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727U - 아궁이형 보일러 - Google Patents

아궁이형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727U
KR19990035727U KR2019980001369U KR19980001369U KR19990035727U KR 19990035727 U KR19990035727 U KR 19990035727U KR 2019980001369 U KR2019980001369 U KR 2019980001369U KR 19980001369 U KR19980001369 U KR 19980001369U KR 19990035727 U KR19990035727 U KR 199900357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boiler
outside
water supply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열
Original Assignee
전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창열 filed Critical 전창열
Priority to KR2019980001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727U/ko
Publication of KR199900357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727U/ko

Links

Landscapes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작이나 석탄 등을 태워서 건물에 난방을 하는 아궁이형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A)의 상부에 급수실(1)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내열벽으로 된 연소실(2)을 형성하여 급수실(1)의 상부에 급수관(101)을 형성하고 저면엔 난방용가열관(3)을 돌출시켜 연소실(2) 내부에서 일정 길이만큼 진행한 후 그 끝을 보일러(A)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연소실(2) 외부에서 투입된 온수용가열관(4)도 연소실(2) 내부에서 일정 길이만큼 진행한 후 다시 외부로 배출시키며 연소실(2) 상부에는 급수실(1)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연통(201)을 형성하고 연소실(2)의 전면에는 확인창(501)이 부설된 개폐문(5)에 의해 개방되는 투입구(202)를 형성하고 그 아래에는 외부로 슬라이딩 되도록 재받침함(6)을 형성하여 재받침함(6)의 상부에 봉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서 된 적재대(601)를 구비하고 전면 하단에는 문(602)으로 개폐되는 통기구(603)를 형성하므로서 난방효율을 높여 건물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으며 보일러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여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여러 가지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연료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궁이형 보일러
본 고안은 장작이나 석탄 등을 태워서 건물에 난방을 하는 아궁이형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 상부에 급수실을 갖추고 급수실에서 연소실을 통과하는 가열관을 갖춘 보일러에 개폐문을 갖춘 투입구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연소실 내부에 장작이나 석탄을 넣고 태워서 가열관을 따라 순환되는 물을 가열할수 있게 한 것이다.
IMF의 영향과 이로인해 유류가격의 상승으로 일반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름보일러가 점차 그 인기를 잃고 값싼 연료로 난방을 할 수 있는 보일러를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연탄보일러나 각종 인화물질을 연소시켜 난방을 할 수 있는 아궁이형 보일러를 찾는 사람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아궁이형 보일러는 연소실의 둘레에 급수실을 마련하고 급수실의 상부에 물순환관을 형성하여 연소실에서 장작이나 석탄 등을 태우면 급수실 하부의 물이 뜨거워져 이 물이 급수실의 상부로 자연스럽게 상승하고 이 상승된 물이 건물에 순환되어 건물에 난방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급수실 내부의 물을 전체적으로 데워야 난방이 가능하여 난방효율이 크게 떨어질 뿐 만 아니라 연소실 내부를 청소하기가 힘들어 보일러의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보일러의 상부에 급수실을 형성하고 급수실의 저면으로 가열관을 돌출시켜 이 가열관이 연소실 내부를 일정 길이만큼 통과한 후 건물에 부설된 물순환관과 연결시켜 순환펌프를 통해 급수실의 물을 위에서 아래로 강제 순환시키므로서 난방효율을 높여 물순환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보일러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게 하여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보일러 1 : 급수실
101 : 급수관 2 : 연소실
201 : 연통 202 : 투입구
3 : 난방용가열관 4 : 온수용가열관
5 : 개폐문 501 : 확인창
6 : 재받침함 601 : 적재대
602 : 문 603 : 통기구
보일러(A)의 상부에는 급수실(1)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내열벽으로 된 연소실(2)을 형성하여 급수실(1)의 상부에 급수관(101)을 돌출시키고 저면에는 난방용가열관(3)을 돌출시켜 연소실(2) 내부에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일정 길이만큼 꼬인 후 그 끝을 보일러(A)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연소실(2) 외부에서 투입된 온수용가열관(4)도 연소실(2) 내부에서 일정 길이만큼 꼬인후 다시 외부로 배출시키며 연소실(2) 상부에는 연통(201)을 형성하여 급수실(1)을 관통해 외부로 연통되게 하고 연소실(2)의 일측벽에는 확인창(501)이 부설된 개폐문(5)에 의해 개방되는 투입구(202)를 형성하고 그 아래에는 외부로 슬라이딩 되도록 재받침함(6)을 형성하여 재받침함(6)의 상부에 봉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서 된 적재대(601)를 구비하고 전면 하단에는 문(602)으로 개폐되는 통기구(603)를 형성하여서 된 구조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확인창(501)이 부설된 개폐문(5)을 열고 투입구(202)를 통해 장작이나 석탄, 갈탄 등의 각종 연료를 넣은 후 이들을 연소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연소실(2)의 상부에는 급수실(1)을 형성하고 그 급수실(1)의 저면으로 난방용가열관(3)을 형성하여 이 난방용가열관(3)을 일정 길이만큼 연소실(2) 내부에서 코일스프링형상으로 꼬으므로서 열의 전달면적을 높임과 동시에 연료의 연소에 의해서 발생한 열이 가열관에 직접 전달되므로 열효율이 높아 건물 내부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으며 연소실의 외부에서 투입된 온수용가열관이 난방용가열관이 꼬인 내부공간에서 꼬여서 외부로 배출되게 하므로서 온수용가열관과 난방용가 열관을 동시에 가열할 수 있게된다.
또한, 연소실(2)의 하부에는 봉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서 된 적재대(601)를 구비한 재받침함(6)을 설치하여 투입구(202)를 통해 투입된 연료는 재받침함(6)의 상부에 형성된 적재대(601)에서 연소되고 연소중에 발생한 재나 각종 분진등은 봉과 봉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져 재받침함(6)에 쌓이게 되는데 이 재받침함(6)은 보일러(A) 외부로 슬라이딩되어 배출되므로 보일러(A) 가동후에 부산물을 처리하기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보일러 내부를 청소하기가 용이하며 재받침함(6)의 전면 하단에는 문(602)으로 개폐되는 통기구(603)가 형성되어 연료가 잘 타지 않을 때 통기구(603)를 개방하게되면 통기구(603)로 유입된 공기가 상부로 올라가면서 적재대(601)에서 연소되는 연료의 연소를 촉진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난방효율을 높여 건물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으며 보일러 내부의 재나 여러 가지 찌꺼기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어 보일러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여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여러 가지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어 연료비를 크게 절감하므로서 가계 경제에 큰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보일러(A)의 상부에는 급수실(1)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내열벽으로 된 연소실(2)을 형성하여 급수실(1)의 상부에 급수관(101)을 돌출시키고 저면에는 난방용가열관(3)을 돌출시켜 연소실(2) 내부에서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일정 길이만큼 꼬인 후 그 끝을 보일러(A)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연소실(2) 외부에서 투입된 온수용가열관(4)도 연소실 내부에서 일정 길이만큼 꼬인후 다시 외부로 배출시키며 연소실(2) 상부에는 연통(201)을 형성하여 급수실(1)을 관통해 외부로 연통되게 하고 연소실(2)의 일측벽에는 확인창(501)이 부설된 개폐문(5)에 의해 개방되는 투입구(202)를 형성하고 그 아래에는 외부로 슬라이딩 되도록 재받침함(6)을 형성하여 재받침함(6)의 상부에 봉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서 된 적재대(601)를 구비하고 전면 하단에는 문(602)으로 개폐되는 통기구(603)를 형성하여서 된 아궁이형 보일러
KR2019980001369U 1998-02-02 1998-02-02 아궁이형 보일러 KR199900357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369U KR19990035727U (ko) 1998-02-02 1998-02-02 아궁이형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369U KR19990035727U (ko) 1998-02-02 1998-02-02 아궁이형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727U true KR19990035727U (ko) 1999-09-15

Family

ID=6971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369U KR19990035727U (ko) 1998-02-02 1998-02-02 아궁이형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72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765A (ko) * 2002-03-29 2002-04-25 최현식 수증기 보일러
KR100795366B1 (ko) * 2007-10-26 2008-01-17 염진혁 찜질실용 난방기
KR101248480B1 (ko) * 2012-02-01 2013-04-02 안병연 아궁이에 삽입되는 보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765A (ko) * 2002-03-29 2002-04-25 최현식 수증기 보일러
KR100795366B1 (ko) * 2007-10-26 2008-01-17 염진혁 찜질실용 난방기
KR101248480B1 (ko) * 2012-02-01 2013-04-02 안병연 아궁이에 삽입되는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397B1 (ko) 화목보일러
KR200225845Y1 (ko) 목재용 온수보일러
KR100673620B1 (ko) 연탄보일러의 난방수 및 온수 공급장치
KR19990035727U (ko) 아궁이형 보일러
KR20110080431A (ko) 펠렛 보일러
KR101941406B1 (ko) 나선형구조의 물집이 구비된 화로형 보일러
KR200338925Y1 (ko) 화목 및 갈탄 보일러
KR200385433Y1 (ko) 다목적 난방기
KR200186320Y1 (ko) 목재연소 보일러
KR100319649B1 (ko) 보일러
KR101045581B1 (ko) 난로 겸용 보일러
CN2187275Y (zh) 一种炉灶
KR200412325Y1 (ko) 보일러
CN2503375Y (zh) 悬空胆燃煤家用炉
KR200215927Y1 (ko) 목재용 보일러의 연소구조
KR200315683Y1 (ko) 보일러의 연소실구조
KR900001956Y1 (ko) 석유 및 가스연소기용 온수 보일러
CN2373702Y (zh) 一种双胆多功能炉
KR800001566Y1 (ko) 취사 겸용 온수 보일러
KR870001688Y1 (ko) 온수 보일러
KR200215966Y1 (ko) 목재를 연료로 하는 난방용 온수 보일러
KR900010503Y1 (ko) 보일러
AU2002302185B2 (en) A storage water heater with reduced heat maintenance rate
CN2280877Y (zh) 多层水套家用节煤采暖锅炉
KR820001710Y1 (ko) 열 순환식 온수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