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595U -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595U
KR19990032595U KR2019970045356U KR19970045356U KR19990032595U KR 19990032595 U KR19990032595 U KR 19990032595U KR 2019970045356 U KR2019970045356 U KR 2019970045356U KR 19970045356 U KR19970045356 U KR 19970045356U KR 19990032595 U KR19990032595 U KR 199900325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hole
battery terminal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3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9631Y1 (ko
Inventor
이규창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20199700453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63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2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5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6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에 있어서, 하부 본체의 내부에는 저면에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 블럭이 삽입.안착되어 있고, 이 단자와 대응하는 하부 본체에는 일측에 일정길이를 이루는 장홈과 연장상태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홈에는 관통공을 차폐시키기 위하여 차폐부재가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구조로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를 휴대시, 사용자의 소지품 중에 금속체가 단자간에 연결되는 상태로 접촉되거나 혹은 물기의 직접적인 접촉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기능저하 및 기기파손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
본 고안은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battery terminal protection device for carrying along wireless telephon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 블럭과 하부 본체 사이에 슬라이딩되도록 차폐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휴대 무선전화기의 휴대나 배터리의 미 충전시, 단자가 외부와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상태를 방지하여, 금속체로 이루어진 소지품 혹은 물기와의 접촉에 따른 근접 단자간에 통전발생의 방지로 배터리의 기능 저하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무선전화기에 전원을 공급하고자 충전 배터리가 결착.구비되는 바, 이 충전 배터리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배터리팩(10)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와 연결되는 단자 블럭이 내장.설치되어 있으며, 이 단자 블럭에 구비되는 단자(14)는 외부에 직적접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배터리팩(10)을 충전시키고자 할 경우, 이 배터리팩(10)의 외면에 노출되어 있는 단자(14)를 충전장치에 구비된 단자에 안착.접촉시켜 배터리팩(10)을 충전시키게 되는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배터리팩(10)의 단자(14)는 항상 외부와 직접적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 무선전화기을 휴대시에 주머니 혹은 가방에 있는 금속체로 이루어진 소지품이 근접된 단자(14)간에 연결된 상태로 접촉될 경우, 이 금속체를 매개로 근접 단자(14)와의 통전이 발생하여 배터리팩(10)의 고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따라 이 고열로 인하여 배터리팩(10)의 충전기능 저하 및 파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었었다.
또한, 사용자의 취급 부주위로 인하여 물기가 적접적으로 단자(14)에 접촉시에 단자(14)간에 전기적 통전에 의한 파손이 발생되고, 예컨데 유아가 노출된 단자를 (14)입으로 밀착시에는 전기적인 통전이 발생하여 인체에 화상 혹은 상처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 블럭과 하부 본체 사이에 차폐부재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배터리의 미 충전시나 휴대시, 단자가 외부와 직접적으로 노출됨을 방지하여, 금속체 혹은 물기와의 접촉에 따른 충전 기능의 저하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에 있어서, 하부 본체의 내부에는 저면에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 블럭이 삽입.안착되어 있고, 이 단자와 대응하는 하부 본체에는 일측에 일정길이를 이루는 장홈과 연장되 상태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홈에는 관통공을 차폐시키기 위하여 차폐부재가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구조로서, 상기 휴대 무선전화기를 휴대시, 사용자의 소지품 중에 금속체가 단자간에 연결되는 상태로 접촉되어거나 혹은 물기가 직접적인 접촉됨을 방지하여 배터리의 충전기능저하 및 기기 파손의 발생을 방지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 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의 작동후, 상태를 나타 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팩 12 : 단자블럭
14 :단자 16 : 상부 본체
18 : 하부본체 20 : 제 1요홈
22 : 제 2요홈 24 : 장홈
26 : 관통공 28 : 차폐부재
30 : 걸림돌기 32 : 손잡이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인 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에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도 1과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팩은 먼저 상,하부 본체(16,18)로 나뉘어지는데, 이 하부 본체(18)의 내부에는 이미 내장된 배터리와 연결되는 단자블럭(12)이 내장되어 있고, 단자블럭(12)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단자(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단자(14)를 중심으로 하여 양편으로 동일거리 이격된 부위에는 제 1,2요홈(20,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14)와 대응하는 하부 본체(18)에는 일측에 일정길이를 이루는 장홈(24)과 연장된 상태로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 블럭(12)과 하부 본체(18) 사이의 장홈(24)에는 일정길이로 형성된 차폐부재(28)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차폐부재(28)의 일측 양면에는 제 1,2요홈(20,22)과 결착되도록 걸림돌기(30)와 관통공(26)으로 인출되는 손잡이(32)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배터리의 미 충전시,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부 본체(18)의 관통공(26)으로 인출된 차폐부재(28)의 손잡이(32)를 잡고, 이 손잡이(32)와 대응하는 면에 돌출된 걸림돌기(30)를 제 1요홈(20)에 결착시키게 되면, 이 단자(14)와 대응하는 하부 본체(18)의 관통공(26)을 차폐부재(28)가 막음으로써, 결국 단자(14)가 외부와의 노출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터리팩(10)의 충전시,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부재(28)의 이동 방향과 반대로 이동시켜, 제 1요홈(20)에 결착된 걸림돌기(30)를 제 2요홈(22)에 결착시키게 되면, 결국 차폐부재(28)가 관통공(26)의 막음을 해제하여 단자(14)가 외부와 노출상태로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별도의 충전장치로 부터 충전을 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터리팩(10)의 단자(14)를 항상 외부와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배터리팩(10)의 미충전시, 사용자의 소지품 중에 금속체가 단자(14)간에 연결되는 상태로 접촉되어거나 혹은 물기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통전의 발생으로 배터리팩(10)의 기능저하 및 파손을 발생 시켰으나. 본 고안은 단자 블럭(12)에 구비된 단자(14)와 하부 본체(18) 사이에 슬라이딩이 가능한 차폐부재(28)가 설치되어 있어서, 배터리팩(10)의 미 충전시, 단자(14)의 직접적인 외부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이 단자(14)에 금속체에 혹은 물기의 접촉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고, 이에따라 배터리팩(10)의 기능 저하 및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단자를 구비하는 단자 블럭과 하부 본체 사이에 슬라이딩되도록 차폐부재를 설치하여, 배터리팩의 미 충전시나 휴대시, 단자가 외부와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금속체 혹은 물기와의 접촉에 의한 단자간에 상호 통전발생을 방지하고, 이에따라 충전 기능의 저하 및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에 있어서,
    하부 본체(18)의 내부에는 저면에 단자(14)를 구비하는 단자 블럭(12)이 삽입.안착되어 있고, 이 단자(14)와 대응하는 하부 본체(18)에는 일측에 일정길이를 이루는 장홈(24)과 연장된 상태로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홈(24)에는 관통공(26)을 차폐시키기 위하여 차폐부재(28)가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차폐부재(28)의 일측 외면에는 관통공(26)으로 인출되도록 손잡이(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손잡이(32)와 대응하는 면에는 걸림돌기(30)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돌기(30)가 지지.결착되는 위치에 따라 단자(14)의 노출을 선택하고자 이 단자(14)를 중심으로 이격된 양편에 제 1,2요홈(20,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전화기용 배터리 단자 보호장치.
KR2019970045356U 1997-12-31 1997-12-31 휴대무선전화기용배터리단자보호장치 KR200309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356U KR200309631Y1 (ko) 1997-12-31 1997-12-31 휴대무선전화기용배터리단자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356U KR200309631Y1 (ko) 1997-12-31 1997-12-31 휴대무선전화기용배터리단자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595U true KR19990032595U (ko) 1999-07-26
KR200309631Y1 KR200309631Y1 (ko) 2003-06-09

Family

ID=4940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356U KR200309631Y1 (ko) 1997-12-31 1997-12-31 휴대무선전화기용배터리단자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6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631Y1 (ko) 200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1734B2 (ja) バッテリ案内および支持装置を備えたバッテリ充電器
ES2331110T3 (es) Telefono movil que comprende una bateria de reserva.
US4629962A (en) Battery charging device
KR19990037388A (ko) 축적 장치를 포함하는 전화통신 장치 및 이와 같은 전화통신 장치에 적합한 축적 장치
KR200309631Y1 (ko) 휴대무선전화기용배터리단자보호장치
JPH10137025A (ja) 携帯電話等の充電装置付き携行鞄
KR1010034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US5538805A (en) Battery with integral recharger
JP3790987B2 (ja)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KR102341400B1 (ko) 베터리 팩
KR940008201Y1 (ko) 밧데리팩의 오삽입 방지구조
KR20028010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팩 장착구조
KR0131003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KR20040052845A (ko) 배터리 충전형 단말기의 외부 충전단자 단락시 보호장치
KR200369579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KR200200853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및 충전기
JPH08124552A (ja) 充電式二次電池パック
JPH0689709A (ja) 2次組電池及び電池収納装置
KR100244865B1 (ko) 개인 휴대 단말기의 데이타 전송용 단자 보호 장치.
KR20030028609A (ko) 휴대단말기의 듀얼모드 전원공급장치
KR200142282Y1 (ko)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
JPH08185837A (ja) パック電池
JPH08106925A (ja) 充電器
JP3469749B2 (ja) パック電池
KR200165537Y1 (ko) 일반전지와 충전용 밧데리 겸용 전원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