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403A -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 및 무선리모콘 제어코드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 및 무선리모콘 제어코드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403A
KR19990030403A KR1019980058695A KR19980058695A KR19990030403A KR 19990030403 A KR19990030403 A KR 19990030403A KR 1019980058695 A KR1019980058695 A KR 1019980058695A KR 19980058695 A KR19980058695 A KR 19980058695A KR 19990030403 A KR19990030403 A KR 19990030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signal
remote control
fir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수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정광수
유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수, 유재원 filed Critical 정광수
Priority to KR101998005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403A/ko
Publication of KR19990030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40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08B19/005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combined burglary and fire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2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recorded signals, e.g. spee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화재의 위험이나 침입자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으로 경찰이나 주인 및 관련자들에게 전화로 통보하기 위해서 경보 시스템과 연관된 경찰, 주인 및 관련자들이 필요한 전화번호, 삐삐번호 및 기타 필요한 정보들을 RS-232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일반 퍼스널 컴퓨터를 통해서 입력하거나 변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분에 대한 것이다. 또 다른 발명은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를 제어하는 무선리모콘의 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코드입력시 별도의 도구를 사용치 않고 리모콘으로 입력함으로써, 리모콘을 분실했을 경우에도 보다 용이하게 코드를 입력 할 수 있다. 즉, 제어코드 입력시 장치의 전원을 켠후 최초로 입력된 리모콘신호의 코드번호를 장치가 기억하여 이후에는 기억된 코드번호와 비교하여 제어를 한다. 코드를 바꿀 경우 방범경보장치의 전원을 껀후 다시켜서 리모콘을 작동시키면 되므로, 리모콘을 분실했을 경우에도 새로운 리모콘으로 쉽게 재설정이 가능하고, 생산시에도 리모콘에만 코드를 입력하여 생산 가능하여 대량생산 및 사후관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 및 무선리모콘 제어코드 입력방법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입력 및 입력된 데이터 변경시에 일반 PC와 RS-232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입력될 데이타의 종류, 수 및 내용에 관계없이 PC의 화면과 키보드를 사용하여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에 따라 별도의 설명서 없이 변경된 내용을 확인하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데이터를 입력 및 변경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다른 목적은 이들 장치를 제어하는 무선리모콘의 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코드입력시 별도의 도구를 사용치 않고 리모콘으로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인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는 화재 및 방범경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시스템에 입력될 데이타의 변경 및 새로운 데이타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PC(Personal Computer)와 RS-232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다. 종래기술은 입력할 데이타종류가 많을 경우에 키의 수가 많아야 하며 표시장치가 없을 경우에는 올바르게 입력 되었는지 확인이 불가능하다. 표시장치가 설치되어있는 경우에도 주로 숫자뿐이고 몇 개의 영문자를 표시하는 정도이다. 그러므로 적은수의 키와 빈약한 표시장치로 필요한 데이타를 입력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특징인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를 제어하는 무선리모콘의 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리모콘으로 제어하는 방범장치들의 코드 입력 방법은 리모콘과 본체에 동일한 코드번호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회로상의 배선으로 설정하거나, 불휘발성기억소자 혹은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에 코드를 입력한다. 이러한 방식은 생산자측에서 제공되는 수동 혹은 전용장비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생산단가가 그만큼 더 소요되고, 사후 관리도 다소 복잡하다. 뿐만 아니라 리모콘 분실시 코드가 배선으로 설정된 장치는 새로운 코드로 바꿀수가 없어 분실된 리모콘이 악용되어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코드입력시 별도의 도구를 사용치 않고 리모콘으로 입력함으로써, 리모콘을 분실했을 경우에도 보다 용이하게 코드를 입력 할 수있다.
[과제를 해결하기하기 위한 수단]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와 관련된 정조가 누설되었거나 새로운 정보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즉 데이타 입력 및 입력된 데이타 변경시에 일반 PC와 간단하게 RS-232C 인터페이스로 연결하여 입력될 데이타의 종류, 수 및 내용에 관계없이 PC의 화면과 키보드를 사용하여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에 따라 별도의 설명서 없이 변경된 내용을 확인하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데이타를 입력 및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또다른 주요 발명 내용인 리모콘 코드 입력 방법에 있어서, 제어코드 입력시 장치의 전원을 켠후 최초로 입력된 리모콘 신호의 코드번호를 장치가 기억하여 이후에는 기억된 코드번호와 비교하여 제어를 한다. 코드를 바꿀 경우 방범경보장치의 전원을 껀후 다시 켜서 리모콘을 작동시키면 되므로, 리모콘을 분실했을 경우에도 새로운 리모콘으로 쉽게 재설정이 가능하고, 생산시에도 리모콘에만 코드를 입력하여 생산하면 되므로 대량생산 및 사후 관리가 용이하다.
상기의 식별자가 없습니다.
제 1 도는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에서 사용자가 입력 및 변경 가능한 정보
제 2 도는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 및 데이타 입력에 대한 전체 흐름도
제 3 도 : 무선리모콘 제어코드 입력방법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화재 감지 센서 5 : 침입자 감지 센서
6 : 마이크로프로세서 7 : 전화 접속회로
8 : 보조 메모리 9 : RS-232C 인터페이스
10 : 접속단자 11 : 송신 라인
12 : 수신 라인 13 : 공통선
14 : A/D 변환기
21 : 안테나 22 : 무선 수신회로
23 : 마이크로콘트롤러 24 : 메모리
25 : 리모콘 제어 신호 26 : 코드 기억 여부
27 : 접속단자 28 : 기억된 코드와 비교하여 처리
화재 및 침입자경보장치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가변하는 저항값의 변화를 이용한 화재감지 센서와 침입자의 몸에서 방출되는 열을 감지 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침입자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검출한다. 센서에서 감지된 미세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기를 사용하여 잡음대 신호의 비를 고려하여 적당한 크기의 신호로 증폭해서 A/D(Analog to Digital) 변환기를 사용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바탕으로 신호의 건전성, 경보신호의 발생유무, 시스템 전체의 건전성등을 판단하고 점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가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부에서 판단 결과에 따른 연락처의 전화번호, 발생하고자하는 경보음, 경보음을 발생을 위한 설정값, 경보 단계 및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내용들을 기억하는 보조 메모리가 있다. 또한 호출 전화번호, 경고 메시지를 위한 음성녹음 및 사용자나 기타 시스템에서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하기 위한 RS-232C 인터페이스부 및 데이타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화재나 침입자가 있을 때 자동으로 경찰이나 주인 및 관련자들에게 전화를 걸어 알려주는 장치에서 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화나 삐삐번호 및 다양한 정보등을 입력하기 위한 부분에 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이상 발생시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주는 장치)장치 자체에 데이타입력을 위한 키보드가 설치되어 이 키보드로 데이타를 입력한다. 그리고 표시장치가 함께 있을 경우에는 표시를 보고 확인을 하며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현재 입력할 데이터 종류가 많을 경우에 키의 수가 많아야 하며 표시장치가 없을 경우에는 올바르게 입력 되었는지 확인이 불가능하다. 표시장치가 설치되어있는 경우에도 주로 숫자뿐이고 몇 개의 영문자를 표시하는 정도이다. 그러므로 적은수의 키와 빈약한 표시장치로 필요한 데이타를 입력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이외에도 다른 전화라인으로 전화를 걸거나 장치에 접속된 전화기를 이용하기도 하지만 현재 입력된 상태를 확인하거나 새로운 데이타를 입력하기가 용이하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이러한 것을 개선하려면 표시장치를 다양하게하고 기능에 따라 키수를 늘려야 하는데 부가되는 비용이 문제가 된다. 그리고 입력된 데이타는 특별한 변동사항(전화번호 변경)이 없을 경우에는 재 입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사용 빈도가 낮은 부분에 생산비용을 많이 지출할 필요는 없다. 이외에도 사용 설명서를 봐가며 신중하게 확인하며 입력 시켜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와같은 장치들은 최초설치시 용이하게 필요한 데이타를 입력하고 입력에 관련된 설명 또한 동시에 표시되어 쉽게 입력 할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개인컴퓨터는 많이 보급되어 우리 곁에서 쉽게 접할수 있는데 이러한 컴퓨터를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에 데이타 입력시에만 접속하여 컴퓨터화면과 키보드를 그대로 사용하여 쉽게 데이타를 입력 할 수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화면에 입력할 데이타항목(1) 중에서 입력할 항목을 선택하면 항목선택표시라인(2)에 의해 선택된 것을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법표시항(3)에는 선택된 항목에 대한 설명이 나타나 별도의 설명서가 없어도 데이타입력이 용이하며 입력상태가 화면에 그대로 나타나므로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다. 그리고 입력이 끝나면 컴퓨터와는 분리되어 변동사항(연락전화번호 변경)이 없는한 컴퓨터와 접속할 필요없이 작동과 해제만 하여 사용하면 된다.
전체 장치구성은 화재감지센서(4) 나 침입자 감지센서(5)와 이들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6) 및 전화 접속회로(7)로 구성된 장치에서 전화번호와 같은 데이타는 보조메모리(8)에 저장되는데 이러한 데이타를 입력하기 위하여 RS232C 인터페이스 IC(9)로 마이크로프로세서(6)는 외부의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단자(10)를 통하여 접속되어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접속단자(10)는 라인이 송신(11), 수신(12) 및 공통선(13)과 같이 3 개의 라인에 대한 접속이 마련되면 된다.
이렇게함으로써 적어도 10 개이상의 스위치나 기타 복잡한 표시장치들이 모두 생략되고 장치내부에 RS232C 인터페이스 IC(9) 1 개와 외부로는 접속단자(10)만 설치되면 되므로 비용절감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수 있다. 본원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의 무선리모콘 제어코드 입력방법이다. 기존의 무선리모콘으로 제어하는 방범장치들을 살펴 보면, 리모콘과 본체에 동일한 코드번호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회로상의 배선으로 설정하거나, 불휘발성기억소자 혹은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에 코드를 입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생산자측에서 수동 혹은 전용장비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생산단가가 그만큼 더소요되고, 사후 관리도 다소 복잡하다. 뿐만 아니라 리모콘 분실시 코드가 배선으로 설정된장치는 새로운 코드로 바꿀수가 없어 분실된 리모콘이 악용되어 피해를 입을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안테나(21)로 들어온 전파는 무선수신회로(22)에 의해 디지털 코드로 변환되어 마이크로콘트롤러(23)로 입력된다. 이때 마이크로콘트롤러내에서는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리모콘 제어신호여부(25)를 확인하여 리모콘신호일 경우 코드기억여부(26)를 확인하는데 이때 이미 코드가 기억되어 있을경우에는 (28)과 같이 기억된 코드와 비교하여 처리를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27)과 같이 마이크로콘트롤러내의 메모리(24)에 수신된 코드를 저장하고 이후 리모콘 신호에 대해서는 (28)과 같은 처리를 하게 된다. 이렇게함으로써 외부에 별도의 코드저장을 위한 불휘발성메모리나 배선으로 처리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공정과 비용이 절감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전원이 차단되면 기억된 코드가 소거된다. 이러한 경우는 다른기기에서도 기기가 작동치 않으므로 효과는 동일하다. 그리고 재 작동시킬 경우 리모콘으로 작동을 시키게 되므로 전원을 연결후 리모콘을 작동시키면 동시에 해당 리모콘의 코드를 기억하여 정상동작이 재개되므로 동작에서는 사용 리모콘과 별 차이가 없다. 동시에 리모콘 분실시공장에서는 새로운 리모콘에 다른 코드를 부여하여 우송하면 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분실된 리모콘에 의한 피해가 없다.
화재 및 방범용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입력된 정보의 누출시나 사용자 취향에 맞는 정보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퍼스널 컴퓨터가 있는 곳이면 아주 간단하게 RS-232C 인터페이스를 접속하여 새로운 데이터로 입력할 수 있다.
입력시 사용자 매뉴얼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으며 화면에 나타나는 안내에 따라 수행하면 된다. 본 장치와 관련된 리모콘을 분실했을 경우에도 새로운 리모콘으로 쉽게 재설정이 가능하고, 생산시에도 리모콘에만 코드를 입력하여 생산하면 되므로 대량생산 및 사후 관리가 용이하다.

Claims (5)

  1. 화재 및 침입자경보장치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가변하는 저항값의 변화를 이용한 화재감지센서와 침입자의 몸에서 방출되는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침입자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감지부와,
    센서에서 감지된 아날로그 신호를 적당한 크기의 신호로 증폭해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신호 변환부,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바탕으로 신호의 건전성, 경보신호의 발생유무, 시스템 전체의 건전성등을 판단하고 점검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부,
    발생하고자하는 경보음과 필요로하는 전화번호, 경보를 위한 설정값, 경보 단계 및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다양한 내용들을 기억하는 보조(리푸레쉬) 메모리부,
    호출 전화번호, 경고 메시지를 위한 음성녹음 및 사용자나 기타 시스템에서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하기 위한 RS-232C 인터페이스부 및 데이타 입력부를 구비한 화재 경보 장치 및 침입자 경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데이타 인터페이스부와 데이타 입력부는 RS-232C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RS-232C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컴퓨터를 통해서 사용자들이 필요로하는 정보, 경보설정치 변경, 시스템 점검을 위한 정보, 호출 전화번호 3-4개, 전원 이상 유무, 경고메시지를 위한 음성 녹음, 음성 재생횟수 및 호출 간격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화재 경보 장치 및 침입자 경보 장치.
  3. 화재 및 침입자경보장치에 있어서,
    화재 발생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가변하는 저항값의 변화를 이용한 화재감지센서와 침입자의 몸에서 방출되는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침입자 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검출단계
    센서에서 감지된 아날로그 신호를 적당한 크기의신호로 증폭해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신호 변환단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바탕으로 신호의 건전성, 경보신호의 발생유무, 시스템 전체의 건전성등을 판단하고 점검하는 단계,
    리푸레쉬 메모리부에 발생하고자하는 경보음과 필요로하는 전화번호, 경보를 위한 설정값, 경보 단계 및 사용자가 필요로하는 내용들을 기억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가지고, RS-232C 인터페이스부 및 데이타 입력부를 구비하고RS-232C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컴퓨터를 통해서 사용자들이 필요로하는 정보, 경보설정치 변경, 시스템 점검을 위한 정보, 호출 전화번호 3-4개, 전원 이상 유무, 경고메시지를 위한 음성 녹음, 음성 재생회수 및 호출 간격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변경하는 방법.
  4. 화재 및 침입자경보장치와 관련한 리모콘 코드 입력에 있어서,
    안테나를 통해서 들어온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회로와,
    전파 수신회로에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입력하는 수단,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상주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리모콘 제어신호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
    리모콘 제어신호로 판단되었을 때 코드기억여부를 확인하는 수단,
    확인결과 코드가 기억되어 있으면 기억된 코드와 비교하여 처리하고,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수신된 코드를 저장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전원입력후 최초 감지된 코드번호를 기억하여 이후 고유 코드번호유지하여 사용가능케 하는 리모콘 코드입력장치.
  5. 화재 및 침입자경보장치와 관련한 리모콘 코드 입력에 있어서,
    안테나를 통해서 들어온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하는 단계와,
    전파 수신회로에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콘트롤러에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상주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리모콘 제어신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리모콘 제어신호로 판단되었을 때 코드기억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결과 코드가 기억되어 있으면 기억된 코드와 비교하여 처리하고,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수신된 코드를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전원 입력후 최초 감지된 코드번호를 기억하여 이후 고유 코드번호 유지하여 사용가능케 하는 리모콘코드 입력 방법.
KR1019980058695A 1998-12-24 1998-12-24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 및 무선리모콘 제어코드입력방법 KR19990030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695A KR19990030403A (ko) 1998-12-24 1998-12-24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 및 무선리모콘 제어코드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695A KR19990030403A (ko) 1998-12-24 1998-12-24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 및 무선리모콘 제어코드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403A true KR19990030403A (ko) 1999-04-26

Family

ID=65950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695A KR19990030403A (ko) 1998-12-24 1998-12-24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 및 무선리모콘 제어코드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4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711A (ko) * 2003-06-02 2004-12-09 주식회사 디드 리모콘 키값 설정방법
KR100743237B1 (ko) * 2006-02-03 2007-07-27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점검장치를 구비한 휴대형 화재 및 방범 감지기
WO2008002106A1 (en) * 2006-06-29 2008-01-03 Jeong-Hun Shin Fire detector having a lifting fun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3711A (ko) * 2003-06-02 2004-12-09 주식회사 디드 리모콘 키값 설정방법
KR100743237B1 (ko) * 2006-02-03 2007-07-27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점검장치를 구비한 휴대형 화재 및 방범 감지기
WO2008002106A1 (en) * 2006-06-29 2008-01-03 Jeong-Hun Shin Fire detector having a lift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0998B2 (en) Bi-directional wireless detection system
CA1270041A (en) Security and alarm system
US7356429B2 (en) Method for remotely changing the sensitivity of a wireless sensor
JP4782775B2 (ja) 盗難防止の自宅位置検査装置
WO2005088846A1 (en) Phone for unmanned guard and method of preventing crimes using the same
KR100301589B1 (ko) 통합홈오토메이션시스템
EP39891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rming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KR20060029436A (ko) 보안시스템
Elfasakhany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house-mobile security system
KR100742754B1 (ko) 무인 감지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9990030403A (ko)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 및 무선리모콘 제어코드입력방법
US7510580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eliminate theft of electronic equipment using existing telephone jack
KR20050093051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인 경비 시스템
CA2258817C (en) Dual mode panel
US20080018487A1 (en) Monitoring apparatu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9990014239U (ko) 다양한 데이타 입력이 가능한 화재 및 방범경보장치
KR20030078410A (ko)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및 방법
US6037878A (en) Paging apparatus and paging method by password
JP3215514B2 (ja) カード式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JPH054363Y2 (ko)
KR20000074038A (ko) 무인경비 및 경보 시스템겸 전화기
KR20030094793A (ko) 무선 센서를 이용한 방범장치
KR0171831B1 (ko) 버스방식을 이용한 집합주택 관리 시스템에서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및 방법
KR100803735B1 (ko) 보안 시스템
JP3128298B2 (ja) カード式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