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557A -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557A
KR19990036557A KR1019980027262A KR19980027262A KR19990036557A KR 19990036557 A KR19990036557 A KR 19990036557A KR 1019980027262 A KR1019980027262 A KR 1019980027262A KR 19980027262 A KR19980027262 A KR 19980027262A KR 19990036557 A KR19990036557 A KR 19990036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wave
laundry
washing
choke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3999B1 (ko
Inventor
김양경
강형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JP10227108A priority Critical patent/JP3102637B2/ja
Priority to US09/135,201 priority patent/US5983520A/en
Priority to DE19845156A priority patent/DE19845156C2/de
Publication of KR1999003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6Microwave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7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spin-dry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 및 건조시 회전하는 세탁조와, 상기 외조와 세탁조의 후방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동력 전달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세탁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샤프트와, 상기 외조의 후방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의 후방 중앙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건조시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기 위한 마이크로파 발생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파를 세탁조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파가 구동 샤프트의 주위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차폐 수단과, 상기 세탁물의 건조시 세탁조의 내부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마이크로파와 혼합되어 증발되는 고온 다습한 수증기를 응축시켜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순환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의 세탁조에서 세탁물의 세탁 행정에서 부터 마이크로파를 열원으로 한 건조 행정까지 일괄적으로 수행할수 있으므로써 세탁기와 건조기를 별도로 갖출 필요가 없고, 세탁이 완료된 후 세탁기에서 건조기로 세탁물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사용자가 편리하게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세탁 및 건조시킬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의 세탁조에서 세탁물의 세탁 행정에서 부터 마이크로파를 열원으로 한 건조 행정까지 일괄적으로 수행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의 세탁 행정과 탈수 행정이 모두 완료되면 사용자가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의 건조 행정을 진행하기 위해 건조용 키를 동작시킴에 따라 건조 공정을 진행하는 열풍 건조 방식 세탁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열풍 건조 방식 세탁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체(1a) 내부의 세탁조(4b)에 있는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1a) 내부의 상단 일측에 설치된 팬모터(19a)가 회전함에 따라 건조 덕트(18a)를 통해 세탁조(4b)의 내부로 공기를 불어 넣게 되는데, 이때 공기는 상기 건조 덕트(18a)내의 상부에 설치되어 발열된 히터(26)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한 상태로 세탁조(4b)의 내부에 공급되며, 상기 고온으로 가열된 건조한 공기는 세탁조(4b)에 있는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켜 세탁물로 부터 습기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팬모터(19a)에 의해 계속 가열된 건조한 공기가 공급되므로 세탁조(4b)에 있는 세탁물로 부터 수분을 증발시켜 높은 습도의 공기는 세탁조(4b) 밖으로 배출되어 응축 덕트(23a)로 이송되고, 응축 덕트(23a) 에서는 다량의 물분사를 이용한 응축 방법으로 공기의 수분을 응축시켜서 응축된 물방울은 배수 호스(27)를 거쳐서 본체(1a) 밖으로 배출시키게 되며, 상기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는 다시 히터(26)에 의해 가열된 후 건조 덕트(18a)를 통해서 세탁조(4b)의 내부로 공급되는 이러한 공정을 반복하여 세탁물의 수분이 모두 증발하게 되면 건조 행정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열풍 건조 방식 세탁기에 비해 세탁물의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 지면서 세탁물의 손상도 발생되지 않는 등의 많은 장점이 구비되어 세탁물의 세탁을 행함과 함께 세탁 행정이 완료시 마그네트론에 의해 발진된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종래의 개시된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미국 특허 제 5,463,821 호)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의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를 요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건조하기 위한 세탁물을 본체(1b)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도어(2a)를 열어 상기 본체(1b)내의 드럼(28) 내부에 설치된 건조실(도시는 생략함)에 넣은 후 건조용 키를 동작시킴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 행정을 시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28) 내주면의 복수개의 배플(29) 내부에 각각 장착된 마그네트론(30)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가 상기 배플(29)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29a)을 통과함에 따라 드럼(28)내의 건조실에 있는 세탁물을 가열 건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드럼(28)의 측벽에는 많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가 드럼(28)내의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배플(29)의 내부에 장착된 마그네트론(30)을 냉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드럼(28)의 측벽에는 건조 행정시 드럼(28)이 회전해도 계속 전원을 공급할수 있는 파워 라인(31)이 설치되어 있어 배플(29)내의 마그네트론(3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본체(1b)의 하단에 장착된 모터(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드럼(28)이 회전하면서 마그네트론(30)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가 상기 배플(29)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29a)을 통과함에 따라 드럼(28)내에 있는 세탁물을 건조하게 되면, 에어팬(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드럼(28)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건조실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된 습기로 다습한 상태가 되어 상기 드럼(28)의 후방 중앙에 형성된 배기홀(33)을 통해 본체(1b) 밖으로 배출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세탁물의 건조 행정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열풍 건조 방식 세탁기는 히터(26)로 공기를 가열하고 다시 이 뜨거운 공기가 세탁물과 수분을 동시에 가열하면서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간접 가열 방식으로서, 각 과정에서의 열교환 손실이 많이 발생되므로 인해 건조 효율이 매우 낮아 건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세탁물 깊숙한 부분의 수분을 건조시키기 위해서는 세탁물의 표면 온도가 상승되어야 함에 따른 세탁물의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는 드럼(28) 내주면의 복수개의 배플(29) 내부에 각각 마그네트론(30)이 직접 장착되어 상기 드럼(28)이 회전하면서 마그네트론(30)이 마이크로파를 방사하는 방식으로, 4000V 이상의 고압을 사용하는 마그네트론(30)에 회전 접촉 방식의 전원 공급은 스파크 등이 발생함에 따라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높고, 상기 드럼(28)과 마그네트론(30)의 방수 구조가 불안전하며, 고속 회전이 불가능하여 세탁 및 건조 일체형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가 없고,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을 다시 세탁기에서 꺼내어 드럼(28) 내부의 건조실로 넣어야 하므로 인해 사용시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의 세탁조에서 세탁물의 세탁 행정에서 부터 마이크로파를 열원으로 한 건조 행정까지 일괄적으로 수행할수 있어서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세탁물을 세탁 및 건조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의 건조시 세탁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한편, 제품을 사용할 때의 안전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항상 안전한 상태로 사용할수 있는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풍 건조 방식 세탁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를 요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쵸크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도 5의 쵸크부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2; 도어
3; 외조 4; 세탁조
5; 구동 샤프트 6; 모터
7; 모터축 8; 구동 풀리
9; 벨트 10; 종동 풀리
11; 지지 브라켓 12; 마그네트론
13; 쵸크 몸체 14; 쵸크룸
15; 쵸크 시일 16; 안테나
17; 보호캡 18; 건조 덕트
19; 팬모터 20; 모터축
21; 송풍팬 22; 배출 덕트
23; 응축 덕트 24; 응축용 급수밸브
25; 배출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 및 건조시 회전하는 세탁조와, 상기 외조와 세탁조의 후방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동력 전달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세탁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샤프트와, 상기 외조의 후방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의 후방 중앙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건조시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기 위한 마이크로파 발생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파를 세탁조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파가 구동 샤프트의 주위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차폐 수단과, 상기 세탁물의 건조시 세탁조의 내부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마이크로파와 혼합되어 증발되는 고온 다습한 수증기를 응축시켜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순환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가 제공되므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 전달수단은 외조의 하단 일측면에 장착되어 세탁 및 건조시 세탁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축결합되어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모터축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풀리와, 구동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풀리의 회전력을 벨트를 통해 전달받아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종동 풀리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은 구동 샤프트 내의 중공부에 마이크로파 발생 수단인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를 세탁조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일단이 마그네트론에 연결되도록 삽입되는 안테나로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탁조 내의 후방 중앙에는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이 고정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파 차폐 수단은 지지 브라켓의 내측면에 구동 샤프트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구동 샤프트와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면서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쵸크 몸체와, 상기 쵸크 몸체에 절곡 형성되어 쵸크룸을 갖는 쵸크 시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쵸크룸을 갖는 쵸크 시일이 쵸크 몸체에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쵸크룸의 입구부 임의의 한지점은 각 쵸크 시일의 안쪽면에서 부터 λ/4 거리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순환 수단은 외조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세탁물의 건조시 세탁조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건조 덕트와, 상기 건조 덕트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건조 덕트를 통해 세탁조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동하는 팬모터와, 팬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건조 덕트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송풍팬과, 상기 외조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세탁물의 건조시 세탁조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덕트와, 상기 건조 덕트와 배출 덕트의 사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배출 덕트를 통해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의 응축을 안내하는 응축 덕트와, 상기 응축 덕트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응축수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축 덕트의 상부에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 급수하기 위한 응축용 급수밸브가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의 세탁조에서 세탁물의 세탁 행정에서 부터 마이크로파를 열원으로 한 건조 행정까지 일괄적으로 수행할수 있으므로써 세탁기와 건조기를 별도로 갖출 필요가 없고, 세탁이 완료된 후 세탁기에서 건조기로 세탁물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사용자가 편리하게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세탁 및 건조시킬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쵸크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쵸크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는 본체(1)의 전면 중앙에 도어(2)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외조(3)가 설치되며, 외조(3)의 내부에는 세탁물의 세탁 및 건조시 회전하며 복수개의 통공(4a)이 형성된 세탁조(4)가 설치되고, 상기 외조(3)와 세탁조(4)를 관통하는 후방 중앙에는 세탁조(4)를 회전시키기 위해 중공으로 된 구동 샤프트(5)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조(3)의 하단 일측면에는 세탁 및 건조시 세탁조(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6)가 장착되고, 모터(6)의 모터축(7)에는 상기 모터(6)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모터축(7)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풀리(8)가 축결합되며, 상기 구동 샤프트(5)에는 구동 풀리(8)의 회전력을 벨트(9)를 통해 전달받아 구동 샤프트(5)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종동 풀리(1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조(3) 후방의 구동 샤프트(5) 노출측에는 지지 브라켓(11)이 고정되고, 지지 브라켓(11)의 후방 중앙에는 세탁물의 건조시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12)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 브라켓(11)의 내측면에는 구동 샤프트(5)와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면서 마그네트론(12)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5)를 감싸도록 쵸크 몸체(13)가 고정되고, 쵸크 몸체(13)에는 각각의 쵸크룸(14)을 갖는 복수개의 쵸크 시일(15)이 절곡 형성되며, 상기 각 쵸크룸(14)의 입구부 임의의 한지점(A)은 각 쵸크 시일(15)의 안쪽면에서 부터 λ/4 거리(ℓ)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 샤프트(5)내의 중공부에는 마그네트론(12)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를 세탁조(4)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일단이 마그네트론(12)에 연결되도록 안테나(16)가 삽입되고, 상기 세탁조(4)내의 후방 중앙에는 안테나(16)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17)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외조(3)의 상부에는 세탁물의 건조시 세탁조(4)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건조 덕트(18)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건조 덕트(18)의 상부 일측에는 건조 덕트(18)를 통해 세탁조(4)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동하는 팬모터(19)가 설치되며, 팬모터(19)의 모터축(20)에는 건조 덕트(18)의 내부에서 모터축(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송풍팬(2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조(3)의 하부에는 세탁물의 건조시 세탁조(4)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덕트(22)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건조 덕트(18)와 배출 덕트(22)의 사이에는 배출 덕트(22)를 통해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의 응축을 안내하는 응축 덕트(23)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응축 덕트(23)의 상부에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 급수하기 위한 응축용 급수밸브(24)가 설치되며, 상기 응축 덕트(23)의 하단에는 응축수를 본체(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25)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에서 사용자가 세탁조(4)의 내부로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을 집어넣은 다음, 자동 세탁모드를 선택하면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 행정이 연속적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조(4)의 내부로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을 집어넣은 후, 자동 세탁모드를 선택하여 콘트롤러(도시는 생략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세탁조(4)의 내부로 정해진 수위만큼의 세탁수가 유입되고 나면, 외조(3)의 하단 일측면에 장착된 모터(6)가 구동함에 따라 모터(6)의 모터축(7)에 축결합된 구동 풀리(8)가 상기 모터(6)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모터축(7)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외조(3)와 세탁조(4)를 관통하는 후방 중앙에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 샤프트(5)에 설치된 종동 풀리(10)가 구동 풀리(8)의 회전력을 벨트(9)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 샤프트(5)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 샤프트(5)에 고정된 세탁조(4)가 외조(3)의 내부에서 구동 샤프트(5)와 함께 회전하므로 상기 세탁조(4)에 있는 세탁물이 세탁수와 함께 유동되면서 세탁물과 세탁조(4) 내벽과의 마찰력이나, 세제의 분해 작용 등에 의해서 세탁물의 세탁 행정을 진행하게 되며, 세탁 행정이 완료되고 나면 계속해서 헹굼 행정과 탈수 행정이 행해지면서 세탁물의 물세탁을 모두 완료하게 된다.
그 후, 세탁물의 물세탁이 완료되고 나면, 외조(3)의 하단 일측면에 장착된 모터(6)의 구동에 의해 세탁조(4)는 계속 회전하므로 세탁조(4)의 내부에서 물세탁이 완료되어 있는 세탁물이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외조(3) 후방의 구동 샤프트(5) 노출측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11)에 설치되어 있는 마그네트론(12)이 작동함에 따라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게 됨과 동시에, 이와 같이 발진된 마이크로파는 구동 샤프트(5)내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마그네트론(12)에 연결된 안테나(16)에 유도되어 상기 구동 샤프트(5)의 중공부를 통하여 세탁조(4)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외조(3)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세탁물의 건조시 세탁조(4)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건조 덕트(18)의 상부 일측에 장착된 팬모터(19)가 구동함에 따라 팬모터(19)의 모터축(20)에 설치된 송풍팬(21)이 상기 건조 덕트(18)의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건조 덕트(18)를 통해 세탁조(4)의 내부로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탁조(4)의 내부로 공급되는 마이크로파는 건조 덕트(18)를 통해 세탁조(4)의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한 공기와 함께 세탁조(4)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세탁물의 사이로 침투하여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는 표면 수분을 집중적으로 급속 가열함에 따라 신속하게 수분을 증발시키게 되므로 증발된 고온 다습한 수증기는 공기에 포함되어 상기 외조(3)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배출 덕트(22)를 통해 상기 건조 덕트(18)와 배출 덕트(22)의 사이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응축 덕트(23)로 이송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온 다습한 수증기가 응축 덕트(23)를 통해 상승하여 곧바로 상기 건조 덕트(18)를 통해 세탁조(4)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해 응축 덕트(23)의 상부에 설치된 응축용 급수밸브(24)에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급수를 함에 따라 물방울로 응축되어 상기 응축 덕트(23)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배출구(25)를 통해 응축수를 본체(1)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그 후, 응축되어 건조한 상태로 된 공기는 다시 팬모터(19)의 구동에 의한 송풍팬(21)의 회전에 의해 건조 덕트(18)를 따라 세탁조(4)의 내부로 공급되는 행정을 반복하므로써 세탁조(4) 내부의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킬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마그네트론(12)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에 의해 세탁조(4)내의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이 건조될 때 상기 마이크로파는 구동 샤프트(5)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고 상기 마그네트론(12)은 외조(3) 후방의 지지 브라켓(11)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마이크로파가 구동 샤프트(5)의 중공부와 마그네트론(12) 사이의 틈새를 통해 누설되고, 이 누설되는 마이크로파는 상기 지지 브라켓(110의 내측면에 상기 구동 샤프트(5)를 감싼 상태로 쵸크 몸체(1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계속해서 상기 구동 샤프트(5)와 쵸크 몸체(13)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누설될려고 함에 따라 이를 차폐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마이크로파가 누설되는 것을 차폐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 브라켓(11)의 내측면에 구동 샤프트(5)와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면서 마그네트론(12)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샤프트(5)를 감싸도록 고정된 쵸크 몸체(13)에는 각각의 쵸크룸(14)을 갖는 쵸크 시일(15)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쵸크룸(14)의 입구부 임의의 한 지점(A)은 각 쵸크 시일(15)의 안쪽면에서 부터 λ/4 거리(ℓ)에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각 쵸크룸(14) 입구부 임의의 한 지점(A) 에서의 임피던스(Impedance)는 무한대가 되어 실질적으로 외부로의 마이크로파의 누설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쵸크 몸체(13)에 각각의 쵸크룸(14)을 갖도록 복수개의 쵸크 시일(15)을 형성한 이유는, 구동 샤프트(5)와 쵸크 몸체(13)의 사이를 통해 누설될려고 하는 마이크로파의 입사각이 다양하므로 이 다양한 입사각의 마이크로파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해서이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어 마이크로파의 누설 차폐를 위한 상기 쵸크 시스템의 원리는, 쵸크룸(14)의 입구부중 임의의 한 지점(A) 에서의 임피던스를 매우 크게 해주면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할수 있는데, 이를 전송(Transmission) 선로에서의 임피던스 관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하로 부터 ℓ 만큼 떨어진 점에서의 입력 임피던스(Zin)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수 있다.
상기한 식에서 Zo는 특성 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로서, Zo및 β는 전송 경로의 구조 및 유전율에 따라 정해지는 값이다.
따라서, 쵸크 몸체(13)에 형성된 쵸크 시일(15)은 쇼트(Short)이므로 Ze = 0인 면이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쵸크 시일(15)의 안쪽면에서 부터 ℓ=λ/4(λ는 마이크로파의 관내 파장) 만큼 떨어진 점이 쵸크룸(14) 입구부의 임의의 한 지점(A)이 되면서 이 지점의 임피던스는 무한대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의 세탁조에서 세탁물의 세탁 행정에서 부터 마이크로파를 열원으로 한 건조 행정까지 일괄적으로 수행할수 있으므로써 세탁기와 건조기를 별도로 갖출 필요가 없고, 세탁이 완료된 후 세탁기에서 건조기로 세탁물을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사용자가 편리하게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세탁 및 건조시킬수 있으며, 제품을 사용할 때의 안전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쵸크 시스템을 채용하여 효과적으로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완벽하게 차단시켜 항상 안전한 상태로서 사용할수 있으므로 인해 제품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세탁 및 건조시 회전하는 세탁조와, 상기 외조와 세탁조의 후방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동력 전달수단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세탁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샤프트와, 상기 외조의 후방에 고정된 지지 브라켓의 후방 중앙에 설치되어 세탁물의 건조시 마이크로파를 발진시키기 위한 마이크로파 발생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파를 세탁조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파가 구동 샤프트의 주위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차폐 수단과, 상기 세탁물의 건조시 세탁조의 내부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여 마이크로파와 혼합되어 증발되는 고온 다습한 수증기를 응축시켜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순환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수단이 외조의 하단 일측면에 장착되어 세탁 및 건조시 세탁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축결합되어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모터축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풀리와, 구동 샤프트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풀리의 회전력을 벨트를 통해 전달받아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종동 풀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이 구동 샤프트 내의 중공부에 마이크로파 발생 수단인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를 세탁조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일단이 마그네트론에 연결되도록 삽입되는 안테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 내의 후방 중앙에는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캡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차폐 수단이 지지 브라켓의 내측면에 구동 샤프트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구동 샤프트와 일정한 틈새를 유지하면서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된 마이크로파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쵸크 몸체와, 상기 쵸크 몸체에 절곡 형성되어 쵸크룸을 갖는 쵸크 시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쵸크룸을 갖는 쵸크 시일이 쵸크 몸체에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쵸크룸의 입구부 임의의 한지점은 각 쵸크 시일의 안쪽면에서 부터 λ/4 거리에 위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수단이 외조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세탁물의 건조시 세탁조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건조 덕트와, 상기 건조 덕트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건조 덕트를 통해 세탁조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구동하는 팬모터와, 팬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건조 덕트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송풍팬과, 상기 외조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세탁물의 건조시 세탁조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덕트와, 상기 건조 덕트와 배출 덕트의 사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배출 덕트를 통해 배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의 응축을 안내하는 응축 덕트와, 상기 응축 덕트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응축수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덕트의 상부에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응축시 급수하기 위한 응축용 급수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파 세탁 건조기.
KR1019980027262A 1997-10-08 1998-07-07 마이크로파세탁건조기 KR100313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27108A JP3102637B2 (ja) 1997-10-08 1998-08-11 マイクロ波洗濯乾燥機
US09/135,201 US5983520A (en) 1997-10-08 1998-08-17 Microwave dryer for washing machine
DE19845156A DE19845156C2 (de) 1997-10-08 1998-10-01 Mikrowellentrockner für Waschmaschin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51645 1997-10-08
KR19970051645 1997-10-08
KR1019970051645 1997-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557A true KR19990036557A (ko) 1999-05-25
KR100313999B1 KR100313999B1 (ko) 2001-12-12

Family

ID=37531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262A KR100313999B1 (ko) 1997-10-08 1998-07-07 마이크로파세탁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9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30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CN111575986A (zh) * 2020-05-29 2020-08-25 苏州易来科得科技有限公司 一种洗脱烘干一体机
CN115045097A (zh) * 2021-03-09 2022-09-1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8089369A (zh) * 2024-04-29 2024-05-28 德州立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微波干燥灭菌设备及其实现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8117A (ko) 2020-12-18 2022-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673B1 (ko) * 1997-03-12 1999-08-02 구자홍 마이크로웨이브 세탁건조기의 전자파누설차단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330A (ko) * 2001-09-28 2003-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CN111575986A (zh) * 2020-05-29 2020-08-25 苏州易来科得科技有限公司 一种洗脱烘干一体机
CN115045097A (zh) * 2021-03-09 2022-09-1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5045097B (zh) * 2021-03-09 2024-04-0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8089369A (zh) * 2024-04-29 2024-05-28 德州立威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微波干燥灭菌设备及其实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3999B1 (ko)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3520A (en) Microwave dryer for washing machine
US54638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microwave dryer
US4490923A (en) Microwave clothes dryer
US20090272002A1 (en)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radiation drying unit
KR100474915B1 (ko) 의류건조기
CN201202040Y (zh) 微波干衣机
KR20150123637A (ko) 콘덴싱 방식의 세탁건조기
KR100313999B1 (ko) 마이크로파세탁건조기
GB2308853A (en) Washing/drying machine
KR100446763B1 (ko) 의류 건조기의 포 가열장치
KR100212673B1 (ko) 마이크로웨이브 세탁건조기의 전자파누설차단구조
KR100218464B1 (ko) 마이크로웨이브 드럼 세탁기
KR100209686B1 (ko) 의류건조기
JPH04343887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209687B1 (ko) 의류건조기의 건조장치
KR100206854B1 (ko) 마이크로웨이브 세탁건조기
KR100265642B1 (ko)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장치
KR100421378B1 (ko) 의류 건조기
KR0122442Y1 (ko) 건조세탁기
KR100430215B1 (ko) 인터넷용 세탁 건조기
KR100572776B1 (ko)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KR20050105818A (ko) 복사 건조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KR100712273B1 (ko) 건조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010089069A (ko) 건조겸용 세탁기
KR0121273Y1 (ko) 의류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7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