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925A - 맨손조작이가능한기계공구척 - Google Patents
맨손조작이가능한기계공구척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35925A KR19990035925A KR1019980700586A KR19980700586A KR19990035925A KR 19990035925 A KR19990035925 A KR 19990035925A KR 1019980700586 A KR1019980700586 A KR 1019980700586A KR 19980700586 A KR19980700586 A KR 19980700586A KR 19990035925 A KR19990035925 A KR 199900359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uck device
- sleeve
- locking
- cam member
- quick chang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2—Details of the ja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9/00—Chucks or sockets
- Y10S279/904—Quick change socke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291—Resilient split socket
- Y10T279/17307—Reciprocating cam sleev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411—Spring biased jaws
- Y10T279/17487—Moving-cam actuator
- Y10T279/17521—Reciprocating cam sleev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666—Radially reciprocating jaws
- Y10T279/17692—Moving-cam actuator
- Y10T279/17743—Reciprocating cam sleeve
- Y10T279/17752—Ball or roller jaw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35—Miscella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손조작이 가능한 기계공구 척에 관한 것으로, 척(10)이 회전하는 동안 공구 자루(23)를 물어 주기 위한 축공(20)을 갖는 슬릿이 형성된 몸체(25), 축공(20)의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캠부재(36)를 통해 압축력을 가하는 압박슬리이브(50), 잠금상태에서 잠금부재(61)가 압박슬리이브(50)를 몸체(25)에 고정시키도록 작동되는 스프링에 대항설치된 잠금슬리이브(60), 척(10)을 구동스핀들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기구(14) 및 척(10)을 구동스핀들에 자동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기구(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기계공구의 구동스핀들에 회전날과 같은 파워비트를 걸기위해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콜릿(collet) 또는 척 장치는 상기 파워비트를 구동스핀들의 축방향 및 반경방향에 대하여 물어주어야 한다. 즉, 척은 파워비트를 구동스핀들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구동스핀들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은 로우터와 같은 고속기계공구에 있어서 정확성과 안전성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공구날을 안전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비교적 간단한 수단은 공구날의 자루를 육각 또는 다측면으로 형성하여 이를 척 장치에 형성된 수용홈에 삽입시키도록 되어 있다. 로우터 날을 교환하기 위해 작업자는 2개의 렌치 또는 1개의 렌치와 1개의 스핀들 걸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해결책으로, 공구날을 축방향 및 회전방향에 대하여 수축가능한 콜릿을 사용하는 콜릿 척이 있다. 이 콜릿 척은 공구날을 공구에 물기 위해 공구날에 다측면 형상을 형성하는 것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유용하다. 따라서, 모든 종류의 파워비트 또는 공구날은 콜릿 척에 물리는 원형의 자루를 갖고 있다. 반면, 콜릿 척 장치는 많은 적용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급속교환 또는 급속해제기능을 갖고 있지 못하다. 예를 들어서, 로우터나 박판 정형기와 같은 휴대용 공구는 비교적 빠르고 쉽게 공구날을 교환하기 위한 급속해제 척 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급속해제장치는 급속교환 척 장치의 구멍에 끼우기 위하여 공구의 자루가 다측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야 했다. 이러한 기술분야에서 상기한 척 장치를 사용하는 기계공구의 융통성을 증대시키고 조작이 용이하도록 기본적으로 원형의 자루를 갖는 공구날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공구날에 적용가능한 급속교환 척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또 기계에 의해 자동적으로 장·탈착될 수 있는 급속교환 척 장치도 필요로 한다.
휴대용·고정용 로우터, 박판 정형기 등에 사용되는 전동공구나 파워비트를 기계공구에 장착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콜릿 툴 장착장치와 급속해제 접속기에 대해 미합중국 특허 제5,301,961호인 워져(Wozar)는 상기한 척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또 미합중국 특허 제4,692,073호인 마틴델(Martindell)은 척 장치에 파워비트가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구동스핀들에 대해 스프링으로 대향된 슬리이브를 사용한 척 장치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은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08/666,847호(1996. 6. 19일자 출원)의 연속출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공구의 구동스핀들에 부착되어 기계공구로 사용되는 파워비트 또는 기타 공구를 무는 급속교환 가능한 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척 장치의 종단면으로써, 가상선으로 도시된 공구날의 축(자루)이 장착된 상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척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척 장치의 요부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잠금슬리이브는 해제위치에 있고, 압박슬리이브는 압박위치에 있는 상태,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척 장치의 요부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잠금슬리이브는 해제위치에 있고, 압박슬리이브는 압박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 있는 상태,
도3C는 도 1에 도시된 척 장치의 요부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잠금슬리이브는 풀림위치에 있고, 압박슬리이브는 해제위치에 있는 상태,
도 4A, 4B 및 4C는 척을 기계공구의 구동스핀들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기구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척 장치의 일부 절개단면도로써, 가상선으로 구동스핀들이 도시되고 공구날의 축(자루)이 장착된 상태,
도 6은 도 5의 6-6선 단면도로써 압박슬리이브는 압박위치에 있고, 캠부재는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척 장치의 일부절개 분해사시도,
도 8A는 도 5에 도시된 척 장치의 요부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압박슬리이브는 해제위치에 있고, 캠부재는 풀림위치에 있는 상태,
도 8B는 도 5에 도시된 척 장치의 요부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압박슬리이브는 해제위치에 있고, 캠부재는 풀림과 잠금위치 사이에 있는 상태,
도 8C는 도 5에 도시된 척 장치의 요부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압박슬리이브는 압박위치에 있고, 캠부재는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
도 9A 및 9B는 로우터와 같은 기계공구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급속교환 척이 설치된 것이고,
도 1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척 장치의 종단면도,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척 장치의 요부단면도,
도 10C는 도 10A에 도시된 척 장치의 요부단면도,
도 11은 도 10A에 도시된 척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공구날 또는 작업장치를 기계공구의 구동스핀들에 급속교환가능한 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공구에서 자동화된 기계수단에 의해 장·탈착가능한 급속교환 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형의 자루를 갖는 공구날을 장착할 수 있는 융통성 있는 급속교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 척 장치의 다측면형 구멍에 일치되도록 공구를 다측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도 삽입과 이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즉시 급속으로 교환가능한 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은 공구날이 척 장치에 과도하게 물리지 않는 급속교환 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구의 자루에 흠집을 가하는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급속교환 척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유용성은 이하의 설명에서와 같으며, 부분적으로는 설명에 의해 명확해지거나 또는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유용성은 청구범위에 지적된 사항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파악되고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척은 선단과 이 선단의 정반대에 위치한 후단을 갖는 몸체를 포함하고, 이 몸체의 축방향으로는 선단으로부터 개구되어 원형의 공구자루를 이에 수용하기 위한 축공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는 환형(環形)의 벽을 갖고 있으며, 이 벽에는 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축공까지 관통된 적어도 1개의 슬릿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몸체는 몸체의 둘레에 서로 대칭적으로 이격되고 축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유사한 축방향 슬릿이 형성된다. 슬릿들은 적절하게 가해진 힘에 의해 몸체의 직경 및 원주가 변화가능하게 작용하므로써 몸체에 형성된 축공의 직경 및 원주가 팽창 및 수축가능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몸체의 후단으로부터 최원거리에 위치한 슬릿의 말단에는 피로를 경감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몸체는 또 선단측에 축방향으로 뻗은 적어도 1개의 캠 포켓을 포함한다. 이 캠 포켓은 캠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캠 포켓은 기울어진 바닥면으로 형성되고, 이 바닥면은 후단의 얕은 부분으로부터 선단의 깊은 부분까지 바닥면과 종축선간이 반경거리가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몸체의 외측면은 잠금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잠금소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척 장치는 복수개의 캠부재를 포함한다. 적어도 1개의 캠부재는 캠 포켓의 면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며, 압박상태에서 캠부재는 몸체에 형성된 면의 상대적으로 얕은 부분에 위치하여 증가된 압력에 의하여 공구 자루를 물도록 축공의 직경을 감소시킨다. 풀림상태에서 캠부재는 몸체에 형성된 면의 상대적으로 깊은 부분에 위치하여 감소된 압력에 의하여 공구 자루가 빠질 수 있도록 축공의 직경을 증가시킨다.
몸체에 대하여 동축선상에 위치하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내측면이 형성된 압박슬리이브의 동작에 의하여 캠부재에 압력이 가해진다. 압박슬리이브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캠부재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캠부재결합면이 형성되어 있다. 압박슬리이브는 잠금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잠금채널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잠금부재를 포함한다. 적어도 1개의 잠금부재가 압박슬리이브의 잠금채널에 부분적으로 위치하며, 잠금상태와 풀림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잠금상태에서, 잠금부재는 몸체의 잠금소켓내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힘을 받아 몸체와 압박슬리이브간의 상대적인 축방향이동을 방지한다. 풀림상태에서, 잠금부재는 몸체의 잠금소켓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몸체와 압박슬리이브간의 상대적인 축방향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압박슬리이브에 대하여 동축선상에 위치하고 압박슬리이브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잠금슬리이브를 포함한다. 잠금슬리이브는 선단과 이선단의 정반대에 위치한 후단을 갖고 있다. 잠금슬리이브의 후단은 잠금슬리이브가 잠금상태에 있을 경우 잠금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고, 잠금슬리이브가 풀림상태에 있을 경우 잠금부재를 해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압박슬리이브와 잠금슬리이브사이에 설치되어 잠금슬리이브를 압박슬리이브에 대하여 서로 축방향에 대하여 상반되도록 하여 잠금슬리이브가 잠금부재를 동작시켜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는 축방향 탄성기구를 포함한다. 잠금슬리이브는 상기 탄성기구의 힘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잠금슬리이브가 잠금부재를 해제시키는 풀림상태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척 장치는 몸체와 압박슬리이브사이에서 동축선상에 위치한 환형의 캠부재 수용부재를 포함한다. 환형의 캠부재 수용부재는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캠부재와 동일한 개수로 복수개의 개구가 형성된다. 각 개구는 1개씩의 캠부재를 수용하여 보유하게 된다. 캠부재 수용부재는 몸체의 제 1슬릿에 결합되는 탭이 형성되어 압박상태로부터 풀림상태까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캠부재가 제 1슬릿에 대하여 정렬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각 탭이 몸체의 각 슬릿에 위치한다.
척 장치가 공구날의 자루를 물기 위하여 사용될 때, 캠부재는 압박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반경방향으로 가해진 힘이 공구 자루를 감싸고 있는 몸체의 축공 직경을 축소시킨다. 압박슬리이브가 캠부재를 통하여 몸체에 가한 압축력은 부하가 가해진 상태에서 척이 회전하는 동안 축공 내에서 공구 자루가 회전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해 준다.
위에서 설명한 척 몸체 및 모든 종류의 척 몸체를 구동스핀들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기구가 제공된다. 결합기구는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결합부를 갖는 구동스핀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몸체의 말단에 암나사형 수용구역을 포함한다. 또, 상기 결합기구는 암나사가 형성된 수용구역을 갖는 구동스핀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몸체의 말단에 수나사 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기구는 테이퍼진 결합부가 형성된 구동스핀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몸체의 후단에 형성된 테이퍼형 결합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기구는 척 장치를 구동스핀들에 자동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기구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척 장치의 몸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장착기구는 일련의 토르소(torx) 헤드 툴, 알렌(Allen) 헤드 툴 및 장방형(square) 헤드 툴을 수용하는 적어도 1개의 개구를 포함한다.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제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들이 본 발명의 정신과 원리에 의하여 다양한 모방과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되고 묘사된 것들을 다른 실시예에 적용하므로써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거된 청구항 및 그것과 균등한 것들의 모방과 변형에도 권리가 미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한다. 또, 각 실시예에서 상호 대비되는 부재들은 100단위의 계수로 표기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속교환 척 장치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4C,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맨손조작이 가능한 기계공구 척으로써, 작업자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척에 작업공구의 자루(23)(123)를 척으로부터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맨손조작이 가능한 공구척은 도 5 내지 도 도 9B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급속교환, 맨손조작이 가능한 공구척 장치는 도 1, 도 2,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부호 10, 110을 들 수 있다.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손조작이 가능한 기계공구 척 장치는 로우터 날(27)과 같은 공구의 자루(23)를 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맨손조작이 가능한 기계공구 척 장치는 후단의 정반대에 위치한 선단을 갖는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선단은 척에 의해 수용되는 공구측을 향해 위치되어 있다. 상기 후단은 공구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기계의 구동스핀들을 향해 위치되어 있다. 예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5)는 도시안된 암나사형 구동스핀들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몸체(125)는 가상선으로 도시한 수나사부(117)가 형성된 구동스핀들(118)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척 장치를 구동스핀들에 연결시키기 용이한 결합기구가 제공된다. 이 결합기구는 대체로 모든 종류의 척 장치에 적용가능하고, 척 장치와 구동스핀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결합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B 및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25)는 구동스핀들(18)의 수나사부(17)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몸체(25)후단에 암나사가 형성된 수용구역 또는 수용부(16)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25)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구동스핀들(118)의 수나사부(117)를 결합시키기 위해 몸체(125)의 후단에 암나사가 형성된 수용구역 또는 수용부(116)를 포함한다. 선택에 의해,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기구는 몸체(25)의 후단에 암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테이퍼진 수용부(19)와 구동스핀들(18)의 후단에 수나사식 테이퍼형 마운트(15)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몸체(25)는 도시안된 구동스핀들에 형성된 암나사형 수용부에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결합기구의 실시예로, 몸체는 도시안된 구동스핀들의 테이퍼진 요형(凹形) 수용부에 결합되기 위한 철형(凸形) 테이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몸체(25)(125)는 구동스핀들 자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구동스핀들(18)(118)과 몸체(25)(125)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척 장치(10)(110)는 구동스핀들의 수용 소켓에 삽입가능한 삽입장치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척 장치(10)(110)는 몸체(25)(125)에 형성된 수용부에 도시안된 세트스크루와 같은 전형적인 수단에 의해 소켓내에서 물려질 수 있다.
결합기구의 좀더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4A 및 4B에 도시되어 있는데, 축방향으로 천공된 개구(12)가 몸체(25)에 형성된 축공(20)의 저면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취부스크루(13)가 개구(12)를 통해 삽입되어 구동스핀들(18)에 형성된 나사구멍(38)에 나사결합된다. 도 4A의 실시예에서는 구동스핀들(18)은 테이퍼형 마운트(15)를 갖고, 구동스핀들(18)과 척(10)을 결합시키기 위한 취부스크루(13)를 필요로 한다. 반면, 도 4B의 실시예에서는 척(10)의 후단은 구동스핀들(18)에 나사결합되고, 취부스크루(13)는 구동스핀들(18)과 척(10)을 결합시키기 위한 부수적인 매개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결합기구는 척의 몸체를 기계공구의 구동스핀들에 자동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기구는 모든 종류의 척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예로써, 도 4C 및 도 5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장착기구는 각각 축방향으로 천공된 장착구멍(11)(111)이 형성되어 일련의 토르소(torx) 헤드 툴, 알렌(Allen) 헤드 툴 및 장방형(square) 헤드 툴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구는 장착구멍(11)(111)으로 삽입되고, 척을 집어올려 기계공구로 이동시켜 몸체(25)(125)의 후단을 기계공구의 구동스핀들(18)(118)에 정렬시키고 결합시킬 수 있다. 구동스핀들이 도 1, 도 4B, 도 4C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나사형 결합기구에 의해 몸체(25)(125)에 접촉되면 장착공구는 자동적으로 척(10)(110)을 구동스핀들(18)(118)의 나사부 선단에 나사결합되도록 회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몸체는 몸체 내부의 축방향 중심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멍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소위 축공은 몸체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되고 원통형 외측면을 갖고 원형 횡단면을 갖는 공구자루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공(20)(120)은 몸체(25)(125)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축공(20)(120)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5)(125)의 중심축(21)(121)에 대칭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5)(125)에는 외측면(22)(1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3, 도 4, 도 5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5)(125)는 환형(環形)의 벽(28)(128)이 외측면(22)(122) 일부와 축공(20)(120)을 형성하는 내측면 전체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 1슬릿(44)(144)이 몸체(25)(125)와 선단의 자유모서리로부터 후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뻗어 있다. 제 1슬릿(44)(144)은 외측면(22)(122)으로부터 몸체(25)(125)의 내측면까지 방사상으로 뻗어 있어 몸체(25)(125)의 축공(20)(120)과 연통된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제 1슬릿(44)(144)과 유사하게 몸체(25)(125)는 적어도 하나의 제 2슬릿(46)(146)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는 축공(20)(120)과 연통되어 있다. 제 2슬릿(46)(146)은 몸체(25)(125)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제 1슬릿(44)(144) 및 제 2슬릿(46)(146)과 유사한 복수개의 슬릿(45)(145)(47) (147)(148)(149)은 서로 떨어져서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도시된 4개의 슬릿(44)(45) (46)(47)은 대칭적으로 되어 있고,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 도시된 6개의 슬릿(144)(145)(146)(147)(148)(149)들도 서로 대칭적으로 위치한다. 각 실시예에서, 모든 슬릿들은 몸체(25)(125)가 직경의 변화가 가능하고 원주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작용함으로써 적절히 가해진 힘에 의해 몸체 (25)(125)의 직경 및 원주의 팽창과 수축이 가능하게 해준다. 게다가, 몸체(25)(125)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적으로 상기한 슬릿에 의해 방사상으로 반복적인 수축 팽창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에 형성된 각 슬릿의 일단에 피로경감을 위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슬릿(44)(45)(46)(47)의 효과는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릿(44)(45)(46)(47)의 후단에 연통형성된 피로경감을 위한 구멍(29)에 의해 한층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캠 포켓이 몸체의 후단 근처에 형성된다. 캠 포켓은 캠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캠 결합면을 구비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5)(125)의 외측면 (22)(122)은 몸체(25)(125)의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캠포켓(30)(130)이 형성되어 있다. 캠 포켓(30)(130)은 또한 축방향으로도 뻗어 있고 몸체(25)(125)의 선단근처에 위치한다. 캠 포켓(30)(130)의 깊이는 종축선(21)(121)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균일하고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하다.
도 3A, 3B 및 3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캠 포켓(30)은 기울어진 비탈면으로 형성된 것으로, 바닥면(31)과 종축선(21)간의 반경거리가 몸체(25)의 후단에 근접위치한 캠 포켓의 얕은 부분(32)으로부터 몸체(25)의 선단에 근접한 깊은 부분(33)을 따라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캠 포켓의 상대적으로 얕은 부분(32)은 압박위치(32)이고, 깊은 부분(33)은 해제위치(33)이다.
도 8A, 도 8B, 도 8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캠 포켓(130)은 취부부(134)가 몸체(125)의 후단에 근접위치한 압박구역(132)과 몸체(125)의 선단에 근접위치한 해제구역(133)으로 갈라놓은 바닥면(131)으로 형성되어 있다. 캠 포켓(130)의 깊이는 종축선(121)과 바닥면(131)사이의 반경거리에 의해 측정가능한 것으로 해제구역(133)의 깊이는 균일하고 압박구역(132)은 상대적으로 깊다.
본 발명에 의한 맨손조작이 가능한 기계공구 척 장치는 척 내에 공구날의 자루를 물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C 및 도 8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개의 캠부재(36)(136)가 공구 자루의 일부를 무는 수단을 형성하는데, 이는 캠 포켓(30)(130)의 바닥면(31)(131)에 대해 선택적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압박상태에 있을 때에는 캠부재(36)(136)가 캠 포켓(30)(130)의 압박구역(32)(132)에 위치하여 압력이 인가되어 몸체(25)(125)의 축공(20)(120)직경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척 장치(10)(110)에 공구자루(23)(123)가 물리게 된다. 이와 비슷하게 해제상태에 있을때는 캠부재(36)(136)가 캠 포켓(30)(130)의 해제구역(33) (133)에 위치하여 압력이 경감되어 몸체(25)(125)의 축공(20)(120)직경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척 장치(10)(110)로부터 공구자루(23)(123)를 빼낼 수 있도록 한다. 복수개의 캠부재(36)(136)가 제공되며 이들 캠부재(36)(136)는 캠 포켓(30)(130)의 원주상에 대칭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캠부재(36)들이 캠 포켓(30)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6개의 캠부재(136)들이 캠 포켓(130)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몸체의 캠 포켓 둘레에 대칭적으로 위치한 캠부재 받이수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대칭적인 배치는 압력이 캠부재를 통해 몸체에 방사상으로 전달가능하도록 해주며, 몸체는 그 둘레를 따라 균등하게 압축(또는 비압축)된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36)(136)를 보유하기 위한 캠부재 받이수단은 몸체(25)(125)에 대해 동축상에 위치하고 몸체(25)(125)의 축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환형(環形)부재(40)(140)에 의해 제공된다. 이 캠부재 받이수단(40) (140)은 자체에 캠부재(36)(136)를 수용하거나 보유하기 위한 개구(41)(141)가 적어도 1개 형성된다. 각 캠부재 받이수단은 각 캠부재(36)(136)를 위한 개구(41)(141)가 별도로 형성된다. 또, 도 1, 도 2, 도 6 및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재 받이수단(40)(140)은 몸체 (25)(125)의 제 1슬릿(44)(144)에 끼워져 종축선(21)(12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탭(42)(142)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탭(42)(142)이 형성되며 각 탭(42)(142)은 원주상에서 서로 상쇄되는 위치에 있고 개구(41)(141)와도 서로 상쇄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각 탭(42)(142)은 캠부재 받이수단(40)(140)의 내측으로 방사상으로 뻗어 있고, 몸체(25)(125)에 형성된 슬릿(44)(45) (46)(47)(144)(145)(146)(147)(148)(149)중의 하나에 끼워진다. 캠부재 받이수단(40) (140)이 몸체(25)(12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므로 탭(42)(142)도 대응되는 슬릿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캠부재 받이수단(40)(140)의 개구(41)(141)및 탭(42)(142)은 캠부재(36)(136)가 몸체(25)(125)에 대하여 압박구역(32) (132)에서 해제구역(33)(133)으로 축이동하는 동안 캠부재(36)(136)를 제 1슬릿(44) (144) 및 다른 슬릿들에 대하여 정렬상태에 있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맨손조작이 가능한 기계공구 척 장치는 몸체의 내측면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몸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박슬리이브를 포함한다. 상기 압박슬리이브는 그 내측면에 캠부재의 일부가 수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캠부재 결합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슬리이브(50)(150는 환형(環形)부재로 이루어지고 몸체(25)(125)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몸체(25)(12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3A, 도 3B, 도 3C,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슬리이브(50)(150)의 내측면은 적어도 캠부재(36)(136)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캠부재 수용면(52)(1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부재 수용면(52)(152)은 몸체(25)(125)의 외측 전체둘레에 대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부재 수용면(52)(152)은 또 압박슬리이브(50)(150)와 몸체(25) (125)간의 상대적인 축이동을 하는 동안 몸체(25)(125)의 캠 포켓(30)(130)을 덮을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도 뻗어 있다. 캠부재 수용면(52)(152)의 깊이는 종축선(21)(12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측정된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캠부재 수용면(52)의 바닥면(53) 깊이는 원주방향 및 압박슬리이브(50)의 내측면 축방향으로 일정하도록 형성하여 몸체(25)의 외측면에 형성된 캠 포켓(30)의 축방향으로의 깊이가 변화가능하도록 해준다.
도 5, 도 8A, 도 8B, 도 8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캠부재 수용면(152)의 바닥면(153) 깊이는 압박슬리이브(50)의 내측면 둘레로는 원주상으로 일정하나, 축방향으로는 변화되도록 하여 몸체(125)의 외측면에 형성된 캠 포켓(130)의 각 구역(132) (133)의 깊이가 일정하도록 해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 수용면(152)은 종축선(121)을 따라 몸체(125)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따라 종축선(121)과 바닥면(153)간의 반경거리가 증가되도록 축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압박슬리이브(150)의 캠부재 수용면(152)의 선단에 보유능선(156)에 의해 분할된 잠금포켓(155)이 형성된다. 잠금포켓(155)은 캠부재(136)가 잠금상태에 있을 때 캠부재(136)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잠금포켓(155)은 압박슬리이브(150)의 내측면 전체 둘레에 형성된다. 또 잠금포켓(155)은 축방향을 따라 캠부재 수용면(152)으로 뻗어 있다.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능선(156)은 종축선(121)으로부터의 반경거리가 바닥면(153)에 비하여 짧으며 보유능선(156)의 양측면은 캠부재(136)의 디텐트(detent)로 작용한다. 또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슬리이브(150)의 선단면(157)이 몸체(125)의 선단면(124)과 동일한 면에 있을 때, 캠부재(136)는 잠금포켓(155)과 캠 포켓(130)의 압박구역(132)에 부분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도 8C에 도시된 상태에서, 척 장치(110)는 공구의 자루(123)를 물고 있는 상태가 되어 의도하는 바의 작업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도 2,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압박슬리이브(50)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채널(55)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슬리이브(50)의 후단 근처에 3개의 잠금채널(55)이 압박슬리이브(50)의 원주상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각 잠금채널(55)은 그 내부에 출몰가능한 잠금부재(61)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잠금부재(61)가 압박슬리이브(50)의 외측면(56)으로 예정된 정도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채널(55)의 표면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이 원추의 바닥은 압박슬리이브(50)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잠금채널(55)은 압박슬리이브(56)의 외측면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된다.
도 2,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몰가능한 각 잠금부재(61)는 볼(ball)과 같은 구형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직경은 압박슬리이브(50)의 내측면에 형성된 잠금채널(55)의 바닥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반면, 각 잠금채널(55)은 압박슬리이브(50)의 외측면으로 개구된 부분은 잠금부재(6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각 잠금부재(61)는 압박슬리이브(50)의 내측면으로부터 잠금채널(55)을 통과하여 압박슬리이브(50)의 외측면(56)으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몸체(25)의 외측면(22)은 적어도 1개의 잠금소켓(34)을 포함하며, 여기에는 잠금부재(61)의 일부가 수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5)의 후단측에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홈 형상을 갖는 잠금소켓(34)이 형성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슬리이브(50)의 선단면(57)이 몸체(25)의 선단면과 동일한 면에 있을 때, 몸체(25)의 잠금소켓(34)은 압박슬리이브(50)의 잠금채널(55)에 일치하게 된다.
각 잠금부재(61)는 압박슬리이브(50)의 잠금채널에 적어도 일부는 위치하고, 도 1 및 도 4A내지 도 4C에 도시된 잠금상태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풀림상태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압박슬리이브(50) 및 잠금부재(61)의 잠금상태에서, 잠금부재(61)는 몸체(25)의 잠금소켓(34)에 적어도 일부가 끼워지게 되어 몸체(25)와 압박슬리이브(50)사이의 상대적인 축kdgid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풀림상태에서는, 잠금부재(61)가 몸체(25)의 잠금소켓(34)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되어 몸체(25)와 압박슬리이브(50) 사이에 상대적인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공구의 자루가 척 장치에 물리는 잠금상태에서 압박슬리이브를 잠그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압박슬리이브를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잠금슬리이브(60)는 압박슬리이브(50)와 동축선상에 위치하고 압박슬리이브(5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슬리이브(60)는 선단(64)과 이 선단의 정반대에 위치한 후단(65)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65)은 잠금면(62)이 형성되어 잠금슬리이브(60)가 도 1 및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잠금상태에 있을 경우 잠금부재(61)가 작동가능하고,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풀림상태에 있을 경우 잠금부재(61)를 풀어주게 된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잠금면(62)은 비스듬한 면, 경사지거나 기울어진 면형상을 이루고 있고, 잠금슬리이브(60) 후단의 자유단에서부터 잠금슬리이브(60)의 내면에 위치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압박슬리이브(50)를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은, 잠금슬리이브(60)와 압박슬리이브(50)사이에 축방향 탄성기구(70)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잠금슬리이브(60)를 압박슬리이브(5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대항하도록 작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탄성기구(70)는 잠금슬리이브(60)를 압박슬리이브(50)에 대하여 잠금슬리이브(60)가 잠금부재(61)에 작용하는 잠금상태가 되도록 해준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재(61)가 잠금소켓(34)과 압박슬리이브(50)의 잠금채널(55)에 각각 부분적으로 위치할 때, 압박슬리이브(50)는 몸체(2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슬리이브(60)는 탄성기구(70)의 힘에 대항하여 도 3A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잠금슬리이브(60)가 잠금부재(61)를 풀어주는 풀림상태로 된다. 축방향 탄성기구(70)가 압축되므로써 잠금슬리이브(60)가 축방향 탄성기구(70)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한 것과 같은 척 장치(10)에서 풀림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척 장치는 비교적 연강으로 만들어진 공구의 자루에 흠집을 내지 않을 정도로 물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척 장치(10)의 특징은 몸체(25)의 슬릿(44)(45)(46)(47)(144)(145)(146)(147)(148)(149)들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슬릿들은 슬릿이 없는 몸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몸체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몸체(25)(125)의 내측면에 형성된 원주형 홈(76)(176)에는 O-링 형태의 방진 씰(75)(175)이 끼워져 있다. 방진 씰(75)(175)은 작동중 발생한 먼지 및 파편들이 축공(20)(12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C 및 도 8A에 도시된 척 장치(10)(110)는 공구의 자루(23)(123)가 몸체(25)(125)의 축공(20)(120) 내에 삽입 또는 이탈이 가능한 풀림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공구의 자루가 축공(20)(120)내에 삽입되면 압박슬리이브(50)(150)는 도 3B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5)(125)에 대하여 몸체(25)(125)의 후단쪽으로 축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의해 캠부재(36)(136)는 캠 포켓(30)(130)의 해제위치(33)(133)로부터 압박위치(32)(132)로 이동하게 된다. 압박슬리이브(50)(150)가 몸체(25)(12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몸체(25)(125)의 후단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3A 및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압박상태가 된다. 도 3A 및 도 8C에 도시된 압박상태에서, 압박슬리이브(50)(150)의 캠부재 결합면(52)(152)은 캠부재(36)(136)를 몸체(25)(125)에 형성된 캠 포켓(30)(130)의 압박위치(32)(132)로 이동시킨다. 캠 포켓(30)(130)의 압박위치(32)(132)에 위치할 때 캠부재(36)(136)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축선(21)(121)쪽으로 방사상으로 압력을 가하므로써 축공(20)(120)의 직경을 감소시키고 공구 자루를 감싸고 있는 몸체(25)(125)를 압박하여 의도하는 바의 작업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정도로 물어주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잠금슬리이브(60)를 해제하고 탄성기구(70)를 잠금슬리이브(60)에 대하여 반대로 작동시켜 잠금부재(60)가 몸체(25)의 잠금소켓(34)에 끼워지도록 하면 척 장치(10)가 압박상태로 잠기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도 5 및 도 8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압박슬리이브(150)를 몸체(125)의 후단쪽으로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캠부재(136)가 취부부(134)와 보유능선(156)에 위치하도록 하면 척 장치(110)는 압박상태로 잠기게 된다. 본 발명은 물론 상술한 급속교환 척 장치를 사용하여 공구날을 구동시키는 모든 전형적인 기계공구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9A 및 도 9B에는 전형적인 기계공구(8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계공구(80)는 도시된 바와 같은 로우터 또는 모든 종류의 박판 정형기와 같은 기계공구 또는 상술한 급속교환 척 장치(10)(110)를 필요로 하는 모든 기계공구를 포함한다.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척 장치(10)(110)는 상술한 나사결합장치 또는 소켓장치와 같은 적당한 잠금장치(59)에 의해 구동스핀들(18)(118)에 결합된다.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척 장치(10)(110)는 구동스핀들(18)(118)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10A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대부분 유사하며 상호 대비되는 부재들은 상술한 실시예의 부호와 100단위의 계수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대비되는 부재들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도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급속교환 척 장치(210)는 원형의 공구 자루를 수용하기 위한 축공(220)이 종축선(221)에 형성된 몸체(225)를 포함한다. 몸체(225)는 몸체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개의 슬릿(244)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슬릿(244)들이 형성된 몸체(225)는 축공(220)에 끼워진 공구자루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수축가능하다.
압박슬리이브(250)는 몸체(225)와 동축선상에 위치하고 몸체(22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압박슬리이브(250)는 도 10A에 도시된 압박 또는 잠금상태와 도 10C에 도시된 해제(풀림)상태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캠부재채널 또는 포켓(230)이 압박슬리이브(250)의 평면(252)과 몸체(225)의 축방향 경사면(231)사이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축방향 평면(252)은 압박슬리이브(250)에 끼워진 금속삽입물(253)에 의해 형성된다. 축방향 경사면(231)은 몸체(225)의 축방향 평면(233)에 인접형성된다. 따라서 캠부재채널 또는 캠 포켓(230)은 제 1방사칫수를 갖는 제 1구역과 제 1방사칫수보다 적은 제 2방사칫수를 갖는 제 2구역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캠부재채널(230)에서 축방향 경사면(231)을 포함하는 제 1구역의 방사칫수는 축방향 평면(233)을 포함하는 제 2구역의 방사칫수보다 크다.
복수개의 회전볼(236)과 같은 캠부재는 압박슬리이브(250)의 축방향이동에 의하여 채널(230)내에서 이동가능하다. 캠부재(236)는 캠부재 받이수단(240)내에서 이동된다. 본 출원인은 12개의 회전볼(236)이 가장 적절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도 10A에 도시된 압박 또는 잠금상태에서, 캠부재(236)는 줄어든 방사칫수를 갖는 캠부재채널(230)의 제 2구역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캠부재(236)는 축방향 슬릿(244)이 형성된 몸체(235)의 부분들을 방사상으로 수축되어 축공(220)에 끼워진 공구자루를 물게 된다.
압박슬리이브(250)가 축방향 전진이동하면 캠부재(236)는 축방향을 따라 전진이동하며 더 큰 반경칫수를 갖는 캠부재채널(230)의 제 1구역으로 진입한다. 이 상태는 도 10C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축방향 슬릿(244)들에 의해서 형성된 몸체(225)의 부분들은 적어도 축공(220)에 끼워진 공구자루가 빠질 수 있는 정도로 방사상으로 팽창된다.
캠부재(236)들은 캠부재채널(230) 내에서 금속삽입물(253)의 축방향 평면(252)과 몸체(225)의 면(233)(231)과 접촉마찰을 하면서 회전하며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캠부재(236)와 표면(252)(231)간의 접촉마찰은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포켓(232)의 더 큰 방사칫수에 있을 때에도 유지되므로써 캠부재(236)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력을 가지면서 압박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한다.
척 장치(210)는 압박슬리이브(250)를 수조작하기 위한 잠금슬리이브(260)를 포함한다. 잠금슬리이브(260)는 압박슬리이브(250)와 동축선상으로 뻗어 있으며 손으로 잡기 위한 환형(環形)의 플랜지(275)가 형성된다. 통상적인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70)가 압박슬리이브(250)의 배면(271)과 잠금슬리이브(260)의 배면(272)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두 슬리이브는 서로 축방향에 대하여 상반되고 척 장치(210)는 압박 또는 잠금상태와 상반되어 있다.
척 장치(210)는 압박 또는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부재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잠금부재는 압박슬리이브(250)에 형성된 잠금채널(255)에 끼워진 회전체(261)를 포함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압박상태에서는 몸체(225)에 형성된 잠금부(234)에 회전체(261)가 둘려져 있다. 잠금슬리이브(260)는 금속삽입물(263)을 포함한다. 이 금속삽입물(263)은 해제상태에서 잠금부(234)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반대에 위치하는 잠금면(262)을 포함한다. 도 10A에 도시된 압박상태에서, 잠금면(262)은 축방향을 따라 회전체(261)의 후방쪽으로 뻗어 있어 금속삽입물(263)의 축방향 평면구역이 회전체(261)에 접촉하므로써 회전체(261)가 잠금부(234)에 머무르게 된다. 이 상태는 금속삽입물(263)의 잠금면(262)이 회전체(261)에 원주방향으로 대응되기 전까지 압박슬리이브(250)가 전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금속삽입물(263)은 그 선단에 쇼울더(280)가 형성된다. 간단히 설명하면, 이 쇼울더(280)는 압박슬리이브(250)에 형성된 쇼울더(281)와 결합하여 압박슬리이브(250)를 축방향을 따라 전진이동시켜준다.
도 10A에 도시된 압박상태로부터 도 10C에 도시된 풀림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잠금슬리이브(260)의 환형 플랜지(271)를 잡아당겨 탄성기구(270)에 대항하여 축방향을 따라 전진시키면 된다. 도 10B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잠금슬리이브(260)는 금속삽입물(263)의 잠금면(262)이 회전체(261)에 원주방향으로 대응될 때까지 당겨져 전진된다. 동시에, 금속삽입물(263)의 쇼울더(280)는 압박슬리이브(250)의 쇼울더(281)에 접촉하여 잠금슬리이브(250)가 전방으로 더 이동하므로써 회전체(261)를 원주방향의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잠금면(262)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으로 위치시키며, 압박슬리이브(250)를 잠금슬리이브(260)와 함께 축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된다. 압박슬리이브(250)의 축방향 전진은 표면(252)(233) 및 (231)사이의 접촉마찰에 의하여 캠부재(236)를 회전시켜 축방향을 따라 전진이동시킨다. 캠부재(236)는 몸체(225)에 형성된 축방향 경사면(231)에 의해 형성된 캠부재채널(230)내에서 축방향을 따라 전진한다. 이는 도 10C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축방향 슬릿(244)들에 의하여 형성된 몸체(225)의 부분들은 축공(220)에 끼워진 공구자루가 빠질 정도가 되도록 방사상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척 장치(210)로부터 공구를 간단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
공구를 척 장치(210)에 삽입하여 물리기 위한 조작은 간단하다. 먼저, 도 10C에 도시된 상태와 같은 척 장치(210)에 공구자루를 축공(220)에 끼운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잠금슬리이브(260)를 축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밀면 금속삽입물(263)의 쇼울더(283)가 회전체(261)에 결합되므로 압박슬리이브(250)도 축방향을 따라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261)가 잠금부(234)로 이동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한다. 회전체(261)가 잠금부(234)까지 이동하면 잠금슬리이브(260)는 압박슬리이브(250)에 대하여 독립되게 후방으로 이동하여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삽입물(263)의 평면구역이 잠금부(234)에 있는 회전체(261)를 잠궈주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잠금슬리이브(260)와 압박슬리이브(250)가 축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며, 캠부재수용부재(240)내에 있는 캠부재(236)들은 축소된 방사칫수를 갖는 캠부재채널(230)의 제 2구역으로 축방향을 따라 마찰되면서 후진한다. 이 상태에서 캠부재(236)는 축방향슬릿(244)에 의하여 형성된 몸체(225)의 부분들을 방사상으로 수축시키므로써 축공(220)에 끼워진 공구자루를 물게 된다.
본 발명은 공구날이 회전하는 방식으로 된 모든 종류의 기계공구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비교적 고속회전식 로우터 또는 박판 정형기 등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본 발명의 범위와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모방과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계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표현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교체와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의 모방과 변형도 포함한다.
Claims (36)
-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공구 자루를 수용하기 위한 급속교환 척 장치로서, 종축선과 이 종축선에 형성되어 둥근 공구 자루를 수용하기 위한 축공이 형성되고, 선단과 이 선단의 정반대에 위치한 후단을 갖고,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슬릿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와 동축선상에 위치하고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박슬리이브;상기 몸체와 압박슬리이브의 대응되는 면사이에 형성되고 제 1방사폭을 갖는 제 1구역과 이 제 1구역의 제 1방사폭보다 좁은 제 2방사폭을 갖는 제 2구역을 갖는 축방향으로 뻗은 캠부재채널; 및상기 압박슬리이브의 축방향이동에 의해 상기 캠부재채널 내에서 축공에 끼워진 공구자루를 물기 위하여 축공의 직경이 축소되도록 몸체가 방사상으로 수축되는 제 2구역의 압박상태로부터 축공에 끼워진 공구자루를 해제하기 위하여 축공의 직경이 증가되도록 몸체가 방사상으로 팽창되는 제 1구역의 풀림상태까지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캠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채널이 형성된 몸체의 표면에는 상기 캠부재채널의 제 1구역의 종축선을 따라 경사진 축방향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채널을 형성하는 상기 압박슬리이브의 면은 상기 축방향 경사면에 대항하는 축방향 평면을 포함하며, 이 축방향 평면은 상기 캠부재와 마찰을 갖도록 접촉되어 압박슬리이브를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캠부재를 캠부재채널의 제 1구역과 제 2구역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평면은 압박슬리이브에 끼워진 금속삽입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캠부재채널내에 위치한 회전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 채널은 몸체의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는 상기 채널내에 배치된 복수개의 회전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는 몸체와 압박슬리이브사이에 동축선상으로 설치된 캠부재 수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볼은 이 수용부재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개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는 압박슬리이브에 대하여 동축선상에 배치되고 압박슬리이브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수조작에 의하여 이동이 가능한 잠금슬리이브를 더 포함하며, 이 잠금슬리이브는 수조작에 의하여 압박위치와 해제위치사이에서 압박슬리이브를 이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척 장치는 잠금슬리이브와 압박슬리이브사이에는 탄성기구가 설치되어 잠금슬리이브가 탄성기구의 힘에 대항하여 압박슬리이브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는 잠금슬리이브의 작동에 의하여 잠김슬리이브를 압박슬리이브에 대하여 압박위치에서 해제가능하도록 잠글 수 있고 압박위치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압박슬리이브에 의하여 이동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며, 이 회전체는 압박슬리이브의 압박상태에서는 몸체에 형성된 보유능선에 위치하고, 잠금슬리이브에 의하여 상기 보유능선으로부터 빠져나와 압박슬리이브를 풀림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슬리이브는 손으로 잡기위한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잠금슬리이브는 플라스틱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공구자루를 수용하기 위한 급속교환 척 장치로서,종축선과 이 종축선에 형성되어 둥근 공구자루를 수용하기 위한 축공이 형성되고, 선단과 이 선단의 정반대에 위치한 후단을 갖고,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슬릿이 형성된 몸체;상기 몸체와 동축선 상에 위치하고 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적어도 1개의 캠부재결합면을 갖는 내측면이 형성된 압박슬리이브; 및압박상태에서 캠부재결합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몸체에 대하여 반경방향내측으로 힘을 가하여 축공에 끼워진 공구 자루를 물기 위하여 축공의 직경이 축소되고, 해제상태에서 캠부재결합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압력을 감소시켜 상대적으로 축공의 직경을 팽창시켜 공구 자루를 해제하는 적어도 1개의 캠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축방향으로 뻗은 캠 포켓이 선단측에 형성된 외측면을 포함하며, 이 캠 포켓은 적어도 캠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캠 포켓은 몸체의 원주방향 둘레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캠 포켓은 기울어진 바닥면으로 형성되는데, 이 바닥면은 후단의 얕은 부분으로부터 선단의 깊은 부분까지 바닥면과 종축선간이 반경거리가 감소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는 몸체와 압박슬리이브사이에 동축선상으로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환형의 캠부재 받이수단을 포함하며, 이 캠부재 받이수단에는 캠부재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는 상기 캠부재 받이수단에 형성된 탭과 몸체에 형성된 제 1슬릿에 의하여 캠부재가 압박상태에서 해제상태까지의 축방향이동시 제 1슬릿에 대하여 정렬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는 몸체에 대하여 동축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압박슬리이브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잠금슬리이브를 더 포함하며, 이 잠금슬리이브는 선단과 이 선단의 정반대에 위치하고 잠금부재에 결합되는 후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는 압박슬리이브와 잠금슬리이브사이에 설치되어 잠금슬리이브를 압박슬리이브에 대하여 서로 축방향에 대하여 상반되도록 하여 잠금슬리이브가 잠금부재를 동작시키는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는 축방향 탄성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슬리이브는 상기 탄성기구의 힘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잠금슬리이브가 잠금부재를 해제시키는 풀림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잠금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1개의 잠금소켓이 형성된 외측면을 갖고, 압박슬리이브는 작금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잠금채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는 압박슬리이브의 잠금채널에 배치되어 잠금상태와 풀림상태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1개의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재는 잠금상태에서 몸체의 잠금소켓의 적어도 일부에 힘을 가하여 몸체와 압박슬리이브간의 상대적인 축방향이동을 방지하고, 풀림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는 몸체의 잠금소켓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어 몸체와 압박슬리이브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는 압박슬리이브와 잠금슬리이브사이에 설치되어 잠금슬리이브를 압박슬리이브에 대하여 서로 축방향에 대하여 상반되도록 하여 잠금슬리이브가 잠금부재를 동작시키는 잠금상태가 되도록 하는 축방향 탄성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슬리이브는 상기 탄성기구의 힘에 대항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잠금슬리이브가 잠금부재를 해제시키는 풀림상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는 구동스핀들에 접속시키기 위한 결합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구는 수나사가 형성된 구동스핀들과 결합되기 위하여 몸체의 후단에 암나사가 형성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구는 암나사가 형성된 구동스핀들과 결합되기 위하여 몸체의 후단에 수나사가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구는 테이퍼진 결합부가 형성된 구동스핀들에 결합되기 위하여 몸체의 후단에 형성된 테이퍼형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구는 상기 몸체를 구동스핀들에 잠궈주기 위한 잠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는 나사 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구는 기계공구의 구동스핀들에 자동으로 장착하기 위한 장착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기구는 일련의 토르소(torx) 헤드 툴, 알렌(Allen) 헤드 툴 및 장방형(square) 헤드 툴을 수용하는 적어도 1개의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척 장치는 캠 포켓의 분할면에 형성된 보유능선을 포함하며, 상기 분할면은 몸체의 후단에 근접위치하는 압박구역과 몸체의 선단에 근접위치하는 해제구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슬리이브는 선단과 이 선단의 정반대에 위치한 후단을 갖고, 상기 압박슬리이브의 캠부재 결합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사면은 종축선을 따라 압박슬리이브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진행할 때 경사면과 종축선간의 반경거리가 증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슬리이브는 잠금슬리이브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상기 압박슬리이브의 후단으로부터 보유능선에 의하여 분리되며, 상기 캠부재가 잠금상태일 경우 캠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1개의 잠금포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교환 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66684796A | 1996-06-19 | 1996-06-19 | |
US8/666847 | 1996-06-19 | ||
US08/808,890 US5810366A (en) | 1996-06-19 | 1997-02-28 | Tool-less machine tool chuck |
US8/808890 | 1997-02-28 | ||
US8/808,890 | 1997-02-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35925A true KR19990035925A (ko) | 1999-05-25 |
Family
ID=2709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0586A KR19990035925A (ko) | 1996-06-19 | 1997-06-13 | 맨손조작이가능한기계공구척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5810366A (ko) |
EP (1) | EP0850118A4 (ko) |
JP (1) | JPH11511699A (ko) |
KR (1) | KR19990035925A (ko) |
CN (1) | CN1087986C (ko) |
AU (1) | AU724736B2 (ko) |
BR (1) | BR9702297A (ko) |
CA (1) | CA2216781A1 (ko) |
WO (1) | WO1997048513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6702B1 (ko) * | 2018-09-06 | 2020-03-09 | 주식회사 다인정공 | 절삭공구 홀더용 콜렛 |
KR20230067942A (ko) | 2021-11-10 | 2023-05-17 | 박승국 | 접착식 일회용 정조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51024A (en) * | 1997-08-11 | 1999-09-14 | Power Tool Holders Incorporated | Enhanced grip tool holding chuck |
US5947484A (en) * | 1997-09-03 | 1999-09-07 | Power Tool Holders Incorporated | Quick-change chuck device |
US6126370A (en) * | 1998-07-22 | 2000-10-03 | Black & Decker Inc. | Removable tool holder |
US5988957A (en) * | 1998-12-21 | 1999-11-23 | Black & Decker Inc. | Quick clamp |
ES2219370T3 (es) * | 1999-07-21 | 2004-12-01 | Black & Decker Inc. | Portabrocas accionable a motor. |
US6244797B1 (en) * | 1999-10-27 | 2001-06-12 | Black & Decker Inc. | Router keyless chuck |
US6688610B2 (en) | 2000-05-12 | 2004-02-10 | Power Tool Holders Incorporated | Chuck with quick change |
US6533291B2 (en) | 2001-02-14 | 2003-03-18 | Power Tool Holders Incorporated | Chuck having quick change mechanism |
US6834864B2 (en) * | 2001-10-24 | 2004-12-28 | Power Tool Holders Incorporated | Chuck having quick change mechanism |
US6929266B2 (en) * | 2002-06-18 | 2005-08-16 | Black & Decker Inc. | Bit holder |
US6908264B1 (en) | 2002-11-06 | 2005-06-21 | William P. Gundy | Quick change drill bit |
US20040155414A1 (en) * | 2003-02-10 | 2004-08-12 | Baldwin Paul L. | Multidrive quick change chuck |
DE50307479D1 (de) * | 2003-11-14 | 2007-07-26 | A & M Electric Tools Gmbh | Werkzeugkopf eines Elektrowerkzeuges, insbesondere eines Bohrschraubers |
DE102004003778B4 (de) * | 2004-01-23 | 2008-01-31 | Robert Schröder GmbH & Co. KG | Spannfutter |
HK1073213A2 (en) * | 2004-07-20 | 2005-09-23 | Choon Nang Elec Appl Mfy Ltd | Power tool with tool bit holder operator. |
EP1791668B1 (en) * | 2004-09-24 | 2012-11-07 | Black & Decker Inc. | Tool free collet assembly |
EP1772422A1 (en) * | 2005-10-04 | 2007-04-11 | Adcor Industries, Inc. | Capping device with quick release mechanism |
US20070125211A1 (en) * | 2005-12-01 | 2007-06-07 | Hilgendorf Dennis J | Case cutter assembly |
US7740249B1 (en) * | 2006-05-01 | 2010-06-22 | Bradshaw Medical, Inc. | Holder for replaceable tools |
US20070290458A1 (en) * | 2006-06-15 | 2007-12-20 | Shun-Yuan Chuang | Replaceable adapter for an electric hand tool |
US8061718B2 (en) * | 2007-07-27 | 2011-11-22 | Robert Bosch Gmbh | Toolless bitholder for spiral saws |
DE102007036144A1 (de) * | 2007-08-02 | 2009-02-05 |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 Schnellwechselsystem |
US8261517B2 (en) * | 2008-02-19 | 2012-09-11 | Keefer Neal L | Fuel cap |
US20100186559A1 (en) * | 2009-01-24 | 2010-07-29 | Kun-Chen Chen | Multi-use, interchangeable tool |
US8011444B2 (en) * | 2009-04-03 | 2011-09-06 | Ingersoll Rand Company | Spindle locking assembly |
CA2800778C (en) * | 2009-06-01 | 2017-01-31 | Edward John Rohr, Jr. | Bi-directional quick change tool-less lever and wedge actuated collet chuck, system and/or method for using the same |
CN101780577B (zh) * | 2009-11-12 | 2012-09-19 | 无锡恒富科技有限公司 | 割炬升降机构 |
US8967209B2 (en) * | 2012-03-29 | 2015-03-03 | Superior Power Tool Co., Ltd. | Adapter structure for a gas fuel bottle |
CN107869505A (zh) * | 2012-09-26 | 2018-04-03 | 艾克塞斯产品集团有限责任公司 | 快速释放连接器 |
CN104175247B (zh) * | 2013-05-24 | 2017-04-19 | 上海新跃仪表厂 | 一种夹头装置 |
US9999931B2 (en) | 2013-05-30 | 2018-06-19 | Schaublin Sa | Locking mechanism for a collet assembly |
JP6479388B2 (ja) * | 2014-09-29 | 2019-03-06 | Ntn株式会社 | チャック構造 |
US10351193B2 (en) | 2015-08-07 | 2019-07-16 | Humanchine Company | Holding device for positional control of a shaft |
US10850358B2 (en) * | 2018-11-30 | 2020-12-01 | G.A.W. Inc. | Spindle locking apparatus for a rotary power tool |
CN109994909B (zh) * | 2019-03-29 | 2024-07-05 | 浙江宏日自动化科技有限公司 | 电线夹子套管机 |
DE102021131072B3 (de) * | 2021-11-26 | 2023-02-23 | Schmoll Maschinen Gmbh | Komponenten einer Werkzeugmaschine zur (automatisierten) Spannzangenwartung und -reinigung |
US12109633B1 (en) * | 2023-05-08 | 2024-10-08 | Carr Lane Manufacturing Company | Integrated toolless clamp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7632A (en) * | 1917-04-12 | 1917-05-29 | Per Gustaf Lagerbaeck | Socket for drills with conical shafts. |
US1265707A (en) * | 1917-07-06 | 1918-05-07 | Nils Gustaf Berglund | Drill-chuck. |
GB135693A (ko) * | 1919-07-15 | |||
US1636421A (en) * | 1925-08-10 | 1927-07-19 | Warren E Knott | Chuck |
GB587871A (en) * | 1945-01-24 | 1947-05-07 | George William Gravell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hucks or like rotary tool or work holding devices |
US2860883A (en) * | 1956-11-08 | 1958-11-18 | Seally Jones And Company | Quick change chuck |
US2843388A (en) * | 1956-12-14 | 1958-07-15 | Edward J Butler | Self-tightening reversible chuck |
US2926020A (en) * | 1958-01-02 | 1960-02-23 | Pacific Tool And Mfg Co | Quick-change chuck |
US3070380A (en) * | 1958-11-20 | 1962-12-25 | Holmberg Arne | Clamping device |
US3727928A (en) * | 1970-10-02 | 1973-04-17 | Erickson Tool Co | Collet chuck |
DE2101679A1 (de) * | 1971-01-15 | 1972-08-10 | Bilz Otto Werkzeug | Schnellwechselfutter mit dann einsetzbarer, das Werkzeug aufnehmender Stellhulse |
JPS5531516A (en) * | 1978-08-18 | 1980-03-05 | Kazuichi Ito | Automatic chuck |
US4395051A (en) * | 1980-02-20 | 1983-07-26 | Kabushiki Kaisha Fujikoshi | Quick-change holder |
US4513980A (en) * | 1981-01-19 | 1985-04-30 | Kruse William C | Chuck collet |
US4525111A (en) * | 1982-09-27 | 1985-06-25 | Gutsche Gunter E | Slide-on rotary tools |
US4570952A (en) * | 1984-05-25 | 1986-02-18 | Thomas Heimbigner | Fluid collet chuck |
US4692073A (en) * | 1985-02-25 | 1987-09-08 | Martindell J Richard | Handle adapter and chuck apparatus for power bits |
JPS61172722U (ko) * | 1985-04-16 | 1986-10-27 | ||
US4721423A (en) * | 1986-10-07 | 1988-01-26 | Daishowa Seiki Kabushiki Kaisha | Chuck |
US4808049A (en) * | 1987-08-13 | 1989-02-28 | Cook Harold D | Cam actuated collet tool holder |
US4867463A (en) * | 1988-09-02 | 1989-09-19 | Eaton Leonard Technologies, Inc. | Quick release collet |
US4902177A (en) * | 1988-10-27 | 1990-02-20 | Terry K. Aitkens | Rapid change tool cutter and driving system |
US5096212A (en) * | 1989-08-14 | 1992-03-17 | Walsh Joseph P | Chuck for power tools |
US4989887A (en) * | 1990-06-15 | 1991-02-05 | Jacobs Chuck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center of a collet |
DE9115854U1 (de) * | 1991-12-20 | 1992-02-20 | Otto Bilz, Werkzeugfabrik Gmbh & Co, 7302 Ostfildern | Spannfutter für Werkzeuge, Werkstücke o. dgl. |
US5193824A (en) * | 1992-08-07 | 1993-03-16 | Jacobs Chuck Technology Corp. | Chuck having a drive bit socket |
US5464229A (en) * | 1994-05-26 | 1995-11-07 | Power Tool Holders, Inc. | Quick release chuck device |
-
1997
- 1997-02-28 US US08/808,890 patent/US5810366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6-13 CN CN97190668A patent/CN1087986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6-13 JP JP10503127A patent/JPH11511699A/ja active Pending
- 1997-06-13 BR BR9702297A patent/BR9702297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6-13 AU AU33895/97A patent/AU724736B2/en not_active Ceased
- 1997-06-13 KR KR1019980700586A patent/KR1999003592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6-13 CA CA002216781A patent/CA2216781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7-06-13 EP EP97929955A patent/EP0850118A4/en not_active Withdrawn
- 1997-06-13 WO PCT/US1997/010183 patent/WO1997048513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6702B1 (ko) * | 2018-09-06 | 2020-03-09 | 주식회사 다인정공 | 절삭공구 홀더용 콜렛 |
KR20230067942A (ko) | 2021-11-10 | 2023-05-17 | 박승국 | 접착식 일회용 정조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11511699A (ja) | 1999-10-12 |
AU724736B2 (en) | 2000-09-28 |
EP0850118A1 (en) | 1998-07-01 |
AU3389597A (en) | 1998-01-07 |
EP0850118A4 (en) | 2001-04-18 |
CN1087986C (zh) | 2002-07-24 |
CA2216781A1 (en) | 1997-12-19 |
US5810366A (en) | 1998-09-22 |
CN1195309A (zh) | 1998-10-07 |
BR9702297A (pt) | 1999-01-12 |
WO1997048513A1 (en) | 1997-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90035925A (ko) | 맨손조작이가능한기계공구척 | |
US5464229A (en) | Quick release chuck device | |
US8132990B2 (en) | Bit holding apparatus for use with a power tool | |
KR920005111B1 (ko) | 보우링 및 끌 공구용 공구 손잡이 | |
US7374377B2 (en) | Bit holding apparatus for use with a power tool | |
US5678961A (en) | Quick change adapter | |
US4858939A (en) | Bit retention and release mechanism | |
US5755448A (en) | Quick release chuck device | |
WO1997048513A9 (en) | Tool-less machine tool chuck | |
CA1290929C (en) | Self-gradually locking chuck | |
US3521895A (en) | Tool holder | |
US5470180A (en) | Reversible drill/driver tool | |
US5577743A (en) | Quick release chuck device | |
US4856797A (en) | Chuck for gripping a workpiece | |
US5340248A (en) | Mechanical chuck with clamp for pulling tool shank to tightly clamped position | |
US4865336A (en) | Apparatus for securing a cutting tool in a tool holder and machine tools employing the same | |
GB2173729A (en) | Tool for screw threaded fasteners | |
JPH08325B2 (ja) | 工具チャック | |
US5820135A (en) | Counter centrifugal chuck and mounting systems | |
US6517297B2 (en) | Chuck and assembly with bit | |
US4767246A (en) | Quick-release tool holding device | |
US5511801A (en) | Integrated collet and chuck device | |
US6247705B1 (en) | Manual tightened chuck | |
WO1995032830A1 (en) | Quick release chuck device | |
US3782741A (en) | Unitary, double ended chuck or coupl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