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545A - Pedal pedal of automobile pedal - Google Patents

Pedal pedal of automobile ped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545A
KR19990030545A KR1019970050783A KR19970050783A KR19990030545A KR 19990030545 A KR19990030545 A KR 19990030545A KR 1019970050783 A KR1019970050783 A KR 1019970050783A KR 19970050783 A KR19970050783 A KR 19970050783A KR 19990030545 A KR19990030545 A KR 19990030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elastic member
coupling
pivotally coupled
end pivot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79891B1 (en
Inventor
이창헌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50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9891B1/en
Publication of KR1999003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5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9891B1/en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적어도 3개 이상의 가동부를 갖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코일스프링 가동부들의 위치 및 작동시점을 다르게 하여 스프링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dal effort reducing apparatus for a pedal including a coil spring having at least three movable parts, wherein the spring force can be distributed by varying the position and operating time of the coil spring movable parts.

그러므로, 페달 초기 조작시에 페달에 반동되는 답력이 저하되고, 또한 클러치페달 조작이 부드럽다. 또한, 코일스프링의 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으므로, 단부에 제공된 부싱의 마모가 저하된다.Therefore, the pedaling force recoiled at the pedal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pedal is lowered, and the clutch pedal operation is smooth. In addition, since stress is not concentrated at the end of the coil spring, wear of the bushing provided at the end is reduced.

Description

자동차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Pedal pedal of automobile pedal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등의 답력을 경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페달 가압수단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ducing the pedaling force of, for example, a clutch pedal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ment of a pedal pressurizing means.

최근, 엔진의 출력 상승에 수반하여 클러치 내부의 스프링의 반발력도 크게되어, 클러치 조작시 필요한 페달의 답력도 종래보다 큰 폭으로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 조작시 답력 경감을 가능한 크게 할 수 있는 페달이 요망되고 있다.In recent years, with the increase in the output of the engine, the repulsive force of the spring inside the clutch is also increased, and the pedal effort required at the time of clutch operation is also greatly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pedal that can increase the pedal effort as much as possible when operating the clutch pedal.

답력경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종래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의 예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차체 측에 연결된 한 쌍의 서포트브라켓(112,114)에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퀄라이저 바아(102)가 고정부(120)에 의하여 피벗식으로 부착되며, 그 이퀄라이저 바아(102)에 페달아암(100)이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서포트브라켓(112,114)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04)이 토션을 부여할 수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04)의 양 단부(116,118)는 직각으로 절곡되어, 서포트브라켓(112,114)이 계지공을 따라 부싱(108,110)으로 장착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04)의 중앙부, 즉 요동단(124)도 직각으로 절곡되어, 페달아암(100)의 선단에 부싱(122)을 통해 감합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04)은 상기 피벗식으로 장착된 단부들을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로우므로, 스프링의 반발력이 페달아암(100)에 부여될 수 있다.6 and 7 show examples of the conventional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for increasing the pedal effort. An equalizer bar 102 is pivotally attached to the pair of support brackets 112 and 114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is, and the pedal arm 100 to the equalizer bar 102. It is supported by this material. Coil springs 104 are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s 112 and 114 in a state capable of providing a torsion. Both ends 116 and 118 of the coil spring 104 are bent at a right angle so that the support brackets 112 and 114 are mounted to the bushings 108 and 110 along the engagement ho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il spring 104, i.e., the swing end 124, is also bent at a right angle and fitted to the tip of the pedal arm 100 via a bushing 122. Since the coil spring 104 is free to rotate around the pivotally mounted ends, the spring force can be applied to the pedal arm 100.

상기 종래 기술의 경우, 답력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코일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크게 하거나 또는 레버아암을 길게 하면 답입 초기에 필요한 답력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두개의 좌우 스프링에 의하여 코일스프링력을 분산시키는 경우라 하더라도, 초기 답력이 커져 부드러운 페달 답동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반복적인 클러치 페달조작으로 인하여 부싱의 마모를 촉진하게 된다.In the prior art, in order to reduce the stepping force, for example, when the spring constant of the coil spring is increased or the lever arm is lengthe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epping force required at the initial step of the stepping increase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dispersing the coil spring force by the two left and right springs, the initial pedaling force is increased to obtain a smooth pedal pedaling effect, it is due to the repeated clutch pedal operation to promote the wear of the bushing.

상기 종래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일본 실개평3-1377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3-13779.

상기 공보에 개시된 장치는,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코일부(202)와 제 2 코일부(204)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코일부(202)와 제 2 코일부(204) 사이에 요동단(206)을, 그리고 제 1 코일부(202)와 제 2 코일부(204)의 선단에 제 1 피벗단(208) 및 제 2 피벗단(210)을 각기 구성하는 코일스프링(20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요동단(206)은 스프링 부착부(212)에 계지된다.Referring to FIG. 8, the apparatus disclosed in the publication includes a first coil part 202 and a second coil part 204, and between the first coil part 202 and the second coil part 204. Coil spring 201 which constitutes the swing end 206 and the first pivot end 208 and the second pivot end 210 respectively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il part 202 and the second coil part 204. It includes, the swing end 206 is locked to the spring attachment portion 212.

상기 제 1 피벗단(208)은, 페달을 조작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페달아암 (200)의 회전중심 M과 요동단(206)을 연결하는 선분 A보다도 페달의 답입위치 C에 가깝게 위치하고, 또한 페달아암(200)을 소정 각도이상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페달아암(200)의 회동중심 M과 요동단(206)을 연결하는 선분 A보다도 페달의 리턴 측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서포트브라켓(214)에 피벗식으로 장착된다.The first pivot stage 208 is located closer to the depression position C of the pedal than the line segment A connecting the rotational center M of the pedal arm 200 and the swinging stage 206 in a state before the pedal is operated. Pivoting the support bracket 214 so that the arm 200 is positioned closer to the return side of the pedal than the line segment A connecting the rotational center M of the pedal arm 200 and the swing end 206 with the arm 200 oper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Is mounted.

또한, 제 2 피벗단(210)은, 페달을 답입전의 상태에서 페달아암(200)의 회동중심 M과 요동단(206)을 연결하는 선분 A 부근 또는 그 선분 부근보다도 페달의 리턴 측에 위치하도록 서포트브라켓(214)에 피벗식으로 장착된다.Further, the second pivot stage 210 is located at the return side of the pedal rather than near the line segment A which connects the rotational center M of the pedal arm 200 and the swing stage 206 in the state before the pedal is depressed, or near the line segment. It is pivotally mounted to the support bracket 214 so as to.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장치는 단일 코일스프링의 형상을 변형시켜 코일스프링력을 분산시키는 것이나, 단일 스프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답력 경감을 효과적으로 이룰 수 없었다.However, the apparatus disclosed in the above publication disperses the coil spring force by deforming the shape of the single coil spring, but since the single spring is used, the effort reduction can not be achieved effectively.

따라서, 피벗식으로 결합된 가동부에서 코일스프링력의 집중을 분산 시킴으로써, 초기의 페달아암에 인가되는 반발력을 분산시켜 조작시 초기 답력 과대를 막아 주고, 보다 부드러운 클러치페달 조작을 가능케 하며, 페달아암에 의하여 인가되는 답력이 보다 많은 가동부로 분산되어 페달 조작시의 중기는 물론 말기까지 일정하게 부드러운 답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를 필요로 한다.Thus, by disper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oil spring force in the pivotally coupled moving part, it disperses the repulsive force applied to the initial pedal arm, preventing the initial stepping force during operation, enabling a smoother clutch pedal operation, and to the pedal arm The pedal power applied by the pedal is distributed to more moving parts, and the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of the pedal that can act as a smooth soft pedal constantly during the period as well as the end of the pedal operation is required.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클러치페달 초기 조작시에 페달 에포트(effort)를 경감시켜서 초기 페달 작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is to provide a pedal effort reducing apparatus for reducing pedal effort during initial operation of a clutch pedal to smooth initial pedal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에 인가되는 답력을 분산시켜 주어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에 제공되어 있는 부싱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tribute the effort applied to the spring to prevent the wear of the bushing provided in the pedal effort reduction device of the pedal.

도 1은 제 1 및 제 2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first and second coil spring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of the pedal shown in Figure 1,

도 3은 도 2중 요부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3 is a side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perating state of FIG.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의 개략도,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FIG. 4;

도 6은 종래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의 개략도,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of a conventional pedal;

도 7은 도 6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FIG. 6;

도 8은 또 다른 종래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8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other conventional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50:페달아암 12,52:이퀄라이저 바아10,50: pedal arm 12, 52: equalizer bar

16,18,54,56:브라켓 20,22,62,64,66,68:스프링16, 18, 54, 56: Bracket 20, 22, 62, 64, 66, 68: Spring

24,58,60:레버부재 26:볼트24, 58, 60: Lever member 26: Bolt

40,42,44,70,72,74,76,78:부싱40, 42, 44, 70, 72, 74, 76, 78: bush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다수의 서포트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고정되는 이퀄라이저 바아와; 상기 서포트브라켓 사이에 위치한 이퀄라이저 바아와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페달아암과; 상기 이퀄라이저 바아 끝단에 결합되는 레버부재와; 상기 서포트브라켓과 페달아암 사이에 결합되는 메인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서포트브라켓과 레버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보조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fixed to the vehicle body; An equalizer bar fixed between the brackets; A pedal arm rotatably connected to the equalizer bar locat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s; A lever member coupled to the equalizer bar end; A main elastic member coupl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pedal arm; And, an auxiliary elastic member coupl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lev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메인 탄성부재는 상기 페달아암의 선단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1 결합단부와, 상기 서포트브라켓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2 결합단부를 갖으며; 상기 보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 브라켓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3 결합단부와, 상기 레버부재의 선단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4 결합단부를 갖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ain elastic member has a first engag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pedal arm, and a second engag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The auxiliary elastic member is configured to have a third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and a fourth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tip of the lever member.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에서 볼 때 각기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결합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에서 볼 때 각기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결합단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에서 볼 때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ends exist in different positions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ends exist in different positions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elastic member. The second and third coupling ends may be configured to be in the same posi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elastic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되는 다수의 서포트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고정되는 이퀄라이저 바아와; 상기 서포트브라켓 사이에 위치한 이퀄라이저 바아와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페달과; 이퀄라이저 바아 끝단에 결합되는 다수의 레버부재와; 상기 서포트브라켓과 페달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메인 탄성부재; 그리고, 상기 서포트브라켓과 레버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보조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fixed to a vehicle body; An equalizer bar fixed between the brackets; A pedal integrally rotatable with an equalizer bar locat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s; A plurality of lever members coupled to the equalizer bar ends; A plurality of main elastic members coupl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pedal;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elastic members coupl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lever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또한, 상기 다수의 메인 탄성부재는, 제 1 메인 탄성부재와 제 2 메인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메인 탄성부재는 페달아암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1 결합단부와, 제 1 브라켓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2 결합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메인 탄성부재는 페달아암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3 결합단부와, 제 2 브라켓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4 결합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main elastic members may include a first main elastic member and a second main elastic member; The first main elastic member includes a first engag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pedal arm, and a second engag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The second main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third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pedal arm, and a fourth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또한, 상기 다수의 보조 탄성부재는, 제 1 보조 탄성부재와 제 2 보조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탄성부재는 제 1 브라켓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5 결합단부와, 제 1 레버부재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6 결합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탄성부재는 제 2 브라켓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7 결합단부와, 제 2 레버부재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8 결합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auxiliary elastic members may include a first auxiliary elastic member and a second auxiliary elastic member: the first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fifth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a first bracket, and a first lever member. A sixth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hereto; The second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seventh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and an eighth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lever member.

상기에서, 제 1 및 제 3 결합단부의 위치와, 상기 제 2, 제 4, 제 5 및 제 7 결합단부의 위치, 그리고, 상기 제 6 및 제 8 결합단부의 위치가 탄성부재의 측면에서 볼 때 각각 한점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제 1 및 제 3 결합단부와, 상기 제 2, 제 4, 제 5 및 제 7 결합단부, 그리고 상기 제 6 및 제 8 결합단부를 각기 연결하는 선이 스프링의 측면에서 볼 때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third coupling ends, the positions of the second, fourth, fifth and seventh coupling ends, and the positions of the sixth and eighth coupling ends are viewed from the side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first and third coupling ends, the second, fourth, fifth and seventh coupling end, and the sixth and eighth coupling e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exist in different positions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spring.

그리고, 상기 각 탄성부재는, 양끝부분에 직선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 끝에는 90°로 절곡된 결합부가 형성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each of the elastic memb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il spring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t both ends, the coupling portion bent at 90 °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of the vehicle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제 1 및 제 2 코일스프링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the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of the ped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first and second coil spring, Figure 2 shows a side view of the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코일스프링(20)과 제 2 코일스프링(22)으로 구성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서포트브라켓(16,18)이 차체(비도시)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원통형 이퀄라이저 바아(12)가 볼트(2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re is schematically shown a pedal effort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coil spring composed of a first coil spring 20 and a second coil spring 22. In the illustrated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a pair of support brackets 16 and 18 are fixed to a vehicle body (not shown), and a cylindrical equalizer bar 12 is fixed by a bolt 26 therebetween.

이퀄라이저 바아(12)에는 페달아암(10)의 기부가 고정되어 있는 한편, 레버부재(24)의 기부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퀄라이저 바아(12)는 페달아암 (10)과 레버부재(24)의 회전 중심이 된다. 페달아암(10)의 선단(28)은 스프링 부착부가 형성되도록 절결되어 있다. 페달아암(10)과 서포트브라켓(18) 사이에 제 1 코일스프링(20)이, 그리고 서포트브라켓(18)과 레버부재(24) 사이에 제 2 코일스프링(22)이 제공된다.The base of the pedal arm 10 is fixed to the equalizer bar 12 while the base of the lever member 24 is fixed. Thus, the equalizer bar 12 become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pedal arm 10 and the lever member 24. The tip 28 of the pedal arm 10 is cut out to form a spring attachment portion. A first coil spring 20 is provided between the pedal arm 10 and the support bracket 18, and a second coil spring 22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18 and the lever member 24.

각 코일스프링(20)(22)은 양 끝부분에 직선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 끝에는 90°로 절곡되어 각각 결합단부(32,34)와 결합단부(36,38)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Each coil spring 20, 22 has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t both ends, the connecting end is configured to be bent by 90 degrees to form a coupling end (32, 34) and the coupling end (36, 38), respectively do.

제 1 코일스프링(20)의 일단인 제 1 결합단부(32)는 페달아암(10)의 선단(28)에 제공된 부싱(40)에 끼워져 가동부 B를 형성하며, 타단인 제 2 결합단부(34)는 서포트브라켓(18)에 제공된 부싱(42)에 끼워져 요동부 A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코일스프링(22)의 일단인 제 3 결합단부(36)는 상기 서포트브라켓(18)의 부싱(42)에 끼워지며, 타단인 제 2 결합단부(38)는 레버부재(24)의 선단에 제공된 부싱(44)에 끼워져 가동부 C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coupling end 32, which is one end of the first coil spring 20, is fitted to the bushing 40 provided at the tip 28 of the pedal arm 10 to form the movable portion B, and the second coupling end 34 that is the other end 34. ) Is fitted to the bushing 42 provided on the support bracket 18 to form the swinging portion A. The third coupling end 36, which is one end of the second coil spring 22, is fitted to the bushing 42 of the support bracket 18, and the second coupling end 38, which is the other end, is a lever member 24. It is configured to fit into the bushing 44 provided at the tip of the) to form the movable portion C.

도 2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페달아암(10)의 답력 경감장치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1 코일스프링(20)의 제 2 결합단부(34)와 상기 제 2 코일스프링(22)의 제 3 결합단부(36)는 동일한 부싱(42)에 결합되어, 코일스프링(20)(22)의 측방향에서 볼 때, 그 위치가 동일점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제 1 코일스프링(20)의 결합단부(32,34) 및 상기 제 2 코일스프링(22)의 결합단부(36,38)는, 코일스프링(20)(22)의 측방향에서 볼 때, 그 위치가 각각 동일점을 이루지 않도록 구성된다.FIG. 2 also shows a side view of the pedal effort reduction device of the pedal arm 10 shown in FIG. 1. The second coupling end 34 of the first coil spring 20 and the third coupling end 36 of the second coil spring 22 are coupled to the same bushing 42 to form coil springs 20 and 22. When view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position is configured to achieve the same point. However, the coupling ends 32 and 34 of the first coil spring 20 and the coupling ends 36 and 38 of the second coil spring 22 are viewed from the side of the coil springs 20 and 22. At that time, the positions are configured not to achieve the same point, respectively.

또한, 상기 페달아암(10) 선단(28)의 가동부 B는 코일스프링(20)(22)의 측방향에서 볼 때 요동부 A보다 우측에 위치하며, 페달아암(10) 선단(28)의 가동부 B는 레버부재(24)의 가동부 C보다 좌측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가동부와 요동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A, B, C 순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페달아암(10)이 P 방향으로 작동되면, 가동부 B가 P'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 1 코일스프링(20)을 압축하게 되는데, 이 가동부 B가 상기 요동부 A와 일치되는 시점(코일스프링의 측면에서 볼 때 한점을 이루게 되는 시점)에서 제 1 코일스프링(20)의 탄성부가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X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때, 이퀄라이저 바아(12)의 회동에 따라 레버부재(24)에 연결된 가동부 C도 회동되며 제 2 코일스프링(22)을 압축하게 되는데, 이 가동부 C가 상기 요동부 A와 일치되는 시점(코일스프링의 측면에서 볼 때 한점을 이루게 되는 시점)에서 제 2 코일스프링(22)의 탄성부가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Y 방향으로 회동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movable portion B of the front end 28 of the pedal arm 1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winging portion A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coil springs 20 and 22, and the movable portion of the front end 28 of the pedal arm 10 is located. B is located to the left of the movable portion C of the lever member 24. As a result, each of the movable portion and the swing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in the order of A, B, and C from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Accordingly, when the pedal arm 10 is operated in the P direction, the movable portion B moves in the P 'direction and compresses the first coil spring 20. When the movable portion B coincides with the swinging portion A (coil At the point of view of the spring, the elastic portion of the first coil spring 20 is rotated in the X direction by its own elastic force.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equalizer bar 12, the movable part C connected to the lever member 24 is also rotated to compress the second coil spring 22, which is the point of time when the movable part C coincides with the swinging part A (coil spring). At the point of view of the point of view of the side), the elastic portion of the second coil spring 22 is rotated in the Y direction by its elastic force.

상기 제 1 코일스프링(20)과 제 2 코일스프링(22)은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며, 각 코일스프링의 가동시점은 페달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페달의 가동부 B의 위치도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coil spring 20 and the second coil spring 22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starting point of each coil spring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dal, and the position of the movable part B of the pedal is also required. Of course,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of the ped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페달아암(10)이 P 방향으로 답입되면, 페달아암(10)이 연결된 제 1 코일스프링(20)의 제 1 결합단부(32)가 P'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므로, 제 1 코일스프링 (20)에 토션이 부가된다. 이렇게 이동하는 제 1 코일스프링(20)의 가동부 B가 요동부 A와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면, 부가된 탄성력에 의하여 제 1 코일스프링(20)은 X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When the pedal arm 10 is pushed in the P direction, since the first coupling end 32 of the first coil spring 20 to which the pedal arm 10 is connected moves in the P 'direction, the first coil spring 20 Torsion is added. When the movable portion B of the first coil spring 20 thus moved is positioned on the same axis as the swinging portion A, the first coil spring 20 is rotated in the X direction by the added elastic force.

그리고, 상기 페달아암(10)이 P방향으로 답입됨과 동시에, 레버부재(24)도 또한, 도 2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이때, 레버부재(24)에 결합된 제 2 코일스프링(22)의 결합단부(38)도 이동되며, 이에 따라, 가동부 C가 요동부 A 측으로 이동되면서 제 2 코일스프링 (22)에 토션이 부가된다. 이렇게 이동하는 제 2 코일스프링(22)의 가동부 C가 요동부 A와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부가된 탄성력에 의하여 제 1 코일스프링(20)이 Y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As the pedal arm 10 is pushed in the P direction, the lever member 24 also rotates clockwise as seen in FIG. At this time, the coupling end 38 of the second coil spring 22 coupled to the lever member 24 is also moved, whereby the torsion is added to the second coil spring 22 while the movable part C is moved to the swinging part A side. do. When the movable part C of the second coil spring 22 thus moved is positioned on the same axis as the swinging part A, the first coil spring 20 is rotated in the Y direction by the added elastic force.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아암(10)이 P방향으로 회동될 때, 그 단부(28)는 P' 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제 1 코일스프링(20)의 가동부 B가 페달아암(10)의 단부(28)와 함께, 선분 1, 2, 3 을 차례로 교차하면서 회동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3, when the pedal arm 10 is rotated in the P direction, as the end portion 28 is rotated in the P 'direction, the movable portion B of the first coil spring 20 is pedaled. It rotates with the edge part 28 of the arm 10 crossing the line segments 1, 2, and 3 in order.

이때, 페달아암(10)의 구동 초기(선분 1)부터, 요동부 A, 가동부 B 및 페달아암(10)의 회동 중심점(O)이 일직선을 이루게 되는 선분 2까지인 a 구간에서는, 가동부 B 에서의 힘(Fa)이 하방향을 향하게 됨으로써, 페달의 에포트(effort)를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요동부 A, 가동부 B 및 레버의 회동 중심점(O)이 일직선을 이루게 되는 선분 2로부터, 선분 3을 향하는 이동되는 b 구간에서는, 가동부 B 에서의 힘(Fb)이 상방향을 향하게 됨으로써, 페달의 에포트(effort)를 감소시키게 된다. 즉, 상기 레버의 회동 중심점(O)의 위치에 따라 페달 에포트를 증가시키는 a 영역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section a, which is from the initial driving of the pedal arm 10 (line segment 1) to the line segment 2 where the pivoting portion A, the movable portion B, and the pivot center point O of the pedal arm 10 form a straight line, As the force Fa is directed downward, the effort of the pedal is increased. Then, the force Fb at the movable portion B is directed upward in the section b that is moved toward the line segment 3 from the line segment 2 where the pivoting portion A, the movable portion B, and the pivot center point O of the lever form a straight line. This will reduce the pedal's effort. That i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ivot center point O of the lever, the size of a region that increases the pedal effort is determined.

이에 따라, 상기 페달아암(10)의 회동 중심점(O)의 위치를 적절하게 세팅하여, 상기 제 1 코일스프링(20)은 페달을 밟자 마자 선분 2의 경계를 넘어가서 b 영역에 도달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a 영역에서 발생되는 초기 에포트 과다 문제를 해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 2 코일스프링(22)도, 또한, 상기 제 1 코일스프링(20)과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페달아암(10)의 구동초기에 발생되는 과다 에포트 영역을 빠르게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서, 요동부 A, 가동부 B 및 페달아암(10)의 회동 중심점(O)이 일직선을 이루게 되는 지점에서의 힘(Fo)은, 제 1 코일스프링(20)의 고유 탄성력에 따른 기준 답력을 나타낸 것이다.Accordingly, by appropriatel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rotation (O) of the pedal arm 10, the first coil spring 20 reaches the area b beyond the boundary of line segment 2 as soon as the pedal is press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itial problem of excessive effort occurring in the existing zone a. The second coil spring 22 is also configured to quickly pass the excess effort region generated at the initial driving of the pedal arm 10 by the same principle as the first coil spring 20. In FIG. 3, the force Fo at the point where the pivoting point O of the swinging portion A, the movable portion B, and the pedal arm 10 forms a straight line is a reference step force according to the inherent elastic force of the first coil spring 20. It is shown.

이에 따라, 초기 페달 조작시에, 제 1 코일스프링(20)의 제 1 결합단부(32)와 제 2 코일스프링(22)의 결합단부(38), 즉 가동부 B와 가동부 C만이 이동하기 때문에, 코일스프링(20)(22)에 부여되는 답력, 토션은 종래 메커니즘보다 상당히 약하게 된다. 그러므로, 초기 페달 조작시에 코일스프링(20)(22)의 피벗 결합부에 제공된 부싱(40,42,44)에 큰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초기 페달 조작시에 페달아암(10)에 작용되는 반발력이 약화되므로서 페달 조작이 부드럽게 되며, 또한, 페달아암(10)에 의하여 인가되는 답력이 보다 많은 가동부로 분산되므로, 중기 및 말기 답입시에도 페달 조작이 부드럽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at the time of the initial pedal operation, only the engaging end 38 of the first coil spring 20 and the engaging end 38 of the second coil spring 22, that is, the movable part B and the movable part C, move. The torsion and torque applied to the coil springs 20 and 22 are considerably weaker than conventional mechanism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 load from concentrating on the bushings 40, 42 and 44 provided at the pivot coupling portion of the coil springs 20 and 22 during the initial pedal operation. In addition, since the repulsive force acting on the pedal arm 10 is weakened during the initial pedal operation, the pedal operation is smoothed, and the pedal force applied by the pedal arm 10 is distributed to more movable parts. Pedal operation is smooth even in entrance examin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페달의 답력 경감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로서, 상기 일 실시예의 한 쌍의 코일스프링을 페달아암의 양측에 대칭으로 설치함으로써, 답입시의 페달 에포트를 더욱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장치는 이퀄라이저 바아(52)의 중앙에 위치하는 페달아암(50), 상기 페달아암(50)을 중심으로 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이퀄라이저 바아(52)에 고정되며 그리고 차체(비도시)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브라켓(54,56) 및 상기 이퀄라이저 바아(52)의 양단에 고정된 제 1 및 제 2 레버부재(58,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4 is a schematic view of the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of the ped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Figure 4, by installing a pair of coil springs of the embodiment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pedal arm, Another embodiment is shown to further reduce the pedal effort at the time of depression. That is, the device in this embodiment is fixed to the pedal arm 5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equalizer bar 52, the equalizer bar 52 at regular intervals left and right about the pedal arm 50, and the vehicle body (not shown).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54, 56) fixed to the) and the first and second lever members (58, 60) fixed to both ends of the equalizer bar (52).

또한, 상기 실시예의 장치에는, 제 1 및 제 2 메인스프링(62,64)이 상기 페달아암(50)을 중심으로 제 1 및 제 2 브라켓(54,56) 사이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며, 제 1 및 제 2 보조스프링(66,68)이 각각의 레버부재(58,60)와 브라켓(54)(56) 사이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스프링(62,64,66,68)은, 각각 양 끝부분에 직선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 끝에는 90°로 절곡된 각각의 결합단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Further, in the device of this embodiment, first and second main springs 62, 64 are pivotally coup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54, 56 around the pedal arm 50,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prings 66, 68 are configured to pivotally engage between the respective lever members 58, 60 and the brackets 54, 56. At this time, each of the spring (62, 64, 66, 68), each having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coil spring coupled by each coupling end bent at 90 ° .

상기 페달아암(50)의 선단(82)에 제공된 부싱(78)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제 1 및 제 2 메인스프링(62,64)은, 페달아암(50)과의 피벗 결합부에 가동부 C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보조스프링(66)은, 제 1 레버부재(58)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한 단부에 가동부 B를 갖으며, 제 1 브라켓(54)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다른 단부에 요동부 A를 갖는다. 제 2 보조스프링(68) 역시, 제 1 보조스프링(66)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 2 레버부재(60) 및 상기 제 2 브라켓(56)에 결합됨으로써, 각각 가동부 B와 요동부 A를 갖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 1, 제 2 보조스프링(66)의 각 가동부 B 및 각 요동부 A는, 스프링의 측방향에서 볼 때, 각각 동일점을 이루도록 장착된다. 도면 번호 70, 72, 74 및 76은 부싱을 나타낸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main springs 62, 64 pivotally coupled to the bushings 78 provided at the front end 82 of the pedal arm 50 are movable parts C at the pivot engagement portion with the pedal arm 50. Has In addition, the first auxiliary spring 66 has a movable portion B at one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lever member 58, and a swinging portion at the other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54. Has A. The second auxiliary spring 68 is also coupled to the second lever member 60 and the second bracket 56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auxiliary spring 66 so as to have a movable part B and a swinging part A, respectively. Each movable portion B and each swinging portion A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prings 66 are mounted to achieve the same point when viewed from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pring. Reference numerals 70, 72, 74 and 76 denote bushings.

상술된 구성에서, 페달의 작동시에 초기 가동부는 C가 된다. 가동부 C에 인가된 초기 토션은 양 측의 메인스프링(62)(64)을 통해 흡수된다. 가동부 C가 회전 이동하여 요동부 A의 위치에 다다르고, 레버부재(58,60) 양단의 각 가동부 B가 요동부 A의 위치에 다다르면, 제 1 및 제 2 보조스프링(66,68)이 회동됨으로써,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초기 페달 조작력은 코일스프링(62,64,66,68)으로 분산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벗 결합부에 제공된 부싱(78)에 전달되는 답력은 초기 답력보다 약하게 되며, 또한, 초기 답입시에 반동되는 답력이 약화되어, 답입 조작이 매우 부드럽게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initial movable portion becomes C when the pedal is actuated. The initial torsion applied to the movable portion C is absorbed through the main springs 62 and 64 on both sides. When the movable portion C rotates to reach the position of the swinging portion A, and the movable portions B at both ends of the lever members 58 and 60 reach the position of the swinging portion A,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prings 66 and 68 rotate. As a result, the initial pedal operation force is distributed to the coil springs 62, 64, 66, and 68 by the same action as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edaling force transmitted to the bushing 78 provided in the pivot coupling portion is weaker than the initial pedaling force, and the pedaling force recoiled at the initial depression is weakened, so that the depression operation can be made very smooth.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에 의하여, 피벗식으로 결합된 가동부에서 코일스프링력의 집중을 분산 시킴으로써, 초기의 페달아암에 인가되는 반발력을 분산시켜 조작시 초기 답력 과대를 막아 줌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클러치페달 조작을 가능케 할뿐만 아니라, 페달아암에 의하여 인가되는 답력이 보다 많은 가동부로 분산되어 페달 조작시의 중기는 물론 말기까지 일정하게 부드러운 답력으로 클러치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can be seen by the above embodiment, by the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er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coil spring force in the pivotally coupled movable portion, the repulsive force applied to the initial pedal arm is dispersed By preventing excessive initial pedal effort during operation, not only enables smoother clutch pedal operation, but also the pedal force applied by the pedal arm is distributed to more movable parts, so that the clutch can be smoothly applied during the pedal operation, even during the end period. This has the effect of operating the pedals.

전술된 실시예는 다양한 실시태양중 하나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하여 제한 받지 않으며,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The above 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one of various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4)

차체에 고정되는 다수의 서포트브라켓과;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fixed to the vehicle body; 상기 브라켓 사이에 고정되는 이퀄라이저 바아와;An equalizer bar fixed between the brackets; 상기 서포트브라켓 사이에 위치한 이퀄라이저 바아와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페달아암과;A pedal arm rotatably connected to the equalizer bar locat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s; 상기 이퀄라이저 바아 끝단에 결합되는 레버부재와;A lever member coupled to the equalizer bar end; 상기 서포트브라켓과 페달아암 사이에 결합되는 메인 탄성부재; 그리고,A main elastic member coupl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pedal arm; And, 상기 서포트브라켓과 레버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보조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An auxiliary elastic member coupl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lever member;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탄성부재는 상기 페달아암의 선단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1 결합단부와, 상기 서포트브라켓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2 결합단부를 갖으며; 상기 보조 탄성부재는 상기 지지 브라켓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3 결합단부와, 상기 레버부재의 선단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4 결합단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elastic member has a first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pedal arm, and a second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And the auxiliary elastic member has a third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and a fourth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lever mem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에서 볼 때 각기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결합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에서 볼 때 각기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며, 상기 제 2 및 제 3 결합단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측면에서 볼 때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ends are respectively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third and fourth coupling ends are respectively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elastic member. Is present in a different position, the second and third coupling end of the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in the same posi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elastic member.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결합단부의 결합부에는 부싱이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4. The pedal pedal effort re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bushings are provided at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first to fourth engaging ends,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탄성부재 및 상기 보조 탄성부재가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The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main elastic member and the auxiliary elastic member are coil spring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양끝부분에 직선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 끝에는 90°로 절곡된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6. The pedal pedal of claim 5, wherein the coil spring has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t both ends, and a coupling portion bent at 90 °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차체에 고정되는 다수의 서포트브라켓과;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fixed to the vehicle body; 상기 브라켓 사이에 고정되는 이퀄라이저 바아와;An equalizer bar fixed between the brackets; 상기 서포트브라켓 사이에 위치한 이퀄라이저 바아와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페달과;A pedal integrally rotatable with an equalizer bar locat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s; 이퀄라이저 바아 끝단에 결합되는 다수의 레버부재와;A plurality of lever members coupled to the equalizer bar ends; 상기 서포트브라켓과 페달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메인 탄성부재; 그리고,A plurality of main elastic members coupl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pedal; And, 상기 서포트브라켓과 레버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다수의 보조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A plurality of auxiliary elastic members coupled betwee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lever member;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메인 탄성부재는, 제 1 메인 탄성부재와 제 2 메인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main elastic members comprise: a first main elastic member and a second main elastic member; 상기 제 1 메인 탄성부재는 페달아암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1 결합단부와, 제 1 브라켓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2 결합단부를 구비하고;The first main elastic member includes a first engag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pedal arm, and a second engag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상기 제 2 메인 탄성부재는 페달아암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3 결합단부와, 제 2 브라켓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4 결합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And the second main elastic member has a third engag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pedal arm, and a fourth engag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보조 탄성부재는, 제 1 보조 탄성부재와 제 2 보조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auxiliary elastic members, the first auxiliary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auxiliary elastic member comprises: 상기 제 1 탄성부재는 제 1 브라켓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5 결합단부와, 제 1 레버부재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6 결합단부를 구비하고;The first elastic member includes a fifth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a sixth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first lever member; 상기 제 2 탄성부재는 제 2 브라켓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7 결합단부와, 제 2 레버부재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 8 결합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has a seventh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and an eighth coupling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second lever member. 제 8 항 및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결합단부의 위치와, 상기 제 2, 제 4, 제 5 및 제 7 결합단부의 위치, 그리고, 상기 제 6 및 제 8 결합단부의 위치가 탄성부재의 측면에서 볼 때 각각 한점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The method of claim 8 or 9, wherein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third coupling e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fourth, fifth and seventh coupling end, and the sixth and eighth coupling end Pedal pedal relie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forms a point each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elastic memb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결합단부와, 상기 제 2, 제 4, 제 5 및 제 7 결합단부, 그리고 상기 제 6 및 제 8 결합단부를 각기 연결하는 선이 스프링의 측면에서 볼 때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The spring of claim 10, wherein a line connecting the first and third coupling ends, the second, fourth, fifth and seventh coupling ends, and the sixth and eighth coupling ends, respectively, is provided at the side of the spring.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esent in different positions.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단부의 결합부에는 부싱이 각각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10. The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of claim 8 or 9, wherein bushings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respective engaging end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탄성부재와 상기 보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8. The pedal effort reducing device of claim 7, wherein the main elastic member and the auxiliary elastic member are coil spring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양끝부분에 직선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 끝에는 90°로 절곡된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의 답력 경감장치.15. The pedal pedal of claim 13, wherein the coil spring has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t both ends, and a coupling portion bent at an angle of 90 degrees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KR1019970050783A 1997-10-01 1997-10-01 Base plate of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100279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783A KR100279891B1 (en) 1997-10-01 1997-10-01 Base plate of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783A KR100279891B1 (en) 1997-10-01 1997-10-01 Base plate of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545A true KR19990030545A (en) 1999-05-06
KR100279891B1 KR100279891B1 (en) 2001-11-26

Family

ID=6604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783A KR100279891B1 (en) 1997-10-01 1997-10-01 Base plate of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989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147B1 (en) * 2013-04-16 2014-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djust apparatus for pedal effort
KR101509997B1 (en) * 2013-12-03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reduction clutch pedal effor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776B1 (en) * 1995-12-30 1999-09-15 정몽규 Pedal device of a car
KR100220777B1 (en) * 1995-12-31 1999-09-15 정몽규 Pedal device of a ca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147B1 (en) * 2013-04-16 2014-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djust apparatus for pedal effort
KR101509997B1 (en) * 2013-12-03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reduction clutch pedal eff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9891B1 (en) 200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TO950728A1 (en) REAR WHEEL SUSPENSION DEVICE FOR A MOTORCYCLE
JPH04304509A (en) Electronic foot pedal
US4624152A (en) Clutch activating device
JPH10324228A (en) Pedal displacement controlling structure of vehicle
JP2004517768A (en) Brake pedal assembly with variable ratio
JP4486617B2 (en) Brake pedal device
KR100628288B1 (en) Belt installation tool
KR19990030545A (en) Pedal pedal of automobile pedal
JP2757159B2 (en) Glass wiper
KR100892479B1 (en) Assistant for operating force of clutch pedal
KR100439883B1 (en) Device for electronic accelerator pedal
KR101028844B1 (en) Pedal system for vehicle having variable lever ratio
JP2004210100A (en) Pedal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ment device of vehicle
JPH0313779Y2 (en)
JPH0121372Y2 (en)
KR100220777B1 (en) Pedal device of a car
JPH031655Y2 (en)
JPS6327216Y2 (en)
KR100580503B1 (en) spring support structure of a clutch pedal
JPS5930571B2 (en) Clutch pedal turnover mechanism
JPH0121371Y2 (en)
KR100349250B1 (en) Return spring for tilting device of automobile steering column
KR100220776B1 (en) Pedal device of a car
KR200305029Y1 (en)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AU704848B1 (en) Device for reducing stepping force of pedal used in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