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332U - 안정된 접지부를 갖는 usb커낵터 - Google Patents

안정된 접지부를 갖는 usb커낵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332U
KR19990037332U KR2019980002978U KR19980002978U KR19990037332U KR 19990037332 U KR19990037332 U KR 19990037332U KR 2019980002978 U KR2019980002978 U KR 2019980002978U KR 19980002978 U KR19980002978 U KR 19980002978U KR 19990037332 U KR19990037332 U KR 199900373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ase
socket
plug
usb connec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2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332U/ko
Publication of KR19990037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332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켓부에 프러그(Plug)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전기적특성을 향상시켜 안정된 접지부를 갖는 USB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써, 본 고안은 소켓실드케이스를 프러그실드케이스에 접하는 부분에 탄성력을 갖도록 내측으로 향하는 곡면을 갖도록 구성하여 소켓부의 소켓실드케이스에 프러그실드케이스가 소켓실드케이스를 밀면서 삽입되면 내향하던 곡면이 프러그실드케이스를 압지하여 접지력을 향상시킴으로써 EMI와 ESD 등의 전기적특성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정된 접지부를 갖는 USB커낵터
본 고안은 패널(Panel)이나 섀시(Chassis)에 사용되는 USB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소켓부에 프러그(Plug)부와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전기적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접지부를 갖는 USB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접속기인 USB커넥터(USB Connector)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USB커넥터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전화모뎀, 프린터, 마이크, 디지털스피커, 조이스틱, 마우스, 등에 광범위하게 접속구로 사용되는 USB커낵터에서 소켓부(10)의 구성은 전기적신호를 전달하는 리드(Reed)선(13)에 리드선을 보호하기 위한 세라믹재의 절연체(12)가 구성되고 절연체를 감합하고 있는 소켓실드케이스(11)를 구성하여 소켓실드케이스에는 삽입돌기(15)가 형성된 접속부(14)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소켓부(10)와 결합하는 프러그부(20)는 삽입홈(25)이 형성된 프러그실드케이스(21)에 절연체(22)가 구성되고 절연체(22)에는 케이블(미도시)에서 나오는 신호를 받는 리드선(23)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러그부(20)를 소켓부(10)에 삽입하면 프러그실드케이스(21)에 형성된 삽입홈(25)에 소켓실드케이스(11)에 형성된 접속부(14)의 삽입돌기(15)가 결합되어 소켓부(10)와 프러그부(20)가 결합되어 리드선(13,23)으로 화상이나 음성신호등이 전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고안은 삽입홈(25)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5)의 일부분적으로 접지가 이루어져 있음으로 인하여 케이블(미도시)의 좌우연동 등의 움직임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접지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EMI(Electromagnetic Wave Interferance)와 ESD(Eletro Static Discharge)의 특성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12Mbps의 고속데이터 전송에서는 접지력이 불량하면 특히 전기적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소켓실드케이스와 프러그실드케이스가 안정된 접지부를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켓실드케이스를 프러그실드케이스에 접하는 부분에 탄성력을 갖도록 내측으로 향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프러그실드케이스가 소켓실드케이스에 삽입될때에 소켓실드케이스가 프러그실드케이스를 압지하여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USB커넥터의 주요부의 평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상태의 USB커넥터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USB커넥터에서 본 고안이 구성된 상태의 소켓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실시된 상태의 USB커넥터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소켓부 110 : 소켓실드케이스
140 : 접속부 150 : 삽입돌기
160 : 가이드부 200 : 프러그부
210 : 프러그실드케이스부 250 : 삽입홈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상태의 USB커넥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USB커넥터에서 본 고안이 실시된 소켓부의 측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프러그부(200)에는 케이블(240)에서 인입되는 전기적신호를 받는 리드선(230)과 이를 감합하는 절연체(220)가 구성되고 절연체(220)를 감싸고 접지하는 프러그실드케이스(210)가 구성된다.
상기 프러그실드케이스(210)에는 삽입홈(250)을 형성한다.
소켓부(100)에는 리드선(130)과 이를 감합하는 절연체(120)가 구성되고 절연체(120)를 감싸는 소켓실드케이스(1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실드케이스(110)에 삽입되는 프러그부(200)의 프러그실드케이스(210)와의 접지력이 향상되도록 내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소켓실드케이스(110)를 형성하고 삽입돌기(150)가 형성된 접속부(140)를 형성한다.
도 5는 본 고안이 구성되어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프러그부(200)가 소켓실드케이스(110)의 가이드부(160)를 밀면서 삽입되어 소켓실드케이스(110)가 프러그부(200)의 프러그실드케이스(210)를 압지하게 되어 면접촉을 이루어 접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프러그부(200)가 소켓실드케이스(110)의 가이드부(160)를 밀면서 삽입되면 프러그부(200)의 프러그실드케이스(210)에 형성된 삽입홈(250)에 소켓부(100)에 형성된 접속부(140)의 삽입돌기(150)가 삽입되어 프러그부(200)와 소켓부(100)가 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소켓실드케이스(110)가 내측으로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삽입되는 프러그부(200)의 프러그실드케이스(210)를 압지하여 프러그부와 소켓부의 접지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체결되는 USB커넥터에 소켓부(100)의 소켓실드케이스(110)와 프러그부(200)의 프러그실드케이스(210)가 면접지가 이루어져 접지력이 향상됨으로 EMI와 ESD 등의 전기적특성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켓실드케이스를 내향하는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접지력이 강화되어 EMI와 ESD 등의 전기적특성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프러그부와 소켓부로 구성되는 USB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에 구성되는 소켓실드케이스를 프러그실드케이스에 접하는 부분에 탄성력을 갖도록 내측으로 향하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소켓실드케이스와 프러그실드케이스의 접지력을 향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된 접지부를 갖는 USB커낵터.
KR2019980002978U 1998-03-03 1998-03-03 안정된 접지부를 갖는 usb커낵터 KR199900373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978U KR19990037332U (ko) 1998-03-03 1998-03-03 안정된 접지부를 갖는 usb커낵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978U KR19990037332U (ko) 1998-03-03 1998-03-03 안정된 접지부를 갖는 usb커낵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332U true KR19990037332U (ko) 1999-10-05

Family

ID=69712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978U KR19990037332U (ko) 1998-03-03 1998-03-03 안정된 접지부를 갖는 usb커낵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3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777B1 (ko) * 2008-02-04 2010-03-11 백창욱 유에스비 연결플러그용 뚜껑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777B1 (ko) * 2008-02-04 2010-03-11 백창욱 유에스비 연결플러그용 뚜껑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0852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grounding structure
CA2262727C (en) Low crosstalk connector configuration
US5738545A (en) Connection device which is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with simple structure
US741036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reduced crosstalk and electromaganectic interference
US6347948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grounding means
KR100513173B1 (ko) 일체형 래칭 및 접지 구조가 있는 커넥터 차폐부
US5338215A (en) Jack assembly including a contact switching system
KR100478426B1 (ko) 내마모성 결합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
US6273753B1 (en) Twinax coaxial flat cable connector assembly
US7232346B2 (en)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with additional signal contacts
US5938476A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4838811A (en) Modular connector with EMI countermeasure
KR100563181B1 (ko) 고속 전송용 커넥터
US6168466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20030119368A1 (en) Audio jack connector
JP2008541354A (ja) 強化されたジャック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S6391977A (ja) プラグ/リセプタクル式のコネクタ
US20050095913A1 (en) Shielded board-mounted electrical connector
WO1995020252A3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nd contact
US20040259421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shield members
CA2243149A1 (en) High-frequency communication jack
US2004003856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50130496A1 (en) High-speed cable assembly
US7059905B2 (en) Connector having an excellent transmission characteristic and an excellent EMI suppression characteristic
KR20040072799A (ko)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