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901A - Steering device of a car - Google Patents

Steering device of a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901A
KR19990034901A KR1019970056615A KR19970056615A KR19990034901A KR 19990034901 A KR19990034901 A KR 19990034901A KR 1019970056615 A KR1019970056615 A KR 1019970056615A KR 19970056615 A KR19970056615 A KR 19970056615A KR 19990034901 A KR19990034901 A KR 19990034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teering shaft
vehicle
shaft
sp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석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6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901A/en
Publication of KR1999003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901A/en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장치의 스티어링 샤프트(20)는 스티어링 칼럼(4)에 삽입되는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와, 일단에 중공부(30)가 일체로 형성된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로 나누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 일단의 외주면에는 스플라인(2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중공부(30) 내주면 일측에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의 스플라인(26)에 대응한 스플라인(3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30)의 내측에는 오일(70)이 충전되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스티어링 샤프트(20)를 형성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0)에 진동 및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된 가스스프링(50)을 구비하되, 상기 가스스프링(50)의 일단은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스티어링 칼럼(4)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시 불규칙한 노면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조향 및 주행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충돌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한 유용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apparatus of an automobile, wherein in a steering apparatus of an automobile, the steering shaft 20 of the steer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steering shaft 22 inserted into a steering column 4 and a hollow portion at one end thereof. 3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steering shaft 28, and a spline 26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steering shaft 22, and the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30) a spline 32 corresponding to the spline 26 of the first steering shaft 2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il 70 is filled inside the hollow part 30 to absorb vibrations and shocks. And a gas spring 50 configured to mitigate vibration and impact forces on the steering shaft 20, wherein one end of the gas spring 50 is formed on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Outer circumference It is fixed to the side,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4) to absorb the vibration and shock of the vehicle caused by the irregular road surface condition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to improve safety during steering and driving, collision of the vehicle It is useful to protect the driver by absorbing the impact force generated in the city.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Steering device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구비된 스티어링 장치의 스티어링 샤프트 일측 내부에 오일을 구비하여 주므로써 차량의 주행시 불규칙한 노면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조향 및 주행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차량의 충돌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oil in one side of a steering shaft of a steering apparatus provided in a vehicle to absorb vibrations and shocks of the vehicle caused by irregular road conditions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for improving safety during steering and driving, and for absorbing impact force generated during a collision of a vehicle to protect the driver.

잘 아는 바와 같이, 자동차에 구비된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운전자가 임의로 바꾸기 위한 장치로서, 조향장치의 조작기구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is well known, the steer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vehicle is a device for the driver to arbitrarily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steering mechanism of the steer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general vehicle steering apparatus.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미도시)에 고정되는 스티어링 칼럼(4)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4)에 삽입되어 그 일단이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2)과 연결되어 스티어링 휠(2)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스티어링 샤프트(6)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6)의 타단과 유니버셜조인트되어 있는 인터튜브 샤프트(Inter Tube Shaft)(8)와, 상기 인터튜브 샤프트(8)의 타단과 유니버셜조인트되어 있는 인텀 샤프트(Intermidiate Shaft)(10)와, 상기 인텀 샤프트(10)와 기어링(Gearing)되어 동작하는 스티어링 기어(12)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a steering column 4 fixed to a vehicle body (not shown), and one end of the steering column 4 inserted into the steering column 4 are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2 of the driver's seat to rotate the steering wheel 2. The steering shaft 6 which is rotated accordingly, the inter tube shaft 8 which is universally joint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shaft 6, and the universal joint which is universally joined with the other end of the intertube shaft 8 It consists of an intermediate shaft (Intermidiate Shaft) 10, the steering gear 12 that is geared (Gearing) and operates with the intum shaft (10).

상기 스티어링 기어(12)는 자동차의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예컨대, 타이로드(14)등으로 된 장치를 통하여 바퀴(16)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teering gear 12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serves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wheels 16 through, for example, a tie rod 14 or the like.

상기 스티어링 칼럼(4)과 인터튜브 샤프트(8)는 속이빈 강재튜브로 이루어져 있다.The steering column 4 and the intertube shaft 8 consist of hollow steel tubes.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는 차량의 주행시 불규칙한 노면상태에 의해 차체 바디가 흔들리게 되고, 또한 자동차의 회전시에도 불규칙한 노면에 의해 차체 바디가 흔들리게 되는데, 이와 같이 불규칙한 노면에 의해 발생되는 차체 바디의 흔들림으로 인해 그 진동 및 충격이 자동차의 스티어링장치를 통해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로 그대로 전달되게 되므로 운전자는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스티어링 휠의 흔들림으로 인해 조향력이 상실되어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teering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vehicle made as described above causes the vehicle body to be shaken by the irregular road surface during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also causes the vehicle body to be shaken by the irregular road surface during the rotation of the vehicle. The vibrations and shocks are transmitted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driver's seat through the steering mechanism of the vehicle due to the shaking of the body body, which makes the driver feel tired easily, and furthermore, the steering force is lost due to the shaking of the steering wheel, causing accidents.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be made.

또한, 차량의 정면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이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를 통해 운전석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스티어링 휠에 의해 운전자는 치명적인 부상을 입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impact force generated during the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driver's seat through the steering device of the vehicle as i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er is fatally injured by the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이 불규칙한 노면의 도로를 주행할 시 차체 바디의 흔들림으로 인해 차실내의 운전석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력이 스티어링 샤프트에서 흡수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의 주행시 불규칙한 노면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차량의 진동 및 충격력이 흡수되어 조향 및 주행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vibration and impact force transmitted to the driver's seat in the cabin due to the shaking of the body body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on the road of irregular road surface is absorbed in the steering shaft. The driver can provide comfort to the driver, and the vibration and impact force of the vehicle generated by irregular road conditions are absorbed to improve steering and driving safety, and the impact force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s absorbe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so as to safely protect i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장치의 스티어링 샤프트는 스티어링 칼럼에 삽입되는 제 1 스티어링 샤프트와, 일단에 중공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 2 스티어링 샤프트로 나누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스티어링 샤프트 일단의 외주면에는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 샤프트의 중공부 내주면 일측에 제 1 스티어링 샤프트의 스플라인에 대응한 스플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는 오일이 충전되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스티어링 샤프트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eering device of a vehicle, the steering shaft of the steering device is a first steering shaft inserted into the steering column and a second steering shaft formed integrally with a hollow at one end Splin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steering shaft, a spline corresponding to the spline of the first steering shaf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art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and oil is formed inside the hollow part. And a steering shaft that is charged to absorb vibrations and shocks.

또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에 진동 및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된 가스스프링을 구비하되, 상기 가스스프링의 일단은 제 2 스티어링 샤프트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스티어링 칼럼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ering shaft is provided with a gas spring to mitigate vibration and impact force, one end of the gas spring is fixed to on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the other end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It features.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eering apparatus of a general vehicl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shaf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Figure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teering shaf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흡수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Figure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device when the vehicle collis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스티어링 휠 4: 스티어링 칼럼2: steering wheel 4: steering column

6: 스티어링 샤프트 8: 인터튜브 샤프트6: steering shaft 8: intertube shaft

10: 인텀 샤프트 12: 스티어링 기어10: intum shaft 12: steering gear

20: 스티어링 샤프트 22: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0: steering shaft 22: first steering shaft

26,32: 스플라인 28: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6,32 spline 28: second steering shaft

30: 중공부 34: 주입구30: hollow part 34: injection hole

36: 오일캡 38: 스토퍼36: oil cap 38: stopper

38a: 단차홈 40: 펠트링(Felt Ring)38a: step groove 40: felt ring

50: 가스스프링 52: 가이드부50: gas spring 52: guide part

60: 안내홈 70: 오일60: guide groove 70: oil

80: 볼트80: bol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샤프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 스티어링 장치의 충격흡수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shaft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teering sha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ehicle colli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which shows the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 steering apparatus.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장치의 스티어링 샤프트(20)는 스티어링 칼럼(4)에 삽입되는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와, 일단에 그 내측이 중공으로 이루어진 중공부(30)가 일체로 형성된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로 나누어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steering apparatus of an automobile, the steering shaft 20 of the steer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steering shaft 22 inserted into the steering column 4 and a hollow portion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a hollow portion ( 30 is divided into a second steering shaft 28 integrally formed.

상기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 일단의 외주면에는 스플라인(26)이 형성된다.A spline 26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steering shaft 22.

상기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의 스플라인(26)에 대응한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중공부(30) 내주면 일측에는 스플라인(32)이 형성된다.A spline 3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art 30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corresponding to the spline 26 of the first steering shaft 22.

상기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중공부(30) 내측에 형성된 스플라인(32)은 상기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에 형성된 스플라인(26)보다 소정량 길게 형성된다.The spline 32 formed inside the hollow part 30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pline 26 formed on the first steering shaft 22.

또한, 상기 중공부(30)의 개구부측에는 그 중앙부이 관통된 원판형상의 스토퍼(38)가 구비되어 볼트(80)로 체결고정되며, 상기 스토퍼(38)의 내주면에는 단차진 단차홈(38a)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홈(38a)에는 기밀 또는 수밀을 유지하도록 된 펠트링(40)이 압입되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opening side of the hollow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disk-shaped stopper 38 through which the center portion is penetrated and fastened and fastened by bolts 80, and a stepped groove 38a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opper 38. It is formed, the stepped groove 38a is provided with a felt ring 40 press-fitted to maintain the airtight or watertight.

상기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중공부(30) 내측에는 오일(70)이 충전되어 구비되되, 상기 오일(70)은 중공부(30)의 외주면 일측에 그 내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주입구(34)를 통해 중공부(30)의 내측으로 충전되며, 상기 주입구(34)의 일단에는 나사 체결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이루어진 오일캡(36)이 구비된다.The oil 70 is filled in the hollow part 30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and the oil 7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art 30. Filled into the hollow portion 30 through the), one end of the injection hole 34 is provided with an oil cap 36 made detachable by screwing.

상기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가 스플라인(26,32) 결합된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중공부(30) 내측에는 상기 주입구(34)를 통해 오일(70)이 충전되고, 상기 중공부(30)의 개구부측에 볼트(80)로 고정된 스토퍼(38)의 펠트링(40)에 의해 오일(70)의 누출을 방지하게 되어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상기 중공부(30)에 충전된 오일(70)에 의해서 흡수하게 된다.Inside the hollow portion 30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to which the first steering shaft 22 is coupled to the splines 26 and 32, oil 70 is fill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34, and the hollow portion The hollow part is prevented from leaking the oil 70 by the felt ring 40 of the stopper 38 fixed by the bolt 80 at the opening side of the hollow part 30 to prevent vibration and shock caused by the shaking of the vehicle. Absorbed by the oil 70 filled in (30).

또한, 상기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중공부(30) 외주면에 그 일단이 고정된 가스스프링(50)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스프링(50)의 타단은 스티어링 칼럼(4)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In addition, a gas spring 5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art 30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is provided, and the other end of the gas spring 50 rotat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4. It is possible.

상기 가스스프링(50)의 타단에는 하향돌출되어 그 양측이 단차진 가이드부(52)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스프링(50)의 가이드부(52)에 대응한 스티어링 칼럼(4)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부(52)가 이탈되지 않고, 가이드되도록 된 안내홈(60)이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gas spring 50 is protruded downward and both sides of the guide portion 52 is form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4 corresponding to the guide portion 52 of the gas spring 50 is Guide portion 52 is not separated, the guide groove 60 to be guided is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는 먼저, 작업자가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에 스토퍼(38)를 압입시켜 구비한 후, 상기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를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중공부(30)에 스플라인(26,32) 결합시킨다.In the steering apparatu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first presses the stopper 38 into the first steering shaft 22 and then provides the first steering shaft 22 with the second steering shaft ( The splines 26 and 32 are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30 of the 28.

그리고, 상기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에 구비된 스토퍼(38)를 중공부(30)의 개구부측에 볼트(80)로 고정시키고, 상기 중공부(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주입구(34)로 오일(70)을 주입하여 중공부(30)의 내측에 오일(70)을 충전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중공부(30)의 주입구(34)에 오일캡(36)을 장착하면 된다.In addition, the stopper 38 provided in the first steering shaft 22 is fixed to the opening side of the hollow part 30 with the bolt 80, and the injection hole 3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art 30. The oil 70 is injected to fill the oil 70 inside the hollow part 30. Thereafter, the oil cap 36 may be mounted on the injection hole 34 of the hollow part 30.

그리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스티어링 휠(2)을 조작하면, 상기 스티어링 휠(2)에 연결된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가 상기 스티어링 휠(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의 회전에 의해 이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에 스플라인(26,32) 결합되어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에 일체로 형성된 중공부(30)도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그 회전력을 스티어링 장치의 인터튜브 샤프트(8)와, 인텀 샤프트(10), 스티어링 기어(12)로 전달하여 바퀴(16)가 회전하게 된다.Thus,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steering wheel 2 of the vehicle, the first steering shaft 22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2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teering wheel 2, and the first steering shaft The hollow portion 30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steering shaft 22 by the splines 26 and 32 by the rotation of the 22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is also the same as the first steering shaft 22. Directio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intertube shaft 8, the intum shaft 10, and the steering gear 12 of the steering apparatus so that the wheel 16 rotates.

또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0)의 회전시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에 그 일단이 고정된 가스스프링(50)도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가스스프링(50)의 타단은 그 양측이 단차진 가이드부(52)가 스티어링 칼럼(4)의 외주면에 형성된 안내홈(60)에 삽입되어 상기 스티어링 칼럼(4)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므로써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0)의 회전시 가스스프링(50)도 스티어링 샤프트(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teering shaft 20 rotates, the gas spring 5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and the gas spring 50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shaft 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60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4 at both sides thereof and is mov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ering column 4. When the gas spring 50 is also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teering shaft 20.

그리고, 차량이 불규칙한 노면의 도로를 주행할 시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차체 바디의 진동 및 충격이 바퀴(16)로부터 타이로드(14)와 스티어링 기어(12), 인텀 샤프트(10), 인터튜브 샤프트(8)를 통해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로 전달되게 되면, 상기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중공부(30)에 충전된 오일(70)에 의해 진동 및 충격이 흡수되어 차실내의 스티어링 휠(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vibration and impact of the body body caused by the shaking of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travels on an irregular road surface may be caused by the tie rod 14, the steering gear 12, the intum shaft 10, and the interlock from the wheel 16. When it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through the tube shaft 8, vibration and shock are absorbed by the oil 70 filled in the hollow part 30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an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terior. Will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teering wheel 2.

또한, 차량의 정면 충돌시는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력이 스티어링 장치를 통해 전달되다가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중공부(30)에 충전된 오일(70)에 의해 그 충격력이 1차적으로 흡수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중공부(30)가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측으로 밀려 들어오면 상기 중공부(30)와 스티어링 칼럼(4)에 구비된 가스스프링(50)이 압축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In addition, during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impact force generated by the collis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steering device, and the impact force is primarily absorbed by the oil 70 filled in the hollow portion 30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When the hollow part 30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is pushed toward the first steering shaft 22 side, the gas spring 50 provided in the hollow part 30 and the steering column 4 is compressed. As it absorbs the impact force.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는 스티어링 샤프트를 제 1 스티어링 샤프트와 제 2 스티어링 샤프트로 나누어 구비하고, 상기 제 1 스티어링 샤프트와 제 2 스티어링 샤프트의 결합부에 오일을 충전시켜 주므로써 차량의 주행시 불규칙한 노면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여 조향 및 주행시에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충돌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한 유용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teering apparatus of the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dividing a steering shaft into a first steering shaft and a second steering shaft, and filling oil in a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eering shafts. It is useful to absorb the vibration and shock of the vehicle caused by the irregular road condition while driving the vehicle to improve the safety during steering and driving, and to protect the driver by absorbing the impact force generated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Claims (2)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에 있어서,In the steering device of a car, 상기 스티어링 장치의 스티어링 샤프트(20)는 스티어링 칼럼(4)에 삽입되는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와, 일단에 중공부(30)가 일체로 형성된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로 나누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 일단의 외주면에는 스플라인(2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중공부(30) 내주면 일측에 제 1 스티어링 샤프트(22)의 스플라인(26)에 대응한 스플라인(3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30)의 내측에는 오일(70)이 충전되어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스티어링 샤프트(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The steering shaft 20 of the steering apparatus is divided into a first steering shaft 22 inserted into the steering column 4 and a second steering shaft 28 in which a hollow part 30 is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thereof, A spline 26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first steering shaft 22, and a spline 26 of the first steering shaft 2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portion 30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The corresponding spline (32) is formed, the inside of the hollow portion 30 is filled with oil (70), the steering device of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teering shaft (20) to absorb vibration and shoc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20)에 진동 및 충격력을 완화시키도록 된 가스스프링(50)을 구비하되, 상기 가스스프링(50)의 일단은 제 2 스티어링 샤프트(28)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스티어링 칼럼(4)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장치.The steering shaft 20 is provided with a gas spring 50 to mitigate vibration and impact force, one end of the gas spring 5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steering shaft 28, the other end of the steering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rotatably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lumn (4).
KR1019970056615A 1997-10-30 1997-10-30 Steering device of a car KR1999003490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615A KR19990034901A (en) 1997-10-30 1997-10-30 Steering device of a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615A KR19990034901A (en) 1997-10-30 1997-10-30 Steering device of a c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901A true KR19990034901A (en) 1999-05-15

Family

ID=66047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615A KR19990034901A (en) 1997-10-30 1997-10-30 Steering device of a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90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4901A (en) Steering device of a car
KR100235493B1 (en) Steering column shaft structure for automobiles
KR910008858Y1 (en) Steering shafts
KR100643949B1 (en) A universal joint for a steering device of an automobile
KR200158237Y1 (en) Shock energy absorbing apparatus of steering column tube
KR200153095Y1 (en) Steering main shaft having damping structure
KR100189431B1 (en) Vibration absorbing structure of steering system
KR200147847Y1 (en) Universal joint of steering colum
KR200153094Y1 (en) Intermediate shaft installed bellows
KR960006463Y1 (en) Impact absorbing structure for a steering wheel
KR200145899Y1 (en) Torsion bar support of a truck
JPS63101168A (en) Impact absorbing steering device
KR0156430B1 (en) Shock absorbing apparatus for a steering shaft
KR19980028532U (en) Tie-rod damping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system
KR0117919Y1 (en) An automotive steering axis
KR0154630B1 (en) Shock-absorbing apparatus of steering wheel
KR19980027133U (en) Steering shaft buffer structure of automobile
JPS6036509Y2 (en) Shock energy absorption steering device
KR19980027789A (en) Steering Column Assembly of Automotive Steering System
JPH0512142Y2 (en)
KR19980067125U (en) Structure of intermediate shaft of car steering
KR19990010486U (en) Automotive Steering Assembly
KR19980052618A (en) Shock Absorber of Steering System
KR19980061255A (en) Mounting Structure of Automotive Steering System
KR19980022406A (en) Operation mechanism of automobile steering system with improved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