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353A - Pop Noise Canceller in Voice Systems - Google Patents

Pop Noise Canceller in Voice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353A
KR19990035353A KR1019970057149A KR19970057149A KR19990035353A KR 19990035353 A KR19990035353 A KR 19990035353A KR 1019970057149 A KR1019970057149 A KR 1019970057149A KR 19970057149 A KR19970057149 A KR 19970057149A KR 19990035353 A KR19990035353 A KR 19990035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unit
mute
turn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1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상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57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353A/en
Publication of KR19990035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353A/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뮤트부를 구비한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원 공급부의 턴 오프시 뮤트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뮤트 구동부; 상기 전원 공급부가 온 상태에서 전원을 축적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가 턴 오프되면 축적된 전원을 상기 뮤트 구동부에 제공하는 보조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가 온 상태에서 턴온 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에 제공하는 제 1 스위칭 수단; 상기 전원 공급부가 턴 오프되면 턴 온되어 상기 뮤트 구동부의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를 제공하므로써, 상시 전원이 오프될 때에도 팝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어, 음성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p noise removing device of a voice system hav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driving a system and a mute unit for removing a voice signal output through a speaker, wherein the mute unit is turned off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turned off. A mute driver for driving;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that accumulates power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on, and provides the accumulated power to the mute driver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turned off; First switching means which is turned on in an on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provides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By providing a pop noise removing device of a voice system comprising a second switching means that is turned on when the power supply is turned off to generate a drive control signal of the mute driver, it is possible to remove pop noise even when the power is always off.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voice system.

Description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Pop Noise Canceller in Voice Systems

본 발명은 음성 시스템(Audio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시 전원을 포함한 전원 오프시 발생되는 팝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p noise removing apparatus of a voice system capable of removing pop noise generated when a power off including a constant power supply.

일반적으로, 음성 시스템은 카세트 플레이어(Cassette Player) 및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와 같이 음성 재생 전용 기기외에도, TV(Television), VCR(Video Cassette Player), VCD(Video Compact Disc)와 같이 영상 재생용 기기에도 장착되어 마그네틱 테입(Magnetic Tape) 또는 컴팩트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의 음원을 신호처리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In general, the voice system is a video player such as TV (Television), VCR (Video Cassette Player), VCD (Video Compact Disc), in addition to the equipment for audio playback, such as Cassette Player and Compact Disc Player It is also equipped with a reproduc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recorded on a magnetic tape or a compact disc and outputting it to a speaker.

이와 같은 음성 처리 시스템은, 마그네틱 테입 또는 컴팩트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소정의 음원을 헤드(Head,)나 광 픽업부에서 전기적 신호로 독출한후, 그 독출된 신호를 음성 신호 처리부에서 소정의 신호 처리를 한후, 증폭기로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게 된다.In such a voice processing system, a predetermined sound source recorded on a magnetic tape or a compact disc is read as an electrical signal by a head or an optical pickup unit, and then the read signal is processed by a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After amplification, the amplifier amplifies and outputs the speaker.

이와 같이 스피커를 통하여 소정의 음성이 출력되는 도중 전원 오프가 되면, 스피커에서는 '팍'하는 소리가 출력되는 데, 이를 팝콘 노이즈(Popcorn Noise) 또는 팝 노이즈라 하며, 이러한 팝 노이즈는 스피커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도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power is turned off while a predetermined voic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as described above, a loud sound is output from the speaker, which is called popcorn noise or pop noise. In addition to shortening, there was a problem causing discomfort to the user.

따라서, 종래에는 음성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뮤트(Mute) 기능을 이용하여 팝노이즈를 제거하였다.Accordingly, pop noise is eliminated by using a mute function provided in a voice system.

즉, 뮤트 기능은 스피커를 통해 소정의 음성이 출력되는 도중 전화 통화라든가 그 밖의 이유로 인해 음성 출력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신호를 일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하는 바, 전원 오프가 되더라도 음성 스피커에서는 상시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이므로, 키 입력부로부터 전원 오프 키 신호가 인가되면 시스템 제어부는 뮤트 기능을 먼저 수행한 후, 전원을 오프시키므로써, 팝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었다.That is, the mute function refers to a function that can temporarily block a voice signal from an external source when it is necessary to temporarily stop the voice output for a phone call or other reasons while a predetermined voice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voice speaker is always powered. Therefore, when the power off key signal is applied from the key input unit, the system controller performs the mute function first and then removes the pop noise by turning off the power. .

그러나, 상술한 방법은 음성 시스템의 플러그를 뽑는다든가 정전과 같이 상시 전원까지도 차단되는 상태에서는 팝 노이즈를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pop noise cannot be removed in a state in which a power system is unplugged or even a constant power supply is cut off such as a power failur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전원을 축적한 후, 음성 시스템에 상시 전원을 포함한 전원 오프시 팝노이즈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cumulate power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a voice system, and to perform a pop noise reduction function when power is turned off including a constant power to the voice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p noise canceling device for a speech system.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뮤트부를 구비한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의 턴 오프시 뮤트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뮤트 구동부; 상기 전원 공급부가 온 상태에서 전원을 축적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가 턴 오프되면 축적된 전원을 상기 뮤트 구동부에 제공하는 보조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가 온 상태에서 턴온 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에 제공하는 제 1 스위칭 수단; 상기 전원 공급부가 턴 오프되면 턴 온되어 상기 뮤트 구동부의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p noise removing apparatus of the voice system hav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to drive the system and a mute for removing the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A mute driver for driving the mute unit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turned off; 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that accumulates power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on, and provides the accumulated power to the mute driver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turned off; First switching means which is turned on in an on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provides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a second switching means which is turned on when the power supply is turned off to generate a drive control signal of the mute driv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를 도시한 장치도.1 is a device diagram showing a pop noise removing device of a voi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전원 공급부 200, 250 : 스위칭부100: power supply unit 200, 250: switching unit

300 : 보조 전원 공급부 400 : 뮤트 구동부300: auxiliary power supply unit 400: mute driver

500 : 뮤트부500: Mute par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과 기타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pop noise removing apparatus of a vo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동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는 전원 공급부(100), 제 1 스위칭부(200), 제 2 스위칭부(250), 보조 전원 공급부(300), 뮤트 구동부(400), 뮤트부(500)으로 구성되며, 그 각각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하기에 설명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the pop noise removing device of the vo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ower supply unit 100, the first switching unit 200, the second switching unit 250,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00, the mute driver ( 400, and the mute unit 500, each of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전원 공급부(100)는 음성 시스템의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생략한) 의 제어에 의해, 음성 시스템의 각 구성 부재, 특히, 보조 전원 공급부(300)에 소정 전원을 공급한다.First, the power supply unit 100 supplies predetermined power to each constituent member of the speech system, in particular, the auxiliary power supply 300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entire system of the speech system.

제 1 스위칭부(200)는 전원 공급부(100)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온(On)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원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보조 전원 공급부(300)에 제공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00)에서 전원 공급을 중단하면 턴 오프(Turn Off)되어 보조 전원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 공급부(100)에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the first switching unit 200 provides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00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while maintaining an on state. In addition, when the power supply unit 100 stops supplying power, the power supply unit 100 is turned off to preven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00 from being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0.

한편, 제 2 스위칭부(250)는 전원 공급부(100)에서 전원 공급시,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원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뮤트 구동부(400)에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전원 공급부(100)에서 전원 공급을 중단하면 턴 온되어 뮤트 구동부(400)에 뮤트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50 preven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to be supplied to the mute driver 400 while maintaining the (Off) state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In addition, when the power supply is stopped by the power supply unit 100, the power supply unit 100 is turned on to generate a mute driving control signal to the mute driver 400.

보조 전원 공급부(300)는, 전원 공급부(100)가 온 상태에서 제 1 스위칭부(200)를 통해 전원 공급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충전하고, 또한, 전원 공급부(100)가 턴 오프되어 전원 공급을 중단하면, 턴 온 되어 뮤트 구동부(400)에 전원을 제공한다.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00 charges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200 while the power supply unit 100 is on, and the power supply unit 100 is turned off. When the power supply is stopped, the power is turned on to provide power to the mute driver 400.

뮤트 구동부(400)는 전원 공급부(100)가 턴 오프됨과 동시에, 제 2 스위칭부(250)를 통해서 발생된 뮤트 구동 제어 신호에 의하여, 보조 전원 공급부(300)에서 제공되는 전원에 대응하는 뮤트 구동 신호를 발생하여, 그 발생된 뮤트 구동 신호를 뮤트부(500)에 제공한다.The mute driver 400 may turn off the mute corresponding to the power provided from the auxiliary power supply 300 by the mute driving control signal generated through the second switching unit 250 while the power supply 100 is turned off. A signal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mute driving signal is provided to the muting unit 500.

뮤트부(500)는 뮤트 구동부(500)에서 제공되는 뮤트 구동 신호에 의해서 구동되어, 음성 시스템에서 소정의 신호 처리를 거쳐 스피커(도시 생략된)를 통해 외부에 출력되는 소정의 음성 신호를 차단한다.The mute unit 500 is driven by a mute driving signal provided from the mute driver 500 to block a predetermined voice signal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not shown) through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in a voice system. .

이하,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팝 노이즈 제거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도 1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op noise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constituent members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 1.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100)에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제 1 스위칭부(200)는 턴 온 상태에 있고, 제 2 스위칭부(250)는 턴 오프 상태에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0, the first switching unit 200 is in a turn on state,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50 is in a turn off state.

즉,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스위칭부(200) 및 제 2 스위칭부(250)를 다이오드(Diode)로 구성하는바, 제 1 스위칭 부(200)를 이루는 다이오드는 턴온되어 단락 상태를 이루고, 제 1 스위칭부(200)와 역방향에 위치한 다이오드로 구성된 제 2 스위칭부(250)는 턴오프되어 개방 상태를 이룬다.That is, in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witching unit 20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50 are constituted by a diode, and the diode forming the first switching unit 200 is turned on to be in a short circuit state. 2, the second switching unit 250 including the first switching unit 200 and the diode loc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is turned off to form an open state.

따라서, 전원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단락 상태인 제 1 스위칭 부(200)를 통해서 보조 전원 공급부(300)에 제공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조 전원 공급부(300)를 캐패시터(Capacitor)로 구성하는 바, 보조 전원 공급부(300)는 전원 공급부(1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축적한다.Therefor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is provided to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00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200 in a short circuit state. At this tim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00 is configured as a capacitor,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00 accumulates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서는 뮤트 구동부(400)를 트랜지스터(Transistor)로 구성하는 바, 그 에미터(Emitter)단은 제 1 스위칭부(200)와 보조 전원 공급부(300)의 공통단자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Base)단은 제 2 스위칭부(250)에 접속되며, 그 콜렉터(Collector)단은 뮤트부(500)에 접속되도록 구성한다.Meanwhi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te driver 400 includes a transistor, and an emitter end thereof is provided to a common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200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300. The bas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witching unit 250, and the collector end is connected to the mute unit 500.

따라서, 뮤트 구동부(400)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는 그 베이스단이 제 2 스위칭부(250)에 의해 개방 상태에 있고, 에미터단에서는 제 1 스위칭부(200)를 통해 전원 공급부(100)로부터 제공받는 전원이 모두 보조 전원 공급부(300)에 축적되기 때문에 뮤트 구동부(40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Accordingly, the transistor constituting the mute driver 400 has its base end in an open state by the second switching part 250, and is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part 100 through the first switching part 200 in the emitter end. Since all the power is accumulated in the auxiliary power supply 300, the mute driver 400 maintains the off state.

따라서, 전원 공급부(100)가 온 상태로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 뮤트 구동부(40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보조 전원 공급부(300)에서는 전원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축적할 것이다. 또한, 이때의 뮤트 기능은 뮤트 구동부(400)의 구동 신호에 의해서가 아니라, 음성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생략된)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Accordingly, while the power supply unit 100 supplies the power in the on state, the mute driver 400 maintains the off state, and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00 accumulat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0. In addition, the mute function at this time will be performed not by the drive signal of the mute driver 400, but by the control of a controller (not shown) that controls the entire voice system.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100)가 온 상태로서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턴 오프되었을 때의 본 발명에 따른 팝 노이즈 제거 장치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자. 이때, 전원 공급부(100)가 턴 오프되었다는 것은 음성 시스템에 인가되는 상시 전원까지도 오프된 상태를 말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let us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pop noise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supply unit 100 is turned on in the state of supplying a predetermined power, when turned off. In this case, when the power supply unit 100 is turned off refers to a state in which even the regular power applied to the voice system is turned off.

먼저, 전원 공급부(100)가 턴 오프되어 전원 공급을 중단하면, 제 1 스위칭부(200) 및 제 2 스위칭부(250)는 그 상태가 반전된다. 즉, 온 상태를 유지하던 제 1 스위칭부(200)는 턴 오프되어 보조 전원 공급부(300)에서 제공(방전)되는 전원이 전원 공급부(100)에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프 상태를 유지하던 제 2 스위칭 부(250)는 턴온되어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류, 즉, 뮤트 구동부(400)의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First, when the power supply unit 100 is turned off and the power supply is stopped, the states of the first switching unit 200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250 are reversed. That is, the first switching unit 200 which is maintained in the on state is turned off to prevent the power provided by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00 (discharged) from being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0, and is maintained in the off state. The second switching unit 250 is turned on to generate a base current of the transistor, that is, a driving control signal of the mute driver 400.

또한, 보조 전원 공급부(300)는 전원 공급부(100)가 온 상태일 때 축적하였던 전원을 뮤트 구동부(400)에 제공하고, 즉, 보조 전원 공급부(300)는 전원 공급부(100)가 온 상태일 때 축적하였던 전원을 뮤트 구동부(400)의 에미터 단자에 공급(방전)하므로, 뮤트 구동부(400)는 턴온되어 뮤트 구동 신호를 뮤트부(500)에 공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00 supplies the accumulated power to the mute driver 400 when the power supply unit 100 is on, that is,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300 is in the on state. Since the accumulated power is supplied (discharged) to the emitter terminal of the mute driver 400, the mute driver 400 is turned on to supply the mute driving signal to the mute unit 500.

이후, 뮤트부(500)는 뮤트 구동부(400)의 뮤트 구동 신호에 의하여, 영상 시스템에서 소정의 신호 처리가 된 후,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송출되는 소정의 음성 신호를 차단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mute unit 500 blocks the predetermined audio signal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eaker after the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in the imaging system by the mute driving signal of the mute driver 400.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시스템에 흐르는 상시 전원을 포함한 모든 전원 공급의 차단으로 인하여, 제어부에 의한 뮤트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아도, 전원 공급이 중단된 후, 일시적으로 뮤트부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여 뮤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므로써, 음성 시스템의 전원 오프시 발생되는 팝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due to the interruption of all power supply including the constant power flowing through the voice system, even if the mute control by the control unit is not performed, the auxiliary power is temporarily supplied to the mute unit after the power supply is stopped. By performing the mute function, pop noise generated when the voice system is powered off can be eliminated.

Claims (5)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뮤트부를 구비한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에 있어서,In the pop noise removing device of a voice system hav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to drive the system and a mute for removing the audio signal output through the speaker, 상기 전원 공급부의 턴 오프시 뮤트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뮤트 구동부;A mute driver for driving the mute unit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turned off; 상기 전원 공급부가 온 상태에서 전원을 축적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가 턴 오프되면 축적된 전원을 상기 뮤트 구동부에 제공하는 보조 전원 공급부;An auxiliary power supply unit that accumulates power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on, and provides the accumulated power to the mute driver when the power supply unit is turned off; 상기 전원 공급부가 온 상태에서 턴온 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에 제공하는 제 1 스위칭 수단;First switching means which is turned on in an on state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provides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with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상기 전원 공급부가 턴 오프되면 턴 온되어 상기 뮤트 구동부의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And a second switching means for turning on the power supply when the power supply is turned off to generate a drive control signal of the mute dri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뮤트 구동부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The pop noise remov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ute driver comprises a transis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원 공급부는 캐패시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power supply unit comprises a capacitor.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부는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witching unit is made of a diode.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칭부는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시스템의 팝 노이즈 제거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witching unit is made of a diode.
KR1019970057149A 1997-10-31 1997-10-31 Pop Noise Canceller in Voice Systems KR199900353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149A KR19990035353A (en) 1997-10-31 1997-10-31 Pop Noise Canceller in Voice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149A KR19990035353A (en) 1997-10-31 1997-10-31 Pop Noise Canceller in Voice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353A true KR19990035353A (en) 1999-05-15

Family

ID=6608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149A KR19990035353A (en) 1997-10-31 1997-10-31 Pop Noise Canceller in Voice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35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155B1 (en) * 2002-09-11 2004-10-15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Circuit and method for eliminating pop noise in digital audio amplifier using dual power supp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155B1 (en) * 2002-09-11 2004-10-15 주식회사 디엠비테크놀로지 Circuit and method for eliminating pop noise in digital audio amplifier using dual power supp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2522B2 (en) Audio signal amplifier circuit
KR19990035353A (en) Pop Noise Canceller in Voice Systems
KR100209888B1 (en) Pop noise elimination apparatus
KR0137193Y1 (en) Pop-noise eliminating circuit
JP7443662B2 (en) public address system
JP4016451B2 (en) Cooling device for audio playback device
JPH0818347A (en) Power save circuit
KR100346193B1 (en) Apparatus and melthod for performing stereo-sound by use offront mono a/v jack in a/v-type tv receiver
KR200157771Y1 (en) Noise removing apparatus in vcr
JP3671582B2 (en) Audio recording / playback device
KR920005777Y1 (en) Switching circuit of double deck audio system
KR0137418Y1 (en) Sound editable camcorder
JP2790049B2 (en) Recording device
JP2975851B2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audio equipment
KR100300588B1 (en) Language cassettes and how to check your voice
JPH0329763Y2 (en)
KR970007749B1 (en) Audio editing device in complex system of tv/vcr
KR100387578B1 (en) Portable equipment having external voice input function
KR19990035354A (en) Improved mute circuit
KR0115929Y1 (en) Pre amp having the passive function
KR860000052Y1 (en) Output control circuit of digital signal
KR19980010893U (en) Voice pop noise elimination circuit during forced reset
JPH08153365A (en) Magnetic recorder with built-in microphone
KR100257509B1 (en) Voice draw-off equipment at still mode of vcr
KR0127525B1 (en) Device for preventing sound stopping phenomenon in car aud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