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1971A -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1971A
KR19990031971A KR1019970052872A KR19970052872A KR19990031971A KR 19990031971 A KR19990031971 A KR 19990031971A KR 1019970052872 A KR1019970052872 A KR 1019970052872A KR 19970052872 A KR19970052872 A KR 19970052872A KR 19990031971 A KR19990031971 A KR 19990031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data
signal
broadcast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5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1971A/ko
Publication of KR1999003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971A/ko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프로그램 종류별 정보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는 KBPS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자동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채널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방송 신호중 소정 프로그램의 KBPS 데이터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KBPS 데이터가 검출되면, KBPS 데이터에 대응하는 설정된 정보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독출된 정보 데이터에 따라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기존 KB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신호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조절 방법
본 발명은 KBPS(Korea Broadcasting Program System)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중 프로그램 종류별 KBPS 데이터에 대응하여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최적화 하도록 한 KBPS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기기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자동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KBPS는 방송 영상 신호의 수직 귀선 소거 기간에 별도의 부가 데이터를 삽입하여 프로그램의 예약이나, 문자 다중 방송 등을 행할 수 있게 한 방송 방식의 하나이다.
즉, 음극선관 등을 이용하여 1매의 화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행해지는 주사의 방식에는 순차 주사와 비월 주사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방식은 비월 주사이다.
비월 주사는 영상 신호의 주사가 화면의 좌상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주사해서 화면 아래 중앙까지 도달하면 다시 위로 되돌아가고 다음에는 앞서 주사한 틈새를 메우는 주사를하여 우측 아래까지 주사를 종료하는 방식이다. 즉, 비월 주사는 1줄씩 띄어서 주사한다고하여 비월 주사(飛越走査)(Interlaced Scanning)라 하며, 1회의 수직 주사가 끝나는 단계의 화면을 1필드라 하므로 비월 주사에서 1화면은 2필드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비월 주사에서 전자 빔이 화면 아래에서 위로 되돌아 가는 것이 필요한데 이것을 수직 귀선(Vertical Retrae)이라 부른다. 이러한 수직 귀선 기간에는 실질적으로 수평 주사는 계속적으로 행하여지게 된다. 그러나, 이 기간은 영상으로서는 필요 없으므로 소거 신호(Blaanking Signal)가 들어가게 되는데 이 이간을 수직 귀선 소거 기간(Vertcial Blanking Interval)이라 한다.
수직 귀선 소거 기간은 꼭 21개의 수평 주사 기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 적당한 위치에 문자 데이터 등의 정보를 중복시킬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KBPS는 이러한 수직 귀선 소거 기간에 예약 녹화 및 별도의 문자 정보 등을 포함시켜 송신하고, 이 KBPS 데이터에 따라 예약 녹화 및 문자 데이터에 의한 문자의 표시 등을 행하도록 한 한국형 문자 다중 방송 형식을 의미한다.
한편, 일반적인 영상 매체, 예컨데 티 브이에 있어서는 사용자에 따라 선호하는 영상 상태(휘도 레벨, 색상 상태등) 및 오디오 상태(음량, 베이스, 트레블 및 서라운드 등)가 상이한 바, 사용자가 영상 및 오디오 상태를 조절하여 시청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 및 오디오 상태는 방송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종류(뉴스, 연속극, 영화등)에 따라 상이한 바, 종래에는 사용자가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티브이의 영상 및 오디오 상태를 조절해야 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즉, 뉴스의 경우에는 비디오 색상을 적색보다는 청색에 가깝게 조절하고, 오디오 출력은 서라운드나 하이-파이가 아닌 노말로 조절해야 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연구하던 중 상술한 KBPS 데이터를 이용하면 현재 수신중인 방송 신호의 프로그램 종류를 티 브이가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프로그램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상 및 오디오 상태로 자동 조절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을 착안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착안에 따라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되는 방송 신호중 프로그램 종류별 KBPS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설정 정보 데이터에 따라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한 KBPS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기기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자동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수개의 프로그램 종류별 정보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는 KBPS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자동 조절 방법으로서, 소정 채널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방송 신호중 소정 프로그램의 KBPS 데이터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KBPS 데이터가 검출되면, KBPS 데이터에 대응하는 설정된 정보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독출된 정보 데이터에 따라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KBPS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자동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KBPS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기기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마이컴이 행하는 수신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는 과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튜너 20 : 오디오 신호 처리부
30 : 스피커 40 : 비디오 신호 처리부
50 : OSD 60 : 동기 분리부
62 : 디코더 70 : 키 입력부
80 : 마이컴 90 : 메모리부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KBPS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기기의 블록도로서, 튜너(10), 오디오 신호 처리부(20), 스피커(30), 비디오 신호 처리부(40), OSD(On Screen Display)(50), 동기 분리부(60), 디코더(62), 키 입력부(70), 마이컴(80) 및 메모리부(9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미리 메모리부(90)에 저장해 놓아야 한다. 즉, 키 입력부(70)를 이용하여 소정 프로그램, 예컨데 '쇼(show)'에 해당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의 출력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해 놓아야만, 후에 '쇼'에 해당하는 KBPS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시, 자동으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의 출력 조절이 되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튜너(10)는 마이컴(80)의 제어에 따른 소정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튜너(10)에 수신된 신호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0), 비디오 신호 처리부(40) 및 동기 분리부(60)에 각각 인가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20)는 튜너(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중 음성 신호를 출력가능한 신호로 처리하여 스피커(30)로 제공하며, 스피커(30)는 소정의 오디오 음을 외부로 송출하게 된다. 또한, 오디오 신호 처리부(20)는 마이컴(80)의 제어하에 입력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음량 레벨 또는 주파수 레벨로 조절하여 스피커(30)로 출력한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40)는 튜너(1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중 영상 신호를 출력가능한 신호로 처리하여 OSD(50)로 제공하며, OSD(50)는 소정의 영상 데이터를 도시 생략된 모니터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비디오 신호 처리부(40)는 마이컴(80)의 제어하에 입력 비디오 신호를 소정의 주파수 레벨로 조절하여 OSD(50)로 출력한다. 따라서, OSD(50)는 비디오 신호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 데이터를 수상관으로 제공하며, 수상관은 비디오 신호를 명암, 채도 밝기, 선명도등이 조절된 상태로 외부로 디스플레이시킨다.
한편, 동기 분리부(60)는 튜너(10)의 수신 방송 신호로부터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디코더(62)에 인가하며, 디코더(62)는 동기 신호에 동기되어 인가되는 KBPS 프로그램 데이터들 즉, 쇼, 드라마, 뉴스, 스포츠, 다큐멘터리 등의 정보를 소정 문자 신호로 디지털화하여 마이컴(80)에 제공한다.
마이컴(80)은 본 발명 장치의 구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상술한 KBPS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모리부(90)에 기설정된 정보 데이터를 독출하여 이러한 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오디오 신호 처리부(20) 및 비디오 신호 처리부(40)로 각각 제공한다.
이하, 상술한 마이컴(80)이 행하는 수신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는 과정을 첨부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마이컴(80)은 단계(S 102)에서 튜너(10)를 통해 수신되는 소정 채널의 방송 신호중 임의의 KBPS 프로그램, 예컨데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데이터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 102)의 판단 결과,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데이터가 검출되면, 마이컴(80)은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정보 데이터를 메모리부(90)로부터 독출한다(S 104).
이때, 단계(S 104)의 과정은 일반적인 KBPS 프로그램, 즉 다큐멘터리, 뉴스, 스포츠, 쇼, 드라마 등의 사용자 선호도 입력에 따른 각각의 정보 데이터가 메모리부(90)에 기저장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메모리부(90)에서 독출된 정보 데이터를 기준으로 마이컴(80)은 튜너(1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오디오 신호 처리부(20)로 제공한다. 이러한 음성 조절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오디오 신호 처리부(20)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 적절한 신호, 예컨데 서라운드 신호로 증폭하여 스피커(30)로 출력한다. 따라서, 스피커(30)는 사용자에게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 적절한 서라운드 음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메모리부(90)에서 독출된 정보 데이터를 기준으로 마이컴(80)은 튜너(1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영상 신호의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비디오 신호 처리부(40)로 제공한다. 이러한 영상 조절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비디오 신호 처리부(40)는 입력 영상 신호를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 적절한 신호, 예컨데 원색 재현 신호로 증폭 및 변조하여 OSD(50)로 출력한다. 따라서, OSD(50)는 입력 영상 신호를 원색 재현 신호로 조절하기 위한 설정 데이터를 수상관으로 제공하며, 수상관은 비디오 신호를 명암, 채도 밝기, 선명도등이 설정 데이터에 맞게 조절된 상태로 외부로 디스플레이시킨다(S 106).
즉,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정보 데이터에 따라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존 KB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신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신호로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개의 프로그램 종류별 정보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는 KBPS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자동 조절 방법으로서,
    소정 채널의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방송 신호중 소정 프로그램의 KBPS 데이터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KBPS 데이터가 검출되면, 상기 KBPS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설정된 정보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독출된 정보 데이터에 따라 상기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KBPS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자동 조절 방법.
KR1019970052872A 1997-10-15 1997-10-15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조절 방법 KR19990031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872A KR19990031971A (ko) 1997-10-15 1997-10-15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2872A KR19990031971A (ko) 1997-10-15 1997-10-15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971A true KR19990031971A (ko) 1999-05-06

Family

ID=6604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2872A KR19990031971A (ko) 1997-10-15 1997-10-15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19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602A (ko) 텔레비젼의 화면상태 자동 조절회로
US8212936B2 (en) Picture quality control apparatus, method therefor, picture quality processing apparatus, programs for them,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at program therein
JPH0775015A (ja) テレビチャンネル切換装置
US20050280744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having combined mode set-up function and method thereof
US55394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fting a display position of a small-sized picture on a display screen of a television receiver
JPH07212729A (ja) 文字多重放送デコーダ内蔵機器
KR19990042500A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시 부화면재생제어방법
KR19990031971A (ko) 영상 기기의 방송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조절 방법
JP2001313911A (ja) テレビジョン送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00028048A (ko) 티 브이의 화면 조정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57258A (ko) 와이드비전의 줌모드에서의 자막위치제어방법
KR0184967B1 (ko) 음량 및 음질 자동조절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JPH11225296A (ja) 映像表示制御装置
KR0182455B1 (ko) 와이드비전의 음성이퀄라이저레벨 표시장치
KR100598948B1 (ko) 텔레비전의 화면 줌 조절방법
KR100225337B1 (ko) 텔레비전의 osd하프블랭킹 처리장치
KR0158322B1 (ko) 방송종료채널 표시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KR100193098B1 (ko) 더블 윈도우 화면을 이용한 자막위치 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31275U (ko) 텔레비전의 화면크기 조정장치
KR100216908B1 (ko) 자막문자의 표시위치제어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20080001364A (ko) 텔레비전의 음향효과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0147669B1 (ko) 더블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조정용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9980040699A (ko) 다수의 외부신호 입력단자를 가진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외부신호 입력시 자동 선택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21578A (ko) 텔레비전의 캡션 표시 제어방법
KR19990013599U (ko) 텔레비전 수상기에서의 외부 기기 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