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211U -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211U
KR19990038211U KR2019980004194U KR19980004194U KR19990038211U KR 19990038211 U KR19990038211 U KR 19990038211U KR 2019980004194 U KR2019980004194 U KR 2019980004194U KR 19980004194 U KR19980004194 U KR 19980004194U KR 19990038211 U KR19990038211 U KR 199900382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pening
closing
bath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15064Y1 (ko
Inventor
신진욱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80004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06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2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2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0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88Monitoring of warpage, curvature, damage, defect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01L21/6705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with the semiconductor substrates being dipped in baths or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베스커버가 열린 후에 로봇아암 및 웨이퍼 척이 세정용 베스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상기 베스커버의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마그네틱센서의 고장 또는 오표시 및 베스커버와 실린더를 연결하는 연동부의 풀림 등으로 인해 베스커버가 완전히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로봇아암 및 웨이퍼 척이 베스의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다가 열리지 않은 베스커버에 부딪혀 파손될 우려가 있었던 바, 본 고안에서는 웨이퍼 세정용 베스의 입구부를 개폐시키는 베스커버와, 그 베스커버와 연동부재로 결합되어 베스커버를 구동시키는 에어실린더와, 그 에어실린더의 동작정도 및 베스커버의 접근정도에 따라 베스커버의 개폐를 판단하는 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베스커버의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로봇아암 및 웨이퍼 척이 베스커버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
본 고안은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스커버의 열림 및 닫힘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각공정이 진행중이거나 또는 소정의 식각공정이 완료된 웨이퍼에는 다량의 이물질이 묻어 있게 되는데, 이 이물질을 약액(Chemical) 또는 탈이온수(DI Water)로 깨끗하게 씻어내는 작업을 세정공정이라 하고, 이러한 세정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세정장비라고 한다.
이러한 웨이퍼의 세정공정은 식각이 완료된 웨이퍼를 세정용 베스내로 이송한 다음에, 그 베스내에 약액 또는 탈이온수를 공급하여 웨이퍼에 뭍은 탈이온수를 제거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웨이퍼 세정장비에 있어서, 베스커버의 개폐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세정용 베스(1)의 상단면에 베스커버(2A,2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정용 베스(1)의 하단 양측에는 베스커버(2A,2B)를 개폐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3A,3B)가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그 각 에어실린더(3A,3B)와 각 베스커버(2A,2B)의 사이에는 각각 연동부(4A,4B)가 결합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베스커버(2A,2B)의 열림 또는 닫힘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각 에어실린더(3A,3B)의 대향면에 수개의 마그네틱센서(5A,5B,5C,5D)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틱센서(5A,5B,5C,5D)는 통상 각 에어실린더(3A,3B)에 두 개씩 장착되어 서로 다른 에어실린더의 마주보는 센서(5A,5C)(5B,5D)끼리 한쌍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6은 로봇아암이고, 7은 웨이퍼 척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상기 각 에어실린더(3A,3B)가 동작되어 실린더 로드(미부호)가 하강하게 되면, 그 실린더 로드에 연결된 연동부(4A,4B)에 의해 각 베스커버(2A,2B)가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고, 그 열린 베스(1)의 입구를 통해 로봇아암(6) 및 웨이퍼 척(7)이 삽입되어 웨이퍼를 이송시키며, 이후 별도의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세정액이 공급되어 웨이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에, 이 같은 과정을 역순으로 하여 세정된 웨이퍼를 베스(1) 외부로 인출한다.
여기서, 상기 각 베스커버(2A,2B)와 로봇아암(6)은 하나의 메인 콘트롤러에 의해 통합 운용되는 것으로, 각 에어실린더(3A,3B)의 일측에 장착된 마그네틱센서(5A,5B,5C,5D)가 베스커버(2A,2B)의 열림 또는 닫힘을 인식하여 그 신호를 로봇아암(6)에 전달하게 되면, 그 전달된 신호에 따라 로봇아암(6)이 동작을 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베스커버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는 마그네틱센서에 대한 간단한 배선도로서, 제1 센서(5A) 및 제3 센서(5C)가 온(ON)상태이고 제2 센서(5B) 및 제4 센서(5D)가 오프(OFF)이면 베스커버(2A,2B)는 닫힌 상태이나, 반대로 제1 센서(5A) 및 제3 센서(5C)는 오프이고 제2 센서(5B) 및 제4 센서(5D)가 온이면 베스커버(2A,2B)는 열린 상태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는, 베스커버(2A,2B)가 열린 후에 로봇아암(6) 및 웨이퍼 척(7)이 세정용 베스(1)의 내부로 들어가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상기 베스커버(2A,2B)의 개폐여부를 확인하는 마그네틱센서(5A,5B,5C,5D)의 고장 또는 오표시 및 베스커버(2A,2B)와 실린더(3A,3B)를 연결하는 연동부(4A,4B)의 풀림 등으로 인해 베스커버(2A,2B)가 완전히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로봇아암(6) 및 웨이퍼 척(7)이 베스의 내부로 들어가려고 하다가 열리지 않은 베스커버(2A,2B)에 부딪혀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기 베스커버의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로봇아암 및 웨이퍼 척이 베스커버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웨이퍼 세정장비에 있어서, 베스커버의 개폐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베스커버에 대한 개폐확인장치의 배선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 웨이퍼 세정장비에 있어서, 베스커버의 개폐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베스커버에 대한 개폐확인장치의 배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정용 베스 2A,2B : 베스커버
3A,3B : 에어실린더 4A,4B : 연동부
5A,5B,5C,5D : 마그네틱센서 10A,10B : 근접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웨이퍼 세정용 베스의 입구부를 개폐시키는 베스커버와, 그 베스커버와 연동부재로 결합되어 베스커버를 구동시키는 에어실린더와, 그 에어실린더의 동작정도 및 베스커버의 접근정도에 따라 베스커버의 개폐를 판단하는 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를 첨부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 웨이퍼 세정장비에 있어서, 베스커버의 개폐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베스커버에 대한 개폐확인장치의 배선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가 구비된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기본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다.
즉, 웨이퍼 세정장비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용 베스(1)의 상단면에 베스커버(2A,2B)가 설치되고, 상기 세정용 베스(1)의 하단 양측에는 베스커버(2A,2B)를 개폐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3A,3B)가 각각 장착되며, 그 각 에어실린더(3A,3B)와 각 베스커버(2A,2B)의 사이에는 각각 연동부(4A,4B)가 결합 설치된다.
상기 각 베스커버(2A,2B)의 열림 또는 닫힘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각 에어실린더(3A,3B)의 대향면에는 수개의 마그네틱센서(5A,5B,5C,5D)가 장착되는데, 그 마그네틱센서는 통상 각 에어실린더(3A,3B)에 두 개씩 2단으로 장착되어 서로 다른 에어실린더의 마주보는 센서(5A,5C)(5B,5D)끼리 한쌍을 이루도록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세정용 베스(1)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베스커버(2A,2B)의 접근정도에 따라 그 베스커버(2A,2B)의 개폐를 판단하는 근접센서(10A,10B)가 부가된다. 즉, 상기 베스커버(2A,2B)가 열리는 동작에서 각 근접센서(10A,10B)의 설정거리 안으로 들어오는 경우에 그 베스커버(2A,2B)가 완전히 열렸음을 인식하여 그 신호를 메인 콘트롤러(미도시)에 전달하도록 상기 세정용 베스(1)의 입구부 양측에 제1,제2 근접센서(10A,10B)가 각각 설치된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6은 로봇아암이고, 7은 웨이퍼 척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종래에서와 같이 상기 각 에어실린더(3A,3B)가 동작되어 실린더 로드(미부호)가 하강하게 되면, 그 실린더 로드에 연결된 연동부(4A,4B)에 의해 각 베스커버(2A,2B)가 회전하면서 열리게 되고, 그 열린 베스(1)의 입구를 통해 로봇아암(6) 및 웨이퍼 척(7)이 삽입되어 웨이퍼를 이송시키며, 이후 별도의 콘트롤러에 의해 세정액이 공급되어 웨이퍼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에, 이 같은 과정을 역순으로 하여 세정된 웨이퍼를 베스(1) 외부로 인출한다.
여기서, 상기 각 베스커버(2A,2B)와 로봇아암(6)은 하나의 메인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해 통합 운용되는 것으로, 각 에어실린더(3A,3B)의 일측에 장착된 마그네틱센서(5A,5B,5C,5D)가 그 각 에어실린더(3A,3B)의 동작정도에 따라 베스커버(2A,2B)의 열림 또는 닫힘을 인식함과 아울러, 상기 각 근접센서(10A,10B)가 베스커버(2A,2B)의 접근정도에 그 베스커버(2A,2B)의 열림 또는 닫힘을 인식하여 그 신호를 로봇아암(6)에 전달하게 되면, 그 전달된 신호에 따라 로봇아암(6)이 웨이퍼를 세정용 베스(1)에 삽입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 베스커버의 개폐상태를 확인하는 마그네틱센서 및 근접센서에 대한 간단한 배선도로서, 제1 센서(5A) 및 제3 센서(5C)가 온(ON)상태이고 제2 센서(5B) 및 제4 센서(5D)가 오프(OFF)이며 각 근접센서(10A,10B)는 오프일 경우에 베스커버(2A,2B)는 닫힌 상태이나, 반대로 제1 센서(5A) 및 제3 센서(5C)는 오프이고 제2 센서(5B) 및 제4 센서(5D)가 온이며 각 근접센서(10A,10B)는 오프일 경우에 베스커버(2A,2B)는 열린 상태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실린더(3A,3B)의 동작정도에 따라 베스커버(2A,2B)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던 마그네틱센서(5A,5B,5C,5D)가 고장 또는 오표시를 하더라도, 상기 베스커버(2A,2B)의 실질적인 동작을 감지하는 근접센서(10A,10B)가 부가되므로써, 그 베스커버(2A,2B)의 개폐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는, 웨이퍼 세정용 베스의 입구부를 개폐시키는 베스커버와, 그 베스커버와 연동부재로 결합되어 베스커버를 구동시키는 에어실린더와, 그 에어실린더의 동작정도 및 베스커버의 접근정도에 따라 베스커버의 개폐를 판단하는 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베스커버의 개폐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로봇아암 및 웨이퍼 척이 베스커버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웨이퍼 세정용 베스의 입구부를 개폐시키는 베스커버와, 그 베스커버와 연동부재로 결합되어 베스커버를 구동시키는 에어실린더와, 그 에어실린더의 동작정도 및 베스커버의 접근정도에 따라 베스커버의 개폐를 판단하는 인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에어실린더에 2단으로 설치되어 실린더의 동작정도에 따라 베스커버의 개폐를 판단하는 마그네틱센서와, 상기 세정용 베스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베스커버의 접근정도에 따라 그 베스커버의 개폐를 판단하는 근접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
KR2019980004194U 1998-03-20 1998-03-20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 KR200315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194U KR200315064Y1 (ko) 1998-03-20 1998-03-20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194U KR200315064Y1 (ko) 1998-03-20 1998-03-20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211U true KR19990038211U (ko) 1999-10-25
KR200315064Y1 KR200315064Y1 (ko) 2003-07-16

Family

ID=4940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194U KR200315064Y1 (ko) 1998-03-20 1998-03-20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0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451B1 (ko) * 2001-04-18 2003-12-06 (주)케이.씨.텍 기판 세정조 덮개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76B1 (ko) 2005-11-24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습식 스테이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451B1 (ko) * 2001-04-18 2003-12-06 (주)케이.씨.텍 기판 세정조 덮개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064Y1 (ko)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05023B (zh) 具有吹净功能的晶圆传送装置
CN101609105B (zh) 探针装置
US201001489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substrate into a process chamber
KR100664469B1 (ko) 박형 기판 반송용 로봇 및 박형 기판 검출 방법
US7696538B2 (en) Sensor for measuring liquid contaminants in a semiconductor wafer fabrication process
KR101735282B1 (ko) 변압기 유중가스 분석 방법
KR200315064Y1 (ko) 반도체 웨이퍼 세정장비의 베스커버 개폐 확인장치
JP2008543538A (ja) 洗浄装置および工作物を洗浄する方法
KR100947482B1 (ko) 처리액 감지기를 갖는 밸브,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및 기판 처리 방법
CN110534452A (zh) 用于清洗工艺腔室的漏液监控装置及清洗工艺腔室
KR100829921B1 (ko) 기판을 이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14276B1 (ko) 반도체 제조용 습식 스테이션
CN218823624U (zh) 一种电器外壳耐压力检测装置
CN117161031B (zh) 半导体工件盒清洗装置、设备及清洗方法
KR20070079154A (ko) 웨트 스테이션설비의 건조기 커버상태 확인장치
KR200177326Y1 (ko) 반도체 린스조의 린스액 재활용장치
CN219890369U (zh) 一种晶圆位置凸出识别装置
KR20050047655A (ko) 습식 공정 장비에서 웨이퍼의 안전 로딩 장치 및 방법
CN210071800U (zh) 一种防撬型水质采样箱
KR20060118109A (ko) 웨이퍼 세정 장치
KR20040107933A (ko) 웨이퍼 이송로봇용 블레이드
TWI663645B (zh) 蝕刻機台的偵測機構
KR0146064B1 (ko) 반도체 자동세정기의 웨이퍼 캐리어 감지장치
KR101268811B1 (ko) 기판 정렬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렬 방법
KR200169513Y1 (ko) 반도체 소자 검사용 테스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