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338A -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 Google Patents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338A
KR19990036338A KR1019980701006A KR19980701006A KR19990036338A KR 19990036338 A KR19990036338 A KR 19990036338A KR 1019980701006 A KR1019980701006 A KR 1019980701006A KR 19980701006 A KR19980701006 A KR 19980701006A KR 19990036338 A KR19990036338 A KR 19990036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ex
base
reverse
clean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0551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이 맥카디
Original Assignee
로버트 루이스 해리스
더 블랙 클로슨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버트 루이스 해리스, 더 블랙 클로슨 컴퍼니 filed Critical 로버트 루이스 해리스
Publication of KR19990036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18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with the aid of centrifugal force
    • D21D5/24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with the aid of centrifugal force in 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7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cycl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8Vortex chamber constructions
    • B04C5/081Shapes or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2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 B04C5/13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formed as a vortex finder and extending into the vortex chamber; Discharge from vortex finder otherwise than at the top of the cyclone;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verflow

Abstract

제지용 섬유 현탁액에 포함된 가벼운 오염물의 원심분리용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클리너는 제 1 입구 단부로부터 제 2 정점으로 균일하게 수렴하는 원형 단면의 길다란 중공본체(12)로 형성되고, 클리너에 있어서 원뿔형 본체 대 그 최대 직경의 비는 최소한 20 대 1이상이고 3도보다 작은 협각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용어 "포워드 클리닝(forward cleaning)"과 "리버스 클리닝(reverse cleaning)"은 제지업자 원료 세척의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주로 사이클론형 원심 클리너가 작동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용물이 원뿔의 베이스에서 제거되고 한편 배제물이 정점으로부터 제거되는 포워드 클리너로서 연결 및 사용된 사이크론형 클리너의 예는 1945년 6월 5일자로 발행된 샘손(Samson) 등의 미국 특허 제 2,377,524호 및 1969년 12월 30일자로 발행된 그룬델리우스(Grundelius) 등의 미국 특허 제 3,486,619 호에 나타나 있다. 리버스 클리너 시스템에 있어서, 1975년 10월 14일자로 발행된 브라운(Braun)의 미국 특허 제 3,912,579호와 1971년 1월 26일자 발행된 브라운 등의 미국 특허 제 3,557,956호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이클론형 클리너는 수용물이 원뿔의 정점으로부터 제거되고, 한편 가벼운 배제물이 베이스에서 꺼내어 진다.
하이드사이클론 클리너는 제지업자의 제지원료 제조 및 특히 불필요한 보다 무겁거나 가벼운 성분을 용액 베이스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이와 같은 원료를 세정하기 위해 수년동안 사용되어 왔다. 미국 특허 제 3,912,579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브라운의 사상이 출현할 때까지, 이와 같은 하이드로사이클론 청소기는 "종래"의 방식을 고려하여 작동되고, 보다 무거운 오염물은 바닥 또는 정점 출구로부터 추출되었고, 한편 "양호한" 섬유와 보다 무거운 오염물이 없는 물이 원뿔의 베이스내의 상부 출구로부터 추출되었다.
하이드로사이클론내의 흐름 상태가 연구되어 특허 문헌에 보고되었고, 2개의 특허는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상세한 해석때문에 눈에 띄고 원뿔형 벽의 최적 직경과 최적 테이퍼 또는 경사에 도달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들은 샘손 등의 미국 특허 제 2,377,524호와 톰린슨(Tomlinson)의 미국 특허 제 3,096,275호를 포함하고 있다.
샘손 등은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것보다 상당히 긴 원뿔 길이를 제안하고, 11 대 1(베이스에서의 원뿔 직경 3", 원뿔의 길이 33", 제 4 면, 콜럼 2, 제 12 내지 15행)에서 15 대 1(제 5면 콜럼 2 제 30 내지 50행)의 원뿔 길이 대 베이스 직경 비가 추천되었다. 후자의 예는 약 3.6도의 원뿔 협각이 제공된다.
분리될 무거운 재료가 정점의 외부로 흐르고 원뿔의 내측 경사면쪽으로 흐르므로, 너무 큰 원뿔 각 자체는 무거운 성분의 분리에 저항을 제공하고, 경사가 급한 원뿔 각은 정점 출구로의 이들 무거운 성분의 흐름을 방해할 것이다. 완만한 원뿔 각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샘손 등은 특별히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왜냐하면 이들은 무거운 오염물질(제 3면 콜럼 2 제 15 내지 30행, 제 5면 콜럼 1, 제 29 내지 51 행)과 함께 저부의 배제물 개구를 통해 양호한 섬유의 20% 내지 33%사이의 건조 중량이 손실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호한 섬유의 높은 손실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양호한 제지업자의 섬유가 또한 물보다 큰 비중을 가지면 또한 하이드로사이클론의 벽에 유지되고 이후 보다 무거운 오염물질과 함께 분리되는 것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톰린슨의 미국 특허 제 3,096,275호는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유효 크기와 형상을 규정하는 문제가 다시 연구되었고, 그 예 13, 표 III에 있어서, 톰린슨은 "샘손 및 그룹에 의해 선택된 "(콜럼 12, 제 24 내지 33행)측정방법을 갖는 유니트조차 시험되었다. 톰린슨은 직경이 7" 내지 12"의 헤드 단면을 닺는 대직경 원뿔의 사용을 추천하였고, 협각이 10°내지 18°사이까지 증가되었다. 그 결과, 톰린슨은 배제물 출구로부터 매우 작은 흐름으로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었고, 여기서 배출량은 첨가된 전체 고형물의 1.31%만이 포함된다(콜럼 4 제 73행). 대형 원뿔과 가파른 벽 각을 사용함으로써, 톰린슨이 고비율의 양호한 섬유보유에 기여하는(콜럼 7 제 55 내지 75) 보다 높은 내전단이 얻어진다.
브라운 등이 "리버스 클린너"로서 하이드로사이클론을 작동하기 시작할 때 하이드로사이크론 구성은 톰린슨에 의한 최선의 형상으로 반드시 남아있었다. 이러한 장치는 이 장치가 더 이상 강제적으로 무거운 "양호한" 종이 섬유와 무거운 오염물을 구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 배제물을 제거하는 데 유효하다. 그러나, 보다 높은 협각은 보다 양호한 분리기구를 제공한다는 것을 톰린슨이 보여주었으므로, 예를 들면 원뿔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특별히 리버스 클리닝을 위한 하이드로사이클론의 형상을 최적화하기 위한 노력은 없었다. 따라서 제지업자의 원료로부터 경량 오염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제지업자의 원료(papermakers' stock)로 알려진, 제지업자 섬유의 현탁액을 세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장된 보압 시간을 갖는 리버스 클리닝 하이드로사이클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버스 클리너의 부분 절단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리버스 클리너를 합체한 2단계 클리닝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리버스 클리너의 최선 실시예의 부분 절단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클리너의 입구단부의 부분 확대단면도.
가장 넓은 견지에서, 본 발명의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제지원료 클리너는 그 전체길이에 걸쳐 원뿔형인 길다란 중공본체를 포함하고 그 베이스 근방에 접선 입구를 가진다. 전술한 것과 같은 원뿔 단면은 길이 대 직경 비율이 20:1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3:1이상이다. 길이 대 직경 비율은 흐름에 작용하는 가장 큰 경계 조건이 "원통형"이기 보다는 "원뿔형"인 것에만 한정된다. 즉 중공본체는 유체가 클리너 아래로 이동하기 때문에 흐름에 약간의 환형 가속을 유도하기 위해 충분한 페이퍼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에만 한정된다. 원뿔 단면은 3°보다 작은 협각을 가지며, 통상적으로 2초 이상의 평균 보압 또는 휴지기간을 제공한다.
원뿔형 본체의 베이스는 절두 원뿔형 버텍스 파인더를 장착하는 캡내에서 종결한다. 원뿔 단면과 버텍스 파인더는 언더플로(배제물)와 오버프로(수용물)를 한정하여 하향흐름 출구의 영역이 상향흐름 출구의 영역보다 대략 같거나 약간 크다. 언더플로와 상향흐름 출구는 각각 중공본체의 내부를 향해 발산하는 대향하는 절두 원뿔형 통로의 단부에 위치된다. 특히 최선의 형태에 있어서, 접선 입구는 오버플로(수용물)출구의 영역과 대략 같은 영역을 가진다.
본 발명이 응용된 통상의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클리너는 30 내지 90 psi의 범위내에서 압력강하가 있고, 0.5%정도 또는 그보다 낮은 원료 농도와 2% 농도 또는 그보다 높은 농도로 작동되어도 된다. 클리너는 30 내지 70%의 유압 배제물 비율을 가지며 대략 6" 또는 그보다 작은 긴지름을 가질 것이다.
최선의 리버스 클린너는 극히 낮은 섬유 함량을 가진 배제물 플로를 생성하도록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낮은 섬유 함량에 기여하는 중요한 인자는 유체가 긴 원뿔형 본체를 통해 나선을 그리기 때문에 훨씬 낮은 길이 대 직경 비율을 가진 종래의 리버스 클리너를 통한 이동과 비교해 볼 때 이용가능한 증가된 보압(유지)시간이다. 추가의 보압시간은 구성성분에 대해 비중에 따라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시킬 더욱 많은 기회를 제공한다.
보압시간은 최대 직경에서 배제물 입자가 원뿔의 내면 영역을 떠나도록 하고 정상부에서 버텍스 파인더로 이어지는 원뿔의 중심 또는 코어내의 위쪽으로 나선을 그리는 배제물 흐름으로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필요 평균 반경방향 속도"로 정의되어도 된다. 이러한 낮은 시간은, 피트/초로 예를 들면, 경량 배제물와 양호한 섬유사이의 분리가 보다 완성될 것이다. 필요한 평균 반경 속도의 계산 (NARV)은 원뿔의 베이스에서의 반경이고 평균 유지 시간으로 나눈 최대 직경이다. 평균 유지 시간은 입구에서의 덩어리 유속과 같고, 예를 들면 내부용적,예를 들면 피트3으로 나눈 피트3/초와 같다. 본 발명의 클리너는 0.10피트/초보다 작은 NARV 이다.
배제물의 낮은 섬유 함량에 기여하는 다른 인자는 원뿔 길이 및 출구에 의해 한정된 대향 내측으로 테이퍼진 절두 원뿔형 통로로 인한 흐름의 안정성 증가이고, 여기서 절두 원뿔형 통로는 입자가 반경방향으로 분리되기 시작하면 유체의 환형 층사이의 혼합을 감소시킨다. 마찬가지로 열가소성플라스틱으로 부터 중공본체를 주조하는 공정으로 형성된 매끄러운 내면은 흐름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클리너의 증가된 내면 영역으로 인한 파워 손실 상쇄를 돕는다. 흐름 안정성과는 별개로, 절두 원뿔형 버텍스 파인더 외면의 외측 경사는, 하나가 클리너의 축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접선 입구로부터 상향흐름 출구까지의 섬유의 "쇼트 회로"를 저지한다.
본 발명의 리버스 클리너는 원뿔 길이 한계를 정하는 2개의 중요한 조건에 기초하고 있다. 이들은 다음과 같다:
1)오염물이 외측 벽에서 접선방향으로 유입하고 외측 벽에서 유지되어 있어야 하는 포워드 클리너와 비교하여, 배제물는 외측 벽에서 접선방향으로 유입하고 축중심까지 이동해야 하는 것.
2)양질의 섬유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고 한편 오염물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
구심 가속도 방정식으로부터, (CA=중심축으로부터 반경방향 거리로 나누어 근을 구한 접선속도), 원뿔 직경이 감소하기 때문에 유체는 연속적으로 원뿔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동안 가속된다. 일반적으로 물(비중 1)인 유체 매체보다 큰 비중을 갖는 입자는 하이드로 사이클론의 내측 벽을 향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리버스 클리너내에서 제거되는 오염물은 유체 매체보다작은 비중을 가지며 축중심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동한다. 전체 흐름은 외측 벽에 인접하여 개시되므로, 이들 가벼운 입자는 축중심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특정 시간 구간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 시간은 클리너 직경과, 유체와 섬유농도와 관련된 오염물의 물리적 성질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내부 혼합은 이들 입자의 축중심으로의 이동을 방해한다. 또한 혼합은 섬유 및 다른 재료의 외측 벽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불안정한 흐름으로부터의 혼합이 외측 벽위에서의 섬유 이동 또는 섬유 자체의 유지를 방해할 때, 5 내지 8배 또는 그보다 큰 배수에 의해 배제물내의 섬유 함량을 증가시키는, 배제물 흐름으로 유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리버스 클리너에 있어서, 섬유는 수용물 언더플로 스트림에서 요구되고 한편 오염물은 레젝트 오버플로 스트림에서 요구된다. 섬유와 오염물은 반경방향에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이동된 반경방향 거리 당 보다 큰 유지시간과 증가된 회전 흐름 안정성은 섬유가 수용물되고 오염물이 배제물되도록 조장한다. 길다란 테이퍼진 원뿔은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회전속도의 연속 가속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포워드 클리너와는 대조되는 리버스 클리너에 있어서, 오염물 반경방향 운동은 최적화될 수 있다. 15:1의 L/D비율을 가진 샘손 등의 특허는 양호한 섬유의 고손실율을 보여주지만, 협각의 추가 감소와 상대 길이의 추가 증가는 포워드 클리너로서의 톰린슨의 포워드 클리너에서 발견된 것과 같은 추가의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리너의 디자인에서 추가의 중요한 고려사항은 그 클리너가 그 길이의 상당 부분에 걸쳐 원뿔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작동가능한 클리너의 상당 부분은 순수하게 원통형이 아니며, 클리너 본체는 원통형이지만, 캡의 버텍스 파인더의 축방향 길이를 따르는 오히려 원뿔형이다. 이와 같은 원통형 부분은 본체의 버텍스 파인더의 연장 깊이보다 축방향에서 측정될 때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리버스 클리너를 구비하는 응용제품 및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서 기재된, 1996년 6월 20일자 출원된 PCT/US96/10679이고 발명의 명칭이 "포워드/리버스 클리너 시스템 및 제지원료의 현탁 방법(Forward/Reverse Cleaner System Methods for Suspension of Paper Stock)"인 공동 국제출원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리너의 본체의 주요부가 원통형이고 길이 대 직경의 비가 20 :1이상이고, 원통형 부분이 3°이하의 협각을 가지는 제지업자의 원료용 리버스형 하이드로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질적으로 보다 긴 보압시간이 상대적으로 높은 흐름 안정성 조건하에서 경량 오염물의 최적 분리와 섬유의 양호한 보유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리버스 플로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이, 버텍스 파인더에는 절두 원뿔형의 외측 표면이 형성되고 외측 표면이 클리너로 연장하는 것과 같이 발산하는 하이드로사이클론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첨부 도면 및 첨부 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리버스 클리너(10)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고 그 베이스(16) 근방에 접선 입구(14)를 가진 길다란 중공본체(12)를 구비하고 있다. 중공본체는 그 전체 길이가 원뿔형이고 베이스 단부에서의 작은 부분이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이지만 바람직하게는 그 작동 길이의 90%이상이 원뿔이다. 최선의 열가소성 재료는 채워지지 않은 나일론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원뿔형 본체(12)의 베이스(16)가 마찬가지로 절두 원뿔형 버텍스 파인더(22)를 둘러싸는 대략 평탄한 환형 면(20)을 한정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되는 단부 캡(18)에 결합된다. 길다란 본체(12)의 작은 부분은 캡(18)에 인접하는 원통형이어도 되지만 어떤 원통형 단면도 버텍스 파인더(22)의 내측 단부밖으로 상당한 거리를 축방향으로 연장하지 않는다.
길다란 원뿔형 본체(12)와 버텍스 파인더(22)는 각각 언더프로(underflow)와 오버플로(overflow)출구(24, 26)를 한정한다. 접선 입구(14)와 상향흐름 출구(24)의 영역은 대략 동일하고, 한편 언더프로 출구(26)의 영역은 상향흐름 출구(26)의 영역과 대략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 오버플로 및 언더프로 출구(24, 26)는 대향하는 내측으로 테이퍼진 절두 원뿔형 통로(28, 30)의 단부에 위치된다.
베이스(16)에서의 본체(12)의 직경(내측)은 6"를 넘지 않아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약 3"인치를 넘지 않아야 한다. 본체(12)의 내부에 의해 형성된 협각은 3°보다 작아야 하며, 20:1이상의 L/D비를 제공해야 한다.
사용중, 물을 비말동반하는 종이 펄프 섬유와 오염물 입자는 접선 입구(14)를 통해 원뿔형 본체(12)의 내부로 접선방향으로 주입된다. 원뿔형 본체(12)내의 유체는 각각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환형으로 배열된 흐름 영역, 즉 하향흐름 출구(26)를 향해 나선을 그리는 원뿔형 본체(12)의 내측 벽 근방의 외측 흐름 영역과 외측 흐름 영역사이에서 상향흐름 출구(24)를 향해 나선을 그리며 중앙 공기 코어를 형성하는 내측 흐름 영역을 형성한다.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과 같이, 유체와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의 오염물입자에 작용하는 힘은 배제물를 구성하는 가벼운 중량의 오염물 입자를 내측 흐름 영역을 향해, 이후 상향흐름 출구(24)를 향해 가벼운 중량의 오염물 입자를 이동시킨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의 섬유에 작용하는 힘은 수용물 출구를 구성하는 섬유를 외측 흐름 영역과 이후 하향흐름 출구(26)를 향해 이동시킨다. 도 1에 다소 과장하여 나타낸 버텍스 파인더(22)의 외측 절두 원뿔형의 외측 형상은 섬유와 오염물 입자를 접선 입구(14)로부터 상향흐름 출구(24)까지의 "쇼트 회로(short-circuiting)"로부터 저지한다.
통상적으로, 클리너를 지나는 압력강하는 30 내지 90 psi 범위에 있으며 원료 입구 농도는 0.5% 내지 2%사이에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40 내지 60 psi 범위의 압력강하는 직경 5/8" 또는 그보다 작은 공급, 수용물, 배제물 포트의 개구에 공통이다. 앞에서 정의된 것과 같이, 측정된 NARV는 1.5 내지 2 초의 평균 유지 시간을 나타내는 0.07 피트/초이다.
유압 배제물 비율은 30 내지 70%사이에 있다. 원뿔형 분리기 부분의 최장 직경은 3" 또는 그보다 작다. 실제 유지율은 한계치가 아니지만 유지시간과 가벼운 입자가 내측으로 이동하는 반경방향 거리사이의 관계는 중요하다. 반경방향 거리와 이용가능한 시간은 통상 가벼운 입자의 반경방향 속도로 해석되고, 여기서 가벼운 입자는 중앙 흐름이 배제물 출구에 도달하도록 이동되어야 한다.
리버스 클리너(10)의 이점은 예에 의해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리버스 클리너(10)는 내경 2.75 인치(약 7cm)와 작동 길이 65인치(약 1.65m)의 베이스(16)를 갖추고, 길이 대 직경 비가 24:1이고 원뿔 협각이 2.4°인 원뿔형 본체(12)를 가지고 구성된다. 원뿔형 본체(12)는 직경 0.469인치(약 1.19cm)의 접선 입구(14)를 포함한다. 리버스 클리너(10)는 또한 직경 0.625인치(약1.59cm)의 입구 마우스(32)를 가진 버텍스 파인더(22)를 포함한다. 클리너는 입구(24)에서 오버플로 직경 0.500인치(약 1.27cm)와 출구(26)에서 언더플로 직경 0.500인치(약1.27cm)이다. 버텍스 파인더(22)는 입구 단부로 1.28"(약 3.25cm) 돌출하고, 리버스 원뿔형 표면(22A)의 최대 O.D.는 1.06"(약 2.7cm)이고 벽(20)에서의 O.D.는 1.0"(약 2.54cm)이다.
중량으로 1%의 원료 농도에서 유체의 대략 30 gpm(약 130 리터/분)이 접선 입구를 통해 입구 압력 60 PSI(약 405 kPa)에서 펌프된다. 약 60%의 유체는 언더플로(수용물)로부터 회수되고, 약 40%의 유체는 오버프로(배제물)로부터 회수된다. 출구(26)에서의 수용물는 중량으로 2%에 가까운 원료 농도를 가며, 중량으로 95%의 최초 원료를 포함하고, 한편 출구(24)에서의 배제물는 0.018% 내지 0.025%사이의 원료 농도를 가지며 중량으로 5%의 최초 원료를 포함한다.
모든 원뿔형 본체를 가진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리버스 플로 클리너의 성능은 입구 또는 베이스 단부에서의 본체의 실제 부분이 원통형이고, 동일 조건에서 작동되는 클리너의 성능과 비교했다. 클리너는 다음과 같은 스펙을 가진다. 전체적으로 원뿔형 클리너는 베이스 직경 2.75", 원뿔 협각 3°을 가지며, 약 53"(이론상)의 길이를 제공한다. 입구, 수용물, 배제물 개구 직경은 앞에서 기술되었다. 제 2 클리너가 대형 단부에서 단면 16", 또한 입구 단부로 이어지는 2.75"직경, 전체 길이 69"의 원통형 본체에 연결되는 동일한 원뿔형 본체를 사용했다. 양 클리너는 동일 조건하에서, 즉 120。F에서, 클리너를 통한 압력 강하 60psi에서 입구 농도 약 1%에서 동일 원료 공급으로 작동하였다. 입구 단부에는 각각 동일 캡과 버텍스 파인더가 사용되었다.
모든 원뿔형 클리너는 97%의 고체가 수용물로 보유된 것을 의미하는 고체 배제물 비율 3%을 가지며, 한편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클리너는 87.1%의 양호한 섬유가 보유된 것을 의미하는 고체 배제물 비율 12.9%을 가졌다. 효율에 있어서, 모든 원뿔형 유니트는 부분적 원통, 부분적 원뿔형 유니트인 것보다 섬유 절약면에서 4배 효율적이었고, 효율상의 차이는 부분적으로 원통형인 클리너에서의 입구 캡으로부터 원뿔형 단면을 분리하는 대략 원통형 단면의 존재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도 2에 제시된 것과 같이, 리버스 클리너(10)의 하나의 응용으로서는 1단계로서 2단계 세척 시스템(40)내에 있고 여기서 러버스 클리너(10)의 오버플로(배제물)는 스루 플로(through flow)클리너(42)와 스루 플로 클리너(42)에 공급되고 스루 플로 클리저(42)의 수용물는 리버스 클리너(10)를 위한 희석액으로서 재순환된다. 스로 프로 클리너는 사이퍼트(Seifert) 등의 1979년 5월 2일자 미국 특허 제 4,155,839호에 나타내고 샤틀 디비젼(Shartle Division), 블랙 클로슨 컴파니에 의해 3" "X-Clone" 클리너로서 제조 및 판매되는 것과 같이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리버스 플로 클리너의 최선의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여기서 같은 부분은 도 1에 붙힌 것과 동일한 번호로 나타내고, 원뿔각과 관련 길이는 대략 실제 축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4는 입구 단부의 확대단면도이고 여기에는 단부 캡(18)의 최선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단부 캡(18)은 본체(12)의 후방 연장부로서 형성되고 중공 컵(82)에 의해 그 위해 고정된 원통형 오목부(80)에 끼워져 있다. 단부 캡(18)은 O링에 의해 오목부(80)의 표면에 밀봉된다.
하이드로사이클론 클리너(10)의 수용물 출구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유체 흐름 직선화 인서트(92)를 수용하기 위해 수용물 출구(26)를 인접하여 둘러싸는 영역에서 90에서 확대되었다. 인서트(92)에는 통상 출구(26)를 통해 빠져나가는 원료 현탁액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키는 내부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통상 출구 단부에서 확대된 단부(92)위에 지지된 사이트 글라스(95)를 부가하여, 하이드로사이클론의 작동이 관찰될 수 있다.
전술한 형태의 장치는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구성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청구의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그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예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9)

  1. 제지업자의 섬유 현탁액에 동반된 가벼운 오염물 입자를 원심 분리하기 위한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에 있어서,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를 향해 균일하게 수렴하는 원형 단면의 중공 원뿔형 본체와,
    상기 제 1 단부 근방에 위치된 접선 입구와,
    상기 제 1 단부를 지나 중공 원뿔형 본체로 연장하고, 상기 가벼운 오염물 입자를 위한 상향흐름 출구를 형성하는 버텍스 파인더와,
    제지업자의 섬유를 위한 상기 제 2 단부에 위치된 하향흐름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원뿔형 본체는 상기 제 1 단부 근방의 내경과 상기 제 1 및 제 2 단부사이의 길이를 형성하고, 상기 길이 대 상기 내측 직경의 비율은 20:1이상으로 3°보다 작은 협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원뿔형 본체는 상기 제 1 단부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상기 버텍스 파인더를 형성하는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텍스 파인더는 절두 원뿔형이고 상기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중공 원뿔형 본체내로 연장하는 것과 같이 발산하는 외측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흐름 출구는 상기 제 1 단부를 지나 상기 중공 본체내로 연장하는 것과 같이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선 입구의 영역은 상기 상향흐름 출구의 영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흐름 출구의 영역은 상기 접선 입구의 영역 또는 상기 상향흐름 출구의 영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2.5°보다 작은 협각을 형성하는 23: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8. 제지업자의 원료 현탁액으로부터 가벼운 오염물 입자를 세척하기 위한 리버스 플로 하이드로사이클론 클리너에 있어서,
    길이의 많은 부분에 걸쳐 원뿔형의 외형을 가지며 베이스, 정점 및 베이스와 정점사이에서 연장하는 축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정점을 향해 수렴하는 중공의 길다란 본체와,
    상기 베이스를 폐쇄하는 캡과,
    상기 캡에 장착되고, 상기 축에 정렬된 상기 가벼운 오염물 입자를 위한 상향흐름 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정점과 반대방향으로 수렴하는 버텍스 파인더와,
    상기 베이스에 인접하는 중공 원뿔형 본체를 지나는 접선 입구와,
    제지업자 섬유를 위해 상기 정점에 있는 하향흐름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원뿔형 본체는 상기 베이스에 인접하는 내경과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정점사이의 상기 축을 따르는 길이를 한정하고, 상기 길이 대 내경의 비율은 20: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플로 하이드로사이클론 클리너.
  9. 제지업자 원료의 현탁액으로부터 가벼운 오염물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리버스 플로 사이클로닉 클리너에 있어서,
    적어도 베이스, 정점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정점사이에서 연장하는 축을 한정하는 많은 부분이 원뿔형인 부분을 갖고,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정점을 향해 수렴하는 중공본체와,
    상기 중공본체의 베이스를 폐쇄하는 캡과,
    상기 캡에 의해 장착되고 상기 본체내로 연장하고, 상기 본체내로 연장하는 것과 같이 발산하는 버텍스 파인더와,
    상기 가벼운 오염물 입자를 수용하기 위해 축과 정렬하는 버텍스 파인더내에 형성되고, 정점과 반대방향으로 수렴하는 리버스 클리너 상향흐름 출구와,
    상기 제지업자 원료 현탁액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근방의 본체를 통과하는 접선 입구와,
    제지업자 섬유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정점에 있는 하향흐름 출구를 포함하고,
    리버스클리너 상향흐름 출구의 영역은 상기 입구 영역과 동일하고, 상기 상향흐름 출구 또는 상기 접선입구 영역보다 작으며,
    상기 본체는 베이스 근방의 내경과 베이스와 정점사이의 축을 따르는 길이를 한정하고, 상기 길이 대 내경의 비율은 20: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플로 사이클로닉 클리너.
KR10-1998-0701006A 1995-08-11 1996-08-08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리버스-플로우 하이드로사이클론 클리너, 및 리버스-플로우 사이클로닉 클리너 KR100460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7795P 1995-08-11 1995-08-11
US60/002,177 1995-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38A true KR19990036338A (ko) 1999-05-25
KR100460551B1 KR100460551B1 (ko) 2005-04-06

Family

ID=2169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006A KR100460551B1 (ko) 1995-08-11 1996-08-08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리버스-플로우 하이드로사이클론 클리너, 및 리버스-플로우 사이클로닉 클리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38926A (ko)
EP (1) EP0863784B1 (ko)
JP (1) JP3773536B2 (ko)
KR (1) KR100460551B1 (ko)
CN (1) CN1103622C (ko)
AU (1) AU6768096A (ko)
BR (1) BR9610170A (ko)
DE (1) DE69624933T2 (ko)
MX (1) MX9801184A (ko)
WO (1) WO19970068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2869C2 (sv) * 1998-01-20 2000-05-29 Nils Anders Lennart Wikdahl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framställande av cellulosamassor med förbättrad kvalitet
FI119999B (fi) 2008-01-28 2009-05-29 Andritz Oy Menetelmä ja laite massan käsittelemiseksi
US20120097616A1 (en) * 2009-07-03 2012-04-26 Jan Backman Hydrocyclone,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cellulose suspensions
KR100947558B1 (ko) * 2009-10-16 2010-03-12 우시 브라이트스카이 이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밸러스트수 수처리 시스템
IN2014DN09180A (ko) * 2012-04-03 2015-07-10 Ovivo Luxembourg Sarl
CA3155470A1 (en) 2019-11-22 2021-05-27 John J. Egan Iii Slurry cleaner systems with cleaner dilution devices and methods of cleaning slurries therewith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00693A (ko) * 1939-11-21
US2757581A (en) * 1952-09-24 1956-08-07 Nichols Engineering And Res Co Vortex separators
US2975896A (en) * 1955-05-02 1961-03-21 Hirsch Siegfried Hydrocyclone for fibres suspension
US3096275A (en) * 1961-09-26 1963-07-02 Ii George H Tomlinson Method for separating dirt from aqueous suspensions of pulp fibers
DE1461195A1 (de) * 1963-08-02 1969-02-06 Jan Fellegi Anlage zum Sichten von Faserstoffsuspensionen
US3486619A (en) * 1968-01-24 1969-12-30 Wikdahl Nils Anders Lennart Method of removing impurities from a fiber suspension
US3912579A (en) * 1969-06-04 1975-10-14 Bergstrom Paper Co Reverse cleaning and de-inking of paper stock
US3557956A (en) * 1970-01-28 1971-01-26 Bergstrom Paper Co Method for de-inking and removal of certain contaminants from reclaimed paper stock
US4378289A (en) * 1981-01-07 1983-03-29 Hunter A Bruce Method and apparatus for centrifugal separation
MY102517A (en) * 1986-08-27 1992-07-31 Conoco Specialty Prod Cyclone separator
WO1989008503A1 (en) * 1988-03-17 1989-09-21 Conoco Specialty Products Inc. Cyclone separator
US5225082A (en) * 1992-01-30 1993-07-06 Amoco Corporation Hydrocyclone with finely tapered tail section
WO1997005957A1 (en) * 1995-08-04 1997-02-20 The Black Clawson Company Forward or reverse hydrocyclone systems and methods
US5667686A (en) * 1995-10-24 1997-09-16 United States Filter Corporation Hydrocyclone for liquid - liquid separation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610170A (pt) 2000-05-09
KR100460551B1 (ko) 2005-04-06
DE69624933T2 (de) 2003-08-28
AU6768096A (en) 1997-03-12
DE69624933D1 (de) 2003-01-02
US5938926A (en) 1999-08-17
CN1103622C (zh) 2003-03-26
EP0863784B1 (en) 2002-11-20
JP3773536B2 (ja) 2006-05-10
EP0863784A1 (en) 1998-09-16
MX9801184A (es) 1998-11-30
JP2000513770A (ja) 2000-10-17
WO1997006871A1 (en) 1997-02-27
CN1196000A (zh) 1998-10-14
EP0863784A4 (en) 1999-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91787A (en) Porous cone cleaner
US3568847A (en) Hydrocyclone
CA1288731C (en) Fiber recovery elutriating hydrocyclone
US6109451A (en) Through-flow hydrocyclone and three-way cleaner
US4842145A (en) Arrangement of multiple fluid cyclones
US4443331A (en) Process and device for separating particles in a fluid especially for the cleaning of the suspensions handled in the paper industry
JPH0330420B2 (ko)
US4309283A (en) Hydrocyclone
US3433362A (en) Cyclone purifier
US4797203A (en) Reverse hydrocyclone cleaner for removing light contaminants from pulp slurry
US4473478A (en) Cyclone separators
FI73760B (fi) Separator foer separation av en blandning av en cellulosamassasuspension och grova, tunga partiklar.
JPH10512498A (ja) 精選装置
US3533506A (en) Hydrocyclone
US3347372A (en) Centrifugal cleaner
KR100460551B1 (ko) 리버스 하이드로사이클론, 리버스-플로우 하이드로사이클론 클리너, 및 리버스-플로우 사이클로닉 클리너
US3385437A (en) Eccentric head hydrocyclone
US5934484A (en) Channeling dam for centrifugal cleaner
US3096275A (en) Method for separating dirt from aqueous suspensions of pulp fibers
CA2228975C (en) Extended dwell reverse hydrocyclone cleaner
WO2001017638A2 (en) Constant arc contour hydrocyclone cleaner
KR820002381B1 (ko) 액체에서 고형이물을 분리하는 장치
SU1655575A1 (ru) Гидроциклон дл классификации и обогащени полезных ископаемых
US3358832A (en) Hydro-cyclone separator
SU1599100A1 (ru) Гидроцикло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