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344U -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344U
KR19990033344U KR2019990005934U KR19990005934U KR19990033344U KR 19990033344 U KR19990033344 U KR 19990033344U KR 2019990005934 U KR2019990005934 U KR 2019990005934U KR 19990005934 U KR19990005934 U KR 19990005934U KR 19990033344 U KR19990033344 U KR 199900333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pipe
ceiling
support
hang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68555Y1 (ko
Inventor
전재권
Original Assignee
전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권 filed Critical 전재권
Priority to KR2019990005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55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3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3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5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5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면의 바닥지지구에 고정 입설되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선반재치대가 형설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행거파이프를 천정과 바닥면에 입설 고정시킬시 바닥면과 천정간에 행거파이프를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선반에 수납된 물품등의 자중등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좌우로 요동되는 현상없이 안전하고 견고하게 입설고정되도록 하므로써, 행거파이프의 설치등으로 인한 미관상 미려함과 기능상 편리함은 물론 주방물품이나 값비싼 장식물품등을 행거파이프의 선반재치대에 보다 안전하게 수납보관하고자 하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은 물론 행거파이프의 상단부를 천정부재에 고정되는 천정지지구와의 고정작업을 손쉽고 간편하게 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바닥면에 원통형상의 바닥지지구가 고정되고 천정부재에 원통형상의 천정지지구가 고정되어 상기 바닥지지구와 천정지지구간에 행거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선반재치대가 다수개 외주면에 배열되는 행거파이프 양단을 삽입 고정하는 행거파이프 입설고정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으로 숫나사부를 형성하고, 상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으로 소정직경을 갖는 나사 삽치되는 천정지지구와, 행거파이프 상단 내주면에 내합되는 삽치구와 삽치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는 고정구가 삽치구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에 축설되고, 상기 홈에 공구등을 삽입 회전시켜 삽치구와 고정구 직경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이 행거파이프 상단면과 당접가압되도록 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커버를 상기 천정지지구의 숫나사부가 체결하여서 마감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행거파이프 입설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To stand-up fixed structure of the hanger-pipe.}
본 고안은 주방이나 거실등에 설치하여 미관상 미려함과 기능상 편리함등을 꾀하고자 원하는 위치의 바닥에서 천정까지 입설하여 바닥과 천정에 파이프를 고정시킨 후 선반등을 재치시키는 선반재치대가 부착되는 행거등을 지지하는 행거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행거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숫나사부가 형성된 천정지지구를 앙카볼트등으로 천정부재와 고정시킨 후 상기 천정지지구를 관통하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나사에 고정구를 축설하여 상기 행거파이프를 바닥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입설한 후 상기 고정구를 조절하여 행거파이프 상단부와 상기 고정구가 상호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커버로 상기 천정지지구와 체결하여서 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행거파이프를 천정과 바닥면에 입설 고정시킬시 바닥면과 천정간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선반에 수납된 물품등의 자중등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좌우로 요동되는 현상없이 안전하고 견고하게 입설고정되도록 하여 행거파이프의 설치등으로 인한 미관상 미려함과 기능상 편리함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이나 거실등에 미관상 미려함과 기능상 편리함 및 장식장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서랍형식에 의한 수납장에서 탈피하여 바닥면과 천정간에 맞닿는 행거파이프를 입설한 후 바닥면과 천정면에 위치되는 행거파이프 양단을 각각 고정하도록 하여, 행거파이프 외주면에 고정되거나 회전자재하게 선반재치대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선반재치대에 재치되는 선반(케이지상 선반 또는 접시형 선반등)에 주방용품이나 장식도구등을 수납 보관하도록 한 후, 필요로 하는 주방용품등을 손쉽게 식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 추세임은 주지된 바와 같으며, 이와같이 행거파이프 외주면에는 선반재치대가 상하로 다수개 설치되어지고 각각의 선반재치대에 재치된 상태로 고정되는 선반상에 각종 물품이나 값비싼 장식용품등이 수납 진열되는 상태이므로 천정과 바닥면에 입설되는 행거파이프의 고정이 매우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행거파이프(50)를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5)의 위치에 다수의 체결공(56)이 형성된 바닥지지구(55)를 앙카볼트(52)등으로 고정 체결한 후 상기 바닥지지구(56)에 행거파이프(50) 하단부를 삽입하여 입설하고, 천정에도 바닥면(5)과 마찬가지로 상기 바닥지지구(56)가 고정설치된 위치와 대향되는 위치의 천정부재(1) 하단에 체결공(56)이 형성된 천정지지구(51)를 앙카볼트(52)등으로 체결하여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행거파이프(50)의 하단부를 바닥지지구(56)에 내합시키고, 행거파이프(50)의 상단부가 천정부재(1)에 고정된 천정지지구(51)에 내합되도록 하여 천정지지구(51) 외주면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구멍(54)에 볼트(53)등으로 체결 가압하여 상기 천정지지구(51)에 내합된 행거파이프 (50)의 상단부 외주면을 고정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천정부재(1)와 바닥면(5)과의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여 행거파이프 (50)를 절단한 후 상기와 같이 고정설치를 하게되면, 바닥면(5)에 고정되는 바닥지지구(55)와 천정부재(1)의 천정지지구(51)에 상기 행거파이프(50)를 내합시키기가 무척 어려워 작업상 난해함이 있어 통상 천정부재(1)와 바닥면(5)간의 길이보다 다소 짧게 절단된 상태의 행거파이프(50)를 바닥지지구(55)와 천정지지구(51)에 내합 삽치되도록 하고 있어 이와같은 경우,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천정지지구(51)에 내합된 행거파이프(50) 상단부가 천정지지구(51)의 내면부와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행거파이프(50)를 고정지지하는 수단은 천정지지구(51) 외주면에 다수 고정체결되는 볼트(53)의 고정지지력에 의해서만 행거파이프(50) 상단부의 외주면을 가압고정하게 되므로 일정시간 경과 후 볼트(53)의 느슨함이 발생되거나 복수개 고정체결된 볼트(53)의 체결력이 상호 다르게 되면 지지력의 불평형으로 인해 헐거워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행거파이프(50)를 견고하게 지지고정하지 못하게 되어 행거파이프(50) 외주면상으로 재치되는 선반(4)의 수납물품의 자중이나 작은 충격등에 의해 행거파이프(50) 자체가 심하게 좌우요동되는 등의 현상에 의해 수납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게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따라 수납된 장식물품등 값비싼 물품등이 낙하되어 파손되는 등 행거파이프(50)가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행거파이프(50)의 원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상기 천정지지구(51) 외주면에 천공된 구멍(54)을 통해 볼트(53)등을 체결하여 행거파이프(50)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거의 천정과 맞닿는 상태의 볼트 (53)를 체결하게 되므로 공구를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행거파이프(50)를 견고하게 고정지지하는 것이 어렵게 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53) 체결력이 상호 일치되지 않아 행거파이프(50)의 자중이나 선반 (4)에 재치된 물품등의 자중 및 작은 충격등에도 쉽게 요동되는 문제점이 제기되는등의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써, 바닥면의 바닥지지구에 고정되어 입설되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선반재치대가 형설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행거파이프를 천정과 바닥면에 입설 고정시킬시 바닥면과 천정간에 행거파이프를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선반에 수납된 물품등의 자중등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좌우로 요동되는 현상없이 안전하고 견고하게 입설고정되도록 하므로써, 행거파이프의 설치등으로 인한 미관상 미려함과 기능상 편리함은 물론 주방물품이나 값비싼 장식물품등을 행거파이프의 선반재치대에 보다 안전하게 수납보관하고자 하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으며, 행거파이프의 상단부를 천정부재에 고정되는 천정지지구와의 고정작업을 손쉽고 간편하게 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닥면(5)에 원통형상의 바닥지지구(55)가 고정되고 천정부재(1)에 원통형상의 천정지지구(20)가 고정되어 상기 바닥지지구(55)와 천정지지구(20)간에 행거(2)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선반재치대(3)가 다수개 외주면에 배열되는 행거파이프(10) 양단을 삽입 고정하는 행거파이프 입설고정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으로 숫나사부(23)를 형성하고, 상면에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1)으로 소정직경을 갖는 나사(24)가 삽치되는 천정지지구(20)와,
행거파이프(10) 상단 내주면에 내합되는 삽치구(33)와 삽치구(3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외주면에 홈(31)이 형성되는 고정구(30)가 삽치구(33)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24)에 축설되고, 상기 홈(31)에 공구등을 삽입 회전시켜 삽치구(33)와 고정구(30)의 직경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32)이 행거파이프 (10) 상단면과 당접가압되도록 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41)가 형성되는 커버(40)를 상기 천정지지구(20)의 숫나사부(23)와 체결하여서 마감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행거파이프 입설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장착되기 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을 보인 정단면도이다.
※ 도면 부호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천정부재 2: 행거 3: 선반재치대 4: 선반 5: 바닥면
10: 행거파이프 20: 천정지지구 21: 삽입홈 22: 앙카볼트
23: 숫나사부 24: 나사 25: 체결공 30: 고정구
31: 홈 32: 단턱 33: 삽치구 40: 커버 55: 바닥지지구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장착되기 전의 분리 사시도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반재치대(3)가 고정되는 행거(2)가 외주면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행거파이프(10)와, 상기 행거파이프(10) 상하단을 각각 바닥면(5)과 천정부재 (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6)으로 구성된다.
상기 행거파이프(10)는 작업현장등에서 천정부재(1)와 바닥면(5)의 길이보다 다소 작은 길이로 절단기등에 의해 절단된 소정길이를 갖도록 하고, 종전과 같이 외주면상에 복수개 고정형설되는 행거(2)에 선반(4)을 재치하기 위한 선반재치대 (3)가 고정되어져 선반(4)에 각종 주방용품이나 장식물품등을 진열 또는 보관하도록 하고 있는바, 상기 행거(2)는 행거파이프(10)에 고정되는 고정식이거나 진열 또는 수납되는 선반이 회전자재 할 수 있는 회전식이어도 좋다.
상기 고정수단(6)은 소정길이를 갖는 행거파이프(10)를 입설한 상태에서 양단부를 바닥면(5)과 천정부재(1)에 각각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써, 천정부재(1)에 고정되는 천정지지구(20)와 바닥면(5)에 고정되는 바닥지지구(55)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지지구(55)는 종전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한바 도 4에서 보는바와 같이 일측면이 패쇄되고 타측이 개방되는 중공형상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바닥면(5)과 접하는 일측면에 체결공(56)을 천공하여 바닥면(5)과 바닥지지구(55)가 고정되도록 앙카볼트(52)등으로 고정체결하고, 상기 바닥지지구(55) 외주면에 구멍(54)이 다수개 형성되도록 하여 행거파이프(10)가 상기 바닥지지구(55)에 삽치되도록 한 후 상기 구멍(54)에 볼트(53)등으로 조여 행거파이프(10)를 고정하도록 하여도 행거파이프(10)의 자중등에 의해 지지되므로 무방하다.
상기 고정수단(6) 중 천정과 당접되는 행거파이프(10)의 상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천정지지구(20)는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천정부재(1)와 당접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일측면이 패쇄됨과 동시에 체결공(25)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25)에 앙카볼트(22)등으로 천정지지구(20)와 천정부재(1)간을 고정체결하도록 하고, 상기 천정지지구(20)의 패쇄된 외측면(즉, 천정부재(1)와 당접되는 천정지지구(20) 일측면)에 삽입홈(21)을 천공한 후 상기 삽입홈(21)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나사 (24)를 삽치시켜 고정되도록 하고, 천정지지구(20) 외주면상에 숫나사부(23)를 형설하여 후술하는 암나사부(41)가 형설된 커버(40)와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나사(24)에 외주면으로 다수개의 홈(31)이 천설되고 내주면으로 나사부가 형설된 고정구(30)를 축설하여 행거파이프(10)를 고정지지하게 되는바, 고정구(30)의 외경은 행거파이프(10)의 외경과 일치되거나 또는 후술하는 커버(40)의 내경보다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구(30)와 일체로 되는 삽치구 (33)가 고정구(30) 하방에 형성되도록 하되 삽치구(33)의 직경은 고정구(30)의 직경과 행거파이프(10)의 내경보다 작도록 하여 삽치구(33)가 행거파이프(10) 상단으로 삽치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일체로 되는 고정구(30)와 삽치구(33)의 직경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32)이 행거파이프(10) 상단면과 당접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행거파이프(10) 외주면을 따라 자유유동이 가능한 커버(40)를 형성하는바, 상기 커버(40) 상단부 내면측에 암나사부(41)를 형설하여 상술한 천정지지구(20)의 숫나사부(23)와 체결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먼저 행거파이프(10)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바닥면(5)과 천정부재(1)간의 길이에 적정한 행거파이프 (10)의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바닥면(5)에 앙카볼트(52)등에 의해 바닥지지구 (55)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지지구(55)에 행거파이프(10) 하단부를 삽치한 후 볼트(53)등에 의해 고정시키고, 천정부재(1)측에 바닥지지구(55)와 대향되는 위치에 천정지지구(20)를 마찬가지로 앙카볼트(22)등에 의해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행거파이프(10) 상단부로 삽치구(33)가 삽입되도록 하는바, 이때 삽치구(33)와 고정구(30)가 직경을 달리하며 일체로 됨에 따라 형성되는 단턱(32)이 행거파이프(10) 상단부의 원주면과 당접되는 위치에 있게 되면 공구등으로 고정구(30)의 외주면에 천설되어 있는 홈(31)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 (30)를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구(30)와 삽치구(33)가 나사(24)에 축설된 상태이므로 나사(24)를 따라 하강하게 되어 단턱(32)이 행거파이프(10) 상단의 원주면상을 가압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고정구(30)가 행거파이프(10)를 밀착 지지하게 되어 바닥면(5)과 천정부재(1)간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천정지지구(20)의 외주면에 형설된 숫나사부(23)와 체결되도록 하는 암나사부(41)가 형설된 커버(40)는 미리 천정지지구(20)와 해체된 상태에서 행거파이프(10)상에 자유유동되도록 하여, 상술한 과정이 완료되면 마지막 마감 공정으로 커버(40)를 천정지지구(20)까지 위치시켜 암나사부(41)가 형설된 커버(40)와 숫나사부(23)가 형설된 천정지지구(20)간의 체결을 완료함으로써, 본 고안의 설치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선반등을 재치하기 위한 선반재치대를 고정하는 행거등이 복수개 형설되는 행거파이프를 주방이나 거실등의 원하는 위치의 바닥면에서 천정까지 입설 고정시킬 때 천정부재에 고정되는 천정지지구의 고정구 및 삽치구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이 행거파이프의 상단 원주면을 가압밀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므로, 행거파이프의 좌우요동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어 값비싼 장식품등이나 주방등에서의 주방용품등을 안전하게 수납 보관또는 진열할 수 있어 사용상 안전성을 완벽하게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는 것이며, 행거파이프를 설치함에 있어서 행거파이프의 길이가 적정길이보다 다소 짧더라도 나사를 따라 승강작동되는 고정구에 의해 상하승강된 후 공구등에 의해 고정구를 회전시켜 조이는 작업으로 모든 설치작업이 완료되므로 비교적 손쉽고 간단하게 행거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마감작업시 암나사가 형성된 커버를 작업자가 손쉽게 체결하여 마무리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전체적으로 행거파이프를 설치하는 작업이 손쉽고 비교적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 기능상 완벽성과 작업상 편리성을 갖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바닥면(5)에 원통형상의 바닥지지구(55)가 고정되고 천정부재(1)에 원통형상의 천정지지구(20)가 고정되어 상기 바닥지지구(55)와 천정지지구(20)간에 행거(2)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선반재치대(3)가 다수개 외주면에 배열되는 행거파이프(10) 양단을 삽입 고정하는 행거파이프 입설고정구조에 있어서,
    외주면으로 숫나사부(23)를 형성하고, 상면에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1)으로 소정직경을 갖는 나사(24)가 삽치되는 천정지지구(20)와,
    행거파이프(10) 상단 내주면에 내합되는 삽치구(33)와 삽치구(33)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외주면에 홈(31)이 형성되는 고정구(30)가 삽치구(33)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나사(24)에 축설되고, 상기 홈(31)에 공구등을 삽입 회전시켜 삽치구(33)와 고정구(30)의 직경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단턱(32)이 행거파이프 (10) 상단면과 당접가압되도록 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41)가 형성되는 커버(40)를 상기 천정지지구(20)의 숫나사부(23)와 체결하여서 마감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행거파이프 입설고정구조.
KR2019990005934U 1999-04-12 1999-04-12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KR2002685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934U KR200268555Y1 (ko) 1999-04-12 1999-04-12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934U KR200268555Y1 (ko) 1999-04-12 1999-04-12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344U true KR19990033344U (ko) 1999-08-05
KR200268555Y1 KR200268555Y1 (ko) 2002-03-16

Family

ID=5475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934U KR200268555Y1 (ko) 1999-04-12 1999-04-12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5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185B1 (ko) * 2022-02-09 2022-08-10 이기태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993B1 (ko) 2011-10-10 2018-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185B1 (ko) * 2022-02-09 2022-08-10 이기태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555Y1 (ko) 200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7402C (zh) 物品存储系统及装置
US6378709B1 (en) Single standard shelving system
US6702128B2 (en) Storage system
CA2161753C (en) Adjustable shelf bracket and standard system
US4234094A (en) Gridworks storage system
US3003646A (en) Pole display apparatus
US3313509A (en) Fixture for attachment ot a vertically grooved wooden wall
US4858772A (en) Carousel accessory unit
US6212810B1 (en) Pole system for displaying picture frames
US6425563B1 (en) Clamp for a retail display apparatus
US6182841B1 (en) Display system for lamp shades
KR20110008667U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조절장치
KR200268555Y1 (ko)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US4886172A (en) Clothes hanging stand
KR100750904B1 (ko) 조립식 진열대 결합구조
KR200173946Y1 (ko) 포스트 신축 조절장치
KR20170100949A (ko) 가구용 걸이대
US5680940A (en) Space saving bracket
KR100774143B1 (ko) 물품수납대
US5538146A (en) Garment bag hanger
JPH0522131Y2 (ko)
JP5898809B1 (ja) ハンガーラック
KR100290586B1 (ko) 의복걸이대
KR200176168Y1 (ko) 다용도 수납대
WO2003065851A1 (en) Shelving system for sloping w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