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433U - Stabilizer Bar - Google Patents

Stabilizer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433U
KR19990034433U KR2019980000765U KR19980000765U KR19990034433U KR 19990034433 U KR19990034433 U KR 19990034433U KR 2019980000765 U KR2019980000765 U KR 2019980000765U KR 19980000765 U KR19980000765 U KR 19980000765U KR 19990034433 U KR19990034433 U KR 199900344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stabilizer
vehicle body
connector
sepa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7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창수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2019980000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433U/en
Publication of KR199900344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433U/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가 차체의 롤링양에 관계없이 변형되어 현가 장치 전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조종 안정성은 향상되나 승차감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conventional stabilizer bar is deformed regardless of the rolling amount of the vehicle body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entire suspension system, so that the steering stability is improved, but the ride comfort is deteriorated,

좌우측륜의 현가 암에 양단이 결합되어 차체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에 있어서, 중간 부분이 분리되어 좌측 스태빌라이저 바와 우측 스태 빌라이저 바로 구분되고, 분리된 부분은 커넥터로 연결되며, 부시를 이용하여 차체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In the stabilizer bar which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to prevent rolling of the vehicle body, the middle part is separated and the left stabilizer bar and the right stabilizer bar are separated, and the separated par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the vehicle body is used by the bush By mounting on the

차체가 미소 롤링될 경우에는 스태빌라이저의 기능을 하지 않도록 하여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에 관한 것이다.When the body is rolled minutely, it relates to a stabilizer bar that does not function as a stabilizer so that the riding comfort is improved.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

본 고안은 노면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 완화 작용을 하는 현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device having a shock absorbing effect so that the impact of the road surface is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and more particularly relates to a stabilizer bar to prevent rolling of the vehicle.

현가 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하지 않도록 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현가 장치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는 섀시 스프링과, 상기 섀시 스프링의 자유 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이 좋게하는 쇽 업소버와, 자동차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한다.Suspension is a device that connects the axle and the body so as not to directly transmit vibrations or shocks received from the road surface to the body while driving,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body and cargo and improving ride comfort. The suspension device includes a chassis spring for mitigating an impact from the road surface, a shock absorber for controlling the free vibration of the chassis spring to improve ride comfort, and a stabilizer for preventing rolling of the vehicle.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스프링 상수가 작은 섀시 스프링을 사용하면 선회시에 작동하는 원심력 때문에 차체의 기울기가 증대한다. 독립 현가식의 경우에는 특히 그 경향이 크기 때문에 선회시의 롤을 감소시켜 차체의 평형을 위한 토션 바를 이용한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된다.The use of a chassis spring with a small spring constant for good ride comfort increases the inclination of the body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acting during turning. In the case of independent suspensions, especially since they tend to be large, stabilizers with torsion bars for equilibrating the body by reducing rolls during turning are mounted.

또, 현가 장치는 구동 바퀴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이나 제동시의 각 바퀴의 제동력을 차체에 전달함과 동시에 선회시의 원심력에도 견디고 각 바퀴를 차체에 대하여 올바른 위치에 유지해야 하는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suspension device has an important role of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ing wheels or the braking force of each wheel during braking to the vehicle body, and withstanding the centrifugal force during the turning, and maintaining each wheel in the correc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각각 양쪽 차륜(1)(2)의 로워 현가 암(3)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프레임(4)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스태빌라이저 바(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10)는 좌우측 차륜(1)(2)이 동시에 상하 작동되는 경우에는 작용하지 않지만, 좌우측의 차륜(1)(2)이 상대에 대하여 서로 상하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비틀림을 통해 발생되는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차체의 기울기를 감소시킨다.In the conventional stabilizer bar 10, as shown in FIG. 1, both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suspension arms 3 of both wheels 1 and 2, and the center portion is mounted to the frame 4. As shown in FIG. Here, the stabilizer bar 10 is formed integrally. The stabilizer bar 10 does not work when the left and right wheels 1 and 2 are simultaneously operated up and down, but when the left and right wheels 1 and 2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y are generated by torsion. Use spring force to reduce the tilt of the car body.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체의 롤링양에 관계없이 변형되어 현가 장치 전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조종의 안정성은 향상되지만 승차감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abilizer bar is deformed irrespective of the rolling amount of the vehicle body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entire suspension system, so that the steering stability is improved but the riding comfort is deteriorated.

즉,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바(10)는 미소 롤링과 같이 스태빌라이저의 작용이 필요없는 구간에서도 스태빌라이저가 작용하여 스프링의 강성과 혼합되어 현가 장치 전체의 강성을 증가시키게 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stabilizer bar 10, the stabilizer acts even in a section in which the stabilizer does not need the action, such as micro rolling, to be mixed with the stiffness of the spring to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 entire suspension system.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체형인 스태빌라이저를 분리하고 커넥터로 조립하는 조립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차체의 롤링량이 한계치를 넘을 때에만 스태빌라이저가 작동되도록 하여 주행중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테빌라이저 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mplements a prefabricated type that separates an integrated stabilizer and assembles it with a connector so that the stabilizer operates only when the rolling amount of the vehicle exceeds a limit, thereby improving riding comfort while driving. The goal is to provide a stabilizer bar that allows you to do this.

도 1은 일반적인 스태빌라이저 바가 포함된 현가 장치가 도시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uspension device including a general stabilizer bar,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스태빌라이저 바가 도시된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bilizer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이 도시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A" cross section of FIG.

도 4는 도 2의 "B-B" 단면이 도시된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B" cross section of FIG.

도 5는 현가 장치를 이루는 각 부품의 부하-변위의 상관 관계가 도시된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of the load-displacement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suspension devi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1 : 좌측 스태빌라이저 바 51' : 키51: left stabilizer bar 51 ': key

52 : 우측 스태빌라이저 바 52' : 키52: right stabilizer bar 52 ': key

53 : 커넥터 53' : 키홈53: connector 53 ': keyway

54 : 부시54: bush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좌우측륜의 현가 암에 양단이 결합되어 차체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에 있어서, 중간 부분이 분리되어 좌륜측과 우륜측으로 구분되고, 분리된 부분은 커넥터로 연결되며, 부시를 이용하여 차체에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the stabilizer bar to which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to prevent rolling of the vehicle body, the middle part is separated and divided into the left wheel side and the right wheel side, the separated par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be mounted to the vehicle body using a bush.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의한 스태빌라이저 바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좌륜의 현가 암에 결합되는 좌측 스태빌라이저 바(51)와, 우륜의 현가 암에 결합되는 우측 스태빌라이저 바(52)와, 상기 좌우측 스태빌라이저 바(51)(52)를 상호 연결시키는 커넥터(53)와, 상기 좌우측 스태빌라이저 바(51)(52)를 각각 차체에 장착시키는 부시(54)로 구성된다.The stabilizer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ft stabilizer bar 51 having one end coupled to a suspension arm of a left wheel, a right stabilizer bar 52 coupled to a suspension arm of a right wheel, as shown in FIGS. It consists of a connector 53 for inter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stabilizer bars 51 and 52 and a bush 54 for mounting the left and right stabilizer bars 51 and 52 to the vehicle body,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좌우측 스태빌라이저 바(51)(52)는 상기 부시(54)가 장착되는 부분이 일정 정도 벤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53)는 중간 부분이 막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스테빌라이저 바(51)(52)와 상기 커넥터(53)에는 키(51')(52')와 키홈(53')이 형성된다.Here, the left and right stabilizer bars 51 and 52 ar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on which the bush 54 is mounted is bent to a certain degree, and the connector 53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middle portion is blocked, and the left and right stabilizers Riser bars 51 and 52 and the connector 53 are formed with keys 51 'and 52' and a key groove 53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체가 미소 롤링될 경우에는 스태빌라이저가 변형되지 않고 롤링양이 일정 한계를 넘을 경우에만 변형되어 토션을 받게 된다.The stabilizer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formed torsion only when the stabilizer is not deformed and the rolling amount exceeds a certain limit when the vehicle body is micro-rolled.

좌우측 스태빌라이저 바(51)(52)가 부시(54)에 의해 차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차체가 롤링될 경우 상기 좌우측 스태빌라이저바(51)(52)는 상기 부시(54)로부터 커넥터(53)에 이르는 부분에서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53)의 키홈(53')과 상기 좌우측 스태빌라이저 바(51)(52)의 키(51')(52')는 그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그 크기차에 해당되는 미소한 각(α)이 존재하게 되고, 이 미소한 각(α)으로 인해 미소 롤링각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바(51)(52)가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Since the left and right stabilizer bars 51 and 52 are mounted to the vehicle body by the bush 54, the left and right stabilizer bars 51 and 52 extend from the bush 54 to the connector 53 when the vehicle body is rolled. Will cause deformation. At this time, since the key grooves 53 'of the connector 53 and the keys 51', 52 'of the left and right stabilizer bars 51 and 52 are different in size, a small angle corresponding to the size difference ( α) is present, and the small angle α prevents the stabilizer bars 51 and 52 from deforming at the small rolling angle.

즉, 차체가 미소 롤각(α)만큼만 롤링되는 경우 상기 좌우측 스태빌라이저 바(51)(52)는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미소 롤각(α)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변형을 일으켜 토션을 받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롤링을 방지한다.That is, when the vehicle body is rolled only by the small roll angle α, the left and right stabilizer bars 51 and 52 do not cause deformation, and only when the vehicle body exceeds the micro roll angle α, the deformation causes the torsion to be subjected to torsion. prevent.

또, 상기 커넥터(53)는 중간 부분이 막혀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는 어느 일측 스테빌라이저 바에 작용되는 롤링이 다른측의 스태빌라이저 바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connector 53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middle part is blocked, so that the rolling acting on one of the stabilizer bar is not transmitted to the stabilizer bar of the other side.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 바가 작동되지 않는 구간을 갖게되어 승차감을 좋게 한다. 즉, 일정 범위 내부의 변위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바가 없는 것처럼 기능하게 되고, 그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만 스태빌라이저 바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여기서, 1번 라인은 섀시 스프링의 작용에 의한 것이고, 2번 라인은 스태빌라이저의 작용에 의한 것이며, 3번 라인은 섀시 스프링과 스태빌라이저가 동시에 작용될 경우의 예이며, 4번 라인은 본 고안에 의한 스테빌라이저 적용시의 부하-변위선도이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5, the stabilizer bar has a section in which the stabilizer bar is not operated to improve ride comfort. That is, at a displacement within a certain range, the stabilizer bar functions as if there is no stabilizer bar, and the stabilizer bar functions only when the stabilizer bar is out of the range. Here, line 1 is due to the action of the chassis spring, line 2 is due to the action of the stabilizer, line 3 is an example of the case when the chassis spring and the stabilizer are simultaneously operated, line 4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ad-displacement diagram for stabilizer application.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체가 미소 롤링될 경우에는 스태빌라이저의 기능을 하지 않게 되므로 승차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 stabilizer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function as a stabilizer when the vehicle body is minutely rolled, so that the riding comfort is improved.

Claims (5)

좌우측륜의 현가 암에 양단이 결합되어 차체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에 있어서,In the stabilizer bar to which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suspension arm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to prevent rolling of the vehicle body, 중간 부분이 분리되어 좌측 스태빌라이저 바와 우측 스태 빌라이저 바로 구분되고, 분리된 부분은 커넥터로 연결되며, 부시를 이용하여 차체에 장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The stabilizer b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dle part is separated and the left stabilizer bar and the right stabilizer bar are separated, and the separated part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mounted on the vehicle body using a bush.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좌측 스태빌라이저 바 및 우측 스태빌라이저 바는 상기 부시가 장착되는 부분이 일정 정도 벤딩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The left stabilizer bar and the right stabilizer bar are stabiliz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the bent portion to which the bush is mounted to some exte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커넥터는 중간 부분이 막힌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middle portion is block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좌측 스태빌라이저 바 및 우측 스테빌라이저 바와 상기 커넥터에는 각각 키와 키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The stabilizer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stabilizer bar and the right stabilizer bar and the connector is formed with a key and a key groove, respectively.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커넥터의 키홈은 좌측 스태빌라이저 바 및 우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키에 비해 그 크기가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The keyway of the connector is a stabilizer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is formed larger than the keys of the left stabilizer bar and the right stabilizer bar.
KR2019980000765U 1998-01-23 1998-01-23 Stabilizer Bar KR1999003443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765U KR19990034433U (en) 1998-01-23 1998-01-23 Stabilizer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765U KR19990034433U (en) 1998-01-23 1998-01-23 Stabilizer Ba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433U true KR19990034433U (en) 1999-08-25

Family

ID=6971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765U KR19990034433U (en) 1998-01-23 1998-01-23 Stabilizer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433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4433U (en) Stabilizer Bar
KR100507148B1 (en) Front suspension using vehicle frame
KR100422555B1 (en) rear suspension structure of car
KR19980054341U (en) Rear suspension lateral rod mounting structure
KR20070094086A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upled torsion beam type suspension in vehicle
KR200317033Y1 (en) Stabilizer bar with improved vehicle stiffness control
KR20020051760A (en) The compound torsion beam axle typed suspension having double cushioned action
KR100452284B1 (en) Rigid axle type suspension
KR100506654B1 (en) Rigid axle type suspension
KR100281822B1 (en) Suspension of automobile
KR100220151B1 (en) Multi link type suspension
KR20060007570A (en) Stabilizer bar mounting device in vehicle
KR20000016931U (en) A stabilizer of suspension for car
KR19980044942U (en) Cross member for vehicle suspension
KR100187495B1 (en) Rear suspension for a vehicle
KR100422834B1 (en) Strut bar assembly for a Macpherson type suspension
KR100527769B1 (en)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KR100192404B1 (en) Double link type rear suspension
KR19990028172U (en) Bush of rear semi trailing arm of a car
KR19980061996U (en) Bump Stopper Improvement Structure of Automobile Shock Absorber
KR20060022067A (en) Mounting bush for preventing over-steer and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suspension system adapted the same
KR19980046026A (en) Car Stabilizer
KR19980038535A (en) Rear suspension structure of heavy vehicle
KR19980024141U (en) Stabilizer bar of car with damping part
KR20060008408A (en) Suspension of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