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2282Y1 -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282Y1
KR200142282Y1 KR2019950042193U KR19950042193U KR200142282Y1 KR 200142282 Y1 KR200142282 Y1 KR 200142282Y1 KR 2019950042193 U KR2019950042193 U KR 2019950042193U KR 19950042193 U KR19950042193 U KR 19950042193U KR 200142282 Y1 KR200142282 Y1 KR 200142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mobile phone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2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328U (ko
Inventor
신태삼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2019950042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282Y1/ko
Publication of KR9700473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3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2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30Preventing polarity revers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밧데리팩의 접속단자부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외부 주변물체와의 접촉 및 이로인한 접속단자부의 쇼트 및 방전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휴대폰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부가 구비된 휴대폰의 밧데리팩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부(61)와 동일폭 및 면적을 갖는 판체(621)에 양쪽 날개(622)(622A)를 갖는 커버체로 형성되고, 상기 양쪽 날개(622)(622A)는 베이스덮개판(623)에 형성된 접속단자부 노출공(623A)의 양내측 슬라이드면(623B)에 위치되어 상·하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하며, 전면 하부측에는 밧데리팩(60)의 핸드폰 장착시 걸림에 의해서 상기 판체(621) 및 날개(622)(622A)를 하부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접속단자부(61)가 외부로 자동 노출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의 일자형돌기(624)를 형성한 단자보호커버(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외부로 노출된 밧데리팩의 접속단자부를 보호하는데 적용되는 것임.

Description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자보호커버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밧데리팩의 정면도이고,
(b)는 밧데리팩의 저면도이며,
(c)는 밧데리팩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1 : 접속단자부 62 : 단자보호커버
621 : 판체 622, 622A : 날개
623 : 베이스덮개판 623A : 노출공
623B : 슬라이드면 624 : 돌기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장착되는 밧데리팩의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에 각종 전장부품이 내장되고 일측 상단부에는 안테나(11)가 설치된 장방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면부에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서 통화를 온/오프시키거나 다이얼링을 할 수 있도록 한 수개의 키패드부(20)와, 상기 키패드부(20)가 구비된 몸체(10)의 하부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의 열고 닫음에 의해서 상기 키패드부(20)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커버(30)와, 상기 커버(30)에 의해서 개방되고 폐쇄되는 키패드부 누름조작에 의한 전화번호 입력 및 작동상태를 표시해줄 수 있도록 한 표시부(40)와, 상기 표시부(40)의 상부측과 키패드부(20) 또는 커버(30) 측에 각각 구비되는 송수화부(50)(50A)와, 상기 송수화부(50)(50A)가 구비된 몸체(10) 내부로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전기를 충전시켜 몸체(10)의 배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밧데리팩(60)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에 있어, 상기 밧데리팩(60)은 비교적 충전에 의한 사용가능 시간이 짧아 휴대폰에 장착되는 밧데리팩 이외에도 예비용 밧데리팩을 하나 더 준비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밧데리팩(60)의 하단 전면부에 구비된 단자, 즉 휴대폰에 밧데리팩(60) 장착시 상기 휴대폰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부(6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기 때문에 호주머니 속의 동전 등과 같은 외부의 주변 물체와 쉽게 접촉되어 쇼트 또는 방전됨으로써 밧데리팩 자체의 기능상실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밧데리팩 휴대시 외부 주변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하 쇼트 또는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상기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는 밧데리팩의 하단 전면부에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된 접속단자부 외부에 단자보호커버를 상하로 슬라이드되게 설치하여 밧데리팩의 휴대시 상기 접속 단자부가 외부의 주변물체와 접촉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단자보호커버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핸드폰은 통상에서와 같이 내부에 각종 전장부품이 내장되고 일측 상단부에는 안테나(11)가 설치된 장방형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전면부에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서 통화를 온/오프시키거나 다이얼링을 할 수 있도록 한 수개의 키패드부(20)와, 상기 키패드부(20)가 구비된 몸체(10)의 하부 양측에 힌지결합되어 사용자의 열고 닫음에 의해서 상기 키패드부(20)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커버(30)와, 상기 커버(30)에 의해서 개방되고 폐쇄되는 키패드부(20) 누름조작에 의한 전화번호 입력 및 작동상태를 표시해줄 수 있도록 한 표시부(40)와, 상기 표시부(40)의 상부측과 키패드부(20) 또는 커버(30) 측에 각각 구비되는 송수화부(50)(50A)와, 상기 송수화부(50)(50A)가 구비된 몸체(10) 내부로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전기를 충전시켜 몸체(10)의 배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밧데리팩(60)으로 구성되고, 상기 밧데리팩(60)의 하단 전면부에는 휴대폰에 장착시 휴대폰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부(61)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휴대폰의 밧데리팩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접속단자부(61)와 동일폭 및 면적을 갖는 판체(621)에 양쪽 날개(622)(622A)를 갖는 커버체로 형성되고, 상기 양쪽 날개(622)(622A)는 베이스덮개판(623)에 형성된 접속단자부 노출공(623A)의 양내측 슬라이드면(623B)에 위치되어 상·하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하며, 전면 하부측에는 밧데리팩(60)의 핸드폰 장착시 걸림에 의해서 상기 판체(621) 및 날개(622)(622A)를 하부측으로 슬라이드 시켜 접속단자부(61)가 외부로 자동 노출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의 일자형돌기(624)를 형성한 단자보호커버(30)가 구비된 것이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두개의 밧데리팩(60) 가운데에서 하나는 휴대폰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는 예비용으로 호주머니에 넣어 휴대하게 되는게, 이때 상기 예비용 밧데리팩(60)의 접속단자부(61)에는 본 고안의 단자보호커버(30)가 상·하슬라이드 가능하게 씌워져 외부의 주변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쇼트 및 방전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단자보호캡(30)은 제3도의 (a),(b),(c)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속단자부(61)의 노출공(623A)을 따라, 상·하슬라이드되게 설치하여 밧데리팩(60)의 휴대시 단자보호커버(30)를 상부측으로 이동시켜 밧데리팩(60)의 접속단자부(61)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 장착시에는 상기 단자보호커버(30)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일자형의 돌기(624)가 휴대폰 몸체(10)에 걸려 하부로 이동됨으로써 밧데리팩(60)의 접속단자부(61)가 자동으로 노출되어 휴대폰 단자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예비용으로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밧데리팩의 접속단자부에 단자보호커버를 씌워 외부접촉을 막고, 사용시에는 다시 상기 단자보호커버를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주변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밧데리팩 단자의 쇼트 및 방전을 방지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밧데리팩의 기능 및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1)

  1. 휴대폰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부가 구비된 휴대폰의 밧데리팩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부(61)와 동일폭 및 면적을 갖는 판체(621)에 양쪽 날개(622)(622A)를 갖는 커버체로 형성되고, 상기 양쪽 날개(622)(622A)는 베이스덮개판(623)에 형성된 접속단자부 노출공(623A)의 양내측 슬라이드면(623B)에 위치되어 상·하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하며, 전면 하부측에는 밧데리팩(60)의 핸드폰 장착시 걸림에 의해서 상기 판체(621) 및 날개(622)(622A)를 하부측으로 슬라이드시켜 접속단자부(61)가 외부로 자동 노출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의 일자형돌기(624)를 형성한 단자보호커버(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
KR2019950042193U 1995-12-16 1995-12-16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 KR200142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2193U KR200142282Y1 (ko) 1995-12-16 1995-12-16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2193U KR200142282Y1 (ko) 1995-12-16 1995-12-16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328U KR970047328U (ko) 1997-07-31
KR200142282Y1 true KR200142282Y1 (ko) 1999-06-01

Family

ID=19434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2193U KR200142282Y1 (ko) 1995-12-16 1995-12-16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28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139B1 (ko) * 2002-11-04 200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외부단자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328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273B1 (ko) 절첩 가능한 전자 장치용 라이트 가이드
EP0414365B1 (en) Portable radio telephone
CA2174831C (en) Battery continu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10052898A (ko) 배터리가 내장된 휴대 전화기
WO1999043134A1 (en) Hinge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s
GB2322504A (en) Tri-fold cellular telephone
KR100631046B1 (ko) 단락방지스위치를 구비한 이동통신장치의 배터리팩
KR200142282Y1 (ko)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
JP4546595B2 (ja) 携帯機器
KR0138132Y1 (ko) 휴대폰의 밧데리팩 단자 보호장치
KR2002003529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조립구조
KR200165277Y1 (ko)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KR100316160B1 (ko) 바-타입변환휴대폰
KR200359956Y1 (ko) 단락 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 및 이에 적합한충전 거치대
KR200253145Y1 (ko) 휴대단말기의 회로보호 장치
KR100630090B1 (ko) 휴대폰의 표시부 위치 전환장치
JPH11307070A (ja) 電池パック
CN220673913U (zh) 一种蓝牙耳机充电仓及应用于其的蓝牙耳机
KR1006895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누전 및 전자파 차단장치
KR200276837Y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KR20000013498U (ko) 폴더의 통화각도조절 보조장치
KR970000646Y1 (ko) 무선전화기 본체의 충전장치
KR20020078375A (ko) 밧데리 일체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59958Y1 (ko) 단락 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 및 이에 적합한충전 거치대
KR100890300B1 (ko) 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