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177U - 광섬유 정리기 - Google Patents

광섬유 정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177U
KR19990032177U KR2019970044931U KR19970044931U KR19990032177U KR 19990032177 U KR19990032177 U KR 19990032177U KR 2019970044931 U KR2019970044931 U KR 2019970044931U KR 19970044931 U KR19970044931 U KR 19970044931U KR 19990032177 U KR19990032177 U KR 199900321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stator
present
orga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9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한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700449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2177U/ko
Publication of KR199900321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177U/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심 광케이블의 접속에 사용되는 보조공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광케이블에서 인출된 다심 광섬유의 융착접속시에 다수의 광섬유를 용이하게 정리 및 분배할 수 있는 광섬유정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측단에 광섬유가 끼워지도록 복수개의 절결홈(11)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결합공(13)을 형성한 복수개의 고정자(10)와 상기 고정자(10)를 회동 가능하도록 스크류(12)로 결합시켜 구성된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정리기
본 고안은 다심 광케이블의 접속에 사용되는 보조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케이블의 중계 및 배선을 위하여 다심 광케이블의 유니트(Unit)에서 배출된 광섬유를 융착접속하기에 앞서 광섬유를 엉키지 않게 정리 또는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광섬유 정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서, 유리 섬유로 된 광화이버 즉, 광케이블이 매개체가 되며, 현재의 동축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 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전파 및 전자 자기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아 정보의 전송 상태가 양호하므로 현재 통신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는 점점 타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은 수백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거리에 선로를 설치하게 되므로, 그 중간에 케이블의 접속 및 분기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광케이블의 내부에는 매우 작은 직경(125㎛)으로 제작된 광섬유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섬유의 심선을 서로 연결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더욱이 다심 광케이블의 경우에는 다수개의 광섬유를 동시에 연결해야 하므로 더욱 어렵다.
광섬유의 접속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 융착접속(Fusion splicing)방법과 기계식 접속(Mechanical Splicing)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융착접속 방법은 광섬유를 녹여서 접속하는 방법으로 영구 접속의 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고가의 정밀 융착접속 장치를 사용해야 하고 전원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전원 공급이 어려운 현장에서는 불편이 있는 반면 광특성의 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건물의 내부로 인입 되는 광케이블을 분배 및 연결을 하기 위해서는 융착접속을하여 광선로를 구성하게 된다. 이 경우 만일 광케이블내에 들어 있는 광섬유의 수가 많을 경우, 그 모두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올바르게 접속하기가 매우 어렵다.
다시 말해서, 수십심 혹은 수백심으로 구성된 광케이블을 연결할 때 광케이블의 자켓을 벗겨내면 무수히 많은 광섬유가 노출되게 됨으로 노출된 광섬유가 서로 엉켜 접속할 광섬유를 쉽게 구분하기가 어려워 접속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많은 광섬유가 어지럽게 널리기 때문에 광섬유의 분리 및 정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하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광케이블에서 배출된 광섬유들을 광접속시킬 때 광접속 대상 광섬유를 미리 간결하게 정리하여 광접속 작업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광섬유를 용이하게 정리 및 분리할 수 있는 광섬유정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정리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정리기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정리기로 광섬유를 정리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고정자 11:절결홈
12:스크류 13:결합공
14:너트 15:표시부
20:광케이블 21:광섬유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표면에 광섬유가 끼워지는 절결홈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고정자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달성되어 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정리기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가 예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정리기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예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정리기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바 형태의 고정자(10)가 복수개 중첩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자(10)의 재질은 일정한 자체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자(10)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자(10)가 구획되도록 일정깊이로 절결된 절결홈(11)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일측단부에는 결합공(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13)으로 스크류(12)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12)의 일측에는 너트(14)가 결합되게 되어 상기 복수개의 고정자(10)가 상기 스크류(12)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중첩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자(10)의 정면에는 표시부(1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표시부(15)에는 상기 절결홈(11)으로 삽입되는 광섬유(21)를 식별할 수 있도록 칼라화된 라벨이 부착되거나 표면에 서로 다른 칼라로 도장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작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따르면, 광케이블(20)에서 배출된 다심 광섬유(21)가 상기 광섬유정리기의 고정자(10)에 형성된 절결홈(11)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광섬유정리기의 고정자(10)는 회동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자(10)를 회동시켜 각각의 고정자(10)에 구획된 절결홈(11)에 광섬유(21)를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절결홈(11)에 끼워진 광섬유(21)는 상기 고정자(10)의 소재가 지니는 자체탄성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광섬유를 절결홈(11)에 끼워 넣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 앞쪽에 위치된 고정자(10)를 제외한 나머지는 회동시켜 맨 앞쪽의 절결홈(11)에 광섬유를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끼워넣고 모든 절결홈(11)에 광섬유(21)가 끼워지면, 그 다음 고정자의 절결홈(11)에 광섬유(21)를 끼워넣는 방식으로 작업을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된 광섬유(21)의 식별을 위해 상기 고정자(10)의 정면에 형성된 표시부(15)에 번호나 광섬유(21)의 고유색깔 등을 표시하는 라벨을 붙여 주거나 도장되어 있기 때문에 광섬유(21)를 식별하기 쉬워져 광섬유(21)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고정자 모두에 광섬유를 분리하여 고정시킨 뒤 기계식 광접속 혹은 융착접속을 하고 접속이 끝난 광섬유(21)는 상기 절결홈(11)에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광케이블(20)을 분배 및 연결할 때 광케이블(20)에서 배출된 광섬유(21)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정리자에 의해 분리되게 됨으로 광접속작업을 편리하게 해주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표면에 광섬유(21)가 끼워지는 절결홈(11)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고정자(1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정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홈(11)과 이웃한 면에 표시부(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정리기.
KR2019970044931U 1997-12-31 1997-12-31 광섬유 정리기 KR199900321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931U KR19990032177U (ko) 1997-12-31 1997-12-31 광섬유 정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931U KR19990032177U (ko) 1997-12-31 1997-12-31 광섬유 정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177U true KR19990032177U (ko) 1999-07-26

Family

ID=69681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931U KR19990032177U (ko) 1997-12-31 1997-12-31 광섬유 정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217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172B1 (en) Cable having side-emitting fiber under transparent or translucent cable jacket
US6104855A (en) Terminal assembly for a multiple fiber optic cable
RU2294001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изуаль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кабельной проводки ил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US20050052174A1 (en) Traceable patch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identifying patch cable ends
EP0139533A2 (en) A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Optical cables in a communication line
JP2002198120A (ja) 光/電気ジャックレセプタクル
US9529173B2 (en) Optical fiber furcation assembly and method
KR860009312A (ko) 광섬유 접속기 및 제조방법
CA2096181A1 (en) Optical switch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JP2002250847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トレーシングシステムとその方法
DE69008562D1 (de) Spleiss für optisches Flachbandkabel mit mehreren Lichtleitadern.
KR19990032177U (ko) 광섬유 정리기
CN104932068A (zh) 一种分光分纤盒
CN104932069A (zh) 一种多用分光分纤盒
CN204719284U (zh) 一种多用分光分纤盒
JP3457206B2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敷設構造
CN1222802C (zh) 光学组件
JPH0659161A (ja) 多心光ファイバのピッチ変換コネクタ
KR200230008Y1 (ko) 리본형다심광섬유분리형커넥터
KR200281262Y1 (ko) 2심이상의 다심광섬유 케이블의 분기부의 고정 및 장착장치
JP3719895B2 (ja) 切替型光コネクタ箱
KR100305376B1 (ko)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KR20000012853U (ko) 광분배기의 단심코드부 정렬장치
KR20080080733A (ko) 광접속용 커넥터
KR20000051728A (ko) 광성단케이블 분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