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117A - 세탁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117A
KR20220088117A KR1020200178832A KR20200178832A KR20220088117A KR 20220088117 A KR20220088117 A KR 20220088117A KR 1020200178832 A KR1020200178832 A KR 1020200178832A KR 20200178832 A KR20200178832 A KR 20200178832A KR 20220088117 A KR20220088117 A KR 2022008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drum
laundry dryer
guide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문찬우
김지훈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7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8117A/ko
Priority to EP21212675.9A priority patent/EP4015700A1/en
Priority to US17/546,747 priority patent/US20220195658A1/en
Publication of KR2022008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6Microwave heat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6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detectors with R.F.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80Apparatus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내부의 중심축상 배치되는 프로브를 통하여 피건조물에 RF 전자파를 투사해 가열 건조하는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발진기, 드럼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전자파를 방사하는 프로브, 프로브에 전자파를 전달하는 중공형의 전도체 도파관의 가이드를 포함하며, 드럼 내부에 배치된 프로브를 통하여 드럼 내부공간에 전자파를 직접 투사하여, 피건조물의 공진영역을 확대하고, 가이드를 통하여 고출력 RF 전자파를 전달해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탁물 건조기 {LAUNDRY DRY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 내부의 중심축상 배치되는 프로브를 통하여 피건조물에 RF 전자파를 투사해 가열 건조하는 세탁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여 의류의 건조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의류의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열풍을 이용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방식은, 열풍에 접촉하는 표면에 국소적으로 보다 높은 열이 가해져 건조 속도 차이에 의해 구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국소 과열에 의해 옷감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 가운데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방식이 아닌, 고주파(RF 전자파)의 전기장을 이용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방식의 종래 의류처리장치도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12673호 (이하 '종래기술 1'이라 칭함)에는 세탁조 내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세탁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열풍 건조 방식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기술 1의 세탁물 건조기는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과 세탁조 내부에 전자파를 방사하기 위한 마이크로파 방사 수단을 포함하여 내부공간에 전기장을 형성하고. 유전체에 전기장을 인가하는 유전가열(Dielectrically Heating) 방법으로 피건조물을 건조하였다.
종래기술 1의 전자파를 이용한 건조 방식은, 수분을 함유한 피건조물에 마이크로파를 주사하여, 열풍 건조방식에서 문제되었던 열풍에 접촉하는 표면에 국소적으로 보다 높은 열이 가해져 건조 속도 차이에 의해 구김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은 하나의 세탁조에서 세탁과 건조를 함께 수행하여, 안테나의 침습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안테나가 세탁조의 내부 공간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피건조물의 공진 영역이 좁아 건조 효율이 낮은 문제점 역시 존재하였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313999호 (이하 '종래기술 2'라 칭함)에는 종래기술 1을 보완한, 세탁조 내부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세탁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 2의 세탁건조기는 종래기술 1을 보다 개량한 초크 시일을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전자파의 누설을 차폐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2의 초크 시일은 마그네트론에서 안테나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전자파의 누설을 차단할 뿐, 안테나가 침습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나아가, 안테나가 세탁조의 내부공간에 직접 노출되지 않아, 피건조물의 공진 영역에 해당하도록 마이크로파의 주파수를 지속적으로 매칭시키는 튜너 또는 매쳐의 구성을 필요로 하였다.
한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090976호 (이하 '종래기술 3'이라 칭함)에는 드럼 내부의 축상 반사봉이 배치되는 의류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 3은 반사봉이 드럼 내부의 축에 배치되어, 드럼 내부공간에 투사된 전자파를 고르게 분산시키며, 드럼의 회전시에도 전자파의 투사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드럼 내부가 아닌 일축에서 전자파를 주사하여, 반사봉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드럼 내부공간에 전자파를 완전히 고르게 투사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나아가, 드럼의 회전에 의해 피건조물이 유동함에 따라, 공진영역이 변경되어 유전가열 효율이 낮아져, 건조효율과 전력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미국등록특허 US-9127400호 (이하 '종래기술 4'라 칭함)에는 드럼 내부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열풍 건조 방식을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기술 4의 세탁물 건조기는 드럼 내부에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역할을 수행하는 2 이상의 전극부를 포함하여 내부공간에 전기장을 형성하고. 유전체에 전기장을 인가하는 유전가열(Dielectrically Heating) 방법으로 피건조물을 건조하였다.
종래기술 4의 유전가열을 이용한 건조 방식은, 피건조물에 함유된 수분에 RF 전자파를 주사하여 직접 가열하여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중, 국부과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드럼을 회전시켜 피건조물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애노드 및 캐소드 역할을 수행하는 전극부의 배치가 변경되어, 전자파의 투사가 중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드럼 내부 공간에 전기장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건조 효율이 하락하며, 회전시 모터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드럼 내부공간에 RF 전자파의 투사가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아 피건조물에 국부과열이 발생하여, 피건조물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잔존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세탁물 건조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첫째, 드럼 내부에 배치된 프로브를 통하여 드럼 내부공간에 전자파를 직접 투사하여, 피건조물의 공진영역을 확대해, 별도의 튜너 없이도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도파관 기능을 수행하는 가이드를 통하여, 고출력 RF 전자파를 전달하여 전파 손실을 최소화하고, 보다 높은 출력의 전자파를 이용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드럼의 중심축상에 배치된 전극부를 구비하여, 드럼 내부공간에 전기장을 균일하게 방사하여 국부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넷째, 단일 전극부를 통해 드럼 내부에 전기장을 형성하여, 드럼의 회전이 중단되지 않고 건조행정을 진행하는 세탁물 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섯째, 드럼의 내부공간에 프로브가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브 커버를 구비하여, 피건조물의 유동에 의해 프로브가 손상 또는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건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세탁물 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공간에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덕트부; 피건조물을 가열하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상기 드럼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전자파를 방사하는 프로브;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브는, 원주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드럼의 중심축상에 배치되어 드럼의 내부공간에 전자파를 균일하게 방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드럼의 후방 내면상에, 폐쇄된 원형의 일면과 개방된 일면을 갖는 원통형의 프로브 커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브 커버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극부는, 발진기; 상기 커플링 홀과 외측에서 연결되는 프로브 하우징; 및 상기 프로브 하우징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발진기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브에 전자파를 전달하는 가이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중공형의 전도체 도파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진기는, 1kW 이상 2.5kW 이하의 전자파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도파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는,
첫째, 프로브를 드럼 내부에 배치하여, 피건조물의 공진영역을 확대하고 별도의 튜너 없이도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가이드를 구비하여, 고출력 RF 전자파를 전달하여 전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보다 높은 출력의 전자파를 이용할 수 있어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전극부를 드럼의 중심축상 배치하여. 드럼 내부공간에 전기장을 균일하게 방사해 국부 과열을 방지하고 피건조물의 이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전극부를 단일하게 구성하여,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킬 필요 없이 건조행정을 진행할 수 있어, 작동효율을 향상하고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프로브 커버를 구비하여, 건조행정상 피건조물의 유동에 의해 프로브가 손상 또는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를 후방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를 상방에서 내려다본 단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전극부의 구성을 바라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전극부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기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가 개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후방에서 바라본 후면도가 개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상방에서 내려다본 단면도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 건조기(1)의 외체를 형성하는 캐비닛(100)은 세탁물 건조기(1)의 전방면을 구성하는 전방패널(111)과, 후방면을 구성하는 후면패널(112)과, 측면을 구성하는 한 쌍의 측면패널(114, 115)과, 상면을 구성하는 상부패널(113)을 포함한다.
캐비닛(100)은 세탁물 건조기(1)의 내부공간을 정의하고, 세탁물 건조기(1)의 다양한 구성들을 지지하며,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전방패널(111)에는 후술하는 드럼(200)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21) 및 캐비닛(100)에 결합되어 투입구(121)를 개폐하는 도어(122)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122)는 사용자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일측이 전방패널(111)에 경첩 결합될 수 있다.
도어(122)의 외측면상 일측에 도어핸들(123)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핸들(123)은 사용자가 도어(122)의 개폐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손을 인입하여 파지 가능한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핸들(123)의 위치는 사용자가 힘을 적게 들이면서 도어(122)를 열 수 있도록, 도어(122)와 전방패널(111)이 결합된 일측에 대응되는 반대편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핸들(123)을 파지하여 도어(122)를 연 뒤, 투입구(121)를 통해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피건조물을 투입하고, 다시 도어(122)를 폐쇄하여, 세탁물 건조기(1)가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전방패널(111)의 상부에는 컨트롤패널(117)이 구비된다.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30),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40), 및 세탁물 건조기(1)의 행정을 수행하는 명령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30)는 세탁물 건조기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요청부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이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를 통해 입력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 입력의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버튼과 같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40)는 문자 및/또는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140)를 통해서 출력되는 정보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행정의 상황, 잔여 시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피건조물)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200)과,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를 드럼(200)으로 재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부(300)와, 드럼(200)과 연결되어 피건조물을 가열하는 전기장을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형성하는 전극부(400)가 구비된다.
드럼(200)은 전후방을 관통하는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Clockwise) 또는 반시계방향(Counterclockwise) 회전할 수 있다. 건조 기능을 고려하여 회전 방향은 변경 가능할 수 있고, 나아가 설계에 따라 소정의 시간동안 일방향으로 회전한 뒤,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드럼(200)은 전방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0)를 포함하며,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드럼 바디(210)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260), 및 드럼 바디(210)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27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60)는 캐비닛(100)의 내부에 고정된 제1 고정바디(261)와, 제1 고정바디(2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투입구(111)와 드럼 바디(210)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262), 제1 고정바디(261)에 구비되어 드럼 바디(210)의 전방면에 삽입되는 제1 지지바디(2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60)는 투입구(111)와 드럼 투입구(262)를 연결하는 연결바디(26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바디(264)는 드럼 투입구(262)로부터 투입구(111)를 향해 연장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바디(264)에는 덕트부(300)에 연통하는 공기 배출구(265)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265)는 드럼 바디(210)의 내부 공기가 덕트부(300)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통로이며, 연결바디(264)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70)는,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된 제2 고정바디(271)와, 제2 고정바디(271)에 구비되어 드럼 바디(210)의 후방면에 삽입되는 제2 지지바디(2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지지부(270)에는 제2 고정바디(27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드럼 바디(210)의 내부를 캐비닛(100) 내부와 연통시키는 공기 유입구(273)가 구비된다.
공기 유입구(273)는 후술할 공급덕트(320)의 토출구(322)와 서로 연통되어, 공급덕트(32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드럼 바디(210)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되는 통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유입구(273)는 토출구(322)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거나, 토출구(322)의 넓이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70)는 후술할 커플링 홀(2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커플링 홀(220)가 개방된 공간으로 정의되는 바, 대응하여 제2 고정바디(271) 및 제2 지지바디(272)을 관통하여 커플링 홀(220)이 배치될 수 있다.
드럼(200)은 외면의 중심축상에 일정반경의 원형으로 개방 형성되는 커플링 홀(220) 및 드럼(2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전자파의 외부 누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전자파 차폐부(230)를 포함한다.
커플링 홀(220)은 후술할 전극부(400)가 드럼(200)의 내부공간으로 전자파를 투사할 수 있는 개방된 공간으로 정의된다. 커플링 홀(220)은 드럼 바디(210)의 후방 측면에, 후면패널(112)에 형성된 홀(hole)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바디(271) 및 제2 지지바디(272)을 관통하여 커플링 홀(22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200)의 내부공간은 커플링 홀(220) 및 후면패널(112)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별도의 안테나(Antenna)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에서는 커플링 홀(220)이 안테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 참조)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해,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전자파의 공진이 필요하므로, 커플링 홀(220)의 형상이 공진영역을 설정하기 위해 설계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후술할 전극부(400)의 프로브(450)가 별도의 안테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부(400)는 커플링 홀(220) 및 후면패널(112)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전자파 차폐부(230)는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전극부(400)에 의해 투사된 전자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은 후술할 전극부(400)에 의해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전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장에 의해 피건조물이 가열되어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발명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파 차폐부(230)를 포함하여, 세탁물 건조기(1)의 외부로 전자파의 유출을 방지한다.
인체에 일정 강도 이상의 전자파가 노출되는 경우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함유하고 있는 물 분자를 진동시키기 위하여 고출력의 RF(Radio Frequency) 전자파를 이용하는 바, 전자파 차폐부(230)의 배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드럼(200)의 외부와 개방된 부분에 전자파 차폐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자파의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정 공간이 도체 혹은 강자성체로 둘러싸여, 내부가 도체로 둘러싸인 동공이 될 필요성이 있다. 드럼 바디(210) 및 후술할 프로브 커버(450)는 도체 내지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200)의 내부공간 중에서 드럼 바디(210) 및 프로브 커버(450)와 내주면이 아닌 공간에, 전자파 차폐부(230)는 전자파의 차단 또는 흡수 효과가 있는 다양한 소재를 선택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럼(200)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공간에 전자파 차폐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바디(210)와 도어(1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드럼 바디(210)의 전방 측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파 차폐부(230)는 드럼(200)과 후술할 덕트부(300)가 결합되는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드럼 바디(2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유로를 따라 전자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드럼(200)과 덕트부(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전자파 차폐부(230)는 드럼(200)과 공급덕트(320)가 결합되는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드럼(200)의 제2 지지부(270)에 구비된 공기 유입구(273)와 공급덕트(320)에 구비된 토출구(322)는 서로 연통되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드럼(2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전기장이 토출구(32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유입구(273)와 토출구(322)사이에 전자파 차폐부(230)가 배치된 후,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드럼(200)은 드럼 바디(210)의 내주면에서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드럼 리프터(Drum Lifter, 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리프터(240)는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에서 회전되는 유체의 압력을 높이고, 유로를 복잡하게 변형시켜 유체를 혼합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에서 회전되는 유체는 공기와 피건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피건조물은 건조효율을 높이기 위해 연속적으로 뒤섞일 필요가 있다.
드럼 바디(210)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통으로, 피건조물들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여 혼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드럼 리프터(240)를 포함하여, 피건조물들을 건조 기능에 따른 회전 중에 드럼 리프터(240)와 충돌시켜 서로 뒤섞을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 리프터(240)는 드럼 바디(210)에서부터 내부공간으로 연장되며 폭이 좁아지는 블레이드(Blade)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리프터(240)는 기울어진 삼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어,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반경방향의 유로를 다변화할 수 있다.
드럼 리프터(240)는 드럼 바디(210)의 직경 및 회전속도, 배치되는 피건조물의 부피 및 무게 등을 고려하여 크기와 개수가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의 실시예는, 세개의 드럼 리프터(240)가 드럼 바디(210)의 내주면을 따라 각각 원주방향으로 120°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드럼 리프터(240)의 높이가 길어지거나 면적이 넓어지는 경우에는, 이를 고려하여 개수가 더 작아질 수 있으며, 높이가 낮아지거나 면적이 좁아지는 경우에는, 개수가 더 많이 배치될 수 있다. 피건조물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드럼(200)의 내부 유로를 다변화하기 위해 설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덕트부(300)는 드럼(200)의 전방에 연결되어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에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덕트(310)와 드럼(200)의 후방에 연결되어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320,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배기덕트(310)와 공급덕트(320)가 드럼(200)에 연결되는 방향은 설계에 따라 전후방이 서로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기덕트(310)는 드럼(200)의 제1 지지부(260)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265)와 연결되어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에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드럼(200)의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기덕트(310)는 드럼(200)과 연결되는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덕트 내부로 공기가 인입되는 홀(hole)의 형상이, 공기 배출구(265)의 형상과 대응되거나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배기덕트(310)는 캐비닛(100)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구(314)를 포함한다. 따라서 드럼(200)의 공기는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에서 공기 배출구(265)를 통하여 배기덕트(310)로 유입된 후, 배기구(31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덕트(310)는 배기구(314)를 향하여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흡기팬(312)을 포함할 수 있다. 흡기팬(312)은 배기덕트(310)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하여, 배기덕트(310)의 전반에 걸쳐 공기가 배기구(314)를 향해 흐르도록 유동력을 발생시킨다. 흡기팬(312)의 위치는 배기구(314)에 가깝게 배치될 수도 있고, 반대로 공기 배출구(265)에 가깝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실시예에 따라서, 동일한 유로 선상에서 구성들의 형상 및 배치 구조를 고려하여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흡기팬(312)이 공기 배출구(265)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200)의 내부공간에서 피건조물이 가열되어 증발된 수분이, 증기가 다시 응축되기 전에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흡기팬(312)의 가동에 의해,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은 대기에 비해 압력이 낮은 음압(negative pressure)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공급덕트(320)는 팬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급덕트(320)는 외부에서 공기를 흡기하는 공기 흡기구(321)와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3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참조)
토출구(322)는 공급덕트(320)의 상부측 일면에 배치되어, 제2 지지부(270)에 맞닿아 공기 유입구(273)와 연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322)는 공급덕트(320)로부터 드럼(200)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과정에 있어서 유출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 유입구(273)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보다 작은 면적을 가져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공급덕트(320)는 공기 흡기구(32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토출구(322)를 통하여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으로 안내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공급덕트(320)는 별도의 팬(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덕트(320)는 별도의 팬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배기덕트(310)에 배치된 흡기팬(312)에 의해,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에 음압이 형성되어, 압력차에 의해 공급덕트(320)에서 드럼 바디(210)로 공기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급덕트(320)가 공기를 드럼 바디(210)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팬을 구비한 실시예에서는, 배기덕트(310)내에 흡기팬(312)의 배치가 생략될 수 있다. 즉, 공급덕트(320)에 배치된 팬에 의해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에 공기가 유입되면,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은 순간적으로 대기압보다 높은 기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과 배기덕트(310)의 내부 사이의 기압차에 의해 팬의 인위적인 가압 없이도, 공기가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에서 배기덕트(310)를 향하여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내부 공기 유로는, 공급덕트(320)를 거쳐 드럼(200)으로 유입된 후 배기덕트(3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물 건조기(1)는 내부 공기 유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건조물에서 증발된 수분은, 공기의 흐름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피건조물을 가열하기 위해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부(400)는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전자파를 투사하여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피건조물은 전기장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될 수 있다. 전극부(400)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장은, 고주파 전기장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장의 주파수 범위는, 피건조 대상의 성질 내지 수분 함유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물(H2O) 분자는 수소 원자 쪽이 양전하를 띄고 산소 원자 쪽이 음전하를 띠고 있는 극성 분자이다. 따라서 물 분자를 함유한 피건조물에 전자파가 조사되면, 전자파의 전기장이 양과 음으로 진동할 때 물 분자가 양과 음의 방향을 바꾸며 매우 빠르게 회전하여 전기장의 방향을 따라 정렬한다. 물 분자는 회전하며 서로 인력 및 척력이 발생하며, 힘에 의한 이동으로 충돌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가열된 피건조물의 습기가 제거될 수 있다.
물 분자의 가열은 특히 공진영역에서 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세탁물 건조기(1)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극부(400)는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물 분자의 공진영역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진영역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넓히기 위한 전극부(4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는 이하 도 8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극부(400)는 발진기(410, 미도시), 프로브 하우징(430), 프로브(450) 및 프로브 커버(460)를 포함한다.
발진기(Oscillator, 410)는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전자파를 발생시킨다. 전극부(400)의 세부 구성의 선택에 대응하여 발진기(410)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의 출력이 변경될 수 있다. 피건조물의 수분 함유량, 드럼(200) 내부공간의 부피,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피건조물의 질량 등을 고려하여, 출력이 가변적인 발진기(410)가 마련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발진기(410)는 일정 출력으로 전자파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매쳐(Matcher) 또는 튜너(Tuner)와 같이, 발진기(410)에서 출력된 전자파를 공진영역에 해당되는 주파수로 조절하는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브 하우징(430)은 커플링 홀(220)과 외측에서 연결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로브 하우징(430)의 양측 단부는 각각 다른 구성들과 결합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디스크(disk)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 참조)
프로브(450)는 커플링 홀(220)을 통하여 드럼(200)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된다. 프로브(450)는 전자파를 드럼(200)의 내부공간으로 방사하는 안테나(antenna)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출력의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발진기(410)는 전자파를 수분의 공진영역에 해당되는 주파수로 조절하는 장치와 함께 사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프로브(450)를 통하여 전자파를 직접 드럼(200)의 내부공간에서 투사하면, 공진영역이 확장될 수 있어, 별도의 장치가 없이도 전자파가 피건조물을 유전가열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별도의 조절장치 없이도 피건조물의 수분을 유전 가열하여 증발시킬 수 있다.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균일하게 전자파를 방사하여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해, 원통형 드럼(200)의 중심축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로브(450)는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균일하게 전자파를 방사하기 위하여, 드럼(2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프로브(450)는 프로브 바디(451) 및 전극핀(4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브 바디(451)는 프로브(450)의 외형을 이루는 속이 빈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전자파를 투사하기 위하여, 프로브 바디(451)는 전도체 또는 도체(Conductor)로 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도 2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로브 바디(451)의 드럼(200)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일측 단부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브 바디(451)의 타측 단부는 반구형 내지 유선형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커넥터(440)와 결합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9 참조) 개방된 홀(hole)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로브 바디(451)의 형상에 대하여는 도 8 이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극핀(452)은 프로브 바디(451)의 내부에 빈 공간에 인입되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발진기(410)에서 전달되는 전자파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의 출력을 높이기 위하여, 전극핀(452)은 전도율이 높은 전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극핀(452)는 프로브 바디(451)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파를 고르게 방사하기 위하여, 전극핀(452)은 프로브 바디(451)의 중심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핀(452)은 프로브 바디(451)의 고정홀(451a)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데, (도 10 참조) 결합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 2 및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전극핀(452)이 프로브 바디(45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브(450)의 전도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극핀(452)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9 참조) 복수개의 전극핀(452)이 구비되는 프로브(450)의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프로브 커버(460)는 커플링 홀(220)의 외주면을 따라 드럼(200)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로브 커버(460)는 프로브(450)가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브(450)가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 건조 기능 가동시에 드럼 바디(210)의 회전에 의해 유동하는 피건조물이 프로브(450)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에 의해 프로브(450)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피건조물이 프로브(450)에 걸리거나 엉켜 순환 동작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브(450)에 피건조물이 엉겨 붙어 있는 경우, 프로브(450)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전파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프로브 가이드(460)를 구비하여, 프로브(450)와 드럼(200)의 내부공간을 분리시킬 수 있다.
프로브 가이드(460)는 프로브(450)에서 방사되는 전자파가 드럼(200)의 내부공간으로 전파될 수 있도록, 전도체 재질로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파는 발진기(410)에서 프로브(450)로 전달된 뒤, 프로브 가이드(460)를 거쳐 드럼 바디(210)에 전파되어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브 가이드(460)는 전도체 재질로 선택되어, 드럼(200)의 내부공간을 도체로 둘러싸인 동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드럼(200)의 내부공간에서 전자파가 외부와 차폐될 수 있다.
프로브 가이드(460)는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균일하게 전자파를 방사할 수 있도록, 드럼바디(210)의 중심축과 축을 공유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450)와 드럼(200)의 내부공간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드럼(200)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일측 단부가 폐쇠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전극부(400)는 가이드(420) 또는 커넥터(440, 도 8 참조)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부(400)는 발진기(410)와 프로브(450)를 포함하는데, 도 2를 참조하면, 프로브(450)는 발진기(410)와 연결되는 연결부의 구성이 구비 되어있지 않아 별도로 연결되는 구성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가이드(420) 또는 커넥터(440)는 발진기(410)에서 발생시킨 전자파를 프로브(450)로 안내하는 전자파의 연결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가이드(420) 또는 커넥터(440) 중 하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자파의 연결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구성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가이드(420) 및 커넥터(440)의 상세한 구조와 결합 관계는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210)는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500)를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구동부(500)가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된 드럼 모터(510, 도 5 참조), 드럼 모터(510)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520), 풀리(520)의 원주면과 드럼 바디(210)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530)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드럼 모터(510)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직류 전동기, 유도 전동기, 동기 전동기, 정류자 전동기 등 업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모터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260)에는 드럼 바디(210)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롤러(R1)가 구비되고, 제2 지지부(270)에는 드럼 바디(210)의 원주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롤러(R2)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풀리(520) 및 벨트(530)를 거치지 않고 드럼 모터(510)가 직접 드럼(200)에 연결되어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직구동 방식의 구동부(500)도 적용 가능하다.
직구동 방식의 구동부(500)가 적용되는 실시예에서는, 드럼 모터(510)의 위치가 드럼 바디(210)의 회전축에 배치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는 후술할 프로브(450)의 위치가 동축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드럼 모터(510)와 프로브(450)가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는 드럼 모터(510)가 드럼 바디(210)에 결합되는 내부에 프로브(45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직구동 방식의 구동부(500)가 적용되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당연히 속한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시된 구동부(500)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의류 등의 세탁물의 건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린트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1 여과부(F1)와 제2 여과부(F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여과부(F1)는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배기덕트(310)에 구비된다.
제2 여과부(F2)는 세탁물 건조기(1)의 내부공간에서 드럼(200)의 내부로 인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공급덕트(320)에 구비된다.
제1 여과부(F1) 및 제2 여과부(F2)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적용가능한 바 세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는 입력부(130)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세탁물 건조기(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의류 처리 코스를 선택, 세탁물 건조기(1)의 작동 등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물 건조기(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는, 전극부(400)가 가이드(42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가이드(420)는 일측 단부는 프로브 하우징(430)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발진기(410)와 연결되어, 발진기(410)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안내되는 연결 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가이드(420)의 기능에 대하여는 도 8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비교하며 후술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420)는 프로브 하우징(430)에 연결되는 일측 단부에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후, 일측면을 향하여 수직하게 굽어져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420)는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여 굽어져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420)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길이는, 커플링 홀(220)에서 후면패널(112)의 좌우측 말단 중 어느 한 곳 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420)의 발진기(410)와 연결되는 타측 단부는, 후면패널(112)을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발진기(410)를 가이드(420)에 연결할 때 시야를 확보하고 작업 공간을 제공하여, 공정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420)의 프로브 하우징(430)에 연결되는 일측 단부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는 소정의 길이는, RF 전자파의 진폭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소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세탁물 건조기(1)는 후방이 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소정의 길이가 길어지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지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심미적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소정의 길이는 가이드(420)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420)의 발진기(410)와 연결되는 일측 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소정의 너비만큼 수직하여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연결부(423)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423)의 면적은 발진기(410)와 결합해 지지하기 위하여, 발진기(410)의 면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발진기(Oscillator, 410)는 전기 신호를 자력에 의해 필요한 주파수로 진동시키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업계에서 통용되는 발진기(410)중에서 출력, 부피, 외형 등을 고려하여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연결부(423)의 면적은, 설계자에 의해 선택되는 발진기(410)의 외형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내부 구성을 상술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내부 구성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내부 구성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내부 구성의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세탁물 건조기(1)의 드럼(200)은 베어링(25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250)은 드럼 바디(210)와 캐비닛(100)의 전방패널(111) 및 후면패널(112)의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250)은 제1 지지부(260) 및 제2 지지부(270)에 의해 지지되어 드럼 바디(210)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바디(210)가 제1 지지부(260) 및 제2 지지부(270)와 직접 접촉하여 마찰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모터(510), 풀리(520) 및 벨트(53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모터(51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은 풀리(520)를 통해 벨트(530)에 전달될 수 있다. 벨트(530)는 드럼 바디(21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풀리(520)에 의해 회전되며 드럼 바디(21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력의 전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벨트(530)의 길이는 드럼 바디(210)의 반경과 풀리(520)에 연결되는 거리를 고려하여 소정의 길이로 설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는 풀리(520)를 이용한 드럼의 회전 구동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210)의 후방에 별도의 구성이 배치되지 않아, 전극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시 구성들의 배치가 보다 편리할 수 있다.
드럼 바디(210)는 전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굴곡지지 않은 단일한 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바라 형상을 갖도록 복수 회 인입후 융기되는 외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드럼 바디(210)는 외주면에 벨트(53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깊이 이상 인입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 바디(210)의 회전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인입된 벨트(530)의 배치부분은 드럼 바디(210)의 축 방향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드럼(200)은 도어부(120)와 결합되는 위치, 배기덕트(310)와 결합되는 위치 및 공급덕트(320)와 결합되는 위치에 각각 전자파 차폐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파 차폐부(230)는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전기장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전자파 차폐부(230)는 전기장 내지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하여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200)의 내부공간은 드럼 바디(210)의 내주면과 전자파 차폐부(230)에 의해 도체로 둘러싸인 상태에 놓여 전자기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드럼(200)과 외부의 통기를 위하여, 전자파 차폐부(230)의 표면에는 미세한 홀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의 면적과 개수는, 전자파 차폐율을 결정하는 전자파 차폐부(230)의 재질, 두께, 드럼(200)의 내부공간의 면적 및 투사된 전자파의 진동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급덕트(320)의 공기 흡기구(321)는 캐비닛(100)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급덕트(320)는 드럼(200)과 캐비닛(100)의 사이공간에서, 공기 흡기구(32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여, 토출구(322)를 통하여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배출하는 연결통로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설계에 따라서 공기 흡기구(321)는 캐비닛(100)의 외부공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공기 흡기구(321)는 세탁물 건조기(1)의 외부 공기를 직접 받아드려 공급덕트(320)를 통하여 드럼(200)으로 안내하는 바, 후술할 환기구(112a)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캐비닛(100)의 후면패널(112)은 개방된 환기구(11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기구(112a)는 세탁물 건조기(1)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통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세탁물 건조기(1)의 내부 공기 유로를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1)의 공기 유로는, 환기구(112a)를 통해 세탁물 건조기(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공급덕트(320)를 거쳐 드럼(200)으로 유입된 후 배기덕트(3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공급덕트(320)에 의해 지속적으로 드럼(2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캐비닛(100)과 드럼(200)사이의 공간에는 음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된다. 따라서 캐비닛(100)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가지며, 기압차에 의해 외부 공기가 환기구(112a)를 통해 세탁물 건조기(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환기구(112a)는 구동부(500)와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500)의 구성 중 특히 드럼 모터(510)는, 회전 행정상 발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환기구(112a)는 후면패널(122)의 드럼 모터(510)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외부공기를 유입해 드럼 모터(510)에서 발생한 발열을 감소시키는 공랭(air-cooling)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배기덕트(310)는 최상단에서 드럼 바디(210)의 전방 하부에 연결되며, 하부로 연장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선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기덕트(310)는 덕트바디(311), 흡기팬(312) 배기관(313) 및 배기구(314)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바디(311)는 드럼 바디(210)의 내부공간에서 원활히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은 폭이 넓게 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흡기팬(312)과 연결될 수 있다.
배기덕트(310)의 세부 구성들은 드럼(200)의 하부 공간의 면적과 구동부(500)의 세부 구성들의 배치를 고려하여,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흡기팬(312)으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관(313)으로 유입된다. 도 3 및 도 5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기팬(312)은 중앙에서 좌우측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쳐져 배치될 수 있다. 흡기팬(312)이 덕트바디(311)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경우, 세탁물 건조기(1)의 크기가 상하로 연장될 필요가 있어,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설계된다. 따라서 흡기팬(312)의 크기를 고려하여 덕트바디(311)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배기관(313)은 흡기팬(312)에서 보다 중앙으로 이동된 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관(313)의 위치는 구동부(500)가 배치된 일측과 공급덕트(320)가 배치되는 반대측이 아닌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덕트(310)의 내부 유로는 좌우측을 기준으로 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덕트바디(311), 흡기팬(312) 및 배기관(313)의 좌우로 이격된 배치에 의해 측면으로 1회 이상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배기관(313)은 일측이 흡기팬(312)과 연결되고 타측은 배기구(314)와 연결된다. 배기구(314)는 전술한 세탁물 건조기(1)의 내부유로의 퇴출구 기능을 수행한다. 배기구(314)는 설계에 따라, 후면패널(112)의 하단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환기구(112a)를 통하여 세탁물 건조기(1)에 인입된 뒤 배기구(314)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전극부(400)의 구성을 바라본 사시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전극부(400)는 발진기(410, 미도시), 프로브 하우징(430), 커넥터(440), 프로브(450) 및 프로브 커버(460)를 포함한다.
발진기(410), 프로브 하우징(430), 프로브(450) 및 프로브 커버(460)의 기능 및 형상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통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차이점을 갖는 부분에 대하여 상술한다.
커넥터(440)는 일측은 프로브 하우징(430)과 연결되고 타측은 발진기(410)와 연결된다. 커넥터(440)는 일측이 프로브 하우징(430)의 단부 대응하도록,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디스크(disk)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 참조) 커넥터(440)와 프로브 하우징(430)은 접촉되는 디스크 형상의 단면에 서로 대응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대응되는 홀들에 볼트나 핀과 같은 결합부재를 끼워 결합시킬 수 있다.
커넥터(440)의 발진기(410)와 연결되는 부분의 형상은, 속이 비어있는 잭(jack, 44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진기(410)의 플러그(plug)가 커넥터(400)의 잭(441)에 인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발진기(410)는 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구성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는 바, 선택된 발진기(4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커넥터(440)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커넥터(440)의 잭(441)은, 커넥터(440)의 외면상 중심축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진기(410)의 플러그가 커넥터(440)의 중심축에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발진기(410)의 플러그는, 전극부(400)의 커넥터(440), 프로브 하우징(430), 프로브(450) 및 프로브 커버(460)와 중심축을 공유한다. 나아가, 전극부(400)가 드럼 바디(210)의 중심축에 배치되는 바, 발진기(410)의 플러그는 드럼 바디(210)의 중심축상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넥터(440)는 내면에 프로브 바디(451)가 접촉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440)의 내면과 프로브 바디(451)의 일측 사이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 발진기(410)에서 전파되는 전자파가 진동하며 프로브 바디(451)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며, 드럼(200)의 내부공간으로 RF 전자파의 주사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커넥터(440)는 내면에 프로브 바디(451)가 밀착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브 바디(451)는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돌출되는 일측 단부에 소정의 반경으로 형성되는 고정홀(45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451a)은 프로브 바디(451)의 중심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브 바디(451)의 내부공간은 고정홀(451a)을 통하여 외부에 개방될 수 있다.
프로브 커버(460)는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핀(4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 바디(451)와 프로브 커버(460)는 고정홀(451a)에 고정핀(461)이 인입되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고정핀(461)은 고정홀(451a)에 인입되기 위하여 프로브 바디(451) 및 프로브 커버(460)의 중심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브 바디(451)는 일측이 프로브 커버(460)에 고정되고 타측은 커넥터(440)의 내면에 밀착하여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별도의 지지부재 없이 프로브 바디(451)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프로브 바디(451)의 길이는 프로브 커버(460)의 높이, 프로브 하우징(430)의 축방향 길이 및 커넥터(440)의 축방향 길이의 합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프로브(450)는 전극핀(4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핀(452)은 프로브(450)의 중심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극핀(452)은 프로브 바디(451)의 고정홀(451a)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450)는 복수개의 전극핀(452)을 포함할 수 있다. 전극핀(452)은 프로브(450)의 RF 전자파 출력효율을 높이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 프로브 바디(451)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 반경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전극핀(452)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프로브 바디(451)의 내주면에는 전극핀(452)의 형상에 대응되어 삽입 고정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전극핀(452)이 배치된 후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핀고정부재(453, 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핀고정부재(453)는 전극핀(452)을 고정시키기 위해 굴곡진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핀고정부재(453)의 형상은 전극핀(452)을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이 선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발진기(410)에서 발생한 RF 전자파를 프로브(450)를 통하여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주사하여 공진영역, 즉 공진 주파수 대역을 확장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는 유전체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유전가열(Dielectrically Heating) 방법으로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본 발명의 특성상,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제 2 실시예는, 발진기(410)에서 발생한 RF 전자파를 직접 커넥터(440)를 통하여 프로브(450)에 전달시켜, 고출력의 RF 전자파를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고출력의 RF 전자파란, 1kW 이상의 출력을 갖는 RF 전자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RF 전자파 전달시, 1kW 이하의 출력을 갖는 RF 전자파의 경우 유의미한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세탁물 건조기(1)의 건조 대상인 피건조물은 의류로서, 의류에 전기장을 인가해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하여 2kW 이상의 고출력 RF 전자파가 필요하다. 제 2 실시예에서, 발진기(410)에서 1kW 이상의 고출력 RF 전자파를 커넥터(440)룰 통하여 프로브(450)로 전달하면 전자파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피건조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세탁물 건조기(1)의 전력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3 실시예와 같이, 손실을 최소화하여 1kW 이상의 고출력 RF 전자파를 전달할 수 있는 가이드(420)의 구성이 필요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전극부(400)가 발진기(410, 미도시) 및 가이드(4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420)는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연결부(423)를 포함하고, 가이드 연결부(423)에 발진기(41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420)의 타측에는 개방된 연결홀(424)이 구비되며, 드럼(2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커플링 홀(220)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420)는 고출력의 전자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중공형의 전도체 도파관(Waveguid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파효율 및 설계성을 고려하여, 가이드(420)는 도파관 중에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형 도파관(Rectangular Waveguide)로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도파관은 크게 평행평판(parallel-plate) 도파관, 구형(Rectangular) 도파관, 원형(Circular) 도파관, 유전체 도파관 및 광섬유 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이드(420)가 세탁물 건조기(1)의 캐비닛(100) 외부공간에 배치되며, 가이드(420)의 일측면이 프로브 하우징(430) 등의 다른 구성과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설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일측면이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구형 도파관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발진기(410)에서 발생한 RF 전자파가 가이드(420)의 내부공간에서 전파되어, 커플링 홀(220)을 통해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주사될 수 있다.
가이드(420)를 통하여 RF 전자파를 전달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발진기(410)는 1kW 이상의 고출력을 갖는 전자파를 출력할 수 있다. 피건조물, 즉 의류의 소재를 고려할 때, 3kW 이상의 전자파를 조사하면 손상 또는 변형이 발생할 염려가 있어, 발진기(410)의 최대 출력은 3kW, 보다 바람직하게는 2.5kW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해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RF 전자파가 주사되는 경우, 드럼(200)의 회전에 의해 피건조물이 이동하면서 공진점이 변경될 수 있다.
유전체에 전기장을 인가하여 유전가열(Dielectrically Heating) 방법으로 피건조물을 건조하는 본 발명에서는, 공진점(Resonance point) 또는 공진영역(Resonance area)의 주파수에서 피건조물의 가열 및 건조 효율이 가장 높다. 따라서 피건조물의 위치변경에 의해 공진점이 변경되면, 동일한 주파수의 전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건조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파를 공진영역으로 매칭시켜주는 매쳐(Matcher) 또는 튜너(Tuner)의 구성이 부가될 수 있다. 그러나 고출력의 RF 전자파를 주사하기 위해서는 부피가 큰 매쳐나 튜너를 부가해야 하는 바, 설계적 문제점 및 미관상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게가 무거운 매쳐나 튜너가 발진기(410)와 가이드(420)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가이드(420)가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2 실시예와 같이, 공진영역을 넓혀주는 안테나(Antenna) 역할을 수행하는 프로브(450)의 구성을 필요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건조기(1)의 전극부(40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전극부(400)가 가이드(420) 및 프로브(45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드럼(200)의 내부공간에 돌출된 프로브(450)를 통하여 RF 전자파를 주사하여 공진 주파수 대역을 확장할 수 있으며, 둘째, 발진기(410)에서 발생된 고출력의 RF 전자파를 프로브(450)까지, 도파관(Waveguide) 기능을 수행하는 가이드(420)를 통하여 전달하여 전달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가이드(420)는 제1 가이드패널(421), 제2 가이드패널(422), 가이드 연결부(423) 및 연결홀(42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420)는 도파관 중에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형 도파관(Rectangular Waveguide)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패널(421) 및 제2 가이드패널(422)는 결합하여,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내부공간, 즉 전자파의 연결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가이드패널(421)의 프로브 하우징(430)과 연결되는 일측에는 원형의 연결홀(424)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홀(424)의 형상은 연결되는 구성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로브(450)는 가이드(420)의 연결홀(424)에 인입되어, 일부가 가이드(4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진기(410)로부터 가이드(420)의 내부공간을 진동하며 전파되는 전자파가, 프로브(450)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프로브(450)는 가이드(420)의 연결홀(424)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가이드(420)로부터 전달되는 전자파의 전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브(450)의 가이드(42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일측에 입사면(451b)이 구비될 수 있다. 입사면(451b)은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420)의 내부공간에서 불규칙하게 진동하는 전자파는 다양한 각도로 입사될 수 있는데, 입사면(451b)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이를 효율적으로 흡수하며, 나아가 전자파의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423)는 발진기(410) 또는 매쳐나 튜너 등, 가이드(420)와 별도의 구성이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이다. 결합 지지력을 고려하여 일정 너비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되는 구성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부(400)는 프로브 하우징(430)과 프로브(450)의 사이에 배치되어, 프로브(450)의 위치를 중심축상에 고정시키고,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하는 프로브 지지부재(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브 지지부재(470)는 외주면은 프로브 하우징(430)의 내주면에 접촉 지지되고, 내주면은 프로브(450)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프로브(450)의 반경에 대응하여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는, 속이 빈 원판(disk)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로브 지지부재(470)는 프로브 하우징(430)과 프로브(450)의 사이에 억지 끼워 맞춰져, 프로브(45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프로브 지지부재(470)의 외경은 프로브 하우징(430)의 내경과 같거나 크고, 내경은 프로브(450)의 외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브 지지부재(470)는 내륜(471), 외륜(472) 및 지지살(47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륜(471)은 프로브(45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고, 외륜(472)은 프로브 하우징(430)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지살(473)은 내륜(471)과 외륜(472)을 연결하도록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살(473)은 프로브(45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륜(471)과 외륜(472) 사이에 적어도 2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상하 및 좌우방향의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살(473)은 서로 120°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프로브(450)를 3점 지지할 수 있다. 지지살(473)이 2 이상 구비되는 경우, 프로브(450)의 지지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브 지지부재(470)는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프로브(45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2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브(450)가 1점에서 지지되어, 외팔보(cantilever) 형태의 축방향 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세탁물 건조기 100: 캐비닛
200: 드럼 220: 커플링 홀
230: 전자파 차폐부 300: 덕트부
400: 전극부 420: 가이드
430: 프로브 하우징 440: 커넥터
450: 프로브 451: 프로브 바디
452: 전극핀 460: 프로브 커버
470: 프로브 지지부재 500: 구동부

Claims (21)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공간에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덕트부; 및
    피건조물을 가열하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드럼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전자파를 방사하는 프로브;
    를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럼의 중심축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발진기;
    상기 커플링 홀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프로브 하우징; 및
    일측은 상기 프로브 하우징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발진기와 연결되어 전자파를 전달하는 커넥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커넥터로부터 전자파를 전달받는 세탁물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1kW 이하의 전자파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일측이 적어도 일부가 폐쇄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중공형의 프로브 바디; 및
    상기 프로브 바디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전극핀;
    을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바디는,
    적어도 일부가 폐쇄된 일측 단부에 소정의 반경으로 형성되는 고정홀;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핀은,
    상기 고정홀에 결합하여, 상기 프로브 바디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세탁물 건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핀은,
    상기 프로브 바디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세탁물 건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드럼의 후방 내면상에, 폐쇄된 원형의 일면과 개방된 일면을 갖는 원통형의 프로브 커버;
    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커버는,
    폐쇄된 일면의 중심축상에서 개방된 일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바디는,
    적어도 일부가 폐쇄된 일측 단부에 소정의 반경으로 형성되는 고정홀;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브 커버와 프로브 바디는, 상기 고정홀에 상기 고정핀이 끼워져 동축상에 연결되는 세탁물 건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커버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1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공간에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드럼에 공기를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덕트부; 및
    피건조물을 가열하는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극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부는,
    발진기;
    상기 커플링 홀을 통하여 상기 드럼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전자파를 방사하는 프로브;
    상기 커플링 홀과 외측에서 연결되는 프로브 하우징; 및
    상기 프로브 하우징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발진기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브에 전자파를 전달하는 가이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중공형의 도파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1kW 이상 2.5kW 이하의 전자파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도파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우측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프로브 하우징과 연결되는 일측면에 원형의 연결홀이 구비되는 세탁물 건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상기 연결홀과 동축상에 배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세탁물 건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상기 가이드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일측 단부에, 반구형으로 형성된 입사면이 구비되는 세탁물 건조기.
  18. 제3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프로브 하우징과 상기 프로브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로브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프로브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세탁물 건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지지부재는,
    상기 프로브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내륜;
    상기 프로브 하우징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외륜; 및
    상기 내륜과 외륜을 연결하는 지지살;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살은,
    복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세탁물 건조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지지부재는,
    축방향을 따라 적어도 2 이상 구비되는 세탁물 건조기.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상기 드럼의 회전축에서 일측으로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배치되는 세탁물 건조기.

KR1020200178832A 2020-12-18 2020-12-18 세탁물 건조기 KR20220088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832A KR20220088117A (ko) 2020-12-18 2020-12-18 세탁물 건조기
EP21212675.9A EP4015700A1 (en) 2020-12-18 2021-12-07 Laundry drying machine
US17/546,747 US20220195658A1 (en) 2020-12-18 2021-12-09 Laundry dry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832A KR20220088117A (ko) 2020-12-18 2020-12-18 세탁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117A true KR20220088117A (ko) 2022-06-27

Family

ID=7882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832A KR20220088117A (ko) 2020-12-18 2020-12-18 세탁물 건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95658A1 (ko)
EP (1) EP4015700A1 (ko)
KR (1) KR202200881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579A1 (ko) * 2022-11-01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로팅 전극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7907A (en) * 1974-07-18 1977-11-15 Rapino Norman G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clothes
US4510361A (en) * 1982-05-03 1985-04-09 Mahan Douglas P Horizontal axis tumbler type microwave drying mechanism
KR100212673B1 (ko) 1997-03-12 1999-08-02 구자홍 마이크로웨이브 세탁건조기의 전자파누설차단구조
KR100313999B1 (ko) 1997-10-08 2001-12-12 구자홍 마이크로파세탁건조기
AU2003298504A1 (en) * 2002-12-27 2004-07-22 Arcelik A.S. A washer/dryer using microwave and its control method
US9127400B2 (en) 2013-10-14 2015-09-0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rticles
US9605899B2 (en) * 2015-03-23 2017-03-28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for drying articles
JP7352888B2 (ja) * 2018-10-17 2023-09-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乾燥機、制御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6579A1 (ko) * 2022-11-01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로팅 전극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95658A1 (en) 2022-06-23
EP4015700A1 (en)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11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and drying moist articles
US9200402B2 (en) Dielectric dryer drum
JP5991595B2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JPH11114291A (ja) マイクロ波洗濯乾燥機
EP2938774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with high frequency drying apparatus
KR20220033684A (ko) 세탁물 건조기
US20220195658A1 (en) Laundry drying machine
CN218090217U (zh) 一种射频干衣机
KR20220039057A (ko) 세탁물 건조기
JP2004327293A (ja) 高周波加熱装置
CN100513672C (zh) 设有辐射干燥装置的洗衣机
CN116234954A (zh) 衣物干燥机及衣物干燥机的控制方法
RU2008128373A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для белья
KR100313999B1 (ko) 마이크로파세탁건조기
WO2001066850A1 (en) Microwave cloth drying mechanism
KR200154601Y1 (ko) 전자 렌지의 마이크로파 방사 구조
KR100212673B1 (ko) 마이크로웨이브 세탁건조기의 전자파누설차단구조
JPH04345788A (ja) 高周波加熱装置
KR20220032172A (ko)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9980073153A (ko) 전자렌지의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장치
KR20220032173A (ko) 세탁물 건조기 및 세탁물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0292481B1 (ko) 전자렌지의냉각구조
KR100311455B1 (ko) 도파관의시스템의임피던스정합장치
CN118632955A (zh) 衣物处理设备
CN115369608A (zh) 一种衣物处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