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763U - Flow prevention device of automobile canister - Google Patents

Flow prevention device of automobile cani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763U
KR19990028763U KR2019970041401U KR19970041401U KR19990028763U KR 19990028763 U KR19990028763 U KR 19990028763U KR 2019970041401 U KR2019970041401 U KR 2019970041401U KR 19970041401 U KR19970041401 U KR 19970041401U KR 19990028763 U KR19990028763 U KR 199900287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stopper
bracket
fuel
preven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4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진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1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763U/en
Publication of KR19990028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763U/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캐니스터의 유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캐니스터에 브라켓을 체결시, 체결후에 유동이 적게 단단히 고정되는 유동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preventing device of a canister for automobile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flow preventing device that is fixed firmly less flow after the fastening bracket to the canister.

본 고안 유동방지장치는 ''자 단면을 가지는 2개의 가이드대(2,2')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대(2,2')의 일측면(3)은 개방되고 그 반대면은 스톱퍼(4)로 막혀 있게 구성되는데, 상기 스토퍼(4) 앞에는 완충력있는 러버(5)를 접착시켜 러버(5)의 두께만큼 캐니스터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중앙부에 뚫린 홀(6)과 캐니스터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스톱퍼(7)가 어긋나 체결되지 못하도록 한후,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러버를 밀어야만 브라켓의 중앙부에 뚫린 홀(6)이 캐니스터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스톱퍼(7)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단단하게 고정시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device prevents flow It consists of two guides (2,2 ') having a cross section, but one side (3) of the guide (2,2') is open and the opposite side is configured to be blocked by a stopper (4), The stopper 4 is bonded to the front of the stopper 4 so that the hole 6 drill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racket fixing the canister to the thickness of the rubber 5 and the semicircular stopper 7 formed in the canister are prevented from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Afterwards, the rubber 6 is pushed by an artificial force so that the hole 6 drill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racket is fastened to the semicircular stopper 7 formed in the canister.

Description

자동차용 캐니스터의 유동방지장치Flow prevention device of automobile canister

본 고안은 자동차용 캐니스터의 유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면이 막혀 있고 완충력 및 고정력을 제공하는 러버를 이용하여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 preventing device of an automobile cani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that is tightly coupled by using a rubber that provides one side is blocked and provides a cushioning force and a fixing force.

일반적으로, 연료공급장치는 엔진의 모든 작동 조건하에서 요구되는 연료를 분사시켜 주기에 충분한 기능과 규정의 압력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n general, the fuel supply system serves to maintain a function and regulation pressure sufficient to inject the required fuel under all operating conditions of the engine.

상기 연료주유구에서 주입된 연료 탱크 내의 연료는 전기로 구동되는 연료 펌프에 의하여 약 2.5㎏/㎤ 의 압력으로 연료 필터를 통하여 연료 공급 파이프로 공급된다. 상기 연료 펌프는 연료 탱크에서 연료를 흡입하여 기화기 또는, 연료 분사 장치로 압송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연료 탱크밖에 장치하는 형식과 탱크 안에 장치하는 것이 있으나 현재는 탱크 안에 장치하는 것이 많으며 연료 펌프는 크게 기계식과 전기식으로 구분한다. 상기 연료 탱크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으로 탱크 본체, 메인 파이프, 퓨얼 게이지 센더유니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에는 주행중 연료의 요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몇 장의 세퍼레이터(격리판)가 용접되어 있다. 또한 연료 에미션 파이프(Fuel emission pipe)는 탱크와 차콜 캐니스터간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탱크속에 발생한 증기를 차콜 캐니스터에 흡수시키는 통로로 되어있다. 또한 퓨얼 캡(Fuel cap)은 연료탱크속에 부압이 만들어져 기화기나 연료분사장치에 연료가 공급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압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The fuel in the fuel tank injected from the fuel filling port is supplied to the fuel supply pipe through the fuel filter at a pressure of about 2.5 kg / cm 3 by an electrically driven fuel pump. The fuel pump refers to a device that sucks fuel from a fuel tank and transports the fuel to a carburetor or a fuel injector. The fuel pump includes a type outside the fuel tank and a device installed in the tank. It is divided into mechanical and electrical. The fuel tank stores fuel and includes a tank body, a main pipe, a fuel gauge sender unit, and the like. Inside the fuel tank, several separators (isolating plates) are welded to prevent the fluctuation of the fuel while driving and to increase the strength. In addition, the fuel emission pipe (Fuel emission pipe) is a connection between the tank and the charcoal canister is a passage for absorbing the steam generated in the tank to the charcoal canister. In addition, the fuel cap is equipped with a negative pressure valve to prevent negative pressure from being generated in the fuel tank so that fuel is not supplied to the carburetor or the fuel injection device.

또한 종래에는 연료탱크 등 연료계에서 발생하는 가솔린 증기를 대기중으로 방출하였으나, 이 가스는 탄화수소로 대기를 오염시키므로 이것을 대기중으로 방출하지 않고 연소실로 유도하여 연소시키기 위한 장치를 연료증발가스 배출억제장치라고 하며, 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배기가스중에 유해성분의 증가를 수반하지 않을 것과 기구는 소형으로 원리적으로 간단하며 수명이 길고 신뢰성이 높을것과 차의 성능에 나쁜영향을 미치지 않을것과 최소의 설계변경으로 모든차에 장착이 가능할것과 같은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가솔린의 증발가스는 연료탱크 외에 기화기에서 발산하는 것도 있지만, 기화기의 통기구는 에어 클리너의 내부로 통하게 되어 사실상 이들의 대기방출은 얼마 안되기 때문에 연료탱크에 주안을 두어 크랭크 케이스 스토리지 방식(crank case storage system)과 차콜 캐니스터방식(charcoal canister)과 같은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gasoline vapors generated from fuel systems such as fuel tanks wer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However, since the gas contaminates the atmosphere with hydrocarbons, a device for inducing combustion into a combustion chamber without releasing it into the atmosphere is called a fuel evaporation gas emission suppression apparatus. By installing this device, it will not be accompanied by the increase of harmful components in the exhaust gas, and the device is small in principle, simple in principle, long in life, high in reliability, and will not adversely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car and minimal design changes.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conditions that can be installed in all cars. In addition to the fuel tank, the gasoline evaporative gas is emitted from the carburetor, but since the vent of the carburetor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air cleaner and the air is emitted in a small amount, the fuel tank is mainly focused on the crank case storage system. And charcoal canisters are used.

상기 크랭크 케이스 스토리지 방식은 탱크내의 증발가스로 크랭크 케이스내에 저장하여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P.C.V.장치)를 이용해서 연소실로 인도하는 것으로, 탱크내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는 규정압력이 될 때까지 탱크내에 축적되었다가 규정이상의 압력이 되면 체크 밸브가 열리면서 퍼지 콘트롤 밸브(Perge control valve)로 이동하고, 퍼지 콘트롤 밸브(Perge control valve)는 증기압이 규정이상이 되면 크랭크 케이스 쪽의 밸브가 열리게 되어, 증기가스는 크랭크 케이스로 인도되어 블로바이 가스와 혼합하여 블로바이 가스 환원장치에 의해 연소실로 들어가 연소되도록 되어 있다. 엔진 정지시에는 P.C.V 밸브가 닫히기 때문에 증기가스는 크랭크 케이스내에 축적된다. 또한 운전중, 탱크내에 부압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탱크 캡의 체크 밸브 및 퍼지 콘트롤 밸브의 에어 클리너측 밸브가 열려서 대기를 흡입하여 압력저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crankcase storage method stores the evaporated gas in the tank in the crankcase and delivers it to the combustion chamber by using a blow-by gas reducing device (PCV device). The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tank accumulates in the tank until the specified pressure is reached. When the pressure exceeds the specified value, the check valve opens and moves to the Perge control valve. The Purge control valve opens the valve on the crankcase side when the steam pressure exceeds the specified value. It is guided to the crankcase, mixed with the blowby gas, and enter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by a blowby gas reducing device to be combusted. Since the P.C.V valve closes when the engine stops, steam gas accumulates in the crankcase. In addition, when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tank during operation, the check valve of the tank cap and the air cleaner side valve of the purge control valve open to inhale the atmosphere to prevent the pressure from dropping.

또한 상기 차콜 캐니스터 방식은 증발가스를 활성탄에 흡착시켜 저장하였다가 외기와 함께 기화기로 보내는 방식으로 탱크내의 증기압이 상승하면 체크 밸브가 열리고, 증발가스는 차콜 캐니스터내로 흘러 들어간다. 엔진 정지중에는 퍼지 컨트롤 밸브가 닫혀 있기 때문에 증발가스는 엔진쪽으로 흐르지않고 캐니스터내에 멈추게 되고, 가솔린은 활성탄에 흡착되어 공기만이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엔진이 작동하면 엔진의 흡입 부압에 의해 퍼지 컨트롤 밸브가 열리고, 대기가 캐니스터를 통과할 때 흡착된 가솔린을 따라 기화기에 흡입된다. 이때 활성탄은 청소되므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만약 탱크안에 부압이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캐니스터로부터 체크밸브를 통해 대기가 유입된다. 만약 캐니스터가 막혔을 경우에는 탱크 캡의 체크 밸브가 열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료분사장치 장착 자동차는 탱크안에 발생한 증발가스를 차콜 캐니스터에 흡입시켜 엔진 운전시에는 드로틀 보디로부터 연소실로 보내서 연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har canister system absorbs and stores the boil-off gas on the activated carbon and sends it to the vaporizer together with the outside air, so that the check valve is opened when the vapor pressure in the tank rises, and the boil-off gas flows into the char canister. Since the purge control valve is closed during engine shutdown, the evaporated gas stops in the canister without flowing to the engine. Gasoline is adsorbed on the activated carbon and only air is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When the engine is running, the purge control valve is opened by the inlet negative pressure of the engine, and the atmosphere is sucked into the carburetor along with the adsorbed gasoline as it passes through the canister. Since activated carbon is cleaned at this time, it can be used repeatedly. If a negative pressure builds up in the tank, air is drawn from the canister through a check valve. If the canister is blocked, the check valve on the tank cap is opened. In addition,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fuel inje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suck the evaporated gas generated in the tank into the charl canister, and to send the combustion gas from the throttle body to the combustion chamber for combustion.

상기에서 설명된 차콜 캐니스터를 고정하는 장치는 종래의 차콜 캐니스터에 장착된 유동방지장치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한 도 1 과, 종래의 차콜 캐니스터에 장착된 유동방지장치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한 도 2 와, 차콜 캐니스터를 고정하는 브라켓을 도시한 도 3 과, 종래의 유동방지장치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도 4 에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종래 유동방지 장치는 케니스터에 부착된 홈이 중앙부에 위치하고 그 주위에 형성된 유동방지장치와 이를 고정시키는 브라켓으로 구성된다.The apparatus for fixing the charcoal canister described above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view showing a flow preventing device mounted on a conventional charcoal canister, and a front view showing a flow preventing device mounted on a conventional charcoal canister. 3 shows a bracket for fixing the charcoal canister, and FIG. 4 show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conventional flow preventing device. The conventional flow preventing device has a groove attached to the canister and is formed around the center. It consists of a flow preventing device and a bracket for fixing it.

상기 브라켓은 중앙부에 홀이 뚫려 있는 플레이트의 양쪽에 한번씩 절곡된 날개가 형성되어 있는데, 한쪽면의 날개는 너비가 캐니스터 유동방지장치의 입구에 잘 장착되도록 작게 되어 있다.The bracket is formed with wings bent once on both sides of the plate with holes in the center portion, the wings on one side is small so that the width is well fitted to the inlet of the canister flow prevention device.

다른면은 스톱퍼의 역할을 하도록 캐니스터 유동방지장치의 입구보다 크게 되어 있다.The other side is larger than the inlet of the canister flow arrestor to act as a stopper.

상기와 같은 장치는 캐니스터의 유동방지장치와 브라켓을 체결시 캐니스터의 유동방지장치의 입구 높이 간격(1.5mm)을 브라켓의 두께(1.5mm)보다 크게할 경우 체결은 쉬우나 체결후 유동이 심해지며, 작게할 경우에는 공차 등으로 인해 체결이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있다.Such a device is easy to fasten if the inlet height gap (1.5mm) of the canister's flow prevention device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1.5mm) when fastening the canister's flow preventing device and the bracket. If the size is small, the tightening may not be possible due to tolerances.

또한 캐니스터의 유동방지장치의 재질이 플라스틱이고, 양쪽이 개방되어 있어서 체결홈이 휘거나 브라켓이 체결위치에서 벗어나는 등, 정확하게 고정되게 하는 것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low preventing device of the canister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both sides are open,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fix the fastening groove or the bracket may be out of the fastening position.

즉, 체결후 유동이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low is severe after fasten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캐니스터에 브라켓을 체결시, 체결후에 유동이 적게 단단히 고정되는 유동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flow preventing device that is fixed firmly less flow after the fastening the bracket to the canister.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캐니스터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캐니스터를 고정시키는 유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장치는 ''자 단면을 가지는 2개의 가이드대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대의 일측면은 개방되고 그 반대면은 스톱퍼로 막혀 있게 구성되는데, 상기 스토퍼 앞에는 완충력있는 러버를 접착시켜 러버의 두께만큼 캐니스터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중앙부에 뚫린 홀과 캐니스터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스톱퍼가 어긋나 체결되지 못하도록 한후,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러버를 밀어야만 브라켓의 중앙부에 뚫린 홀이 캐니스터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스톱퍼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단단하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캐니스터의 유동방지장치를 달성함으로써 달성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canister in the flow preventing device for fixing the canister, the flow preventing device is' 'It consists of two guides having a cross section, but one side of the guide is open and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be blocked by a stopper, in front of the stopper is bonded to the buffer of the rubber buffer to secure the canister to the thickness of the rubber bracket After the hole in the canister and the semicircular stopper formed in the canister are shifted from each other to prevent the fastening, the artificially applied force pushes the rubber so that the hole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bracket is fastened to the semicircular stopper formed in the canister. This is achieved by achieving an anti-flow device of an automotive canister.

도 1 은 종래의 차콜 캐니스터에 장착된 유동방지장치를 보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flow preventing device mounted on a conventional charcoal canister

도 2 는 종래의 차콜 캐니스터에 장착된 유동방지장치를 보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flow preventing device mounted on a conventional charcoal canister

도 3 은 차콜 캐니스터를 고정하는 브라켓3 is a bracket fixing a charcoal canister

도 4 는 종래의 유동방지장치의 정단면도Figure 4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low preventing device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방지장치5 is a flow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유동방지장치(1): Flow prevention device

(2,2') : 가이드대(2,2 '): guide stand

(3) : 일측면(3): one side

(4) : 스톱퍼(4): stopper

(5) : 러버(5): rubber

(6) : 홀(6): hall

(7) : 스톱퍼(7): stopp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f described in detail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nd to perform the task for removing the conventional drawbacks.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동방지장치(1)를 도시하고 있는데, 그 구성은 캐니스터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캐니스터를 고정시키는 유동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장치(1)는 ''자 단면을 가지는 2개의 가이드대(2.2')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대의 일측면(3)은 개방되고 그 반대면은 스톱퍼(4)로 막혀 있게 구성되는데, 상기 스토퍼 앞에는 완충력있는 러버(5)를 접착시켜 러버의 두께만큼 캐니스터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중앙부에 뚫린 홀(6)과 캐니스터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스톱퍼(7)가 어긋나 체결되지 못하도록 한후,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러버(5)를 밀어야만 브라켓의 중앙부에 뚫린 홀(6)이 캐니스터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스톱퍼(7)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단단하게 고정시키게 구성된다.Figure 5 shows a flow preven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is install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canister in the flow preventing device for fixing the canister, the flow preventing device 1 is' It consists of two guides (2.2 ') having a ruler cross section, one side (3) of the guide stand is open and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be blocked by a stopper (4), in front of the stopper buffer rubber 5 To prevent the hole 6 and the semi-circular stopper 7 formed in the canister from shifting against each other by fastening the rubber 5 by applying an artificial force. The hole 6 drilled in the center portion is fastened to the semicircular stopper 7 formed in the canister so as to be firmly fixed.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캐니스터를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하여 유동방지장치의 입구에 있는 'Y'자로 벌어진 가이드대를 브라켓의 일측면 너비가 작은쪽에 대고 밀어넣으면 러버에 의하여 전진을 못하게 되는데 이때 인위적인 힘을 가면 전진하면서 브라켓의 홀이 캐니스터 유동방지장치의 반원형 스톱퍼에 끼여 단단하게 장착된다.In order to fix the canister to the bracket, if you push the 'Y' guide guide at the entrance of the flow prevention device to the side of the bracket with the small width of the bracket, it will not move forward by the rubber. The canister is fitted with a semicircular stopper to prevent flow.

상기와 같이된 본 고안의 장치는 ''자 단면을 가지는 2개의 가이드대의 일측면은 개방되고 그 반대면은 스톱퍼로 막혀 있게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 앞에는 완충력있는 러버를 접착시켜 러버의 두께만큼 캐니스터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중앙부에 뚫린 홀과 캐니스터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스톱퍼가 어긋나 체결되지 못하도록 한후,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러버를 밀어야만 브라켓의 중앙부에 뚫린 홀이 캐니스터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스톱퍼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One side of the two guides having a cross section is open and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be blocked by a stopper, and the hole and canister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bracket to secure the canister to the thickness of the rubber by adhering the buffer rubber in front of the stopper. After preventing the semicircular stopper formed in the shifter to prevent the fasten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ole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bracket is fastened to the semicircular stopper formed in the canister only by pushing the rubber with artificial force to secure it.

Claims (1)

자동차용 캐니스터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캐니스터를 고정시키는 유동방지장치(1)에 있어서,In the flow preventing device (1)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ar canister for fixing the canister, 상기 유동방지장치는 ''자 단면을 가지는 2개의 가이드대(2,2')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대(2,2')의 일측면(3)은 개방되고 그 반대면은 스톱퍼(4)로 막혀 있게 구성되는데, 상기 스토퍼(4) 앞에는 완충력있는 러버(5)를 접착시켜 러버(5)의 두께만큼 캐니스터를 고정하는 브라켓의 중앙부에 뚫린 홀(6)과 캐니스터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스톱퍼(7)가 어긋나 체결되지 못하도록 한후,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러버를 밀어야만 브라켓의 중앙부에 뚫린 홀(6)이 캐니스터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스톱퍼(7)에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캐니스터.The flow preventing device is' It consists of two guides (2,2 ') having a cross section, but one side (3) of the guide (2,2') is open and the opposite side is configured to be blocked by a stopper (4), The stopper 4 is bonded to the front of the stopper 4 so that the hole 6 drill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racket fixing the canister to the thickness of the rubber 5 and the semicircular stopper 7 formed in the canister are prevented from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Then, the canister for automobi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6)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bracket is fastened to the semicircular stopper (7) formed in the canister only by pushing the rubber by applying artificial force.
KR2019970041401U 1997-12-27 1997-12-27 Flow prevention device of automobile canister KR1999002876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401U KR19990028763U (en) 1997-12-27 1997-12-27 Flow prevention device of automobile cani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401U KR19990028763U (en) 1997-12-27 1997-12-27 Flow prevention device of automobile cani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763U true KR19990028763U (en) 1999-07-15

Family

ID=6969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401U KR19990028763U (en) 1997-12-27 1997-12-27 Flow prevention device of automobile cani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763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449B2 (en)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with a tank ventilation system
US6959696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US7163574B2 (en) Evaporative emissions filter
US5906189A (en) Evaporative fuel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90101119A1 (en) Carbon canister cap with integrated device
GB1309110A (en) Device for containing and subsequently consuming fuel vapour escaping from a fuel tank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986062B1 (en) Recirculation device of vaporized fuel for vehicle
KR100982644B1 (en) Control of induction system hydrocarbon emissions
KR100265313B1 (en) Air bleeder for a fuel tank of an internal cumbustion engine
KR19990028763U (en) Flow prevention device of automobile canister
KR100213741B1 (en) Output apparatus for evaporating gas when inputting the gasoline
US10876499B2 (en) Purge ejector assembly for a vehicle
JPH08246966A (en) Fuel vaporization gas discharge suppressing device
KR100251212B1 (en) Fixture vent valve of fuel tank
KR19980030713U (en) Air fuel refueling device for air pollution prevention
JP2000018112A (en) Evaporated fuel control device
KR19990027960U (en) Fuel spill prevention device to car canister
KR20070060434A (en) Fuel device of hybrid driven type
KR100205996B1 (en) Fuel supply unit for an automobile
KR202301512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r preventing hydrocarbon emissions
KR19990019558U (en) Canister Fuel Entry Block
EP1956228A1 (en) Vapour recovery system for a vehicle fuel tank
KR20230003738A (en) Treatment system for fuel evaporation gas
KR19990052809A (en) Canister mounting structure
KR950009126Y1 (en) Canister i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