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309U - 정류자형 모터 - Google Patents

정류자형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309U
KR19990036309U KR2019980002141U KR19980002141U KR19990036309U KR 19990036309 U KR19990036309 U KR 19990036309U KR 2019980002141 U KR2019980002141 U KR 2019980002141U KR 19980002141 U KR19980002141 U KR 19980002141U KR 19990036309 U KR19990036309 U KR 199900363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mmutator
brush holder
rotating shaf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2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6309U/ko
Publication of KR19990036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309U/ko

Links

Landscapes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정류자와,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타측단부에는 전원공급용 리드선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브러시와,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배치되어 상기 브러시를 지지하는 브러시고정판을 갖는 정류자형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브러시고정판에 부착되어 상기 브러시를 수용하는 브러시홀더와; 상기 브러시홀더의 외측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브러시터미널과; 상기 브러시터미널과 상기 브러시홀더를 상호 고정유지시키는 고정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브러시홀더에 브러시를 삽입하는 공정을 간편하게 하며, 정류자의 외주면과 브러시의 일측 단부면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류자형 모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정류자형 모터
본 고안은, 정류자형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브러시홀더에 브러시를 삽입하는 공정을 간편하게 하며, 정류자의 외주면과 브러시의 일측 단부면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정류자형 모터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정류자형 모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브러시와 브러시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자형 모터는 통형상을 가지고 상호 대면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케이싱(101,103)과, 제 1 및 제 2케이싱(101,103)내에 수용되는 고정자(105)와, 회전축(107)을 가지고 고정자(105)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자(109)를 가진다. 각 케이싱(101,103)에는 회전축(107)을 회전가능하도록 수용지지하는 베어링(115)이 결합되어 있으며, 베어링(115)의 둘레 영역에는 케이싱(101,103)의 내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공기통과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통과공(113)으로부터 소정이격되어 클램핑스크류(123)를 수용하는 한 쌍의 클램핑스크류공(111)이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고정자(105)는 중앙영역에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117)이 형성된 다수의 판상부재를 절연적층하여 형성된 고정자코어(119)와, 고정자코어(119)의 관통공(117)의 둘레영역에 감겨있는 코일(121)을 가진다. 고정자코어(119)에는 관통공(117)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호 축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클램핑스크류공(125)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07)의 일측영역에는 회전자(109)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정류자(127)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정류자(127)의 외측영역에는 한 쌍의 브러시(129)가 회전축(107)의 축선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브러시(129)의 일측 단부면은 정류자(127)의 외주면과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브러시(129)는 회전축(107)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배치된 브러시홀더(131)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정류자(127)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브러시(129)의 단부면과 대향된 타측 단부면에는 브러시(129)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리드선(139)이 연결되어 있으며, 정류자(127)의 외주면과 탄성적으로 항상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브러시(129)와 브러시홀더(131)의 사이에는 스프링(137)이 개재되어 있다. 브러시홀더(131)는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판면으로부터 개방측을 향해 연장된 복수의 리브(153)가 형성되어 있고, 개방측과 대향한 타측면에는 판면으로부터 소정 연장된 돌출부(1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51)의 내측면에 스프링(137)과 브러시(129)에 연결된 리드선(139)이 용접된다. 이들 브러시(129)와 브러시홀더(131)는 소위 베이클라이트라고 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브러시고정판(135)에 결합되며, 브러시고정판(135)은 통상 압입과 같은 방법으로 제1케이싱(101)내에 삽입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브러시(129)를 브러시홀더(131)에 조립할 때, 스프링(137)과 리드선(139)이 연결된 브러시(129)를 브러시홀더(131)내에 삽입하고 브러시홀더(131)의 돌출부(151)의 내측면에 스프링(137)과 리드선(139)을 용접한 다음 돌출부(151)를 하향 절곡하여 브러시(129)가 스프링(137)의 탄성력으로 정류자(127)의 원주면을 향하도록 지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정류형 모터에서는, 브러시홀더의 돌출부에 스프링과 리드선을 용접하고 돌출부를 절곡할 때, 스프링의 탄성으로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이 브러시홀더내에서 꼬일 수 있다. 이렇게 스프링이 브러시홀더내에서 꼬인채로 조립이 되면 스프링이 브러시를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주지 못함에 따라 정류자의 외주면과 브러시의 일측 단부면이 제대로 접촉하지 못하게 되어 모터의 성능이 저하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러시홀더에 브러시를 삽입하는 공정을 간편하게 하며, 정류자의 원주면과 브러시의 일측 단부면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류자형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류자형 모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브러시홀더와 브러시와 브러시터미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정류자형 모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브러시홀더와 브러시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구동부 7 : 회전축
9 : 회전자 27 : 정류자
29 : 브러시 31 : 브러시홀더
35 : 브러시고정판 37 : 스프링
39 : 리드선 41 : 브러시터미널
43 : 접지부 45 : 고정부
47 : 걸림돌기 49 : 걸림턱
51 : 돌출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정류자와,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타측단부에는 전원공급용 리드선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브러시와,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배치되어 상기 브러시를 지지하는 브러시고정판을 갖는 정류자형 모터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고정판에 부착되어 상기 브러시를 수용하는 브러시홀더와; 상기 브러시홀더의 외측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브러시터미널과; 상기 브러시터미널과 상기 브러시홀더를 상호 고정유지시키는 고정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형 모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유지수단은 상기 브러시홀더와 상기 브러시터미널중 어느 일측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림결합되는 걸림턱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홀더에는 일측 판면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절곡되어 상기 브러시터미널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드선은 상기 브러시터미널에 용접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류자형 모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브러시홀더와 브러시와 브러시터미널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류자형 모터는, 종래의 정류자형 모터와 마찬가지로, 통형상을 가지고 상호 대면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케이싱(1,3)과, 제1 및 제2케이싱(1,3)내에 수용되는 고정자(5)와, 회전축(7)을 가지고 고정자(5)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자(9)를 가진다. 각 케이싱(1,3)에는 회전축(7)을 회전가능하도록 수용지지하는 베어링(15)이 결합되어 있으며, 베어링(15)의 둘레 영역에는 케이싱(1,3)의 내외부가 연통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공기통과공(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통과공(13)으로부터 소정이격되어 한 쌍의 클램핑스크류공(11)이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고정자(5)는 중앙영역에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17)이 형성된 다수의 판상부재를 절연적층하여 형성된 고정자코어(19)와, 고정자코어(19)의 관통공(17)의 둘레영역에 감겨있는 코일(21)을 가진다. 고정자코어(19)에는 클램핑스크류(23)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17)의 축선방향을 따라 한 쌍의 클램핑스크류공(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7)의 일측에는 회전자(9)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정류자(27)가 결합되어 있다. 정류자(27)의 외측영역에는 한 쌍의 브러시(29)가 회전축(7)의 축선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브러시(27)의 일측 단부면은 정류자(27)의 외주면과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한편, 각 브러시(29)에는 정류자(27)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단부면과 대향되는 타측 단부면에는 브러시(29)를 정류자(27)의 외주면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37)이 연결되어 있으며, 브러시(29)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 리드선(39)이 연결되어 있다. 브러시(29)에 연결된 스프링(37)과 리드선(39)의 타단부는 브러시터미널(41)의 내측면에 용접된다. 브러시터미널(41)은 스프링(37)과 리드선(39)이 용접되어 있는 접지부(43)와 접지부(43)로부터 브러시(29)를 향해 대칭으로 절곡된 고정부(45)를 가지며, 이들 고정부(45)에는 판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된 걸림돌기(4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29)의 외측영역에는 브러시(29)가 정류자(27)의 외주면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지지할 수 있도록 브러시홀더(31)가 마련되어 있다. 브러시홀더(35)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이 개방측과 대향한 타측면에는 판면으로부터 소정 연장된 돌출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터미널(41)과 접촉되는 브러시홀더(31)의 외측면에는 브러시터미널(41)의 고정부(45)에 형성된 걸림돌기(47)를 수용하기 위해 맞물림결합되는 걸림턱(49)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판면으로부터 개방측을 향해 연장된 복수의 리브(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브러시(29)와 브러시홀더(31)를 브러시고정판(35)에 조립할 때, 먼저 브러시홀더(31)의 개방측이 브러시고정판(35)을 향하도록하여 브러시홀더(31)에 형성된 리브(53)들을 브러시고정판(35)의 홈에 삽입고정한다. 다음, 브러시(29)의 일측 단부면에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37)과 리드선(39)을 브러시터미널(41)의 접지부(43)에 용접한 후 브러시(29)를 정류자(27)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브러시홀더(31)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브러시터미널(41)의 고정부(45)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47)가 브러시홀더(31)의 외측면에 마련된 걸림턱(49)에 맞물리도록 결합한다. 다음, 브러시홀더(31)의 돌출부(51)를 브러시터미널(41)의 접지부(43)를 향하여 절곡하여 이들 접지부(43)와 돌출부(51)가 접촉되게 한다.
이와 같이, 브러시고정판에 부착되어 브러시를 수용하는 브러시홀더와, 브러시홀더의 외측단부에 결합되며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브러시터미널과, 브러시터미널과 브러시홀더를 상호 고정유지시키는 고정유지수단을 마련함으로써, 브러시홀더에 브러시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정류자의 외주면과 브러시의 일측 단부면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브러시홀더에 브러시를 삽입하는 공정을 간편하게 하며, 정류자의 외주면에 브러시의 일측 단부면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류자형 모터가 제공된다.

Claims (5)

  1.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정류자와,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일단부가 상기 정류자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며 타측단부에는 전원공급용 리드선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한 쌍의 브러시와,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배치되어 상기 브러시를 지지하는 브러시고정판을 갖는 정류자형 모터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고정판에 부착되어 상기 브러시를 수용하는 브러시홀더와;
    상기 브러시홀더의 외측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드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브러시터미널과;
    상기 브러시터미널과 상기 브러시홀더를 상호 고정유지시키는 고정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형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지수단은 상기 브러시홀더와 상기 브러시터미널중 어느 일측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림결합되는 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형 모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홀더에는 일측 판면으로부터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절곡되어 상기 브러시터미널의 일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형 모터.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은 상기 브러시터미널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형 모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은 상기 브러시터미널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자형 모터.
KR2019980002141U 1998-02-18 1998-02-18 정류자형 모터 KR199900363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141U KR19990036309U (ko) 1998-02-18 1998-02-18 정류자형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141U KR19990036309U (ko) 1998-02-18 1998-02-18 정류자형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309U true KR19990036309U (ko) 1999-09-27

Family

ID=6971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141U KR19990036309U (ko) 1998-02-18 1998-02-18 정류자형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630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5393A (en) Brush holder for dynamoelectric machine
US5773907A (en) Brush holder assemblies having novel brush holders
JP5214954B2 (ja) ブラシホルダ用案内枠及びブラシ組立体、並びにブラシ組立体付きブラシホルダを備える電気装置
US4074159A (en) Dynamo-electric machine
US5717270A (en) Noise suppression capacitor arrangement on a rotor of an electric motor
US4071793A (en) Field subassembly for electric motors
US6528922B2 (en) Motor housing having simplified cover plate and brush base
JP2922978B2 (ja) 電動モータ用ブラシホルダ
EP3787153B1 (en) Brushed permanent magnet micromo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100624669B1 (ko) 라디오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접지구조를 구비한 모터
US5598045A (en) Miniature motor
KR20080005110A (ko) 브러쉬에 의해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방산시키기 위하여브러쉬 홀더의 배치를 향상시킨 회전 전기기계
JP2008206310A (ja) 電動モータ
US4114061A (en) Brush cage for a dynamoelectric machine
JP2007288840A (ja) ブラシ付きモータ
JP2000023434A (ja) ブラシ付き直流電動機
US6020668A (en) End case mounted brush holder assembly
US7679257B2 (en) Planar commutator, rotor and direct current electric motor
KR19990036309U (ko) 정류자형 모터
JPH0998559A (ja) 直流モータにおけるブラシ配線部構造
CN112368915B (zh) 马达
JPH0635648Y2 (ja) 回転電機
JP2501469B2 (ja) 電動機
JP2000014073A (ja) 電動機
JPH0285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