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063U -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063U
KR19990028063U KR2019970040673U KR19970040673U KR19990028063U KR 19990028063 U KR19990028063 U KR 19990028063U KR 2019970040673 U KR2019970040673 U KR 2019970040673U KR 19970040673 U KR19970040673 U KR 19970040673U KR 19990028063 U KR19990028063 U KR 199900280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
work roll
pressure
suppor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석
조성제
황보태수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40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063U/ko
Publication of KR19990028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063U/ko

Links

Landscapes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롤의 저널측에 탑재하여, 상기 롤초크가 작업롤의 상하측에 위치한 압력틀의 지지가이드에 구비한 압력블록에 일정 압력상태로 지지되어 작업롤의 패스라인을 갖는 조질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가이드(320)의 하면에 압력블록(340)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지지단(920)을 형성하여 부착한 안내블록(900)과, 안내블록(900)의 지지단(920)에 각각 진입하여 작업롤(200)의 마모분에 대한 패스라인을 보상하도록 롤초크(100)에 밀착하는 두께를 달리하는 패스라이너(420)(440)(460)들과, 일정 두께를 갖는 패스라이너(440)(460)들과 연결되어 패스라이너(440)(460)들을 외부조작에 의해 지지단(920)에 진입시키는 압력틀(300)에 연결한 유압실린더(500)(600)들과, 유압실린더(500)(600)의 로드(520)(620)에 구비한 클램프(700)에 여유공간을 갖는 축(720)을 구비함과 동시에 패스라이너(440)(460)들의 연결대(442)(462)가 축(720)에 삽입되어 작업롤(200)의 마모분에 대해 압력블록(340)을 통한 압력에 의해 여유공간에 해당하는 길이로 하강하여 패스라이너(440)(460)들의 패스라인 보상 범위가 확장되도록 이루어진 패스라이너 자동이동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controll device of pass line for temper rolling mill)
본 고안은 조질압연기 패스라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롤의 연마분에 대한 보상으로 롤의 패스라인을 조정해주는 조질압연용 패스라인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은 제강단계에서 적정온도로 가열한 슬래브(slab)를 열간상태에서 압연하는 열간압연과, 열간된 압연판재를 받아 냉간으로 압연하는 냉간압연으로 구분되며, 냉간 압연공정은 여러종류의 냉간압연기와 소둔공정 및 산세공정과 도금공정 등을 거쳐 목적하는 박판형태의 형재를 출하하게 된다.
또한 냉간압연은 열간압연이 완료된 열연강판을 최초의 냉간압연단계에서 열연가공된 강판의 표면상의 요철,주름,웨이브 등을 제거하고, 후속 냉간압연단계에서 강판의 표면상태에 광택을 주어 표면상태의 형상을 개선하기 위한 조질압연과, 조질압연이 완료된 강판을 압연하여 두께 및 재질 표면상태,경도 등을 수요자의 요구에 맞추어 박판을 제조하는 사상압연의 단계를 갖는다.
이러한 냉간압연식의 조질압연은 한쌍의 작업롤을 사이즉, 패스라인을 통해 이동하여 통판되는 열간강판의 두께에 따라 압하량을 조절하여 사용한다. 이에 작업롤은 지속되는 압연작업에 따라 롤표면의 피로도가 증가되어 통판되는 강판의 형상제어성이 저하되고, 압연과정에서 열연강판의 흠집발생 등의 요인으로 작용하며,이에 교체주기를 정하여 롤표면의 연마하여 사용함에 따라 롤의 직경이 작아지게 된다. 이때 롤표면의 경도를 감안하여 롤의 연삭량은 대략 35mm에 한정된다.
따라서 연삭된 롤을 사용하는 경우 영연강판이 통판되는 표준 패스라인에서 35mm이상하측으로 이동하여 압연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 롤의 이동방법은 작업롤에 압하를 주어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과다한 압하량 설정으로 인해 구동장치의 조기마모 및 수명감소,표면품질의 저하,롤의 피로도 증가로 수명단축,형상제어능력 감소가 발생한다.
이에 작업롤을 연삭량 만큼 이동시켜 사용하는 방법이 요구되며, 종래에는 도1에서와 같이 상하부경판(120)(140)이 볼트(160)로 체결되어 이루어진 롤초크(100)를 작업롤(200)의 저널측에 탑재하여, 상기 롤초크(100)가 작업롤(200)의 상하측에 위치한 압력틀(300)의 지지가이드(320)에 구비한 압력블록(340)에 일정 압력상태로 지지되어 작업롤(200)의 패스라인을 갖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작업롤(200)의 마모분에 대한 패스라인의 보상으로 롤초크(100)의 상하부경판(120)(140)사이에 일정 두께를 갖는 패스라이너(400)를 개재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식은 상부경판(120)을 하부경판(14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볼트(160)를 해제해야 하며, 이때 체결부재와 결합부재인 볼트(160)와 상하부경판(120)(140) 사이에 끼인 이물질 및 일정 압력하에 발생한 변형부위에 의해 볼트(160)의 해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은 패스라이너(400)의 결합이 상하부경판(120)(140) 사이의 협소공간에서 이루짐과 동시에 중량인 패스라이너(400)를 지지하여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작업의 어려움 및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롤초크의 상부에 패스라이너를 탑재한후 압력블록의 자중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을 적용하였으나, 이는 압력블록의 유동으로 패스라이너의 낙하 위험과, 패스라이너의 위치이동을 작업자가 수정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 외력에 의해 압력블록측에 일정 두께를 갖는 패스라이너를 끼워 작업롤의 마모분에 대한 패스라인을 보상하는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작업롤의 저널측에 탑재하여, 상기 롤초크가 작업롤의 상하측에 위치한 압력틀의 지지가이드에 구비한 압력블록에 일정 압력상태로 지지되어 작업롤의 패스라인을 갖는 조질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가이드의 하면에 압력블록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지지단을 형성하여 부착한 안내블록과, 안내블록의 지지단에 각각 진입하여 작업롤의 마모분에 대한 패스라인을 보상하도록 롤초크에 밀착하는 두께를 달리하는 패스라이너들과, 일정 두께를 갖는 패스라이너들과 연결되어 패스라이너들을 외부조작에 의해 지지단에 진입시키는 지지틀에 연결한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구비한 클램프에 여유공간을 갖는 축을 구비함과 동시에 패스라이너들의 연결대가 축에 삽입되어 작업롤의 마모분에 대해 압력블록을 통한 압력에 의해 여유공간에 해당하는 길이로 하강하여 패스라이너의 패스라인 보상 범위가 확장되도록 이루어진 패스라이너 자동이동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도2에 적용한 패스라인 조절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4는 도3에 적용한 패스라인 조절장치의 유기적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롤초크 200 : 롤초크 300 : 압력틀
320 : 지지가이드 340 : 압력블록 420,440,460 : 패스라이너
442,462 : 연결대 500,600 : 유압실린더 520,620 : 로드
700 : 클램프 720 : 축 900 : 안내블록
920 : 지지단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도면에서 작업롤(200)의 저널측에 탑재하여, 상기 롤초크(100)가 작업롤(200)의 상하측에 위치한 압력틀(300)의 지지가이드(320)에 구비한 압력블록(340)에 일정 압력상태로 지지되어 작업롤(200)의 패스라인을 갖는 조질압연기의 통상의 구성을 갖는다.
상기 통상의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은 지지가이드(320)의 하면에 압력블록(340)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지지단(920)을 형성하여 부착한 안내블록(900)과, 안내블록(900)의 지지단(920)에 각각 진입하여 작업롤(200)의 마모분에 대한 패스라인을 보상하도록 롤초크(100)에 밀착하는 두께를 달리하는 패스라이너(420)(440)(460)들과, 일정 두께를 갖는 패스라이너(420)(440)(460)들과 연결되어 패스라이너(420)(440)(460)들을 외부조작에 의해 지지단(920)에 진입시키는 지지틀에 연결한 유압실린더(500)(600)들과, 유압실린더(500)(600)들의 로드(520)(620)에 구비한 클램프(700)에 여유공간을 갖는 축(720)을 구비함과 동시에 패스라이너(440)(460)들의 연결대(442)(462)가 축(720)에 삽입되어 작업롤(200)의 마모분에 대해 압력블록(340)을 통한 압력에 의해 여유공간에 해당하는 길이로 하강하여 패스라이너(440)(460)들의 패스라인 보상 범위가 확장되도록 이루어진 패스라이너 자동이동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유압실린더(500)(600)들은 브래킷(800)에 의해 압력틀(300) 설치되며, 이때 상호간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압력틀(300)의 전후면으로, 즉 패스라이너(440)(460)들간의 연결위치를 편심되게 설치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지지단(920)의 상측에 진입하는 패스라이너는(420)는 유압실린더들의 조작이 아닌 작업자에 의해 진입하여 압력블록(340)의 하면에 밀착하며, 이는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지지단(920)에 진입하여 끼워지는 패스라이너(420)(440)(460)들은 작업롤(200) 표면의 경도를 감안하여 작업롤(200)의 연삭량인 대략 35mm에 한정된 칫수에 맞추어 하측으로부터 그 두께가 20mm인 패스라이너(460),10mm인 패스라이너(440),5mm인 패스라이너(420)를 사용하였으나, 또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패스라이너의 자동이동수단은 클램프(700)의 축(720)에 삽입된 패스라이너(440)의 두께가 10mm 이고 클램프(700)의 여유공간이 10mm인 경우 패스라이너(440)가 축(720)을 따라 10mm의 여유공간에서 승감함으로써, 20mm의 두께를 갖는 패스라이너를 적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패스라이너 자동이동수단은 본 고안에서 두께에 대해 3종류로 구분된 패스라이너(420)(440)(460)들을 사용함으로서, 각각 보상범위가 확장되는 경우 3종류의 패스라이너(420)(440)(460)로 7종류의 패스라이너를 적용한 효과를 얻을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작용은 상기 10mm 패스라이너(440)의 경우와 동일하여,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롤의 마모분에 대한 패스라인의 보상을 작업롤측에 롤초크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조작에 의해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작업롤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측에 설치하여 설치과정에서 안정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패스라인의 보상 범위가 자동이동수단에 의해 확장됨으로서, 작업롤은 최적의 압하율이 설전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이다.

Claims (1)

  1. 작업롤의 저널측에 탑재하여, 상기 롤초크가 작업롤의 상하측에 위치한 압력틀의 지지가이드에 구비한 압력블록에 일정 압력상태로 지지되어 작업롤의 패스라인을 갖는 조질압연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가이드(320)의 하면에 압력블록(340)과 대향하는 복수개의 지지단(920)을 형성하여 부착한 안내블록(900)과, 안내블록(900)의 지지단(920)에 각각 진입하여 작업롤(200)의 마모분에 대한 패스라인을 보상하도록 롤초크(100)에 밀착하는 두께를 달리하는 패스라이너(420)(440)(460)들과, 일정 두께를 갖는 패스라이너(440)(460)들과 연결되어 패스라이너(440)(460)들을 외부조작에 의해 지지단(920)에 진입시키는 압력틀(300)에 연결한 유압실린더(500)(600)들과, 유압실린더(500)(600)의 로드(520)(620)에 구비한 클램프(700)에 여유공간을 갖는 축(720)을 구비함과 동시에 패스라이너(440)(460)들의 연결대(442)(462)가 축(720)에 삽입되어 작업롤(200)의 마모분에 대해 압력블록(340)을 통한 압력에 의해 여유공간에 해당하는 길이로 하강하여 패스라이너(440)(460)들의 패스라인 보상 범위가 확장되도록 이루어진 패스라이너 자동이동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
KR2019970040673U 1997-12-24 1997-12-24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 KR199900280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673U KR19990028063U (ko) 1997-12-24 1997-12-24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673U KR19990028063U (ko) 1997-12-24 1997-12-24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063U true KR19990028063U (ko) 1999-07-15

Family

ID=6969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673U KR19990028063U (ko) 1997-12-24 1997-12-24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06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136B1 (ko) * 2003-06-04 2005-09-08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압연기용 스트리퍼의 라이너
KR100782690B1 (ko) * 2001-09-05 2007-12-07 주식회사 포스코 롤갭 자동 조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690B1 (ko) * 2001-09-05 2007-12-07 주식회사 포스코 롤갭 자동 조정장치
KR100514136B1 (ko) * 2003-06-04 2005-09-08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압연기용 스트리퍼의 라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5764A (en) Cross rolling mill, cross rolling method and cross rolling mill system
US7302820B2 (en) Method for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a rolling mill and advanced rolling mill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4453393A (en) Four high mill of the paired-roll-crossing type
US4691548A (en) Rolling mill stand for strip-shaped material
AU2006326711B2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thin metal strip and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US7251978B2 (en) Roll stand for producing plane roll strips having a desired strip profile superelevation
EP0241919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ffecting a thickness-reduction rolling of a hot thin plate material
AU2008298147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distance of a stripper chisel
JPS63180324A (ja) 薄板及び帯板用のくせ取り機
KR19990028063U (ko) 조질압연기의 패스라인 조절장치
JP2602536B2 (ja) 圧延機のロール冷却装置
EP2697003B1 (en) Feed roll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a feed roll assembly
WO2000051754A1 (fr) Laminoir a flechissement de cylindres par commande bidirectionnelle
JP4760403B2 (ja) サーマルクラウン制御装置、圧延機及びその圧延機を用いた金属帯の製造方法
US20040144150A1 (en) Device for disassembling rolling mill cylinders
JP3301393B2 (ja) 多重式圧延機を用いた板形状制御方法
JPS6013546Y2 (ja) 鋼板矯正用ロ−ラ−レベラ−
KR100632768B1 (ko) 크로스롤 압연기 및 그것을 사용한 압연 방법
US5906129A (en) Process for rolling flat material and strip
JP2003136120A (ja) 鋼帯の幅反りおよび光沢むらを防止する調質圧延機および調質圧延方法
KR100504356B1 (ko) 판 또는 스트립 압연용 압연기
JP2000233214A (ja) 板圧延機のストリッパガイドの固定機構およびその固定方法
JP2680503B2 (ja) ユニバーサル圧延機
GB2132122A (en) Rolling mill
JPS6199513A (ja) デスケ−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