 점차 다양해짐에 따라 여러 가지 편의시설을 장착한 다기능 대용량의 복합냉장고가 일반 가정용으로 급격히 보급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편의시설의 가장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물 또는 얼음 등을 냉장고 외부에서 간편히 취출할 수 있게 한 디스펜서이다.
일반적으로, 물 또는 얼음을 선택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의 내부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냉동실 및 냉장실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10)와, 상기 급수부(10)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20)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동실로 이송하기 위한 급수관(31)과, 이 급수관(31)을 통해 이송된 물을 수용하여 제빙하기 위한 제빙기 어셈블리(30)와,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장실로 이송하기 위한 급수관(41)과, 이 급수관(41)을 통해 이송된 물 및 상기 급수부(10)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을 선택적으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급수부(10)는 외부의 수도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급수밸브(11)와, 이 급수밸브(1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12)와, 이 필터(12)를 통해 정화된 물을 냉동실 및 냉장실 쪽으로 분배하기 위한 급수제어밸브(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빙기 어셈블리(30)는 이 급수관(31)을 통해 이송된 물을 수용하는 제빙용기(33)와, 이 제빙용기(33)의 일측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미도시)와, 상기 제빙용기(33)에 수용된 물을 제빙하기 위한 제빙기(32)와, 이 제빙기(32)에 의해 제빙된 얼음을 상기 제빙용기(33)로부터 수급하여 보관하기 위한 얼음저장용기(V)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얼음저장용기(V)는 그 일측에 검빙레버(미도시)가 설치되어 내부의 얼음량을 지속적으로 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40)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이러한 얼음저장용기(V)의 내부 구조 및 얼음취출 구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그 구조는 얼음저장용기(V)의 내측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시(52)와, 이 가이드부시(52)에 결합되어 상기 얼음저장용기(V) 전체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53)과, 이 회전축(53)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외주에 권선된 이송스프링(54)과, 상기 얼음저장용기(V)의 내측 전면부에 형성된 얼음이송통(56)과, 이 얼음이송통(56)에 내장된 헬릭스(Helix) (56a)와, 상기 얼음저장용기(V)의 전면측을 차단 고정하는 전면판(50)과, 이 전면판(50)의 외측에 결합되는 하우징(51)과, 이 하우징(51)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53) 상에 설치된 절단날(57) 및 이 절단날(57)의 외주에 배치되는 안내판(57a)과, 이 안내판(57a)의 위치를 전환하므로써 상기 안내판(57a)과 절단날(57) 간의 간격을 제어하여 얼음(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51)의 일측에 고정된 얼음전환바아(5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시(52)는 모우터(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전면판(50)은 합성수지재로 된 얼음저장용기(V)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금속재를 사용하며, 상기 절단날(57)과 안내판(57a)을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51)은 상기 전면판(50)의 외측에 나사체결 고정되며, 이 하우징(5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53)의 단부에는 너트를 결합하여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51)의 하단부에는 디스펜서(40)의 취출구(43)로 연결된 얼음취출통로(2)와 통하도록 얼음방출구(5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디스펜서(40)는 냉장실 도어의 일측 구간에 디스펜서(40)의 전면패널(42)이 설치되고, 이 전면패널(42)에는 원하는 품목을 선택하기 위한 물선택버튼(45) 및 얼음선택버튼(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패널(42)의 내측에는 상기 품목을 배출하기 위한 취출구(43)가 형성되고, 물 또는 얼음(1)을 받기 위하여 상기 취출구(43) 내에 컵(3)을 설치하였을 때, 이 컵(3)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40)가 조작될 수 있도록 가압 작동되는 취출레버(4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40)가 구비된 냉장고는 내부의 마이콤(미도시)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정의 신호에 의해 상기 급수제어밸브(13)를 제어하여 상기 급수제어밸브(13)와 연결된 급수관(31)(41)중 어느 한쪽이 개방되므로써, 상기 급수부(10)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수가 제빙용기(33) 또는 냉장실의 디스펜서(40)로 공급되어 얼음(1) 또는 물 상태로 대기하게 되고, 취출구(43)에 컵(3)을 설치하여 상기 취출레버(44)가 가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물선택버튼(45) 또는 얼음선택버튼(46)을 조작하면 그 외부명령에 따라 물 또는 얼음(1)이 상기 취출구(43)를 통해 컵(3) 속으로 배출된다.
물 또는 얼음(1)을 취출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물을 취출하기 위해 물선택버튼(45)을 조작하였을 때에는 그 신호를 받은 급수제어밸브(13)가 냉장실 쪽의 급수관(41)과 연통되면서 일정 수압의 정화수가 물탱크(20)로 유입되어 약 1.5리터 정도의 물탱크에 채워진 물을 가압하게 되므로써 그 가압된 물이 상기 취출구(43)를 통해 배출되며, 또한, 소정량의 얼음(1)을 취출한 후에는 그 양에 상응하는 만큼의 물을 상기 제빙용기(33)에 자동 공급하여 항상 일정량의 얼음(1)이 생성되어 보관되어질 수 있게 되고, 소정량의 물 또는 얼음(1)을 취출한 후에는 상기 물탱크(20) 또는 제빙용기(33) 내에 물을 자동 공급하여 충전시킬 수 있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빙기 어셈블리(30)에서는 제빙용기(33) 내에 급수 완료된 후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제빙용기(33)의 상태가 설정온도에 해당하는가를 인식하여 제빙 완료시기를 결정하게 되며, 그 설정온도에 도달하여 제빙 완료되었을 때 검빙레버가 작동되면서 상기 얼음저장용기(V) 내의 얼음(1) 충전상태를 판단하여, 얼음(1)이 가득 채워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제빙용기(33)로부터 얼음(1)을 공급받은 후 상기 제빙용기(33)에 재급수하는 공정이 진행되고, 얼음(1)이 가득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마다 재검빙하여 얼음량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빙공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1)이 생성될 때까지 반복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빙공정에 의해 생성된 얼음(1)의 취출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펜서(40)의 취출구(43)에 컵(3)을 설치하여 상기 취출레버(44)가 가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얼음선택버튼(46)을 조작하면 모우터가 동작하면서 얼음저장용기(V)의 일측내벽에 설치된 가이드부시(52)와 회전축(53) 및 이송스프링(54)을 회전시켜주게 되고, 상기 얼음저장용기(V) 내에 충전되어 있던 얼음(1)이 상기 이송스프링(54)의 회전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밀려 얼음이송통(56) 내부로 투입되면 그 내부의 헬릭스(56a)가 회전하면서 균일한 양의 얼음(1)을 밀어주게 된다.
사용자가 조각얼음을 원할 경우에는 얼음전환바아(55)가 작동되면서 하우징(51) 내부의 안내판(57a)을 절단날(57)로부터 격리시키므로써 상기 얼음(1)이 얼음방출구(58)를 통해 그대로 빠져나와, 얼음취출통로(2)를 거쳐 디스펜서(40)의 취출구(43) 내에 설치된 컵(3)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가루얼음을 원할 경우에는 상기 얼음전환바아(55)가 작동되지 않게 되어 안내판(57a)을 절단날(57)의 외주에 인접 배치한 상태로 유지하므로써 얼음(1)이 상기 안내판(57a)과 절단날(57) 사이에서 분쇄된 후 얼음방출구(58)를 통해 빠져나와, 상기 얼음취출통로(2)를 거쳐 컵(3) 속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30)의 얼음저장용기(V)는 디스펜서(40)에서 얼음(1)을 취출할 때 상기 절단날(57)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얼음(1)을 밀어주게 되는데, 하우징(51) 하단쪽 얼음방출구(58)의 구조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얼음(1)이 안정적으로 안내되지 못하고 비산되므로써 종종 상기 얼음(1)의 일부가 얼음취출통로(2)의 하단부에 설치된 컵(3) 밖으로 튀어나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30)는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 또는 얼음을 선택하여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에 있어서, 얼음 취출시 디스펜서의 취출구에 받쳐진 컵 밖으로 얼음이 튀어나가지 않도록 냉동실측 얼음저장용기의 구조를 개선한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물/얼음 선택 취출용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
도 2는 종래의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에 적용된 얼음저장용기의 A-A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에 의한 얼음 취출구조를 도시한 얼음저장용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에 의한 얼음 취출구조를 도시한 얼음저장용기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V ; 얼음저장용기 1 ; 얼음
2 ; 얼음취출통로 3 ; 컵
10 ; 급수부 11 ; 급수밸브
12 ; 필터 13 ; 급수제어밸브
20 ; 물탱크 30 ; 제빙기 어셈블리
31, 41 ; 급수관 32 ; 제빙기
33 ; 제빙용기 40 ; 디스펜서
42 ; 전면패널 43 ; 취출구
44 ; 취출레버 45 ; 물선택버튼
46 ; 얼음선택버튼 50 ; 전면판
51 ; 하우징 52 ; 가이드부시
53 ; 회전축 54 ; 이송스프링
55 ; 얼음전환바아 56 ; 얼음이송통
56a ; 헬릭스 57 ; 절단날
57a ; 안내판 58 ; 얼음방출구
59 ; 리브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는 물 또는 얼음을 선택하여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의 얼음저장용기 구조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각 또는 가루얼음을 취출하고자 할 때 하우징 내부의 안내판 내측에서 회전하는 절단날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얼음방출구로부터 얼음이 비산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판의 소정 구간에 리브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물 또는 얼음을 선택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40)가 구비된 냉장고의 내부 구조는 도 1에 의거한 상기의 내용과 같으므로, 각 부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30)는 급수관(31)을 통해 이송된 물을 수용하는 제빙용기(33)와, 이 제빙용기(33)의 일측에 구비된 온도감지센서(미도시)와, 상기 제빙용기(33)에 수용된 물을 제빙하기 위한 제빙기(32)와, 이 제빙기(32)에 의해 제빙된 얼음을 상기 제빙용기(33)로부터 수급하여 보관하기 위한 얼음저장용기(V)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얼음저장용기(V)는 그 일측에 검빙레버(미도시)가 설치되어 내부의 얼음량을 지속적으로 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40)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얼음저장용기(V)의 얼음취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그 구조는 얼음저장용기(V)의 내측 일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시(52)와, 이 가이드부시(52)에 결합되어 상기 얼음저장용기(V) 전체에 걸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회전축(53)과, 이 회전축(53)에 일체로 연결되어 그 외주에 권선된 이송스프링(54)과, 상기 얼음저장용기(V)의 내측 전면부에 형성된 얼음이송통(56)과, 이 얼음이송통(56)에 내장된 헬릭스(56a)와, 상기 얼음저장용기(V)의 전면측을 차단 고정하는 전면판(50)과, 이 전면판(50)의 외측에 결합되는 하우징(51)과, 이 하우징(51) 내측을 관통하는 상기 회전축(53) 상에 설치된 절단날(57) 및 이 절단날(57)의 외주에 배치되는 안내판(57a)과, 이 안내판(57a)의 일측 하단부에 부착된 리브(59)와, 상기 안내판(57a)의 위치를 전환하므로써 상기 안내판(57a)과 절단날(57) 간의 간격을 제어하여 얼음(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51)의 일측에 고정된 얼음전환바아(5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51)의 하단부에는 디스펜서(40)의 취출구(43)로 연결된 얼음취출통로(2)와 통하도록 얼음방출구(5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59)는 상기 절단날(57)이 회전하는 방향의 선단쪽 위치의 상기 안내판(57a) 하단부에, 상기 얼음취출통로(2)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디스펜서(40)가 구비된 냉장고는 내부의 마이콤으로부터 전달되는 소정의 신호에 의해 상기 급수제어밸브(13)를 제어하여 상기 급수제어밸브(13)와 연결된 급수관(31)(41)중 어느 한쪽이 개방되므로써, 상기 급수부(10)를 통해 유입되는 정화수가 제빙용기(33) 또는 냉장실의 디스펜서(40)로 공급되어 얼음(1) 또는 물 상태로 대기하게 되고, 취출구(43)에 컵(3)을 설치하여 상기 취출레버(44)가 가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물선택버튼(45) 또는 얼음선택버튼(46)을 조작하면 그 외부명령에 따라 물 또는 얼음(1)이 상기 취출구(43)를 통해 컵(3) 속으로 배출된다.
물 또는 얼음(1)을 취출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물을 취출하기 위해 물선택버튼(45)을 조작하였을 때에는 그 신호를 받은 급수제어밸브(13)가 냉장실 쪽의 급수관(41)과 연통되면서 일정 수압의 정화수가 물탱크(20)로 유입되어 약 1.5리터 정도의 물탱크에 채워진 물을 가압하게 되므로써 그 가압된 물이 상기 취출구(43)를 통해 배출되며, 또한, 소정량의 얼음(1)을 취출한 후에는 그 양에 상응하는 만큼의 물을 상기 제빙용기(33)에 자동 공급하여 항상 일정량의 얼음(1)이 생성되어 보관되어질 수 있게 되고, 소정량의 물 또는 얼음(1)을 취출한 후에는 상기 물탱크(20) 또는 제빙용기(33) 내에 물을 자동 공급하여 충전시킬 수 있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빙기 어셈블리(30)에서는 제빙용기(33) 내에 급수 완료된 후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제빙용기(33)의 상태가 설정온도에 해당하는가를 인식하여 제빙 완료시기를 결정하게 되며, 그 설정온도에 도달하여 제빙 완료되었을 때 검빙레버가 작동되면서 상기 얼음저장용기(V) 내의 얼음(1) 충전상태를 판단하여, 얼음(1)이 가득 채워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제빙용기(33)로부터 얼음(1)을 공급받은 후 상기 제빙용기(33)에 재급수하는 공정이 진행되고, 얼음(1)이 가득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마다 재검빙하여 얼음량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빙공정은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얼음(1)이 생성될 때까지 반복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빙공정에 의해 생성된 얼음(1)의 취출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펜서(40)의 취출구(43)에 컵(3)을 설치하여 상기 취출레버(44)가 가압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얼음선택버튼(46)을 조작하면 모우터가 동작하면서 얼음저장용기(V)의 일측내벽에 설치된 가이드부시(52)와 회전축(53) 및 이송스프링(54)을 회전시켜주게 되고, 상기 얼음저장용기(V) 내에 충전되어 있던 얼음(1)이 상기 이송스프링(54)의 회전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밀려 얼음이송통(56) 내부로 투입되면 그 내부의 헬릭스(56a)가 회전하면서 균일한 양의 얼음(1)을 밀어주게 된다.
사용자가 조각얼음을 원할 경우에는 얼음전환바아(55)가 작동되면서 하우징(51) 내부의 안내판(57a)을 절단날(57)로부터 격리시키므로써 상기 얼음(1)이 얼음방출구(58)를 통해 그대로 빠져나와, 얼음취출통로(2)를 거쳐 디스펜서(40)의 취출구(43) 내에 설치된 컵(3)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가루얼음을 원할 경우에는 상기 얼음전환바아(55)가 작동되지 않게 되어 안내판(57a)을 절단날(57)의 외주에 인접 배치한 상태로 유지하므로써 얼음(1)이 상기 안내판(57a)과 절단날(57) 사이에서 분쇄된 후 얼음방출구(58)를 통해 빠져나와, 상기 얼음취출통로(2)를 거쳐 컵(3)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의 각 경우에 있어서, 상기 리브(59)는 절단날(57) 회전 방향의 선단 쪽에 위치하여 상기 얼음방출구(58)를 통해 비산되는 얼음(1)의 비산력을 감쇄시킨 후, 상기 얼음취출통로(2)를 따라 내려오게 되므로써, 얼음(1)이 컵(3) 밖으로 튀어나가는 일없이 안정된 취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취출 상태를 유지하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30)는 그 얼음저장용기(V)의 안내판(57a)에 리브(59)을 형성하여 상기 리브(59)에 조각 또는 가루얼음이 부딪힌 후 얼음취출통로(2)를 따라 취출되도록 하므로써 디스펜서(40)의 취출구에 받쳐진 컵(3) 밖으로 얼음이 튀어나가지 않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의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Claims (3)

  1. 물 또는 얼음을 선택하여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가 구비된 냉장고의 얼음저장용기 구조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각 또는 가루얼음을 취출하고자 할 때 하우징 내부의 안내판 내측에서 회전하는 절단날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얼음저장용기의 얼음방출구로부터 얼음이 비산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판의 소정 구간에 리브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절단날이 회전하는 방향의 선단쪽 위치의 상기 안내판 하단부에 소정 각도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얼음취출통로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안내판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
KR2019980004875U 1998-03-31 1998-03-31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 KR199900387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875U KR19990038736U (ko) 1998-03-31 1998-03-31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875U KR19990038736U (ko) 1998-03-31 1998-03-31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736U true KR19990038736U (ko) 1999-10-25

Family

ID=6951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875U KR19990038736U (ko) 1998-03-31 1998-03-31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73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905B1 (ko) * 2006-08-21 2012-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641534B2 (en) 2014-11-18 2020-05-05 Lg Electronics Inc. Ic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905B1 (ko) * 2006-08-21 2012-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0641534B2 (en) 2014-11-18 2020-05-05 Lg Electronics Inc. Ice supply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520B1 (ko) 냉장고용 얼음 공급 장치
EP2292991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and ice-dispenser
US8459055B2 (en) Auger in ice bin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9990065602A (ko) 냉장고용 디스펜서의 취출제어방법
KR19990038736U (ko) 냉장고용 제빙기 어셈블리
US7992407B2 (en) Refrigerator having ice bank
KR20000019471A (ko) 냉장고의 얼음선별취출용 제빙기 어셈블리
KR100246430B1 (ko) 복합냉장고의 디스펜스기능 관련 배관시스템 구조
KR100565603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0246392B1 (ko) 냉장고의 자동제빙 장치
KR100565616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
US20200124332A1 (en) Ice machine with adjustable ice density
KR200152155Y1 (ko)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싱 구조
KR100266592B1 (ko) 복합냉장고용 제빙기의 얼음이송 제어방법
KR100346401B1 (ko) 냉장고의 얼음저장량 조절구조 및 조절방법
KR100343677B1 (ko) 냉장고용제빙용기이상유무제어방법
KR100360852B1 (ko) 냉장고제빙기의냉기제어방법
KR100339534B1 (ko) 냉장고용제빙기의물공급장치및그의제어방법
KR100266593B1 (ko) 복합냉장고용 제빙기의 얼음분리 제어방법
KR100661840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0212608Y1 (ko) 냉장고 제빙장치용 급수관
KR100566403B1 (ko) 검빙레버 결빙방지방법
KR200160599Y1 (ko) 자동판매기용 제빙기의 얼음투출장치
KR100317724B1 (ko) 자동판매기의 제빙기
KR20000007867A (ko) 냉장고의 얼음모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