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2080A -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갖는 복호화기 - Google Patents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갖는 복호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2080A
KR19990032080A KR1019970053012A KR19970053012A KR19990032080A KR 19990032080 A KR19990032080 A KR 19990032080A KR 1019970053012 A KR1019970053012 A KR 1019970053012A KR 19970053012 A KR19970053012 A KR 19970053012A KR 19990032080 A KR19990032080 A KR 19990032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tial frequency
image
boundary
bloc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2500B1 (ko
Inventor
김종남
윤일
신태환
최태선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70053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500B1/ko
Priority to US08/978,555 priority patent/US6016365A/en
Priority to JP35015097A priority patent/JP2895034B1/ja
Priority to DE1997153976 priority patent/DE19753976A1/de
Publication of KR1999003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H04N19/86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with detection of the former encoding block subdivision in decompresse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mpressed domain processing techniques other than decoding, e.g. modification of transform coefficients, variable length coding [VLC] data or run-length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을 사용하여 영상을 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을 많이 하거나, 전송시에 압축된 비트열 중 일부를 잃어버렸을 경우 복호화기에서 잃어버린 정보를 추정함으로써, 화면상에 모자이크 모양으로 나타나는 블록 현상(Block Effect)을 제거하여 보다 양호한 화질의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가지는 복호화기에 관한 것으로,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저주파 성분들을 추정을, 종래에는 영상의 내용과는 관계없이 일정하게 저주파 성분들을 추정하는 것인데 반해서, 본 발명에서는 영상의 내용을 고려하여, 현재의 영상 내 물체의 경계를 고려하여 다른 물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공간 주파수 성분을 추정함으로써, 블록 현상 제거하는 과정에서 경계부근의 열화를 막을 수 있고, 또한 물체내의 동일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 현저히 블록 현상을 줄어들게 하는 한다.

Description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갖는 복호화기
본 발명은 이산 여현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을 사용하여 영상을 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시스템의 복호화기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압축을 많이 하거나, 전송시에 압축된 비트열 중 일부를 잃어버렸을 경우 복호화기에서 잃어버린 정보를 추정함으로써, 화면상에 모자이크 모양으로 나타나는 블록 현상 (Block Effect)을 제거하여 보다 양호한 화질의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가지는 복호화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통신 시스템은 단순한 문자 정보나 음성 정보의 범위를 넘어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영상 정보는 기존의 음성이나 문자 정보와는 달리 엄청난 정보량을 가지므로 영상을 저장 또는 전송하기 위해서는 압축이 필수적이다. 현재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국제 표준으로는 정지 영상 압축 표준인 JPEG (Joint Picture Experts Group)이 있고, CD-ROM이나 기타 디지털 저장 매체를 위한 동영상 압축 표준인 MPEG-1(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그리고 디지털 TV나 고해상도 디지털 TV (HDTV)를 위한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2)가 있으며, 다른 여러 가지 표준들이 계속 표준화 작업중에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 정보는 중복된 정보들을 많이 갖고 있으며, 이러한 중복성을 제거하는 것을 영상 압축이라 한다. 정지 영상이 갖고 있는 중복성은 크게 공간적인 중복성과 통계적인 중복성의 두 가지가 있으며, 동영상의 경우 위의 두 가지 외에 시간적인 중복성을 더 가지고 있다. 먼저, 공간적인 중복성을 살펴보면, 디지털 영상 정보는 화면의 최소 단위인 화소로 이루어져 있는데 공간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화소의 값들은 비슷한 값을 가지므로 DPCM 또는 이산 여현 변환 및 양자화를 이용하여 압축을 할 수 있다. 두번째로 통계적인 중복성은 통계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값에 대하여는 짧은 부호를, 통계적으로 적게 발생하는 값에 대해서는 긴 부호를 할당함으로써 압축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간적인 중복성은 시간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화면은 화면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비슷한 값들을 가지므로 현재의 화면의 값을 이전 화면의 값으로 대치함으로 압축을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영상 압축의 표준에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부분이 이산 여현 변환이다. 원래의 화소 영역에서 영상 정보는 영상 전체 부분에 넓게 퍼져 있다. 화소 영역에 있는 정보를 이산 여현 변환을 하면 공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되는데, DC(화소 영역에서 영상의 평균)값과 저주파 쪽으로 영상 정보가 몰리는 현상, 즉 에너지 몰림(energy compaction)이 발생한다. 또한 HVS (Human Visual System)에 의하면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DC값과 저주파 성분에 대해서는 사람이 민감하지만 고주파 성분에 대해서는 사람이 둔감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DC값과 저주파 성분은 양자화를 작게 하고, 고주파 성분에 대해서는 양자화를 많이 하면 사람이 모르는 정도의 영상 화질을 얻으면서 압축을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변환중에서 이산 여현 변환의 에너지 몰림 정도가 영상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연구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이산 여현 변환이 포함된 영상 표준의 하나인 MPEG-2의 부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여기에서 도시한 것을 참조하여 종래 부호화기에서 입력되는 영상에 대하여 압축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종래 부호화기의 문제점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부호화기에서 화면내의 압축(intraframe coding)을 수행하는 구성은 입력되는 프레임별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제1 프레임 메모리(11)와, 제1 프레임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를 8*8 블럭으로 분할하는 8*8 화소 분할기(미 도시)와, 상기 8*8 화소 블록으로 분할된 영상신호와 움직임 보상기(20)의 출력신호와의 차에 대해 이산 여현 변환 과정을 수행하여 화소 영역에서 공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시키는 8*8 이산 여현 변환기(12)와, 상기 공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신호를 양자화시키는 8*8 양자화기(13)와, 상기 양자화된 신호를 가변 길이 부호화를 수행하는 가변 길이 부호화기(VLC:Variable Length Coder)(14)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고정 비트율로 다중화기에 보내기 위해 저장하는 버퍼(15)와, 상기 양자화된 신호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8*8 역양자화기(16)와, 상기 역양자화된 공간 주파수상의 신호를 화소 영역으로 변환하기 위한 8*8 역 이산 여현 변환기(17)와, 상기 8*8 역 이산 여현 변환기(17)의 출력신호로부터 부호화되고 복호화된 영상을 복원하여 저장하기 위한 제2 프레임 메모리(18)와, 현재의 영상과 이전의 영상사이의 움직임 정보를 찾는 움직임 예측기(19) 및, 상기 움직임 예측기(19)에서 찾은 움직임 정보를 보상하기 위한 움직임 보상기(20)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이산 여현 변환을 이용한 영상 압축 부호화기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영상 신호를 8*8 블록으로 나누고 8*8 역 이산 여현 변환기를 거친 신호들은 8*8 양자화기를 통하여 화면내 압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각 8*8 블럭들은 다른 에너지 몰림 정도를 가지며 8*8 양자화기에서 다른 양자화 값을 가지므로 양자화기의 출력신호들은 블록마다 다른 값들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이산 여현 변환을 이용한 영상 압축 부호화기는 블록 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을 가진다.
도 2는 종래의 부호화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블록 현상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여기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 현상이라 함은 화면이 블록으로 쪼개져 모자이크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도 3은 종래의 이산 여현 변환을 이용한 영상 압축 표준의 하나인 MPEG-2 복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압축 부호화된 신호가 영상 신호로 복호화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복호화기는 고정 비트율로 들어오는 압축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31)와, 버퍼(31)의 출력 신호를 가변 복호화하여 움직임 벡터 신호와 양자화된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복호화기(VLD:Variable Length Decoder)(32)와, 양자화된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8*8 역양자화기(33)와,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화소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8*8 역 이산 여현 변환기(34)와, 움직임 벡터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35)와 역 이산 여현 변환기의 출력으로 나오는 화소 영역의 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36)로 구성된다.
도 4는 종래 블록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복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블록 현상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블록 현상을 제거하는 기능이 첨가된 종래의 복호화기는 고정 비트율로 들어오는 압축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41)와, 버퍼의 출력 신호를 가변 복호화하여 움직임 벡터 신호와 양자화된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복호화기(42)와, 양자화된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8*8 역양자화기(43)와, 5개의 공간 저주파 성분을 추정할 수 있는 공간 저주파 추정기(47)와,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화소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8*8 역 이산 여현 변환기(44)와, 움직임 벡터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45)와, 역 DCT변환기(44)의 출력으로 나오는 화소 영역의 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46)로 구성된다.
도 5는 도 4에서의 공간 저주파 추정에 사용되는 블록의 위치를 도시한 위치도로서 공간 저주파 성분을 추정하는 블록과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근접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공간 저주파 성분을 추정하고자 하는 현재 블록이 5번째 블록이고 그때의 DC성분을 DC5로 명시하였으며, 도 5에 나타난 나머지 DC1 등의 값들은 상기 과정에서 사용되는 근접 블록의 DC값들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여 실제적으로 블록 현상을 제거하는 공간 저주파 추정을 설명하면, 공간 주파수 추정은 수학식 1에 의하여 구해지며, 수학식 1의 AC(x,y)는 각각 8*8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x,y)의 위치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 값을 나타낸다.
AC5(0,1)=1.13885×(DC4-DC6)÷8
AC5(1,0)=1.13885×(DC2-DC8)÷8
AC5(2,0)=0.27881×(DC2+DC8-2×DC5)÷8
AC5(1,1)=0.16213×(DC1+DC9-DC3-DC7)÷8
AC5(0,2)=0.27881×(DC4+DC6-2×DC5)÷8
도 6은 종래의 블록 현상 제거 복호화기에 의한 출력 영상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종래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블록 현상 제거 복호화기는 영상의 내용에 관계없이 공간 주파수 성분을 추정하기 때문에 복잡한 영상이나 영상 내의 물체 경계 부근에서는 화질이 더욱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람눈에 민감한 경계 부근에서 일어나므로 더욱 심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압축 부호화기에서 생기는 블록 현상에 관한 문제를 복호화기에서 영상의 내용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제거함으로 보다 양호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게 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가지는 복호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산 여현 변환이 포함된 영상 표준의 하나인 MPEG-2의 부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부호화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블록 현상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이산 여현 변환을 이용한 영상 압축 표준의 하나인 MPEG-2 복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종래 블록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복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공간 저주파 추정에 사용되는 블록의 위치를 도시한 위치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도시한 종래의 복호화기에 의한 출력 영상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갖는 복호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동, 서, 남, 북 등 4가지 방향의 경계 검출에 사용되는 콤파스(Compass) 마스크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복호화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7에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복호화기의 출력 영상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1 ... 버퍼 72 ... 가변 길이 복호화기(VLD)
73 ... 역양자화기 74 ... 역 이산 여현 변환기(DCT)
75 ... 움직임 보상기 76 ... 프레임 메모리
77 ... 블록 현상 판단기 78 ... 경계 검출기
79 ... 적응 공간 저주파 추정기 80 ... 가산기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고정 비트율로 들어오는 압축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 버퍼의 출력 신호를 가변 복호화하여 움직임 벡터 신호와 양자화된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복호화기, 양자화된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8*8 역양자화기와,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블록 현상 판단기,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물체의 경계를 판단하는 경계 검출기, 현재의 블록이 물체의 경계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공간 주파수 성분을 추정하는 적응 공간 저주파 추정기와,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화소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8*8 역 이산 여현 변환기와, 움직임 벡터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 및 역 이산 여현 변환기의 출력으로 나오는 화소 영역의 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가지는 복호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갖는 복호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갖는 복호화기에 대한 전체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복호화기는 도 4에서 도시한 종래의 블록 현상 제거 복호화기의 구성에 비하여 공간 주파수 추정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블록 현상 판단기(77)와,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물체의 경계를 판단하는 경계 검출기(78)가 추가되었고,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종래의 공간 주파수 추정기를 현재의 블록이 물체의 경계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공간 주파수 성분을 추정하는 적응 공간 저주파 추정기(79)로 변경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호화기는 도 4에서 도시한 종래의 복호화기에도 포함되는 고정 비트율로 들어오는 압축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71)와, 버퍼(71)의 출력 신호를 가변 복호화하여 움직임 벡터 신호와 양자화된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복호화기(72)와, 양자화된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8*8 역양자화기(73)와,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화소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8*8 역 이산 여현 변환기(74)와, 움직임 벡터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75)와 역 이산 여현 변환기의 출력으로 나오는 화소 영역의 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7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새로 추가된 구성중 블록 현상 판단기(77)는 역양자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0이 아닌 공간 주파수 성분의 수를 더하여 공간 주파수 추정 여부를 결정하며, 경계 검출기(78)는 수학식 2에 의하여 화소 영역으로 변환하지 않고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DC 영상을 구성한다. 수학식 2에 의하면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DC값은 화소 영역에서 8*8 블록의 평균값의 8배에 해당하므로 DC값에 8을 나눔으로 8*8 블록의 평균값을 구한다. 상기 경계 검출기(78)는 상기 구한 DC 영상에 수학식 3과 도 8을 이용하여 경계를 검출한다.
도 8은 4가지 방향 즉, 동, 서, 남, 북 등 4가지 방향의 경계 검출에 사용되는 콤파스(Compass) 마스크를 나타낸 것이다. 수학식 3의 결과중 문턱값(Threshold)을 넘는 블록은 경계로 판별된다.
.
또한, 종래의 복호화기의 구성중 공간 주파수 성분 검출기는 적응적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기(79)로 변경되었는데, 이 적응적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기(79)는 경계 검출기의(78) 출력 신호를 근거로 하여 현재의 블록이 물체의 경계부근에 있지 않을 경우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을 하며, 현재의 블록이 물체의 경계나 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수학식 1의 변형된 형태로서, 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 있는 블록의 DC값을 현재 블록의 DC값으로 대치하여 공간 주파수 성분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블록 1, 4, 7이 경계 부근에 존재하면 상기 수학식 1은 수학식 4로 변환된다.
AC5(0,1)=1.13885×(DC5-DC6)÷8
AC5(1,0)=1.13885×(DC2-DC8)÷8
AC5(2,0)=0.27881×(DC2+DC8-2×DC5)÷8
AC5(1,1)=0.16213×(DC9-DC3)÷8
AC5(0,2)=0.27881×(DC6-DC5)÷8
도 9에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갖는 복호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내었다. 먼저, 역양자화기의 출력신호를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고(S1),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역 이산 여현 변환기의 입력 신호로 들어가며,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이 필요한 경우, 현재의 블록이 경계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S2) 종래의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이 영상의 경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 종래의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이 영상의 경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종래의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 과정을 수행하여(S4) 역 이산 여현 변환기의 입력 신호로 들어가며, 종래의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이 영상의 경계에 영향을 미치면 본 발명에서 새로이 도입한 적응적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S5)을 거쳐 역 이산 여현 변환기의 입력 신호로 들어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복호화기에 의한 출력 영상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복호화기에서는 블록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저주파 성분들을 추정을, 종래에는 영상의 내용과는 관계없이 일정하게 저주파 성분들을 추정하는 방법인데 반해서, 본 발명에서는 영상의 내용을 고려하여, 현재의 영상 내 물체의 경계를 고려하여 다른 물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공간 주파수 성분을 추정함으로써, 블록 현상 제거하는 과정에서 경계부근의 열화를 막을 수 있고, 또한 물체내의 동일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 현저히 블록 현상을 줄어들게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블록 현상을 제거함에 있어서 영상의 내용을 고려하여 물체간의 영향을 줄임과 동시에 블록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화면상에 모자이크와 같은 모양으로 나타나는 블록 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하여 양호한 영상복원을 가능토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영상 압축 부호화시에 발생하는 블록 현상을 영상의 내용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제거하여 양질의 영상을 출력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가지는 복호화기에 있어서,
    고정 비트율로 들어오는 압축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와,
    상기 버퍼의 출력 신호를 가변 복호화하여 움직임 벡터 신호와 양자화된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복호화기와,
    양자화된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역양자화를 수행하는 8*8 역양자화기와,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블록 현상 판단기,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물체의 경계를 판단하는 경계 검출기와,
    현재의 블록이 물체의 경계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적응적으로 공간 주파수 성분을 추정하는 적응 공간 저주파 추정기와,
    공간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화소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8*8 역 이산 여현 변환기와,
    움직임 벡터 신호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움직임 보상기와,
    역 이산 여현 변환기의 출력으로 나오는 화소 영역의 신호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가지는 복호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현상 판단기는,
    상기 역양자화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0이 아닌 공간 주파수 성분의 수를 더하여 공간 주파수 추정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가지는 복호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검출기(78)는,
    의 식에 의하여 공간 주파수 영역에서 DC 영상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가지는 복호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검출기는,
    상기 DC 영상에 의 식과 콤파스(Compass) 마스크를 이용하여 경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가지는 복호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검출기는,
    상기 의 결과중 문턱값(Threshold)을 넘는 블록은 경계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가지는 복호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기는,
    상기 경계 검출기의 출력 신호를 근거로 하여 현재의 블록이 물체의 경계부근에 있지 않을 경우는
    AC5(0,1)=1.13885×(DC4-DC6)÷8
    AC5(1,0)=1.13885×(DC2-DC8)÷8
    AC5(2,0)=0.27881×(DC2+DC8-2×DC5)÷8
    AC5(1,1)=0.16213×(DC1+DC9-DC3-DC7)÷8
    AC5(0,2)=0.27881×(DC4+DC6-2×DC5)÷8
    의 식에 의하여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가지는 복호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적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기는,
    현재의 블록이 물체의 경계나 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AC5(0,1)=1.13885×(DC4-DC6)÷8
    AC5(1,0)=1.13885×(DC2-DC8)÷8
    AC5(2,0)=0.27881×(DC2+DC8-2×DC5)÷8
    AC5(1,1)=0.16213×(DC1+DC9-DC3-DC7)÷8
    AC5(0,2)=0.27881×(DC4+DC6-2×DC5)÷8
    의 식에서 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 있는 블록의 DC값을 현재 블록의 DC값으로 대치하여 공간 주파수 성분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기능을 가지는 복호화기.
  8. 영상 압축 부호화시에 발생하는 블록 현상을 영상의 내용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제거하여 양질의 영상을 출력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복호화방법에 있어서,
    (1) 역양자화된 신호를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의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2) 상기 (1)의 단계에서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역 이산 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3) 상기 (1)의 단계에서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이 필요한 경우, 현재의 블록이 경계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4) 현재의 블록이 영상의 경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5) 상기 (4)의 단계에서 영상의 경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AC5(0,1)=1.13885×(DC4-DC6)÷8
    AC5(1,0)=1.13885×(DC2-DC8)÷8
    AC5(2,0)=0.27881×(DC2+DC8-2×DC5)÷8
    AC5(1,1)=0.16213×(DC1+DC9-DC3-DC7)÷8
    AC5(0,2)=0.27881×(DC4+DC6-2×DC5)÷8
    의 식에 의하여 공간 주파수 성분 추정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2)의 단계의 역 이산 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6) 상기 (4)의 단계에서 영상의 경계에 영향을 미치면
    AC5(0,1)=1.13885×(DC4-DC6)÷8
    AC5(1,0)=1.13885×(DC2-DC8)÷8
    AC5(2,0)=0.27881×(DC2+DC8-2×DC5)÷8
    AC5(1,1)=0.16213×(DC1+DC9-DC3-DC7)÷8
    AC5(0,2)=0.27881×(DC4+DC6-2×DC5)÷8
    의 식에서 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 있는 블록의 DC값을 현재 블록의 DC값으로 대치하여 공간 주파수 성분을 추정한 후 상기 (2)의 단계의 역 이산 여현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 복호화방법.
KR1019970053012A 1997-10-16 1997-10-16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기능을 갖는 복호화기 KR10026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012A KR100262500B1 (ko) 1997-10-16 1997-10-16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기능을 갖는 복호화기
US08/978,555 US6016365A (en) 1997-10-16 1997-11-26 Decoder having adaptive function of eliminating block effect
JP35015097A JP2895034B1 (ja) 1997-10-16 1997-12-05 適応的ブロック現象除去機能を有する復号化器及び適応的ブロック現象除去復号化方法
DE1997153976 DE19753976A1 (de) 1997-10-16 1997-12-05 Dekoder mit einer adaptiven Funktion zur Vermeidung von Blockeffekt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3012A KR100262500B1 (ko) 1997-10-16 1997-10-16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기능을 갖는 복호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080A true KR19990032080A (ko) 1999-05-06
KR100262500B1 KR100262500B1 (ko) 2000-08-01

Family

ID=1952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012A KR100262500B1 (ko) 1997-10-16 1997-10-16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기능을 갖는 복호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16365A (ko)
JP (1) JP2895034B1 (ko)
KR (1) KR100262500B1 (ko)
DE (1) DE19753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6315B2 (en) * 2001-09-05 2008-09-16 Zoran Microelectronics Ltd. Method for reducing blocking artifacts
US20050013494A1 (en) * 2003-07-18 2005-01-20 Microsoft Corporation In-loop deblocking filter
US7724827B2 (en) * 2003-09-07 2010-05-25 Microsoft Corporation Multi-layer run level encoding and decoding
US20080084932A1 (en) * 2006-10-06 2008-04-10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loop filtering for interlaced video frames
US20100111181A1 (en) * 2008-11-06 2010-05-06 Mediatek Inc.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US8787443B2 (en) 2010-10-05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Content adaptive deblocking during video encoding and decoding
US9042458B2 (en) 2011-04-01 2015-05-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threaded implementations of deblock filtering
KR101620436B1 (ko) 2014-08-25 2016-05-12 김윤상 스페이스 부재의 연결체
US10283091B2 (en) * 2014-10-13 2019-05-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uffer optimization
KR20210113464A (ko) * 2020-03-05 2021-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US11082168B1 (en) 2020-03-19 2021-08-0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Entropy driven endurance for normalized quality of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0294A (en) * 1995-12-18 1998-12-1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st-processing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53976A1 (de) 1999-04-22
JPH11177981A (ja) 1999-07-02
KR100262500B1 (ko) 2000-08-01
JP2895034B1 (ja) 1999-05-24
US6016365A (en) 2000-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3588B2 (en) Deblocking filter
KR101213704B1 (ko) 가변 컬러 포맷 기반 동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8064516B2 (en) Text recognition during video compression
US7787541B2 (en) Dynamic pre-filter control with subjective noise detector for video compression
US7822125B2 (en) Method for chroma deblocking
KR20110045026A (ko) 압축 도메인에서 유사성 메트릭에 기초한 비디오 코딩의 지능형 프레임 스키핑
JPH09182084A (ja)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化装置
JPH0563988A (ja) 適応dct/dpcm符号器による映像信号符号化方法
JP3960451B2 (ja) シーン特性検出型動画像符号化装置
EP0680217B1 (en) Video signal decod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blocking effects
KR100262500B1 (ko) 적응적 블록 현상 제거기능을 갖는 복호화기
US20060120449A1 (en) Method of coding and decoding moving picture
US59464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quantization errors of a decoded video image by using an adaptive filter
JP2003520513A (ja) 画像データの圧縮
US680429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requantization-originated generational error in predictive video streams using motion compensation
EP1503596B1 (en) Methods for encoding or decoding in a videoconference system in presence of noisy image acquisition
EP0680218B1 (en) Image signal decoding apparatus having an encoding error compensation
KR20020057525A (ko) 영상 변환 부호화 장치
JP2914607B2 (ja) 画像信号復号化装置
JPH0998421A (ja) 画像符号化/復号化装置
JP4849441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
Choi et al. Adaptive image quantization using total variation classification
GB2316828A (en) Compensating quantization errors of a decoded video signal by using an adaptive filter
KR20050079690A (ko) 필터링 방법
JPH08181997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