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193A -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193A
KR19990035193A KR1019970056945A KR19970056945A KR19990035193A KR 19990035193 A KR19990035193 A KR 19990035193A KR 1019970056945 A KR1019970056945 A KR 1019970056945A KR 19970056945 A KR19970056945 A KR 19970056945A KR 19990035193 A KR19990035193 A KR 19990035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audio signal
signal output
signal
fil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윤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56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193A/ko
Publication of KR19990035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193A/ko

Links

Landscapes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오디오시스템에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는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재생기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저역과 고역을 분리하여 해당 스피커를 통해 각각 출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오디오재생기기와 복수개의 스피커를 구비한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재생기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후단에 저역필터 및 고역필터를 연결하여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고역필터링 및 저역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조역의 오디오신호 및 고역의 오디오신호를 해당스피커로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확실한 음향의 오디오재생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
본 발명은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재생기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저역과 고역을 분리하여 해당 스피커를 통해 각각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시스템은 오디오신호를 매체(媒體)에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장치이며, 매체는 카세트 테이프(cassette tape), 레코드(record), 그리고 디스크(disc)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디오 시스템은 턴테이블(turn table), 튜너(tuner), 증폭기(amplifier)와 카세트 데크(cassette deck), 스피커 유닛이 기본적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이퀄라이저(equalizer) 및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ompact disc player) 등이 단품으로 추가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오디오 시스템은 스피커 유닛이 분리되어 있으나 튜너, 증폭기, 카세트 데크가 하나의 본체로 구성되는 뮤직 센터(music center)와, 모든 기기가 분리되어 전문적인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컴포넌트 시스템(component system)으로 나뉘어진다.
이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에 대한 하나의 예로 뮤직 센터는 오디오 시스템은 본체와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가 하나의 세트(set)로 재생기기를 구성하게 되고, 여기에 스피커 유닛이 조합되어 구성되며, 스피커 유닛은 전기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변환기의 하나이다. 또한 오디오시스템에는 라디오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방송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라디오방송수신시스템이 장착되어져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술한 CD플레이 또는 라디오방송신호 또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서 최종적으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10)와, 증폭부(10)에서 출력되는 증폭된 오디오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음향신호로 출력하는 복수개(L, R)스피커(11, 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CD플레이어 또는 라디오방송신호 또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상기 증폭부(20)입력단까지 신호처리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구성 및 구성의 동작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CD플레이어 또는 라디오방송신호 또는 카세트테이프 레코더에서 재생되는 신호는 도 1 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신호처리장치를 통해 신호처리되어 오디오재생신호가 증폭부(10)로 입력된다.
입력된 오디오재생신호는 증폭부(10)에서 각 스피커(11, 1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일정레벨 증폭된다. 이렇게 증폭된 오디오재생신호는 각 스피커(11, 12)를 통해 저역 및 고역의 분리없이 음향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피커(11, 12)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는 증폭부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고음과 저음이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기 때문에 고역과 저역의 분리가 확실하지 않고, 최종적으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이 뭉그러져 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각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음향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스피커 음향레벨스위치가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제어를 하더라도 음향의 밸런스는 임의대로 조정이 가능하지만 고역과 저역의 분리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시스템의 좌우측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는 오디오신호의 고역부분과 저역부분을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도록하여 음악과 같은 오디오신호를 들을 경우 저, 고역의 확실한 음을 들을 수 있도록 한 오디오시스템에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를 나타낸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증폭부 21, 22 : 필터링부
23, 24 : 스피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의 특징은 오디오재생기기와 복수개의 스피커를 구비한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재생기기에서 재생되어 신호처리된 오디오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중 저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피커중 일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 1 필터링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재생신호중 고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피커중 일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 2 필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필터링부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이고, 제 2 필터링부는 하이 패스 필터(HihgPass Filter)로 이루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중복되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살펴보면, 증폭부(2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중 저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만을 필터링하여 복수개의 스피커(23, 24)중 해당스피커(23)로 출력하는 제 1 필터링부(21)와, 증폭부(2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재생신호중 고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스피커(24)로 출력하는 제 2 필터링부(22)가 추가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필터링부(21)는 저주파수대역의 주파수호만을 필터링하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이고, 제 2 필터링부(22)는 고주파수대역의 주파수신호만을 필터링하는 하이 패스 필터(High Psass Filter)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오디오시스템의 CD플레이어 또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 또는 라디오방송신호가 신호처리되어 증폭부(20)로 인가되면, 증폭부(20)는 일정 레벨증폭되어 출력된다. 여기서, 증폭부(20)에서 출력되는 증폭된 신호는 고주파수대역의 주파수신호와 저주파대역의 주파수신호가 혼합된 오디오신호이다.
이렇게 증폭부(2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각각 제 1 필터링부(21) 및 제 2 필터링부(22) 즉, 로우 패스 필터 및 하이 패스 필터로 인가된다.
증폭부(20)에서 인가된 오디오신호는 제 1 필터링부(21)에서 저역주파수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스피커(23)를 통해 저역의 주파수신호만을 출력하게 되고, 제 2 필터링부(22)로 인가된 오디오신호는 고역주파수내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스페커(24)를 통해 고역의 주파수신호만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스피커(23)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저음의 음향신호이고, 스피커(24)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고음의 음향신호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필터링부(21)와 제 2 필터링부(22)의 필터링동작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왜냐하면 스피커(23, 24)를 통해 동시에 고음과 저음이 출력되어야 사용자가 정확한 오디오신호를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본 발명은 오디오재생기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저역의 주파수대역과 고역의 주파수대역을 각각 필터링하여 해당 스피커(23, 24)를 통해 각각 출력되도록하여 확실한 오디오신호 즉, 실제오하 같은 실감나는 오디오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악을 들을 경우 탁월한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시스템에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는 오디오재생기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저역의 주파수대역과 고역의 주파수대역을 각각 필터링하여 해당 스피커를 통해 각각 출력되도록 하여 확실한 오디오신호 즉, 실제와 같은 실감나는 오디오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특히, 음악을 들을 경우 탁월한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Claims (2)

  1. 오디오재생기기와 복수개의 스피커를 구비한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재생기기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일정레벨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중 저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피커중 일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 1 필터링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재생신호중 고주파수대역의 오디오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피커중 일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 2 필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시스템에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링부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이고, 제 2 필터링부는 하이 패스 필터(HihgPass Filter)로 이루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시스템에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
KR1019970056945A 1997-10-31 1997-10-31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 KR199900351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945A KR19990035193A (ko) 1997-10-31 1997-10-31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945A KR19990035193A (ko) 1997-10-31 1997-10-31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193A true KR19990035193A (ko) 1999-05-15

Family

ID=6604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945A KR19990035193A (ko) 1997-10-31 1997-10-31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1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049B1 (ko) * 2006-04-24 2007-09-07 비에취어쿠스텔 주식회사 오디오기기용 음향재생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049B1 (ko) * 2006-04-24 2007-09-07 비에취어쿠스텔 주식회사 오디오기기용 음향재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8095A (en) Acoustic apparatus
KR950008651B1 (ko) 멀티 채널 스테레오 재생장치
US50796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monaural audio signal mixed with the clock and data signals
US5237619A (en) Sound mixer with band separation
KR19990035193A (ko) 오디오시스템의 오디오신호 출력장치
US5309297A (en) Digital cassette tape reproducing device including novel drive circuit
US5343531A (e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US3394235A (en) Stereo amplification system for rumble reduction
JP2520212Y2 (ja) 再生機器
JP3783361B2 (ja) 音声再生装置
KR0115929Y1 (ko) 패시브 기능을 갖는 프리앰프
KR100199983B1 (ko) 음악신호 내의 반주신호 재생방법 및 반주신호재생기
KR200262164Y1 (ko)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음성신호출력장치
KR100189551B1 (ko) 음성대역신호 기록 재생 시스템
KR0159040B1 (ko) 음향기기의 앰프장치
KR0185064B1 (ko) 음성신호 주파수대역 분리기록장치
JPS5914120A (ja) 磁気録音再生装置
JPH03163997A (ja) 多チャンネル音声信号再生装置
KR100205434B1 (ko)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JPH0793883A (ja) 音声処理回路及び音声再生装置
KR20020043370A (ko) 2입력 오디오신호의 출력회로
KR100274643B1 (ko) 디지털 음성재생장치의 음성신호 출력방법
JPH05159207A (ja) 音響機器
JPS6056359B2 (ja) 音響再生方式
JPH0366235A (ja) 音声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