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070U - 보일러용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070U
KR19990036070U KR2019980001812U KR19980001812U KR19990036070U KR 19990036070 U KR19990036070 U KR 19990036070U KR 2019980001812 U KR2019980001812 U KR 2019980001812U KR 19980001812 U KR19980001812 U KR 19980001812U KR 19990036070 U KR19990036070 U KR 199900360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boiler
main bod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문식
Original Assignee
최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문식 filed Critical 최문식
Priority to KR2019980001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6070U/ko
Publication of KR199900360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070U/ko

Links

Landscapes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잡목, 목탄 등의 자재를 연소시켜 방을 난방할수 있는 별도의 보조기능을 갖는 난방장치를 기름 보일러와 병행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비가 절약되고 또한 난방장치를 단열시켜 연소효율이 향상되며 온수를 사용할수 있도록한 보일러의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잡목이나 목탄을 연소시키는 연소실에 의해 가열된 온수탱크실의 온수가 보일러의 순환관과 회수관을 통하여 실내로 순환되도록한 보일러용 난방장치에 있어서, 내벽과 외벽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된 직사각형의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연소실이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과 상기 본체의 내벽 사이에 온수탱크실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순환관과 상기 온수탱크실을 연결하는 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상기 회수관과 상기 온수탱크실을 연결하는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에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연통이 상부에 구비되고 연소공기가 유입되는 연소구멍이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실의 내부에는 온수관이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된 온수구와 연결 구성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보일러용 난방장치
본 고안은 보일러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잡목, 건축폐자재, 목탄 등의 자원을 활용하여 난방 함으로써, 등유 등의 기름을 사용하는 보일러의 연료를 절약할수 있고 난방비용이 경감되는 보일러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등유 등의 기름을 사용하여 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보일러는 내부의 버너에서 등유가 연소될 때 코일 형태로 감겨진 온수관이 가열되고 이때 온수관 내부로 순환되는 물이 가열된 상태로 실내로 순환되면서 실내가 난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기름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환율이 불안정하거나 원유생산국에서 생산을 중단하는 경우 보일러를 가동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기름의 수급이 안정되지 않을 경우 기름값이 폭등하기 때문에 일반 수요자들 특히 저소득층이 대부분이 지방도시의 농촌 등지에서는 보일러를 가동하기 어렵게 된다.
이처럼 기름값의 폭등으로 보일러를 가동하지 못할 경우 아궁이에 불을 지펴 방바닥을 따듯하게 하여야 되는데, 기름 보일러를 사용하는 곳의 경우 온수관을 방바닥에 매설하였기 때문에 아궁이에 불을 지펴 사용할수 없게된다. 따라서 방바닥을 아궁이 식으로 다시 개조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잡목을 이용하여 난방함으로써, 보일러와 병행하여 사용할수 있도록한 난방장치가 선출원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선출원된 난방장치는 단순히 목재를 연소시키는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다. 따라서 단열층이 구비되지 않아 연소효율이 저하되고 온수를 사용할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잡목, 목탄 등의 자재를 연소시켜 방을 난방할수 있는 별도의 보조기능을 갖는 난방장치를 기름 보일러와 병행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비가 절약되고 또한 난방장치를 단열시켜 연소효율이 향상되며 온수를 사용할수 있도록한 보일러의 난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난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난방장치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난방장치의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0a : 내벽
10b : 외벽 10c : 단열재
11 : 연소실 12 : 온수탱크실
13 : 연소구멍 14 : 연통
15 : 유입구 16 : 유출구
21 : 온수관 22 : 온수구
24 : 보일러 25 : 순환관
27 : 회수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잡목이나 목탄을 연소시키는 연소실에 의해 가열된 온수탱크실의 온수가 보일러의 순환관과 회수관을 통하여 실내로 순환되도록한 보일러용 난방장치에 있어서, 내벽과 외벽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된 직사각형의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연소실이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과 상기 본체의 내벽 사이에 온수탱크실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순환관과 상기 온수탱크실을 연결하는 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상기 회수관과 상기 온수탱크실을 연결하는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에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연통이 상부에 구비되고 연소공기가 유입되는 연소구멍이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실의 내부에는 온수관이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된 온수구와 연결 구성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난방장치의 사시도 이다. 본 고안의 난방장치는 보일러(24)와 연결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으로 난방장치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본체(10) 내부에 연소실(11)이 구비된다. 연소실(11)은 전방의 입구를 제외하고 5면이 막힌 육면체로 구성되며 연소실(11)과 본체(10)의 내부 사이에 일정 공간의 온수탱크실(12)이 마련된다. 본체(10)는 내벽(10a)과 외벽(10b)으로 구성되며 이들 내,외벽(10a)(10b)의 사이에 단열재(10c)가 충진되며 내벽(10a)과 접하는 온수가 단열재(10c)에 의해 단열되어 보온된다.
또한 연소실(11)의 바닥에는 연소에 필요한 연소공기가 유입되는 연소구멍(1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연소구멍(13)은 잡목, 목탄 등의 자재가 연소되고 남은 재가 떨어질수 있는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하부에는 연소실(11)에서 떨어지는 재를 받을수 있는 재받이(18)가 구비되며 재받이(18)는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보관실(17) 내부로 출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소실(11)의 상부에는 본체(10)를 관통하는 연통(14)이 구비되며 입구는 힌지(20)를 중심으로 여닫히는 도어(19)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부에는 보일러(24)의 순환관(25)과 연결되는 유출구(16)가 마련되고 본체(10)의 하부 양측에는 보일러(24)의 회수관(27)과 연결되는 유입구(15)가 각각 마련된다. 또한 본체(10)의 상부에는 온수를 사용할수 있는 온수구(22)가 마련되며 온수구(22)는 온수탱크실(12)에 설치된 온수관(21)과 연결 구성된다. 미설명부호23은 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온수탱크실(12) 내부의 온수와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난방장치 본체(10)가 보일러(24)와 연결된 상태로 구비된다. 즉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유출구(16)가 보일러(24)의 순환관(25)과 연결되고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5)가 보일러(24)의 회수관(27)과 연결된다. 따라서 보일러(24)가 가동되는 동안 순환펌프(26)에 의해 순환되는 온수가 회수관(27)과 유입구(15)를 거쳐 본체(10)의 온수탱크실(12) 내부로 유입된 다음 유출구(16)를 거쳐 보일러(24) 내부로 들어간 뒤 순환관(25)을 거쳐 실내로 순환된다.
위의 과정에서 본 고안의 연소실(11) 내부에 잡목, 목탄 등의 자재를 넣고 연소시킬 경우 연소실(11)을 감싸는 온수탱크실(12) 내부의 온수가 가열된다. 이때 순환펌프(26)에 의해 순환되는 온수가 온수탱크실(12) 내부로 유입되면 재가열된 뒤 보일러(24)를 거쳐 실내로 순환되면서 실내가 난방된다. 또한 연소실(11)에서 잡목 등이 연소되는 동안 온수탱크실(12) 내부의 온수의 온도가 증가된 상태로 실내로 순환된다.
그리고 순환되는 과정에서 보일러(24)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온수온도가 감지됨으로 실내에서 설정한 온도이하로 내려가지 않는한 보일러(24)는 가동되지 않는다. 즉 연소실(11)에서 잡목 등의 폐자재가 연소되고 있는 동안은 보일러가 가동되지 않고 실내가 난방된다. 또한 온수탱크실(12) 내부의 온수관(21)이 항상 가열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온수구(22)를 통하여 온수를 사용할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난방장치의 연소실에서 잡목, 목탄, 건축폐자재 등을 연소시키면 보일러의 가동시간이 단축되어 결국 기름의 사용량을 줄일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본 고안의 난방장치는 잡목등이 많은 시골의 농촌등지에서 사용할 경우 매우 유리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잡목이나 목탄을 연소시키는 연소실에 의해 가열된 온수탱크실의 온수가 보일러의 순환관과 회수관을 통하여 실내로 순환되도록한 보일러용 난방장치에 있어서,
    내벽과 외벽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된 직사각형의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연소실이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과 상기 본체의 내벽 사이에 온수탱크실이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순환관과 상기 온수탱크실을 연결하는 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 양측에 상기 회수관과 상기 온수탱크실을 연결하는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연소실에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연통이 상부에 구비되고 연소공기가 유입되는 연소구멍이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실의 내부에는 온수관이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된 온수구와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보일러용 난방장치.
KR2019980001812U 1998-02-13 1998-02-13 보일러용 난방장치 KR199900360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812U KR19990036070U (ko) 1998-02-13 1998-02-13 보일러용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812U KR19990036070U (ko) 1998-02-13 1998-02-13 보일러용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070U true KR19990036070U (ko) 1999-09-15

Family

ID=6971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812U KR19990036070U (ko) 1998-02-13 1998-02-13 보일러용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607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97B1 (ko) * 2006-09-27 2008-11-03 백한종 다목적 보일러
KR101632568B1 (ko) 2015-01-21 2016-06-22 주식회사 그랑쏠레이 실내 설치형 보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397B1 (ko) * 2006-09-27 2008-11-03 백한종 다목적 보일러
KR101632568B1 (ko) 2015-01-21 2016-06-22 주식회사 그랑쏠레이 실내 설치형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155B1 (ko) 연탄겸용 화목보일러 및 그 제조방법
KR100808783B1 (ko) 화목보일러
KR200267167Y1 (ko) 유류겸용화목보일러구조
KR100846142B1 (ko) 화목보일러
KR101248480B1 (ko) 아궁이에 삽입되는 보일러
KR19990007892U (ko) 목재용 온수 보일러
KR19990036070U (ko) 보일러용 난방장치
KR200249432Y1 (ko) 벽난로형 장작보일러
KR100908390B1 (ko) 가정용 보일러
KR100808784B1 (ko) 화목보일러
KR100502545B1 (ko) 온풍기용 연탄보일러
KR200350607Y1 (ko) 연탄겸용 화목보일러
KR200202452Y1 (ko) 다목적 온수보일러
SU365533A1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KR200379084Y1 (ko) 화목 보일러
KR100808778B1 (ko) 화목보일러
KR100808780B1 (ko) 화목보일러
KR100653894B1 (ko) 난방용 보일러
KR20060015344A (ko) 화목보일러
KR19990036186U (ko) 온수보일러겸용 화덕보일러
KR200207399Y1 (ko) 화목보일러
KR100282186B1 (ko) 이중 가열 나무 보일러
KR870001688Y1 (ko) 온수 보일러
KR960003884Y1 (ko) 저탕식 온수 보일러
JPH02240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