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715A - bobber - Google Patents

bob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715A
KR19990030715A KR1019970051056A KR19970051056A KR19990030715A KR 19990030715 A KR19990030715 A KR 19990030715A KR 1019970051056 A KR1019970051056 A KR 1019970051056A KR 19970051056 A KR19970051056 A KR 19970051056A KR 19990030715 A KR19990030715 A KR 19990030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pole
bobber
weight
pla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0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37427B1 (en
Inventor
이광순
이수명
Original Assignee
이광순
이수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순, 이수명 filed Critical 이광순
Priority to KR1019970051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427B1/en
Publication of KR19990030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7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42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물 고기를 낚시질 할때 보다 유효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that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when fishing freshwater fish.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특히 찌대를 형성 함에 있어 상부찌대와 하부찌대를 분리(分離)형성하고 상부찌대를 관상(管狀)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로 하부찌대를 삽설하여 하부찌대가 상부찌대 내에서 신축(伸縮)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하부찌몸체를 하부찌대에 조립식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찌대의 전체 길이를 축소할 수 있어 휴대 보관이 용이하며, 수심(水深) 깊이가 깊고 얕은 위치에 따라서는 상부찌대의 길이를 하부찌대에서 신축되게 조절하여 효과적인 낚시질을 즐길 수 있으며, 사용중 찌대나 찌몸체의 파손으로 인한 부품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고 또한 고기의 크기나 추(錘)의 중량에 따라서는 찌몸체의 부력(浮力)이 조절되어야 하는데 이때에는 이동제지구의 삽탈에 의하여 간편하게 교체하여 주므로서 낚시찌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하나의 낚시찌로 수심이 깊이가 깊거나 얕거나 또는 고기의 크기 및 추의 중량에 따라 여러 종류의 낚시찌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미끼를 꿴 낚시바늘을 고기가 물었을때는 찌대가 상승하는 순간 동시에 찌몸체가 찌대를 쳐 올리면서 상승하는 작용에 의하여 저절로 챔질이 되어 민물 고기를 낚아 챌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되고 뻘이나 사료가 썩어 쌓인 인공낚시터에서 낚시질을 하고자 미끼를 꿴 낚시바늘을 던졌다 하더라도 찌몸체가 찌대를 쳐 올려 주는 유동작동(遊動作動)으로 낚시바늘이 박히지 않고 쉽게 빠져 나올 수 있는 낚시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more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upper plaque and the lower plaque are formed in forming a platter, and the upper plaque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the lower plaque is inserted into the lower plaque.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stretched in the inside, and the upper and lower body is prefabricated to the lower pole. It can reduce the overall length of the pole, so it is easy to carry and store, and the depth of the water is deep and shallow. Depending on the position, the length of the upper pole can be adjusted in the lower pole to enjoy effective fishing.It is easy to replace and repair parts due to the damage of the pole or the body during use. Depending on the weight, the buoyancy of the tailing body should be adjusted. In this case, it can be easily replaced by inserting and removing the moving paper. The buoyancy of shichi can be adjust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use a single bobber for deep or shallow depths, or to use a variety of bobber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eat and the weight of the weight. At the same time, when the stew rises, at the same time, the fender body lifts up the stew and rises by itself, and it has a function to catch freshwater fish and catch it. Even if the fishing needle is throw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shing bobber that can be easily pulled out of the fishing needle without being stuck by the floating action of the body to lift the rod.

Description

낚시찌bobber

본 발명은 민물 고기를 낚시질 할때 하나의 낚시찌로 보다 유효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obber that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and properly as a fishing bobber when fishing freshwater fish.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찌대를 형성 함에 있어 상부찌대와 하부찌대를 분리(分離)형성하고 하부찌대를 관상(管狀)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로 상부찌대를 삽설하여 상부찌대의 길이가 신축(伸縮)될 수 있게 형성하고 낚시질 위치의 수심(水深)이 깊이가 깊거나 얕거나 할때 상부찌대와 하부찌대로 형성되는 찌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고 고기의 크기나 추의 중량에 따라서는 부력이 조절되는 찌몸체를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 하므로서 여러 종류의 민물 고기를 낚시질 할때 하나의 낚시찌로 여러 종류의 낚시찌로 보다 유효 적절하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실수요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는 유용한낚시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In more detai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lower rod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by inserting the upper rod into the inside of the rod. (伸縮) It is formed so that it can be used. When the depth of the fishing position is deep or shallow, it is used by adjusting the entire length of the pole formed by the upper pole and the lower pole a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eat or the weight of the weight. Since the buoyancy-adjustable floats can be easily replaced and used when fishing several kinds of freshwater fish, one fishing bobber can be used effectively as a variety of fishing bobbers more effectively and effectively, and a useful fishing bob that can reduce the economic burden on real users. It is intended to be provided.

종래에 사용되어 오고 있는 낚시찌는 찌대를 단일체로 형성하고 찌대의 중앙부에 찌몸체를 고정하여 구성 하였거나 또는 찌몸체의 상면에는 상부찌대의 하단부를 고정하고 찌몸체의 저면에는 하부찌대의 상단부를 고정한 구성 이었으므로 전자와 후자는 다 같이 한몸체로 고정되어 단일체(單一體)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찌의 찌대 길이를 조절할 수가 없어 휴대 보관이 불편하였고 휴대 보관시에는 잘 못 하다가 찌대가 절단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낚시찌 전체를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하였으며 찌대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찌몸체를 교체할 수 없어 수심(水深)의 깊이나 고기의 크기 및 추의 중량에 따른 여러 종류의 낚시찌를 다수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분실의 다대 하였으며 뻘이나 인공낚시터의 사료가 썩어 쌓인 곳에서 낚시질을 하고자 낚시바늘을 던졌을 때에는 낚시바늘이 바닥에 박히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여 다시 낚시바늘을 쳐 올려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찌대나 찌몸체가 파손 되었을 때에는 이에 대한 부품 교체가 전혀 불가능하여 낚시찌 전체를 새것으로 구비하여야 하였으므로 실수요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The fishing bobber that has been used in the past has been formed by forming a single pole and fixing the tail body at the center of the pole, or the bottom of the upper pole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il body and the upper edge of the bottom pole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tail body. Since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fixed together in one body and are formed as a single body, it is inconvenient for portable storage because the length of the bobbin can not be adjusted and it is not convenient for portable storage. The whole fishing bobber had to be replaced with a new one, and it was not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shing pole or to change the body of the fishing bobber, so it was necessary to have a lot of different fishing bobbers according to the depth of water, the size of the meat and the weight of the weight. Fish in the place where the feed of fish When throwing the fishing needles, the fishing needles were often stuck to the floor, and the fishing needles had to be lifted up again. When the rod or the body was damaged, it was impossible to replace parts. Since it had to be provided, there was a problem such as giving an economic burden to the real use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사용되어 오고 있는 낚시찌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종래에는 민물 고기를 낚시질 할때 수심의 깊이가 깊거나 얕거나 또는 고기의 크기 및 추의 중량에 따라 여러 종류의 낚시찌를 구비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낚시찌는 상부찌대와 하부째대로 구성되는 찌대의 하부찌대를 관상(管狀)으로 형성하고 하부찌대의 내부로 상부찌대를 삽설하여 찌대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수심의 깊이가 깊거나 얕거나 할때는 찌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수심에 적절한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하고 고기의 크기나 추의 중량에 따라서는 상부찌대에 설치되는 찌몸체를 이동제지구에 의하여 손쉽게 교체하여 고기나 추의 중량에 적합한 찌몸체를 교체하여 사용하므로서 종래 낚시질을 할때 수심이나 고기의 크기 및 추의 중량에 따른 여러 종류의 낚시찌를 구비하여야 하였던 번거로움을 지양하고 본 발명은 하나의 낚시찌로 여러 종류의 낚시찌로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미끼가 꿴 낚시바늘을 고기가 물었을때는 찌대가 상승하면서 찌몸체가 동시에 찌대를 쳐 올려 주므로 저절로 고기가 챔질되어 고기를 낚아 챌 수 있는 기능을 갖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fishing bobber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as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fishing freshwater fish, the depth of the water is deep or shallow o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eat and the weight of the weight. A type of bobber was to be provided. However,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that the lower jaw consisting of the upper jaw and the lower jaw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the upper jaw is inserted into the lower jaw so that the length of the jaw can be stretched and the depth of the depth is increased. When it is deep or shallow, adjust the entire length of the pole to adjust the length appropriate for the depth.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eat or the weight of the weight, the body of the bobbin installed on the upper pole can be easily replaced by the moving paper. By replacing the body of the bobber suitable for the weight of the conventional fishing when avoiding the hassle of having to provide a variety of fishing bobber according to the depth or size of the meat and the weight of the weight,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fishing bobber several types of fishing bobber It can be used more usefully. When the fish bites the fishing hook with the bait, At the same time it struck up a jjidae because it was the meat itself is so chaemjil can have the ability to pull off the meat.

도 1은 본 발명의 낚시찌에 있어 상부찌대가 하부찌대에서 전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le is fully extended from the lower pole in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낚시찌에 있어 상부찌대가 전부 축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le is fully reduced in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제 2도의 A-A선 확대단면도.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제 2도의 B-B선 확대단면도.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사용상태도.Figure 5 is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2... 하부찌대 2a... 상부찌대2 ... lower head 2a ... upper head

3... 고정제지구 3a 4, 4a, 6... 이동제지구3 ... Fixed Area 3a 4, 4a, 6 ...

5, 5a... 찌몸체 7... 부표5, 5a ... body 7 ... buo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 낚시찌의 상부찌대가 하부찌대에서 전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낚시찌의 상부찌대가 하부찌대 내에 전부 축소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찌대를 형성함에 있어 상부찌대(2a)와 하부찌대(2)로 분리(分離) 형성하고 하부찌대(2)를 관상(管狀)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로 상부찌대(2a)를 삽설하여 상부찌대(2a)가 하부찌대(2) 내에서 신축(伸縮)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le of the fishing bob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extended from the lower pol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le of the fish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tirely reduced in the lower pole,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In the invention, in forming the scaffold, the upper scaffold (2a) and the lower scaffold (2) are formed separately, and the lower scaffold (2)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the upper scaffold (2a) is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stick 2a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lower stick 2.

하부찌대(2)의 상연에는 고정제지구(3)를 고정하고 그 하부에는 이동제지구(3a) 및 이동제지구(4)(4a)를 억찌 끼움하여 고정제지구(3)와 이동제지구(3a) 사이에는 상부찌몸체(5)를 설치하고 이동제지구(4)와 이동제지구(4a)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찌대삽입공(10)이 형성된 하부찌몸체(5a)를 설치하여 상하부찌몸체(5)(5a)가 제지구 사이에서 상하로 유동(遊動)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Fixing fixture (3) is fixed to the upper edge of the lower pole (2), and the fixing fixture (3) and the movable paper fixture (3a) by pressing the movable paper fixture (3a) and the movable paper fixture (4) (4a) in the lower portion The upper jaw body (5)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jaw bodies (5) by installing a lower jaw body (5a) formed with a jaw insertion hol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moving paper strip (4) and the moving paper strip (4a) (5a) is comprised so that it may flow up and down between paper-making strips.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부찌몸체(5)가 하부찌몸체(5a)와 크기가 같게 도시 되었으나 고기의 크기나 추의 중량에 따라서는 상부찌몸체(5)의 크기가 하부찌몸체(5a)보다 부력이 큰 것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하부찌대(5a)에 설치되는 찌몸체는 하나만을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jaw body 5 is shown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lower jaw body 5a, bu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eat or the weight of the weight, the size of the upper jaw body 5 is lower than that of the lower jaw body 5a. The buoyancy may be installed as a large, or one of the tail body is installed in the lower jaw (5a) may be installed.

상부찌대(2a)에는 상부찌대(2a)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고정하는 이동제지구(10)를 억지 끼움하여 구성한다.The upper jig (2a) is configured by forcibly fitting a moving paper strip 10 for adjusting and fixing the length of the upper jig (2a) appropriately.

야간이나 주간에 낚시질을 할때 원거리에서의 가시성(可視性)을 높혀 주기 위하여 형성되는 본 발명의 부표(7)는 여러 가지 색깔의 야광도료를 도포하여 상부찌대(2a)보다 돌출되게 고정하여 구성한다.Buoy 7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order to increase the visibility at a long distance when fishing at night or daytime is formed by applying a different color luminous paint fixed to protrude than the upper pole (2a) do.

하부찌대(2)의 상연부에는 고정제지구(3)를 고정하나 하부지대(2)와 상부찌대(2a)에 끼워지는 이동제지구(3a)(4)(4a)(6)는 억지 끼움을 하고 상하부찌몸체(5)(5a)를 교체할때 인위적으로 삽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fixing fixture 3 is fixed to the upper edge of the lower stem 2, but the movable strip 3a, 4, 4a and 6 fitted to the lower strip 2 and the upper stem 2a are forcibly fitted. And whe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5) (5a)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removed artificially.

고정제지구(3) 및 이동제지구(3a)(4)(4a)(6)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paper fixture 3 and the movable paper fixture 3a, 4, 4a, 6 are formed of a soft synthetic resin.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찌대를 형성 함에 있어 상부찌대(2a)와 하부찌대(2)는 단일체(單一體)로 형성하고 부력이 조절되는 상하부찌몸체(5)(5a)에는 길이 방향으로 찌대대삽입공(10)을 형성하여 하부찌대(2)에 끼워 유동될 수 있게 삽틸식(揷脫式)으로 구성하여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orming a plaque, the upper plaque 2a and the lower plaque 2 are formed in a single body, and the upper and lower buccal bodies 5 and 5a in which buoyancy is contro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nd install the rod insertion hole (10) by inserting into the lower pole (2) to be configured by the insertion method (식 式).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찌대를 형성 함에 있어 상부찌대(2a)와 하부찌대(2)로 분리(分離) 형성하고 하부찌대(2)를 관상(管狀)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로 상부찌대(2a)를 삽설하여 상부찌대(2a)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고 하부찌대(2)에는 상하부찌몸체(5)(5a)를 일체가 되게 고정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orming a platter, the upper platter 2a and the lower platter 2 are formed separately, and the lower platter 2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the upper plaque is formed therein. Insert (2a) to be able to stretch the length of the upper jaw (2a) and the lower jaw (2) may be configured by fixing the upper and lower jaw body (5) (5a) integrally.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부찌대(2a)와 하부찌대(2)로 구성되는 찌대를 3단이상으로 신축(伸縮)될 수 있게 찌대를 형성하여 전체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 할수도 있는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by forming a stick to be stretched (3) three or more stages consisting of the upper pole (2a) and the lower pole (2). .

도면중 미설명 부호 (8)은 날라리(흔들이)를 나타내는 것이고(9)는 흔들이 끈을 나타내는 것이며 (10은) 찌톱을 나타내는 것이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8 denotes a fly, 9 denotes a rocking string, and 10 denotes a claw.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낚시찌(1)를 사용하여 민물 고기를 낚시질을 하고자 할때에는 종래와 같이 날라리(흔들이)(8)를 낚시대의 낚시줄에 연결된 낚시바늘에 연결하여 낚시질을 하게 되는 것은 공지하나, 본 발명의 낚시찌가 연결된 낚시대를 이용하여 낚시질을 할때 낚시찌를 물속에 던지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찌(1)가 물속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상부찌몸체(5a)는 고정제지구(3)에 제지되어 부상(浮上)하고 하부찌몸체(5)는 이동제지구(4)에 제지되어 부상하게 되는 것이다.When fishing freshwater fish using the fishing bobb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known to be connected to the fishing hook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as in the prior art However, when fishing using a fishing rod connected to the fishing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rowing the fishing bobber in the water, as shown in Figure 5 the fishing bobber 1 is standing vertically in the water while the upper bobbin body (5a) is fixed fixture ( 3) is restrained and injured (浮上) and the lower jaw body (5) is to be restrained and lifted by the moving paper (4).

만약 낚시질을 하는 위치가 뻘이나 인공낚시터의 사료 썩어 쌓인 위치에 낚시바늘을 던졌을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찌대(2)(2a)가 상승하는 순간 상부찌몸체(5)와 하부찌몸체(5a)가 하부찌대(2)를 쳐올려 주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낚시바늘이 뻘이나 인공 낚시터의 사료가 썩어 쌓인 위치에 박히지 않고 빠져 나오게 된다.If the fishing position throws the fishing needle at the position where the fishing rot or the artificial fish's feed rots, the upper and lower jaw (2) (2a) rises as shown in the left to right as shown in FIG. Since the body 5 and the lower jaw body (5a) lifts up the lower jaw (2), the fishing needle is pulled out without being stuck in a position where the feed of the fishing hook or the artificial fishing ground is rotten as in the prior art.

수심 깊이가 얕은 낚시터에서 낚시질을 할때에는 낚시찌(1)의 찌대 길이를 짧게 하여야 되는바, 이때에는 상부찌대(2a)를 하부찌대(2)의 내측으로 적절히 밀어 넣오 몰입(沒入)시킨 다음 이동제지구(6)를 고정제지구(3)에 접하여 이동시키면 찌대의 전체 길이가 축소 고정되어 수심의 깊이가 얕은 낚시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수심의 깊이가 깊은 낚시터에서 낚시질을 할때에는 상부찌대(2a)를 하부찌대(2)에서 적절히 노출시킨 다음 이동제지구(6)를 고정제지구(3)에 접하여 이동시키면 찌대의 전체 길이가 신장 고정되어 수심의 길이가 깊은 낚시터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fishing in a shallow depth of field, the length of the pole of fishing bobbin (1) should be shortened. In this case, push the upper pole (2a) properly into the lower pole (2) and immerse it. When the earth (6)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stationary paper (3), the entire length of the pole is reduced and fixed so that it can be used in a shallow depth of fishing, and when fishing in a deep fishing depth, the upper pole (2a) ) Is properly exposed in the lower pole (2), and then move the moving paper strip (6) in contact with the fixed paper strip (3) is to extend the entire length of the pole is to be used in the depth of the deep fishing grounds.

또한, 낚시질을 할때 민물 고기의 크기나 추의 중량에 따라서는 부력이 알맞은 상하부찌몸체(5)(5a)를 달아 주어야 하는바, 이때는 이동제지구(3a)와 이동제지구(4a)를 하부찌대(2)로부터 상하부찌몸체(5)(5a)를 해탈한 다음 낚시질을 하고자 하는 민물 고기의 크기나 추의 중량에 알맞는 상하부찌몸체(5)(5a)를 이동제지구(3a)와 이동제지구(4)(4a)에 의하여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교체하면 부력이 조절되는 것이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reshwater fish and the weight of the fish when fishing should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buchechi body (5) (5a), in this case, the mobile paper ball (3a) and the mobile paper ball (4a) After removing the upper and lower body (5) (5a) from (2), the upper and lower body (5) (5a) suitable for the size of the freshwater fish or the weight of the weight to be fished is moved to the moving paper (3a) and the moving paper ( 4) (4a) to maintain the appropriate interval to replace the buoyancy is adjusted.

낚시찌(1)를 물속에 드리우고 낚시질을 하다가 고기가 미끼를 꿴 낚시바늘을 물었을 때는 낚시찌(1)의 상부찌대(2a)가 순간적으로 상승되는 순간에 상하부찌몸체(5)(5a)가 상승하면서 하부찌대(2)를 쳐주면서 부상하게 되므로 저절로 고기를 챔질하여 낚아 채게 되는 것이다.When the fishing bobber (1) is immersed in the water and the fish bites the fishing needle while fishing, the upper and lower bobbin bodies (5) (5a) As you rise while hitting the lower pole (2) will be caught by the chamfering of the meat by itself.

종래에는 주간이나 야간에 낚시질을 할때 원거리에서 잘 보이게 가시성을 높히고자 상부찌대(2a)의 상단부에 여러 가지 색깔의 야광도료를 도포하여 부표를 형성하였던 구성을 개량하여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색깔의 야광도료를 도포한 표시부(7)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찌대(3) 보다 돌출되게 부표식으로 형성하여 미끼를 꿴 낚시바늘을 민물 고기가 물었을 때 부표가 움직이는 것을 야간이나 주간에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improve visibility in a long distance when fishing during the day or at night to improve the configuration of forming a buoy by applying various colors luminous paint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pole (2a) to impr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uminous of various color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splay portion 7 coated with paint is formed as a buoy to protrude from the upper rod 3 so that the buoy moves more easily when the freshwater fish bites the bait. You will be able to confirm.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찌대를 구성 함에 있어 하부찌대(2)와 상부찌대(2a)로 분리 형성하고 상부찌대(2a)가 하부찌대(2) 내에서 신축되면서 찌대의 길이가 조절되므로 수심의 깊이가 깊거나 얕거나에 따라 자유자재로 찌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게 되고, 또한 상하부찌몸체(5)(5a)의 길이 방향으로 찌대삽입공(10)을 형성하여 상하부찌몸체(5)(5a)가 하부찌대(2)에 삽탈식으로 설치되므로 고기의 크기나 추의 중량에 따라서는 자유자재로 부력이 조절되는 상하부찌몸체(5)(5a)를 교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수심의 깊이가 깊거나 얕거나 또는 민물 고기의 크기 및 추의 중량에 따라 하나의 낚시찌로 여러 종류의 낚시찌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종래 낚시질을 할 때 여러 종류의 낚시찌를 휴대하고 가야 하는 번거로움을 지양하고 행여 찌대 및 찌몸체의 파손으로 인한 부품 교체를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어 실수요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 주게 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되고, 낚시질을 하는 위치가 뻘이나 인공낚시터의 사료가 썩은 곳에 미끼가 꿴 낚시바늘을 던졌다 하더라도 상하부찌몸체(5)(5a)가 상측으로 유동하면서 찌대를 쳐 올려 주는 작동에 의하여 낚시바늘이 박히지 않게 되는 효과를 나타냄과 동시에 미끼가 꿴 낚시바늘을 민물 고기가 물었을 때는 째대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하부찌몸체(5)(5a)가 찌대를 상측으로 쳐 올려주는 작동을 하게 되어 저절로 고기를 챔질하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lower pole (2) and the upper pole (2a) and the upper pole (2a) is stretched in the lower pole (2) while the length of the pole is adjusted, so the depth of the depth According to the depth or shallowness,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entire length of the pole, and it can also be used, and also the upper and lower side by forming the insertion hol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body (5) (5a) Since the body (5) (5a) is installed in the lower jaw (2) detachably, it is possible to replace and assemble the upper and lower bobbin body (5) (5a) to adjust the buoyancy free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eat or weight of the weight Deeper or shallower water, or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reshwater fish and the weight of the weight, one fishing bobber can be used as several types of fishing bobber, so it is a hassle to carry various fishing bobbers with you when fishing. Remorse Anyone can easily replace the parts due to the damage of the pole and the body of the rod, which will reduce the economic burden on the real user. Even if the fishing needle is thrown, the upper and lower bobbin bodies (5) and (5a) flow upwards, and the fishing needle is prevented from getting stuck by the operation. The third stage is to be raised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butchigi body (5) (5a) is to act to lift the jjigae upwards, it will have the effect of chamfering the meat by itself.

Claims (4)

찌대를 상하부찌대로 분리 형성하고 하부찌대를 관상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로 상부찌대를 삽설하여 상부찌대가 하부찌대 내에서 신축될 수 있도록 한 구성과 하부찌대의 상연에는 고정제지구를 고정하고 그 하부에 복수개의 이동제지구를 억지 끼움을 하여 부력이 조절되는 상하부찌몸체를 적절히 설치하도록 하고 상하부찌몸체가 상하로 유동될 수 있게 삽탈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The upper part is form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and the lower part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the upper part is inserted into the inner part so that the upper part can be stretched in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art is fixed. A 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uoyancy body is adjusted properly by inserting a plurality of moving paper strips into the fitting,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ubbling body are inserted and detached in such a way that the upper and lower buccal bodies can be moved up and down.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부찌대와 하부찌대는 단일체로 형성하고 부력이 조절되어야 하는 찌몸체를 상하로 유동될 수 있게 삽탈식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Fishing rod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le and the lower pole is formed in a single body and is formed in a removable manner so that the buoyancy body to be buoyant flow up and down.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하부찌대를 분리 형성하고 하부찌대는 관상으로 형성하여 그 내부로 상부찌대를 삽설하여 찌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 하부찌대에는 찌몸체를 일체로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A fishing bob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jaws are separated and the lower jaw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so that the upper jaw is inserted into the inside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jaw and the lower jaw is fixed to the body. 특허청구범위 제 1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찌대가 3단 이상으로 신축될 수 있게 분리 형성하여 찌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Fishing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jjigae separated by forming the jjigae stretchable in more than three stages.
KR1019970051056A 1997-10-04 1997-10-04 The float for fishing KR1002374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056A KR100237427B1 (en) 1997-10-04 1997-10-04 The float for fis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056A KR100237427B1 (en) 1997-10-04 1997-10-04 The float for fish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715A true KR19990030715A (en) 1999-05-06
KR100237427B1 KR100237427B1 (en) 2000-01-15

Family

ID=19522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056A KR100237427B1 (en) 1997-10-04 1997-10-04 The float for fis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7427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7427B1 (en)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6830A (en) Artificial fishing l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60191187A1 (en) Weighted shank fish hooks
US6880288B1 (en) Removable and interchangeable limited resistance dive-action bait-navigating fishing bobber
KR19990030715A (en) bobber
US9049852B1 (en) Spoon fishing l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90110313A (en) A fishing tackle
JP2521233B2 (en) Fishing ground
KR200391787Y1 (en) Float
US4672767A (en) Fishing ball
KR102526013B1 (en) A fising tool for Cephalopoda
US20040064999A1 (en) Center-weighted shank fish hooks
KR200496849Y1 (en) Variable buoyancy regulator for freshwater fishing floats
KR100677935B1 (en) Fishing float with the same center point of gravity moment and buoyancy moment
KR200217437Y1 (en) The float for fishing
KR100702173B1 (en) Tentacle of a lure
KR200307813Y1 (en) A sinker
KR20000013645U (en) Bass Fishing Guider
KR200328786Y1 (en) a structure connected to chemical light for a float
JPH10286050A (en) Float
KR200194996Y1 (en) The connecter for a float
KR200372321Y1 (en) underwater float for fishing
AU2010224385A1 (en) Fishing Lure
KR200271055Y1 (en) Fishing sinkfloat
JPH11346617A (en) Float for fishing
JPS5942870Y2 (en) artificial ba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