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0356A - 철근 연결구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0356A
KR19990030356A KR1019980050485A KR19980050485A KR19990030356A KR 19990030356 A KR19990030356 A KR 19990030356A KR 1019980050485 A KR1019980050485 A KR 1019980050485A KR 19980050485 A KR19980050485 A KR 19980050485A KR 19990030356 A KR19990030356 A KR 19990030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connector
circumferential surface
insertion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걸
Original Assignee
이훈걸
주식회사 코스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걸, 주식회사 코스턴 filed Critical 이훈걸
Priority to KR101998005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0356A/ko
Publication of KR1999003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356A/ko

Links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고층 건물이나 대형건축물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인장, 진동 및 충격 등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키고자 외주면으로 다수의 지지턱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철근을 연결시키고자 사용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면에는 다수의 고정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일직 선상으로 상기 걸림턱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중앙의 양측면에는 확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를 제공하므로서, 고층 건물이나, 대형건축물의 공사현장에서 철근의 직접적인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연결부위의 응력은 최소로, 인장강도는 최대로 갖을 수 있도록 한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연결구(A coupler of reinforcing bar).
본 발명은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이나, 대형건축물의 공사현장에서 철근의 직접적인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연결부위의 응력(應力 : stress)은 최소로, 인장강도는 최대로 갖을 수 있도록 한 철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이나 대형건축물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보강재로서, 연강성재(軟鋼線材)인 철근(鐵筋)을 넣어서 인장(引張), 진동(振動) 및 충격(衝擊) 등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키고자 삽입하였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에 삽입되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철근은 그 길이가 일정 길이로 한정되어 표준화된 길이로 생산되는 관계로, 고층 건물이나 대형건축물 등에서는 철근과 철근을 연결시켜야 하는 수단이 구비되어야만 했었다.
이와 같이 종래 철근과 철근을 연결시키는 방법에는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는 겹침이음방법이 있는 데, 이러한 겹침이음은 철근의 끝단과 끝단을 서로 겹쳐지게 하여 그 겹친 부분을 철사와 같은 와이어로 체결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겹침이음은 그 작업공정이 간편한 장점은 있었으나, 타설된 콘크리트가 철근의 겹친 부분에서 원활하게 충진되지 않는 문제점과, 그로 인해 하중에 따른 미끄럼 파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한, 콘크리트의 온도변화에 따른 연결부위의 이음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겹침으로 인한 철근의 손실이 상당히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겹침이음은 직경이 작은 철근만이 가능한 방법으로, 직경이 큰 철근의 이음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았으며, 직경이 작은 철근만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단위면적당 철근의 본수가 많은 관계로, 연결부위가 일정한 위치에서 결속됨에 따라 그 시공상의 많은 번거러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여러 연결구 등이 안출되었는 데, 그 중에서도 국내에서 제조되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연결구는 도 4에서와 같이 먼저, 외주면으로 다수의 지지턱(52)이 형성된 철근(50)의 끝단을 단조하여 평형 상태의 나선부(54)를 형성하고, 이 나선부(54)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부(54)와 상응되도록 나선이 형성된 나선공(64)이 형성되는 연결구(60)를 사용하여 철근(50)의 나선부(54)를 맞닿게 연결시켰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결구(6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철근(50)의 끝단을 단조하여 평형 상태의 나선부(54)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가공작업을 해야 하는, 다시말해서 공사현장에서는 직접적으로 가공되지 않아, 별도의 가공장소에서 가공시킨 후, 공급되어야 하는 번거러움은 물론 단조되어 형성되는 나선부(54)가 철근(50)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나선부(54)로 체결되는 연결구(60)가 최소 철근(50)의 직경 보다 2배 이상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연결구(6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공(64)이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철근(50)의 끝단인 나선부(54)를 맞물려 나사결합하는 과정이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과, 철근(50)이 연결구(60)를 통하여 체결되는 과정에서 철근(50)의 나선부(54)의 끝단이 맞닿게 체결되는 관계로, 콘크리트의 온도변화에 따른 철근(50)의 수축 및 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결국에는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근래에는 외국에서 제작된 철근 및 연결구를 수입하여 사용하였는 데, 이를 첨부된 도면 5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종래 사용되는 철근 연결구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로서, 외주면으로 다수의 지지턱(52)이 형성된 철근(50)의 끝단을 원뿔형상으로 가공하여 나선을 형성시켜 체결부(540)를 형성하고, 이 체결부(54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 양측에 상기 체결부(540)와 상응되도록 나선이 형성된 결합부(640)가 형성되는 연결구(600)를 사용하여 철근(50)을 연결시켰다.
이러한 연결구(600)를 사용하여 철근(50)을 연결시키는 방법은 상기 철근(50)의 끝단을 단조하여 나선부(54)를 형성시켜 연결구(60)로 연결시키는 방법에 비하여 인장하중이 크고, 연결구(600)가 작게 형성되어 타설된 콘크리트의 충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잇점 및 원뿔형상으로 가공되어 나선이 형성되는 철근(50)의 체결부(540) 끝단이 연결구(600)의 내부에서 맞닿지 않고, 연결구(600)의 내부에서 일정 간격 만큼 이격되게 체결되어 지는 관계로, 콘크리트의 온도변화에 따른 철근(50)의 수축 및 팽창이 어느정도 해소되는 조건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 또한 연결구(60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의 결합부(640)가 일직선상에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철근(50)의 끝단인 체결부(540)를 맞물려 나사결합하는 과정이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과, 인장하중이 낮은 문제점 및 철근(50) 및 연결구(600) 등과 같은 모든 제품을 외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관계로 외화손실이 상당히 큰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고층 건물이나, 대형건축물의 공사현장에서 철근의 직접적인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연결부위의 응력은 최소로, 인장강도는 최대로 갖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국내에서 직접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입에 따른 외화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이나 대형건축물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인장, 진동 및 충격 등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키고자 외주면으로 다수의 지지턱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철근을 연결시키고자 사용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면에는 다수의 고정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일직 선상으로 상기 걸림턱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중앙의 양측면에는 확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를 제공하므로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는 일측의 외주면 일면에 다수의 고정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공이, 그 내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된 삽입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부의 타측에는 나선이 형성된 결합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종래 사용되는 철근 연결구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며,
도 5는 종래 사용되는 철근 연결구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10a : 연결구 11 : 걸림턱
12 : 삽입공 12a : 삽입공부
13 : 결합공부 14 : 고정볼트
16 : 체결공 18 : 확인공
50 : 철근 52 : 지지턱
54 : 체결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로서, 고층 건물이나 대형건축물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인장, 진동 및 충격 등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키고자 외주면으로 다수의 지지턱(52)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철근(50)을 연결시키고자 사용되는 것에 있어,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철근(50)이 삽입되어 외주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턱(52)이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걸림턱(11)이 형성되는 삽입공(12)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면에는 상기 삽입공(12)으로 삽입된 철근(5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고정볼트(14)가 체결될 수 있게 일직 선상으로 상기 걸림턱(11)과 상응되는 위치에 나선이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16)이 형성되고, 중앙의 양측면에는 삽입된 철근(5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확인공(18)이 형성된 연결구(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요부 단면도로서, 연결구(10a)를 일측의 외주면 일면에 다수의 고정볼트(14)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공(16)이, 그 내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턱(11)이 형성된 삽입공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부(12a)의 타측에는 나선이 형성된 결합공부(13)가 형성되는 연결구(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주면에 다수의 지지턱(52)이 형성된 철근(50)을 연결구(10)의 삽입공(12)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시키면서, 외주면의 중앙 양측면에 형성된 확인공(18)으로 삽입되는 철근(50)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철근(50)의 외주면으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턱(52)이 연결구(1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걸림턱(11)과 맞물리도록 위치시킨 다음, 외주면의 일면에 상기 걸림턱(11)과 상응되는 위치로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체결공(16)을 통하여 고정볼트(14)를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간편하게 철근(50)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철근(50)이 연결구(10)의 삽입공(12) 내에서 그 끝단이 맞닿지 않고, 온도변화에 따라 철근(50)의 수축 및 팽창됨에 따른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삽입시켜 체결시킨다.
상기에서, 외주면의 일면에 형성되는 체결공(16)을 일직선상에 형성시키고, 그 체결공(16)을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걸림턱(11)과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은, 철근(50)이 연결구(10)의 삽입공(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철근(50)의 지지턱(52)과 연결구(10)의 걸림턱(11)이 상호 맞물려지면서 삽입된 철근(50) 부위를 다수의 고정볼트(14)에 의하여 균일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고정시키므로서, 지지력과 고정력이 크게 발생하여 연결부위의 응력은 최소로, 인장강도는 최대로 갖을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나사결합이 아닌, 연결구(10)의 삽입공(12)으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철근(50)을 삽입시켜 외주면으로 형성된 체결공(16)에 고정볼트(14)를 사용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확인공(18)을 통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철근(5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이음 부분의 연결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결구(10)의 삽입공(12)에 삽입되어 체결된 철근(50)의 끝단이 맞닿지 않고 일정 간격 만큼 이격되어 있고, 삽입된 철근(50)의 외주면과 연결구(10)의 내주면이 맞닿게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구(10)의 삽입공(12)과 이 삽입공(12)으로 삽입되는 철근(50)의 외주면이 맞닿게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도 2에서와 같이 삽입공(12)의 내주면과 철근(50)의 외주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 및 팽창에 의한 문제점을 연결구(10)의 내주면에서 자체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조건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구(10a)를 일측의 외주면 일면에 다수의 고정볼트(14)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공(16)이, 그 내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턱(11)이 형성된 삽입공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부(12a)의 타측에는 나선이 형성된 결합공부(13)가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연결구(10a)의 일측에는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철근(50)을 삽입공부(12a)에 삽입시킨 후, 다수의 고정볼트(14)를 사용하여 체결시키고, 타측은 종래 끝단에 나선이 형성되어 체결부(540)가 형성된 철근(50)을 나사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필요로 하는 적당한 요소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이나, 대형건축물의 공사현장에서 철근의 직접적인 연결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연결부위의 응력은 최소로, 인장강도는 최대로 갖을 수 있는 바람직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온도변화에 따른 철근의 수축 및 팽창이 연결구 내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져 종래 콘크리트가 균열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갖는 것이다.
그리고, 철근에 별도의 가공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연결구만 제조하게 되면 간단하게 시공작업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외국에서 수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에서도 간편하게 제조가 이루어져 종래 수입에 따른 외화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고층 건물이나 대형건축물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인장, 진동 및 충격 등에 대한 저항을 증대시키고자 외주면으로 다수의 지지턱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철근을 연결시키고자 사용되는 연결구에 있어서,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턱(11)이 형성되는 삽입공(12)이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면에는 다수의 고정볼트(14)가 체결될 수 있도록 일직 선상으로 상기 걸림턱(11)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체결공(16)이 형성되고, 중앙의 양측면에는 확인공(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0a)를 일측의 외주면 일면에 다수의 고정볼트(14)를 체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공(16)이, 그 내주면에는 다수의 걸림턱(11)이 형성된 삽입공부(12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부(12a)의 타측에는 나선이 형성된 결합공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구.
KR1019980050485A 1998-11-24 1998-11-24 철근 연결구 KR19990030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485A KR19990030356A (ko) 1998-11-24 1998-11-24 철근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485A KR19990030356A (ko) 1998-11-24 1998-11-24 철근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356A true KR19990030356A (ko) 1999-04-26

Family

ID=6594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485A KR19990030356A (ko) 1998-11-24 1998-11-24 철근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03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782B1 (ko) 모르타르충전식철근조인트
KR101058540B1 (ko) 철근 볼트 접합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건식 연결부 개발
US6532711B2 (en) Reinforcing bar splice and method
JP5746809B2 (ja) 補強棒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KR19990030356A (ko) 철근 연결구
JP2004190350A (ja) 鉄筋籠並びに鉄筋籠組込鋼管及び充填型鋼管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施工方法
KR200387926Y1 (ko) 철근 볼트 접합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건식 연결부 개발
JPH02161010A (ja) プレストレストカプラーナットを使用した既製コンクリート杭の端部構造
KR20090006472U (ko) 조립식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장치
KR100355494B1 (ko) 철근이음장치
KR20190031075A (ko) 볼충진 이음방식 철근커플러
KR20020059077A (ko) 콘크리트 보강용 이형봉강의 이음용 커플러
KR20030089754A (ko) 일축 및 다축 연결이 가능한 죠인트 및 이를 이용한구조물 시공방법
KR100750938B1 (ko) 철근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KR200392061Y1 (ko) 철근 연결 구조
KR100380411B1 (ko) 철근 이음장치
KR200242782Y1 (ko) 철근 연결구
KR200245357Y1 (ko) 강관말뚝용 강재 결합구
KR200314037Y1 (ko) 체결이 용이한 철근 이음장치
KR200332980Y1 (ko) 철근 연결장치
JP2712023B2 (ja) X形配筋内蔵鋼管コンクリート柱の柱梁接合部の構造
KR100497305B1 (ko) 철근 이음구
KR200361102Y1 (ko) 철근 연결장치
KR20220152441A (ko) 철근 연결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