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100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100A
KR19990038100A KR1019970057735A KR19970057735A KR19990038100A KR 19990038100 A KR19990038100 A KR 19990038100A KR 1019970057735 A KR1019970057735 A KR 1019970057735A KR 19970057735 A KR19970057735 A KR 19970057735A KR 19990038100 A KR19990038100 A KR 19990038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recognition
recognition cod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출
최정은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5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100A/ko
Publication of KR19990038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100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코드분할 다중 접속)방식, 또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등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 있어서, 단말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자 단말기에 의해 호접속된 착신자 단말기가 무응답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착신자 단말기가 무응답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착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을 해제하고,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인식기호의 입력을 안내하는 안내방송을 발신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입력안내단계와; 상기 입력안내단계를 수행하여 인식기호의 입력을 안내하는 안내방송을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였을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인식기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인식기호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수신하는 인식기호입력단계와; 상기 인식기호입력단계를 수행하여 발신자 단말기로를 통해 인식기호를 입력 받았을 경우에는, 첫째, 상기 인식기호를 착신자 단말기로 송출하고, 둘째, 상기 인식기호를 착신자 단말기로 송출하였다는 안내방송을 발신자 단말기로 송출한 후, 셋째, 발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을 해제하는 송출완료안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발신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인식문자(예: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착신자 단말기에 표시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코드분할 다중 접속)방식, 또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등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 있어서, 단말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자의 단말기가 무응답 상태일 경우,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발신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인식문자(예: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착신자 단말기에 표시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람,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이에는 이동전화(휴대전화, 차량전화), 항만전화, 항공기전화, 이동공중전화(열차, 유람선, 고속버스 등에 설치), 무선호출, 무선전화, 위성이동통신, 아마추어무선, 어업무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동통신에는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는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시스템, 디지탈(DIGITAL) 방식을 사용하는 CDMA 시스템 및, TDMA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주파수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 등이 있다.
CDMA 시스템은, 도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AMPS 시스템의 서비스와 CDMA 시스템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지원하여, 가입자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장치인 단말기(MOBILE STATION)(1)와; 상기 단말기(1)와 함께 무선구간에서 IS-95에 정의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BASE TRANSCEIVER SUBSYSTEM)(2)과;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고, 가입자가 이동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HAND OFF)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3)과; 가입자의 통화로를 구성하고 타통신망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4)과; 가입자정보가 들어가며, 상기 교환국(4)과 신호를 주고받는 홈위치등록기(HOMEE LOCATION REGISTER)(5)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기지국(2)과 제어국(3) 및 교환국(4)을 통해 단말기(1)의 통화를 실현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홈위치등록기(5)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가입자 상호간을 연결시켜 주는 상기 교환국은, CS(CONTROL SUB- SYSTEM)와 IS(INTERCONNECTION SUBSYSTEM) 및 SS(SWITCHING SUBSYSTEM)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CS는, 국환국 운용 및 유지보수와 이동가입자의 억세스(ACCESS), 등록, 취소 및 변경처리를 수행하는 서브시스템(SUBSYSTEM)으로, 시스템차원의 유지, 시험 및 측정, 통계, 디스크제어관리, 운영자와의 각종 입출력문 제어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CS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경보패널, 비디오 디스플레이 터미널(VIDEO DISPLAY TERMINAL), 자기 테이프 장치(MAGNETIC TAPE EQUIPMENT), 광 디스크 장치(OPTICAL DISK EQUIPMENT) 및 디스크 장치(DISK EQUIPMENT) 등과 같은 입출력장치 및 운영보전센터와의 정합기능을 갖는다.
다시말해, 이동통신 교환국의 이동통신 교환기는, 주 프로세서(MAIN PRO- CESSOR)와, 주 프로세서의 제어를 통해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주변장치 프로세서(PERIPHERAL PROCESSOR) 및, 교환기의 운용 및 보전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유지보수 프로세서(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각 프로세서는 할당된 고유의 역할을 수행하여 단말기(1)의 통신을 실현한다.
즉, 발신자 단말기를 기지국(2)과 제어국(3) 및 교환국(4)을 통해 이동통신 망(예: CDMA 망, PSND(PUBLIC SWITCHED DATA NETWORK) 등)에 접속시켜 착신자 단말기와의 접속을 실현하는 장치이다.
이때, 착신자 단말기가 소정의 시간동안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에 무응답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일정한 시간동안(약 30초) 송출한 후, 호 접속을 해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이동통신은, 착신자 단말기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호 접속을 해제함으로 인해, 발신자의 메시지(MESSAGE)를 착신자에게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발신자가 착신자와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착신자 단말기가 응답할 때까지 지속적인 접속을 시도하거나, 또는 기타의 통신수단(예: 무선호출기)를 통해 발신자의 의사를 전달하여야 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착신자의 단말기가 무응답 상태일 경우,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발신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인식문자(예: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착신자 단말기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착신자가 발신자(또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은, 발신자 단말기에 의해 호접속된 착신자 단말기가 무응답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착신자 단말기가 무응답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착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을 해제하고,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인식기호의 입력을 안내하는 안내방송을 발신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입력안내단계와; 상기 입력안내단계를 수행하여 인식기호의 입력을 안내하는 안내방송을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였을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인식기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인식기호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수신하는 인식기호입력단계와; 상기 인식기호입력단계를 수행하여 발신자 단말기로를 통해 인식기호를 입력 받았을 경우에는, 첫째, 상기 인식기호를 착신자 단말기로 송출하고, 둘째, 상기 인식기호를 착신자 단말기로 송출하였다는 안내방송을 발신자 단말기로 송출한 후, 셋째, 발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을 해제하는 송출완료안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기호입력단계는,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인식기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와; 상기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를 수행한 결과,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도록 인식기호의 입력이 전혀 없을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을 해제하는 무입력처리단계와; 상기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를 수행한 결과,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인식기호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인식기호가 인식기호 입력의 종료를 나타내는 인식기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인식기호 입력의 종료를 나타내는 인식기호가 아닐 경우에는, 입력된 인식기호를 수신한 후 상기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인식기호입력단계 이하를 반복수행하는 인식기호수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식기호는, "0"부터 "9" 까지의 숫자로 구성되며, 인식기호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인식기호는 애스터리스크(ASTERISK)(*), 또는 우물정자(#)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은, 착신자 단말기가 무응답 상태일 경우,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인식문자를 입력받아 착신자 단말기로 전달함으로써, 착신자는 착신자 단말기에 수신된 인식문자로부터 발신자를 인지하거나, 또는 발신자의 의도를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입력안내단계 200 : 인식기호입력단계
210 :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 220 : 무입력처리단계
230 : 인식기호수신단계 300 : 송출완료안내단계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들어 그 구성,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인식기호는, 단말기(전화기)의 키패드를 구성하는 공통 인식기호, 즉, "0"부터 "9"까지의 숫자와, 애스터리스크(이하 "*"로 표시한다.) 및, 우물정자(#)로 한다.
이때, "0"부터 "9"까지의 숫자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호출번호 등을 나타내는 인식기호로 사용하며, 애스터리스크(*)는 인식기호의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인식기호로 사용한다.
또한, 숫자와 숫자 사이의 입력 시간은 8초로 하며, 첫 번째 숫자 입력후 8초 안에 "*"을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숫자 입력 종료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숫자의 입력시간은 이동통신 교환기의 운용 서브 시스템 중 MMS(MAN MACHINE SUBSYSTEM)에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안내방송 송출후 16초 내에 숫자가 입력되지 않으면, 숫자 입력을 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호 접속을 해제하도록 한다.
먼저,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호 접속을 시도하면, 기지국(2)과, 제어국(3) 및, 교환국(4)을 통해 착신자 단말기에 호 접속이 이루어져 착신자 단말기에 링(RING)이 울리게 된다.
이때, 착신자가 착신자 단말기를 통해 이에 응답하게 되면, 착신자 단말기와 발신자 단말기 사이에 음성채널이 구성되어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착신자가 착신자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고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착신자 단말기를 차에 두고 잠시 내릴 경우 등과 같이, 착신자 단말기로의 엑섹스 채널(ACCESS CHANNEL)의 호 접속은 가능하나, 일정시간 이상 응답이 없는 상태가 지속되어 무응답 상태가 되면, 도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착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을 해제한 후, 단말기를 통해 숫자를 입력하라는 안내방송을 발신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입력안내단계(100)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안내단계(100)를 수행하여, 숫자(전화번호)를 입력하라는 안내방송을 발신자 단말기로 송출한 후에는,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숫자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210)와; 상기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210) 수행 후, 16초가 경과되도록 숫자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을 해제하는 무입력처리단계(220)와; 상기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210) 수행 후, 8초 내에 숫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입력된 데이터가 숫자의 입력 완료를 나타내는 "*"인지, 또는 숫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숫자 입력의 종료를 나타내는 "*"가 아닐 경우에는, 입력된 숫자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상기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210)로 복귀하여, "*"가 입력되거나, 또는 최초의 숫자가 입력된 후 8초가 경과되도록 후행하는 숫자의 입력이 없을때까지 상기 인식기호입력단계(210) 이하를 반복수행하는 인식기호수신단계(230)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인식기호입력단계(200)를 수행하게 된다.
즉, 16초가 경과되도록 숫자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호 접속을 해제하고, 8초 이내에 숫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의 입력이 있을때까지, 또는 다시 8초가 경과될때까지 숫자의 입력을 기다려, 발신자가 착신자로 보내고자 하는 숫자를 입력받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식기호입력단계(200)를 수행하여, 착신자 단말기로 송출할 숫자를 입력 완료 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수신된 숫자를 착신자 단말기로 송출한 후, 숫자(전화번호)의 송출을 완료하였음을 나타내는 안내방송을 발신자 단말기로 송출하고, 호 접속을 해제하는 송출완료안내단계(300)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자가 숫자를 입력하라는 안내 방송을 청취한 후에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숫자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숫자는 기지국(2)과 제어국(3)을 통해 교환국(4)에 전송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교환국(4)에서는,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한 숫자들을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으로, 이로인해 착신자 단말기에는 발신자가 입력한 숫자가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착신자는, 착신자 단말기에 수신된 숫자로부터 발신자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어국(3)과 교환국(4) 사이의 숫자 전송은, 두 시스템 사이에 연결된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 :이하 IPC라 한다.) 경로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IPC 경로는 CDMA 이동통신 망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설정 요구와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페이징(PASGING) 요구시 사용되어지는 신호 메시지 경로로, 이와 같은 경로를 통해서 하나의 숫자가 교환기로 전달되고, 각각의 숫자마다 이런 경로를 통하여 교환국(4)으로 전달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교환국(4)에서는,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받은 전체 숫자를 착신자 단말기로 페이징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착신자 단말기에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착신자 번호와 착신자 단말기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정보는,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호 접속시 구해진 값을 이용하며, 발신자 단말기에 대한 통보기능은 소정의 횟수(예: 1회)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착신자 단말기에는 발신자가 입력한 숫자가 표시되게 되어, 착신자를 이를 통해 발신자의 전화번환, 호출번호 등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은, 특히, 착신자의 단말기가 무응답 상태일 경우,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인식문자를 입력받아 착신자 단말기로 전달함으로써, 발신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인식문자(예: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착신자 단말기에 표시하여 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발신자 단말기에 의해 호접속된 착신자 단말기가 무응답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착신자 단말기가 무응답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착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을 해제하고, 착신자 단말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인식기호의 입력을 안내하는 안내방송을 발신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입력안내단계와; 상기 입력안내단계를 수행하여 인식기호의 입력을 안내하는 안내방송을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였을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인식기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인식기호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수신하는 인식기호입력단계와; 상기 인식기호입력단계를 수행하여 발신자 단말기로를 통해 인식기호를 입력 받았을 경우에는, 첫째, 상기 인식기호를 착신자 단말기로 송출하고, 둘째, 상기 인식기호를 착신자 단말기로 송출하였다는 안내방송을 발신자 단말기로 송출한 후, 셋째, 발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을 해제하는 송출완료안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기호입력단계는, 발신자 단말기를 통해 인식기호가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와; 상기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를 수행한 결과,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도록 인식기호의 입력이 전혀 없을 경우에는, 발신자 단말기의 호 접속을 해제하는 무입력처리단계와; 상기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를 수행한 결과, 상기 소정의 시간 내에 인식기호의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인식기호가 인식기호 입력의 종료를 나타내는 인식기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인식기호 입력의 종료를 나타내는 인식기호가 아닐 경우에는, 입력된 인식기호를 수신한 후 상기 인식기호입력판단단계로 복귀하여, 인식기호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인식기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최초의 인식기호가 입력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도록 후행하는 인식기호의 없을때까지 상기 인식기호입력단계 이하를 반복수행하는 인식기호수신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기호는, 숫자와, 특정의 문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문자는, 애스터리스크(*)와, 우물정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기호중 인식기호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인식기호는, 애스터리스크(*), 또는 우물정자(#)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기호중 인식기호의 입력 종료를 나타내는 인식기호는, 숫자와 특정의 문자를 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KR1019970057735A 1997-11-03 1997-11-03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KR19990038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735A KR19990038100A (ko) 1997-11-03 1997-11-03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735A KR19990038100A (ko) 1997-11-03 1997-11-03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100A true KR19990038100A (ko) 1999-06-05

Family

ID=6608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735A KR19990038100A (ko) 1997-11-03 1997-11-03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10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611B1 (ko) * 2000-01-25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자동 송신 방법
KR20030068785A (ko) * 2002-02-18 2003-08-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자동전송 방법
KR100439224B1 (ko) * 2002-07-02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전화기 매너모드의 발신자번호 확인장치와 그 운용방법
KR100462751B1 (ko) * 2002-04-09 2004-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611B1 (ko) * 2000-01-25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자동 송신 방법
KR20030068785A (ko) * 2002-02-18 2003-08-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자동전송 방법
KR100462751B1 (ko) * 2002-04-09 2004-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100439224B1 (ko) * 2002-07-02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전화기 매너모드의 발신자번호 확인장치와 그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381B1 (ko) 소스전화와 음성통신을 설정하지 않고 소스 전화로써 음성채널을개방하는 셀룰러 전화 및 관련된 방법
US625307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ming call rejection
FI77554B (fi) Cellulaert mobilradiotelefonsystem med gemensamt anropningssystem foer meddelandeservice.
WO19970248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combined mobile phone and pager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1062822B1 (en) Call back method
CA2270324C (en) Wireless terminal automatically alerting user upon wireless terminal entering a specified physical location
KR199900381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응답 제어방법
US5740539A (en) Calling system using mobile telephone terminal with location monitoring
US6169908B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KR19990038099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등록 안내 제어방법
KR19990039822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등록 안내 제어방법
KR100263630B1 (ko) 이동통신시스템보코더의바이패스모드전환동작제어방법
KR19990059019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화중 제3자 통화 장치 및방법
US6374113B1 (en) Dynamic call coverage paths based on terminal location
JP2681016B2 (ja) マルチチャネル方式無線電話システム
KR1009536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자 응답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JPH09322255A (ja) ボタン電話装置
KR19990057988A (ko) 발신 가입자의 번호 전송 방법
KR20000027205A (ko) 개인 통신 교환기의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JP3225807B2 (ja) コードレス着信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2984605B2 (ja) 携帯無線電話システム
JPH09307947A (ja) Mca無線通信方式
KR0178810B1 (ko) 주파수 공용 시스템의 단말기 호출방법
KR100222658B1 (ko) 무선통신망에서 순방향 제어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전화번호 송수신 방법
KR19990039824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접속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