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497A -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497A
KR19990035497A KR1019970057303A KR19970057303A KR19990035497A KR 19990035497 A KR19990035497 A KR 19990035497A KR 1019970057303 A KR1019970057303 A KR 1019970057303A KR 19970057303 A KR19970057303 A KR 19970057303A KR 19990035497 A KR19990035497 A KR 19990035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abinet
door
upper hinge
gu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57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497A/ko
Publication of KR19990035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497A/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상부 힌지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중간 칸막이(11)를 통해 냉동실(20)과 냉장실(30)로 구획 형성되며, 내부에는 식품류의 수납을 위한 선반(40) 및 포켓(50)이 마련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캐비닛(10)의 전면에 위치되는 상,하부 도어(60,70)와; 상부 도어(6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힌지홈(111)이 형성된 도어 캡(110)과; 캐비닛(10)의 일측면에 복수의 고정 스크류(S)를 통해 고정판(121)과, 이 고정판(121)의 타측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도어 캡(110)의 힌지 홈(111)에 삽입되는 가이더(122)를 갖는 상부 힌지(120);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상부도어가 힌지 결합되는 상부 힌지가 사출물로 성형됨으로써 프레스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도어 캡과 상부 힌지가 2중으로 힌지 결합됨으로써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되어 상부 도어의 처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상부 힌지 조립체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개방 시키고 있는 상부도어의 상면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는 상부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을 갖는 캐비닛(10)을 구비한다.
이 캐비닛(10)은, 대략 중심면에 설치되는 중간 칸막이(11)를 통해 식품류를 냉동 및 냉장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20) 및 냉장실(30)로 구획 형성되며, 특히 이 각각의 냉동실(20) 및 냉장실(30) 상에는 식품류의 원활한 수납을 위하여 다수의 선반(40) 및 포켓(focket;50)등이 마련된다.
한편, 이와같이 중간 칸막이(11)를 통해 구획 형성된 냉동실(20) 및 냉장실(30)는 캐비닛(10)의 전면에 위치되는 상,하부 도어(60,70)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진다.
이때 상,하부 도어(60,70)를 통해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하부 도어(60,70)는, 복수의 힌지 조립체를 통해 즉, 상부 힌지 조립체와, 중간 힌지 조립체 및 하부 힌지 조립체를 통해 캐비닛(10)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캐비닛(10)의 대략 후면 중심부에 위치되는 중간 힌지 조립체상에 상부 도어(60)의 하면과, 하부 도어(70)의 상면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부 도어(60)의 상면은 상부 힌지 조립체에 그리고 하부 도어(70)의 하면은 하부 힌지 조립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도 2에는 이와같은 복수의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 특히 상부도어(40)의 상면이 결합되는 상부 힌지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캐비닛(10)의 전면 상측에는 프레스(press) 성형된 금속재의 힌지체(1)가 복수개의 고정나사(s)를 통해 고정 설치되며, 이 힌지체(1)의 전면 일측 하면에는 상부도어(40)의 상면에 형성된 힌지홈(40a)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2)이 연장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상부 힌지 조립체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힌지체(1)가 금속을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플라스틱 사출물에 비하여 단가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둘째, 힌지체(1)의 힌지축(2)과 상부 도어(40)의 힌지 결합부위가 매우 취약함으로써, 장시간 경과시 상부 도어(40)가 하방으로 처짐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셋째, 금속재의 힌지축(2)을 중심으로 상부 도어(40)가 회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힌지 결합부위에 크랙이 발생되거나 또는 도장(塗裝)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플라스틱물을 통해 힌지를 성형할 수 있어 단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상부 도어의 처짐과 힌지 결합부위의 손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의 상부 힌지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상부 힌지 조립체는, 중간 칸막이를 통해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 형성되며, 내부에는 식품류의 수납을 위한 선반 및 포켓이 마련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냉동실 및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캐비닛의 전면에 위치되는 상,하부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힌지홈이 형성된 도어 캡과;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에 복수의 고정 스크류를 통해 고정판과, 이 고정판의 타측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 캡의 힌지 홈에 삽입되는 가이더를 갖는 상부 힌지;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상부 힌지 조립체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힌지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캐비닛 11 : 중간 칸막이
20 : 냉동실 30 : 냉장실
40 : (복수의)선반 50 : 포켓
60,70 : 상,하부 도어 100 : 상부 힌지 조립체
110 : 도어 캡 111 : 힌지홈
111a : 보조 가이더 120 : 상부 힌지
121 : 고정판 122 : 가이더
122a : 보조 힌지홈 S : 고정 스크류
이와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힌지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결합 단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사각틀 형상을 갖는 캐비닛(10)을 구비한다.
이 캐비닛(10)은, 대략 중심면에 설치되는 중간 칸막이(11)를 통해 식품류를 냉동 및 냉장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20) 및 냉장실(30)로 구획 형성되며, 특히 이 각각의 냉동실(20) 및 냉장실(30) 상에는 식품류의 원활한 수납을 위하여 다수의 선반(40) 및 포켓(focket;50)등이 마련된다.
한편, 이와같이 중간 칸막이(11)를 통해 구획 형성된 냉동실(20) 및 냉장실(30)는 캐비닛(10)의 전면에 위치되는 상,하부 도어(60,70)를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어진다.
이때 상,하부 도어(60,70)를 통해 냉동실(20) 및 냉장실(30)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하부 도어(60,70)는, 복수의 힌지 조립체를 통해 즉, 상부 힌지 조립체와, 중간 힌지 조립체 및 하부 힌지 조립체를 통해 캐비닛(10)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즉, 캐비닛(10)의 대략 후면 중심부에 위치되는 중간 힌지 조립체상에 상부 도어(60)의 하면과, 하부 도어(70)의 상면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부 도어(60)의 상면은 상부 힌지 조립체에 그리고 하부 도어(70)의 하면은 하부 힌지 조립체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특히 상부 도어(60)의 상면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부 힌지 조립체(100)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그 상세 구조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동실(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상부 도어(60)의 상면에는 미관을 고려하기 위한 도어 캡(door cap;110)이 고정 설치되며, 특히 힌지 결합되는 부위와 인접된 도어 캡(110)의 내면에는 소정깊이로 힌지 홈(111)이 형성된다.
한편, 캐비닛(10) 상면에는 상부 힌지(120)가 고정 설치되는 바, 이 상부 힌지(120)는 캐비닛(120)상에 복수의 고정 스크류(S)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121)을 갖는다.
또한 이 고정판(121)의 일측 하단면에는 도어 캡(110)의 힌지 홈(111)에 삽입되는 가이더(guider;122)가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도어 캡(110)의 힌지 홈(111)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하고, 이에 삽입되는 상부 힌지(120)의 가이더(122)를 충분히 크게 하면 어느 정도 강도 보강을 할 수 있게되는 것이지만, 좀더 확실한 강도 보강을 행하여 상부 도어(60)의 처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힌지(120)의 가이더(122) 내측면에 소정 깊이로 보조 힌지홈(122a)을 형성하고, 이 보조 힌지홈(122a)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도어 캡(110)의 힌지 홈(111) 바닥면에는 보조 가이더(111a)를 더 마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부 힌지(120)의 가이더(122)가 도어 캡(110)의 힌지 홈(111)에 힌지 결합되는 것은 물론이고, 보조 가이더(111a)가 보조 힌지홈(122a)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부 도어(60)는 상부 힌지(120)에 2중으로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상부 힌지(120)의 고정판(121)과 가이더(122)는 프레스 가공을 행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단가 상승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플라스틱을 통해 즉, 사출 성형(molding)을 통해 일체로 성형함이 단가절감의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부 도어(6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하면이 캐비닛(10)의 대략 중심면에 위치된 중간 힌지 조립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은 물론이고, 상면이 도어 캡(110)의 힌지 홈(111)과 보조 가이더(111a)를 통해 캐비닛(10)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된 상부 힌지(120)의 가이더(122) 및 보조 힌지홈(122a)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이때 도어 캡(110)은, 1차적으로 힌지홈(111)과 상부 힌지(120)의 가이더(122)간의 힌지 결합을 통해 강성을 유지하게 되며, 2차적으로는, 힌지홈(11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보조 가이더(111a)와 가이더(122)의 중심면에 형성된 보조 힌지홈(122a)간의 힌지 결합을 더욱 큰 강성을 얻게된다.
즉, 상호간에 큰 접촉 면적을 갖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부 힌지(120) 자체를 사출물로 성형하여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장시간의 경과한 후에도 식품류의 무게 및 상부 도어(60) 자체의 중량에 의한 처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상부 힌지 조립체에 의하면, 상부도어가 힌지 결합되는 상부 힌지가 사출물로 성형됨으로써 프레스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도어 캡과 상부 힌지가 2중으로 힌지 결합됨으로써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되어 상부 도어의 처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중간 칸막이를 통해 냉동실과 냉장실로 구획 형성되며, 내부에는 식품류의 수납을 위한 선반 및 포켓이 마련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냉동실 및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캐비닛의 전면에 위치되는 상,하부 도어와;
    상기 상부 도어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힌지홈이 형성된 도어 캡과;
    상기 캐비닛의 일측면에 복수의 고정 스크류를 통해 고정판과, 이 고정판의 타측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 캡의 힌지 홈에 삽입되는 가이더를 갖는 상부 힌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상부 힌지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의 가이더와 고정판은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상부 힌지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힌지의 가이더 하부 내측면에는 소정깊이로 보조 힌지 홈이 연장 형성되며, 대응되는 상기 도어 캡의 힌지 홈 중심면에는 보조 힌지홈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보조 가이더가 더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상부 힌지 조립체.
KR1019970057303A 1997-10-31 1997-10-31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 KR19990035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303A KR19990035497A (ko) 1997-10-31 1997-10-31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303A KR19990035497A (ko) 1997-10-31 1997-10-31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497A true KR19990035497A (ko) 1999-05-15

Family

ID=6608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303A KR19990035497A (ko) 1997-10-31 1997-10-31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4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206B1 (ko) 냉장고
US20100024464A1 (en) Refrigerator
KR200164322Y1 (ko) 냉장고의 보조도어용 힌지
KR20050096334A (ko) 냉장고
KR19990035497A (ko) 냉장고의 상부힌지조립체
CA2324726C (en) Refrigerator cabinet with enhanced access zone
KR200335672Y1 (ko) 김치냉장고 도어용 힌지의 지지구조
KR19990017203U (ko) 냉장고의 상부 힌지 조립체
KR19990017204U (ko) 냉장고의 상부 힌지 조립체
KR200267216Y1 (ko) 홈바용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의 도어
KR19990035498A (ko) 냉장고의 하부 도어 조립체
KR200267237Y1 (ko) 냉장고 본체 외부 편리선반
KR19980014152U (ko) 양면도어를 갖는 냉장고
JP2005083680A (ja) 冷蔵庫
KR19990036176U (ko) 냉장고의 상부 힌지 조립체
KR200184845Y1 (ko) 냉장고
KR200349084Y1 (ko) 김치저장고의 상부 개방형 도어 구조
KR200178865Y1 (ko) 자동판매기 상품취출구의 개폐장치
KR100233046B1 (ko) 냉장고의 냉동실 도아
KR19990010686U (ko) 냉장고의 중간 힌지 조립체
KR20210036623A (ko) 냉장고
KR200217232Y1 (ko) 김치저장고의 리어패널 보강구조
KR200341553Y1 (ko) 매립형 도어 힌지를 구비한 반찬냉장고
KR20060039227A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고정장치
KR200220817Y1 (ko) 냉장고의 힌지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