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185B1 -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185B1
KR102431185B1 KR1020220016912A KR20220016912A KR102431185B1 KR 102431185 B1 KR102431185 B1 KR 102431185B1 KR 1020220016912 A KR1020220016912 A KR 1020220016912A KR 20220016912 A KR20220016912 A KR 20220016912A KR 102431185 B1 KR102431185 B1 KR 102431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le
coupled
ceiling
upper body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태
Original Assignee
이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태 filed Critical 이기태
Priority to KR1020220016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천장에 결합시키기 위한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로서, 하단이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제1축홀이 형성되는 하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단이 천장에 밀착되고, 제1축홀과 마주하도록 하단에 제2축홀이 형성되는 상부 몸체부와, 하부 몸체부와 상부 몸체부의 사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단과 하단이 제1축홀과 제2축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며, 정역 방향 회전을 통해 하부 몸체부와 상부 몸체부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높이 조절부 및, 상부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천장에 밀착되고, 체결부재가 하방을 통해 천장에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FRAME FIXING APPARATUS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천장과 동일 높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생활용품을 보관하기 위해 옷장이나 장롱을 대신하여 최근에는 프레임을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벽면에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수납장의 사용이 보편화 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식 수납장은 사용자가 손쉽게 부품들을 결합하여 옷장이나 장롱과 대등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및 비용 그리고 운반과 이동이 간편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즈와 형태 등으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공간에 선택적으로 설치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래의 조립식 수납장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하단이 설치면(방바닥 등)에 안착되는 다수의 수직 프레임과, 가장자리가 수직 프레임들의 폭방향에 각각 결합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의 층으로 배치되는 선반 및, 선반의 가장자리와 수직 프레임의 폭방향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체결부재 등으로 구성되며, 체결부재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선반의 위치, 높이 등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조립식 수납장은 수직 프레임의 상단이 천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설치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 수직 프레임의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었고, 선반에 수납된 물품의 중량과 무게 중심의 불안정 등으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전도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립식 수납장 중에는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천장에 고정적으로 결합시켜 조립식 수납장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나, 천장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수직 프레임의 상단과 천장이 긴밀하게 밀착되지 않아 안정적인 설치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159호(2016년 12월 16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조립식 가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천장과 동일 높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천장에 결합시키기 위한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로서, 하단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제1축홀이 형성되는 하부 몸체부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단이 상기 천장에 밀착되고, 상기 제1축홀과 마주하도록 하단에 제2축홀이 형성되는 상부 몸체부와,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의 사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제1축홀과 상기 제2축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며, 정역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상부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천장에 밀착되고, 체결부재가 하방을 통해 상기 천장에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의 사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측면을 따라 다수의 다각면이 형성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축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정역 방향 회전을 통해 승강 가능한 제1회전축 및, 상기 조절부재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축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정역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상부 몸체부를 승강시키는 제2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축홀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몸체부의 양측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 및, 상기 제2축홀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몸체부의 양측 하단에 각각 배치되고, 하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축홀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몸체부의 양측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가이드홈 및, 상기 제1축홀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몸체부의 양측 상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보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보조 가이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부의 상단과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천장에 밀착되고,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몸체부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수직 프레임을 천장과 대응되는 높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상부 몸체부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정부가 체결부재에 의해 천장에 결합되므로 상부 몸체부를 천장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의 상부 몸체부가 상승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보조 가이드홈과 보조 가이드바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패드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의 조절부재에 공구 결합홈이 적용된 상태롤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걸림홈과 이동부재 및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걸림홈과 이동부재 및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천장 고정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의 상부 몸체부가 상승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보조 가이드홈과 보조 가이드바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패드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의 조절부재에 공구 결합홈이 적용된 상태롤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걸림홈과 이동부재 및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걸림홈과 이동부재 및 탄성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천장 고정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 프레임(10)의 상단을 천장(1)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와, 높이 조절부(300) 및, 한 쌍의 고정부(400)를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10)은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고, 폭방향에 수납용 선반(미도시)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수직 프레임(10)의 하단에는 설치면에 안착되도록 별도의 프레임 받침대(미도시)가 더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몸체부(100)는 수직 프레임(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부 몸체부(100)의 상단에는 제1축홀(110)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하부 몸체부(100)의 하단은 수직 프레임(10)의 상단과 암수로 대응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축홀(110)은 하부 몸체부(100)의 하부로 수직하게 관통될 수 있고, 후술될 제1회전축(320)이 수평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내주면이 측방으로 원주를 이룰 수 있으며, 제1축홀(110)의 내주면에는 후술될 제1회전축(320)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몸체부(100)의 하단에는 수직 프레임(10)의 상단에 형성된 홈부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결합구가 돌출될 수 있고, 하부 몸체부(100)는 플라스틱(plastic)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축홀(110)을 기준으로 하부 몸체부(100)의 양측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홈(120)은 하부 몸체부(100)의 양측 상단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후술될 가이드바(220)가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도록 대응되게 삽입되고, 하부 몸체부(100)의 하부로 수직하게 개방될 수 있다.
상부 몸체부(200)는 하부 몸체부(100)의 상부에 간격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하부 몸체부(10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수직 프레임(10)의 상단을 천장(1)에 결합시키는 경우 상부 몸체부(200)의 상단이 천장(1)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부 몸체부(200)의 하단에는 제1축홀(110)과 동일 축 선상으로 마주하는 제2축홀(210)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부 몸체부(200)는 플라스틱(plastic)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축홀(210)은 상부 몸체부(200)의 상부로 수직하게 관통될 수 있고, 후술될 제2회전축(330)이 수평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내주면이 측방으로 원주를 이룰 수 있으며, 제2축홀(210)의 내주면에는 후술될 제2회전축(330)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축홀(210)을 기준으로 상부 몸체부(200)의 양측 하단에 각각 배치되고, 하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전술한 가이드홈(120)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바(220)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가이드바(220)의 하단이 가이드홈(120)의 하방을 통해 하부 몸체부(10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220)의 하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상승되는 높이를 제한하는 걸림단(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몸체부(200)가 최대 상승높이까지 상승하는 경우 걸림단(221)이 하부 몸체부(10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어 가이드바(220)의 상승되는 높이를 제한할 수 있고, 걸림단(221)에 의해 가이드바(220)의 최대 상승 높이가 제한되므로 상부 몸체부(200)가 하부 몸체부(100)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즉, 수직 프레임(10)을 설치하는 경우 수직 프레임(10)의 하단을 설치면에 수직하게 안착시킨 후, 상부 몸체부(200)를 천장(1)과 밀착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어 수직 프레임(10)의 상단을 천장(1)과 대응되는 높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가이드바(220)에 의해 상부 몸체부(200)가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므로 상부 몸체부(200)의 흔들림과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는 도 11에서처럼 가이드바(220)의 외부에 결합되고, 양단이 하부 몸체부(100)의 상단과 상부 몸체부(200)의 하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230)는 상하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230)는 상부 몸체부(200)를 상부로 탄성 지지하므로, 사용자가 상부 몸체부(200)를 상승시키는 경우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조절부재(310)를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탄성부재(230)에 의해 상부 몸체부(200)의 양측이 상부로 탄성 지지되므로 상부 몸체부(2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는 도 8에서처럼 제2축홀(210)을 기준으로 상부 몸체부(200)의 양측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가이드홈(510) 및, 제1축홀(110)을 기준으로 하부 몸체부(100)의 양측 상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보조 가이드홈(510)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보조 가이드바(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보조 가이드홈(510)은 상부 몸체부(200)의 양측 하단에 수직하게 관통된다. 한 쌍의 보조 가이드바(520)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보조 가이드바(520)의 상단이 보조 가이드홈(510)의 하방을 통해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며, 보조 가이드바(520)는 가이드바(220)의 일측에 나란하게 이격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가이드바(520)의 상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하강되는 높이를 제한하는 보조 걸림단(5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몸체부(200)가 최대 상승높이까지 상승하는 경우 보조 걸림단(521)이 상부 몸체부(200)의 상단에 걸림 위치되어 상부 몸체부(200)의 상승되는 높이를 제한할 수 있고, 보조 걸림단(521)에 의해 상부 몸체부(200)의 최대 상승 높이가 제한되므로 상부 몸체부(200)가 하부 몸체부(100)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보조 가이드바(520)가 가이드바(220)의 일측에 배치되므로 상부 몸체부(200)가 승강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보조 가이드바(520)에 의해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의 연결 부위가 보강되므로 외력에 의해 가이드바(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300)는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의 사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단과 하단이 제1축홀(110)과 제2축홀(21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며, 정역 방향 회전을 통해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의 간격을 가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300)는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의 사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다각면이 형성되는 조절부재(310)와, 조절부재(31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축홀(11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정역 방향 회전을 통해 승강 가능한 제1회전축(320) 및, 조절부재(31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축홀(21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정역 방향 회전을 통해 상부 몸체부(200)를 승강시키는 제2회전축(33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재(310)는 측부를 따라 다수의 다각면이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손으로 조절부재(310)의 측부를 파지한 상태로 수평하게 회전시키거나, 별도의 회전 공구(렌치, wrench 등)를 이용해 조절부재(310)의 측부에 결합시킨 상태로 수평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재(310)의 측부에 형성된 다각면에는 도 10에서처럼 회전 공구(20)의 일단을 삽입시킬 수 있는 공구 결합홈(31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구 결합홈(311)은 다각면에 개별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고, 회전 공구(20)의 일단을 공구 결합홈(311)에 삽입시킨 상태로 조절부재(310)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부 몸체부(2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즉, 조절부재(300)의 측부에 형성된 다각면을 파지하거나 공구 결합홈(311)에 회전 공구(20)의 일단을 결합시키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상부 몸체부(200)의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보유한 회전 공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회전축(320)은 조절부재(31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고, 제1회전축(320)의 측면은 제1축홀(11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원주를 이루며, 제1회전축(320)의 측면에는 제1축홀(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림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310)를 정 방향(상승 방향)으로 수평 회전시키는 경우 제1회전축(320)이 조절부재(310)와 함께 상승하고, 제1회전축(320)의 나사산과 제1축홀(110)의 나사산이 나선을 이루면서 맞물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회전축(320)이 조절된 높이에 고정적으로 위치된다.
반면, 조절부재(310)를 역 방향(하강 방향)으로 수평 회전시키는 경우 도 5에서처럼 제1회전축(320)이 조절부재(310)와 함께 하강하고, 제1회전축(320)의 나사산과 제1축홀(110)의 나사산이 나선을 이루면서 맞물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회전축(320)이 조절된 높이에 고정적으로 위치된다.
제2회전축(330)은 제1회전축(320)과 동일 축 선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조절부재(31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고, 제2회전축(330)의 측면은 제2축홀(21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원주를 이루며, 제2회전축(330)의 측면에는 제2축홀(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림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310)를 정 방향(상승 방향)으로 수평 회전시키는 경우 제2회전축(330)의 수평회전에 의해 제2축홀(210)이 상승하고, 상부 몸체부(200)가 하부 몸체부(10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승되며, 제2회전축(330)의 나사산과 제2축홀(210)의 나사산이 나선을 이루면서 맞물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2회전축(330)이 조절된 높이에 고정적으로 위치된다.
반면, 조절부재(310)를 역 방향(하강 방향)으로 수평 회전시키는 경우 도 5에서처럼 제2회전축(330)이 조절부재(310)와 함께 하강하고, 제2회전축(330)의 나사산과 제2축홀(210)의 나사산이 나선을 이루면서 맞물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2회전축(330)이 조절된 높이에 고정적으로 위치된다.
즉, 조절부재(310)를 정역 방향 회전시키는 경우 제1회전축(320)과 제2회전축(330)이 상승 및 하강되므로 상부 몸체부(20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조절부재(310)를 회전시킬 때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상부 몸체부(20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회전축(320)의 하단에는 회전 공구(일자 드라이버, 십자 드라이버 등)를 결합시키기 위한 보조 공구 결합홈(34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축홀(110)은 하부 몸체부(100)의 하부로 수직하게 개방될 수 있고, 회전 공구의 일단을 보조 공구 결합홈(340)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1회전축(320)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 몸체부(200)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공구(일자 드라이버, 십자 드라이버 등)의 일단을 제1회전축(320)의 하단에 형성된 보조 공구 결합홈(340)에 삽입시킨 후, 제1회전축(320)을 회전시켜 상부 몸체부(200)를 큰 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하부 몸체부(100)의 하단을 수직 프레임(10)의 결합시키고, 조절부재(310)를 회전시키면서 상부 몸체부(20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부 몸체부(200)의 상단이 조절부재(310)의 회전력에 의해 천장(1)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축(330)의 상단에는 회전 공구(일자 드라이버, 십자 드라이버 등)를 결합시키기 위한 보조 공구 결합홈(340)이 오목하게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축홀(210)은 상부 몸체부(200)의 상부로 수직하게 개방될 수 있고, 회전 공구의 일단을 보조 공구 결합홈(340)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2회전축(330)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 몸체부(200)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공구(일자 드라이버, 십자 드라이버 등)의 일단을 제2회전축(330)의 상단에 형성된 보조 공구 결합홈(340)에 삽입시킨 후, 제2회전축(330)을 회전시켜 상부 몸체부(200)를 큰 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조절부재(310)를 회전시키면서 상부 몸체부(20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상부 몸체부(200)의 상단이 조절부재(310)의 회전력에 의해 천장(1)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일자 드라이버, 십자 드라이버 등의 회전 공구만을 보유한 경우, 보조 공구 결합홈(340)을 이용해 제1회전축(320)과 제2회전축(330)을 함께 회전시킬 수 있고, 조절부재(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간이 협소하거나 손으로 회전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일자 드라이버, 십자 드라이버 등의 회전 공구를 이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쌍의 고정부(400)는 상부 몸체부(200)를 천장(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 몸체부(2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천장(1)에 밀착되고, 체결부재(나사못 등, 30)가 하방을 통해 천장(1)에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홀(410)이 상하로 관통된다. 여기서 고정부(400)는 플라스틱(plastic)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체결홀(410)은 고정부(400)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상부 체결홀 및, 상부 체결홀의 하부에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방으로 관통되는 하부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체결부재(30)의 전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상부 체결홀을 통해 수직하게 관통되어 천장(1)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삽입부의 후단에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된 머리부가 하부 체결홀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프레임(10)을 수직하게 설치하는 경우 상부 몸체부(200)의 상단과 고정부(400)의 상단을 천장(1)에 밀착시킨 후, 체결부재(30)의 삽입부를 체결홀(410)의 하방을 통해 수직하게 삽입시켜 천장(1)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30)의 머리부가 고정부(40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거나 하부 체결홀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므로 고정부(400)가 천장(1)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즉 수직 프레임(10)을 수직하게 설치하는 경우 상부 몸체부(200)의 상단이 조절부재(310)의 회전력에 의해 천장(1)에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고정부(400)가 체결부재(30)에 의해 천장(1)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므로, 상부 몸체부(200)가 외력에 의해 측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천장(1)에 형성된 굴곡 등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부 몸체부(20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에서처럼 천장(1)에는 체결부재(3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천장 고정부재(석고 앙카 라고도 함, 40)가 결합될 수 있다. 천장 고정부재(40)는 천장(1)이 석고 등의 소재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고, 체결부재(30)와 대응되는 개수로 천장(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천장 고정부재(40)는 천장(1)에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체결부재(30)의 삽입부가 암수로 결합되도록 하부에 체결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부 및, 삽입부의 하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천장(1)의 하면에 걸림 위치되는 머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장에 천장 고정부재의 삽입부를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켜 체결홈을 천장(1)의 하부로 노출시킬 후, 체결부재(30)의 삽입부를 체결홈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켜 고정부(400)를 천장(1)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는 도 9에서처럼 상부 몸체부(200)의 상단과 고정부(400)의 상단에 결합되어 천장(1)에 밀착되고,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패드부(610)와, 패드부(61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620) 및, 결합돌기(620)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고정부(400)의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610)는 상부 몸체부(200)의 상단 및 고정부(400)의 상단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되고, 천장(1)에 밀착시 측방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을 갖는 소재(고무, 스폰지, 실리콘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패드부(610)에는 체결부재(30)의 삽입부가 수직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통과홀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드부(61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를 이용하므로, 상부 몸체부(200)가 측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방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천장(1)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돌기(620)는 패드부(610)의 하단을 고정부(400)의 상단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결합돌기(620)는 고정부(400)의 결합홈(630)에 대응되게 삽입되어 수평하게 걸림 위치된다. 즉 결합돌기(620)가 고정부(400)의 결합홈(630)에 삽입된 상태로 수평하게 걸림 위치되므로 고정부(400)가 패드부(610)와 수평하게 어긋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는 도 12에서처럼 제2회전축(330)의 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제2회전축(330)의 측면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는 다수의 걸림홈(710)과, 상부 몸체부(200)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단이 제2회전축(33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이동부재(720) 및, 이동부재(720)의 후단을 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710)은 제2회전축(330)을 회전된 위치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회전축(33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고, 걸림홈(710)은 제2회전축(330)의 수직 회전중심 방향으로 오목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홈(710)의 간격, 개수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부재(720)는 상부 몸체부(200)의 내부 공간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동부재(720)의 전단은 후방에서 작용하는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제2회전축(33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이동부재(720)의 전단은 전방으로 볼록한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재(3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2회전축(330)의 수평하게 회전되면서 승강되고, 걸림홈(710)이 제2회전축(330)과 함께 회전되며, 제2회전축(330)의 측면이 이동부재(720)의 전단과 밀착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후, 조절부재(310)의 회전을 중지시켜 걸림홈(710)과 이동부재(720)를 동일 선상에 위치시키는 경우, 이동부재(720)의 전단이 걸림홈(710)에 대응되게 삽입되고, 걸림홈(710)의 폭방향이 이동부재(720)의 전단에 걸림 위치된다. 즉 이동부재(720)가 걸림홈(710)의 폭방향 양측에 걸림 위치되므로 외력(충격 등)에 의해 제2회전축(33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730)는 상부 몸체부(200)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고, 탄성부재(730)의 후단은 상부 몸체부(200)의 내부에 지지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730)의 전단은 이동부재(720)의 후단을 전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73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720)의 전단이 제2회전축(33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상부 몸체부(200)의 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수직 프레임(10)을 천장(1)과 대응되는 높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상부 몸체부(200)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정부(400)가 체결부재(30)에 의해 천장(1)에 결합되므로 상부 몸체부(2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천장 10: 수직 프레임
20: 회전 공구 30: 체결부재
40: 천장 고정부재 100: 하부 몸체부
110: 제1축홀 120: 가이드홈
200: 상부 몸체부 210: 제2축홀
220: 가이드바 221: 걸림단
230: 탄성부재 300: 높이 조절부
310: 조절부재 311: 공구 결합홈
320: 제1회전축 330: 제2회전축
340: 보조 공구 결합홈 400: 고정부
410: 체결홀 510: 보조 가이드홈
520: 보조 가이드바 521: 보조 걸림단
610: 패드부 620: 결합돌기
630: 결합홈 710: 걸림홈
720: 이동부재 730: 탄성부재

Claims (5)

  1.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천장에 결합시키기 위한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로서,
    하단이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단에 제1축홀이 형성되는 하부 몸체부;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단이 상기 천장에 밀착되고, 상기 제1축홀과 마주하도록 하단에 제2축홀이 형성되는 상부 몸체부;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의 사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하단과 상단이 상기 제1축홀과 상기 제2축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각각 결합되며, 정역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높이 조절부; 및
    상기 상부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천장에 밀착되고, 체결부재가 하방을 통해 상기 천장에 결합되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상하로 관통되는 한 쌍의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높이 조절부는,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의 사이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다각면이 형성되는 조절부재와,
    상기 조절부재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축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정역 방향 회전을 통해 승강 가능한 제1회전축 및,
    상기 조절부재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축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고, 정역 방향 회전을 통해 상기 상부 몸체부를 승강시키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축홀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몸체부의 양측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 및,
    상기 제2축홀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몸체부의 양측 하단에 각각 배치되고, 하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의 하단과 상기 제2회전축의 상단에는 회전 공구를 결합시키기 위한 보조 공구 결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축홀은 상기 하부 몸체부의 하부로 수직하게 개방되며, 상기 제2축홀은 상기 상부 몸체부의 상부로 수직하게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홀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 몸체부의 양측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보조 가이드홈 및,
    상기 제1축홀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몸체부의 양측 상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보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보조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부의 상단과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천장에 밀착되고, 탄성 소재로 구비되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가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KR1020220016912A 2022-02-09 2022-02-09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KR102431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912A KR102431185B1 (ko) 2022-02-09 2022-02-09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912A KR102431185B1 (ko) 2022-02-09 2022-02-09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185B1 true KR102431185B1 (ko) 2022-08-10

Family

ID=8284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912A KR102431185B1 (ko) 2022-02-09 2022-02-09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1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344U (ko) * 1999-04-12 1999-08-05 전재권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KR200365562Y1 (ko) * 2004-07-14 2004-10-20 (주)데네브테크놀로지 조립식 가구의 지주 및 그러한 지주로 구성되는 조립식가구
KR200436737Y1 (ko) * 2007-06-19 2007-09-28 주식회사 창신산업 시스템가구용 높이조절장치
KR20160134079A (ko) *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신코 시스템가구용 포스트
JP2019047955A (ja) * 2017-09-11 2019-03-28 平安伸銅工業株式会社 柱材支持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344U (ko) * 1999-04-12 1999-08-05 전재권 행거파이프 입설 고정구조
KR200365562Y1 (ko) * 2004-07-14 2004-10-20 (주)데네브테크놀로지 조립식 가구의 지주 및 그러한 지주로 구성되는 조립식가구
KR200436737Y1 (ko) * 2007-06-19 2007-09-28 주식회사 창신산업 시스템가구용 높이조절장치
KR20160134079A (ko) *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신코 시스템가구용 포스트
JP2019047955A (ja) * 2017-09-11 2019-03-28 平安伸銅工業株式会社 柱材支持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168B1 (ko)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US20080116330A1 (en) Apparatus for leveling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431185B1 (ko)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KR101546747B1 (ko) 가구의 수평조절용 받침다리
KR101164025B1 (ko) 가구용 받침대
CN211431760U (zh) 一种调节脚以及使用该调节脚的壁柜
KR101513267B1 (ko) 가구의 높낮이 조절장치
US20190174919A1 (en) Cabinet drawer
KR102214744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20190090245A (ko) 가림판 장착형 싱크대 받침다리
KR200496139Y1 (ko) 가구용 프레임 고정장치
US20210393055A1 (en) Adjustable hanger apparatus and method
JP7487669B2 (ja) 棒状部材の固定具
KR101599413B1 (ko) 양방향 연동승강식 가구 받침다리
KR20070103572A (ko) 수납 선반용 신축 지주
KR102439161B1 (ko) 가구 내부에서 손쉽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발을 구비한 수납가구
KR102199823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101727120B1 (ko)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KR102133409B1 (ko) 싱크대 바닥 가림판 장착용 마운팅 어셈블리
KR101834497B1 (ko) 조립식 선반구조
KR102199822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JP4866185B2 (ja) 吊持構造
KR102551405B1 (ko) 높낮이 조절 싱크대 다리 받침대
CN216316365U (zh) 一种具有多种连接结构的坐姿矫正器
CN216534509U (zh) 一种内置升降调平装置及可调置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