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333U - 접지력이 향상된 소켓부를 갖는 usb커낵터 - Google Patents

접지력이 향상된 소켓부를 갖는 usb커낵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333U
KR19990037333U KR2019980002979U KR19980002979U KR19990037333U KR 19990037333 U KR19990037333 U KR 19990037333U KR 2019980002979 U KR2019980002979 U KR 2019980002979U KR 19980002979 U KR19980002979 U KR 19980002979U KR 19990037333 U KR19990037333 U KR 199900373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ase
socket
plug
grounding
usb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9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29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333U/ko
Publication of KR199900373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333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러그(Plug)의 실드케이스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전기적특성을 향상시켜 접지력이 향상된 소켓부를 갖는 USB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소켓부의 소켓실드케이스에는 삽입돌기가 형성된 접속부의 사이에 프러그실드케이스에 접지되는 접지부를 형성하고 접지부의 주변에는 절결홈을 형성하여 소켓실드케이스와 프러그실드케이스의 접지면을 증가시킴으로써 소켓부와 프러그부가 접지력이 강화되어 EMI와 ESD 등의 전기적특성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접지력이 향상된 소켓부를 갖는 USB커낵터
본 고안은 패널(Panel)이나 섀시(Chassis)에 사용되는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소켓부에 프러그(Plug)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전기적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력이 향상된 소켓부를 갖는 USB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접속기인 USB커넥터(Universol Serial Bus Connector)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전화모뎀, 프린터, 마이크, 디지털스피커, 조이스틱, 마우스, 등에 광범위하게 접속구로 사용되는 USB커낵터의 소켓부(20)의 구성은 전기적신호를 전달하는 리드(Reed)선(23)에 리드선을 보호하기 위한 세라믹재의 절연체(22)가 구성되고 절연체를 감합하고 있는 소켓실드케이스(21)가 구성하여 소켓실드케이스에는 삽입돌기(25)가 형성된 접속부(24)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소켓부(20)와 결합하는 프러그부(10)는 삽입홈(15)이 형성된 프러그실드케이스(11)에 절연체(12)가 구성되고 절연체(12)에는 케이블(미도시)에서 나오는 신호를 받는 리드선(13)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러그부(10)를 소켓부(20)에 삽입하면 프러그실드케이스(11)에 형성된 삽입홈(15)에 소켓실드케이스(21)에 형성된 접속부(24)의 삽입돌기(25)가 결합되어 소켓부(20)와 프러그부(10)가 결합되어 리드선(13,23)으로 화상이나 음성신호등이 전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고안은 프러그실드케이스(11)의 삽입홈(15)과 소켓실드케이스(21)의 접속부(24)에 형성된 삽입돌기(25)의 결합은 케이블(미도시)의 좌우연동 등의 움직임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하여 EMI(Electromagnetic Wave Interferance)와 ESD(Eletro Static Discharge)의 특성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12Mbps의 고속데이터 전송에서는 접지력이 불량하면 특히 전기적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소켓실드케이스와 프러그실드케이스가 보다 넓은 접지부를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켓실드케이스에는 접속부의 사이에 프러그실드케이스에 접지되는 접지부를 형성하고 접지부의 주변에는 절결홈을 형성하여 소켓실드케이스와 프러그실드케이스의 접지면을 증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USB커넥터의 주요부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된 상태의 USB커넥터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상태의 주요부의 평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실시된 상태의 주요부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프러그부 200 : 소켓부
210 : 소켓실드케이스 240 : 접속부
250 : 삽입돌기 260 : 접지부
270 : 절결홈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된 상태의 USB커넥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USB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프러그부(100)에는 케이블(140)에서 인입되는 전기적신호를 받는 리드선(130)이 구성되어 이를 감합하는 절연체(120)가 구성되고 절연체(120)를 감싸고 접지하는 프러그실드케이스(110)가 구성된다.
상기 프러그실드케이스(110)에는 삽입홈(150)을 형성한다.
리드선(230)이 구성되는 소켓부(200)에는 절연체(220)가 구성되고 절연체(220)를 감합하는 소켓실드케이스(210)가 구성된다.
상기 소켓실드케이스(210)에는 삽입돌기(250)가 형성된 접속부(240)를 형성하며, 접속부(240)사이에는 접지부(260)를 형성한다.
접지부(260)에는 접지부를 따라 절결홈(270)을 형성하고, 프러그실드케이스(110)와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하향경사각을 갖도록 구성한다.
도 4는 본 고안이 구성되어 결합된 상태의 결합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프러그실드케이스(110)에 형성된 삽입홈(150)에 소켓실드케이스(210)에 형성된 접속부(240)의 삽입돌기(250)가 삽입되어 체결된 프러그실드케이스(110)의 끝단에 접지부(260)가 접지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러그부(100)를 소켓부(200)에 삽입하면 프러그부(100)의 프러그실드케이스(110)에 형성된 삽입홈(150)에 소켓부(200)에 형성된 접속부(240)의 삽입돌기(250)가 삽입되면 프러그부(100)와 소켓부(200)가 체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체결되는 USB커넥터에 소켓부(200)의 소켓실드케이스(110)에 형성된 접지부(260)가 프러그실드케이스(110)에 접지되면서 접지되는 부분이 증가되어 접지력이 향상되어 EMI와 ESD 등의 전기적특성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켓실드케이스에 별도의 접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접지력이 강화되어 EMI와 ESD 등의 전기적특성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프러그부와 소켓부로 구성되는 USB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에 구성되는 소켓실드케이스의 접속부사이에 프러그실드케이스에 접지되는 접지부를 형성하고 접지부의 주변에는 절결홈을 형성하여 소켓실드케이스와 프러그실드케이스의 접지력을 증가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력이 향상된 소켓부를 갖는 USB커낵터.
KR2019980002979U 1998-03-03 1998-03-03 접지력이 향상된 소켓부를 갖는 usb커낵터 KR199900373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979U KR19990037333U (ko) 1998-03-03 1998-03-03 접지력이 향상된 소켓부를 갖는 usb커낵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979U KR19990037333U (ko) 1998-03-03 1998-03-03 접지력이 향상된 소켓부를 갖는 usb커낵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333U true KR19990037333U (ko) 1999-10-05

Family

ID=6971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979U KR19990037333U (ko) 1998-03-03 1998-03-03 접지력이 향상된 소켓부를 갖는 usb커낵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33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2727C (en) Low crosstalk connector configuration
US5738545A (en) Connection device which is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with simple structure
US741036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reduced crosstalk and electromaganectic interference
JP4310789B2 (ja) コネクタ
US7651379B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on disposition
US6863549B2 (en) Impedance-tuned terminal contact arrangement and connectors incorporating same
US6299487B1 (en) Connector with wear-resistant engagement means
JP2008541354A (ja) 強化されたジャック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6390852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grounding structure
KR100563181B1 (ko) 고속 전송용 커넥터
US5938476A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20050159040A1 (en) Impedance-tuned terminal contact arrangement and connectors incorporating same
US20040038564A1 (en) Electrical connector
WO2007058079A1 (ja) 差動伝送コネクタおよびこれと嵌合する基板取付用差動伝送コネクタ
US7059905B2 (en) Connector having an excellent transmission characteristic and an excellent EMI suppression characteristic
JP4068618B2 (ja) インピーダンス調整端子接点配置及びその配置を含むコネクタ
US7578680B1 (en) Cable assembly having interior shielding structure for suppress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6210228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11978993B2 (en) Connector cable that prevents both increase in impedance and a short circuit in a connector cable that connects a connector and a shielded cable via a relay substrate
KR19990037333U (ko) 접지력이 향상된 소켓부를 갖는 usb커낵터
JPH1174037A (ja) 多芯電気コネクタケーブル組立体
KR19990037332U (ko) 안정된 접지부를 갖는 usb커낵터
KR19990036718U (ko) 압지부를 갖는 usb커낵터
CN217036209U (zh) 电连接器
JP7067183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