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163U -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163U
KR19990026163U KR2019970038697U KR19970038697U KR19990026163U KR 19990026163 U KR19990026163 U KR 19990026163U KR 2019970038697 U KR2019970038697 U KR 2019970038697U KR 19970038697 U KR19970038697 U KR 19970038697U KR 19990026163 U KR19990026163 U KR 199900261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cover
excavator
sliding
fram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8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9835Y1 (ko
Inventor
심재구
Original Assignee
김형벽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벽,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형벽
Priority to KR2019970038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835Y1/ko
Publication of KR19990026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1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8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굴삭기의 언더커버를 완전 분리하지 않고 슬라이딩 개방토록 하므로써, 각종 기능품의 검사 및 고장수리를 쉽게 할 수 있는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굴삭기 내부에 형성되는 프레임(20)과, 다수의 홈(22)을 갖고 그 홈(22)을 통해 상기 프레임(20)에 보울트(25)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21)와, 일측에 손잡이(24)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슬라이딩 바(21)의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딩 개방되는 언더커버(23)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장치
본 고안은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굴삭기의 언더커버를 완전 분리하지 않고 슬라이딩 개방토록 하므로써, 각종 기능품의 검사 및 고장수리를 쉽게 할 수 있는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의 언더커버내에는 엔진, 라디에이터, 펌프등의 각종 기능품등이 탑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언더커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개의 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굴삭기에 보울트(12)로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금까지 굴삭기의 언더커버는, 내부에 탑재된 상기 기능품들의 이상 발생시, 보울트(12)를 풀어 커버(10)를 탈착하여야 하므로 그 내부 확인이나 그 부품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이에 따른 공수의 증가와 안전사고의 위험도 수반되었다,
또 보울트(12)를 풀어 커버(10)를 탈착하는 과정에서 공간의 협소함과 커버(10) 자체의 무게로 인해 적어도 2인 이상의 인력이 필요로 하였다.
또한, 공장 또는 인원이 많은 곳에서의 작업 도중 이상 발생시 에는 안전의 위험이 덜 하겠지만 출고된 장비의 경우에는 운전자만이 탑승하여 작업하는 경우가 많은 관계로 장비 문제점 확인 및 수리시 더욱 안전사고의 여지가 많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수리를 위한 커버(10)의 탈착때 뿐만 아니라, 고장 수리가 끝나 커버(10)를 굴삭기에 재 장착하는 과정도 해당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굴삭기의 언더커버를 완전 분리하지 않고 슬라이딩 개방토록 하므로써, 각종 기능품의 검사 및 고장수리를 쉽게 할 수 있는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굴삭기에 언더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언더커버의 장착 및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언더커버의 장착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프레임 21 ; 슬라이딩 바
22 ; 홈 23 ; 언더커버
24 ; 손잡이 25 ; 보울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굴삭기 내부에 형성되는 프레임과, 다수의 홈을 갖고 그 홈을 통해 상기 프레임에 보울트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바의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딩 개방되는 언더커버로 이루어 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굴삭기의 언더커버를 완전 분리하지 않고 슬라이딩 개방토록 하므로써, 각종 기능품의 검사 및 고장수리를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대하여는 설명의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삭기 내부에 형성되는 프레임(20)과, 다수의 홈(22)을 갖고 그 홈(22)을 통해 상기 프레임(20)에 보울트(25)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21)와, 일측에 손잡이(24)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슬라이딩 바(21)의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딩 개방되는 언더커버(2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20)에 슬라이딩 바(21)를 보울트(25)로 장착하고 슬라이딩 바(21)와 프레임(20)사이에 언더커버(23)를 밀어 넣고 보울트(25)를 조이게 되면 장착이 되고, 보울트(25)를 조금 풀고서 언더커버(23)의 손잡이(24)를 잡아 당기게 되면 언더커버(23)를 열 수 있게 된다.
물론, 언더커버(23)를 완전히 잡아당켜 커버(23)를 분리할 수도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필요한 만큼 열어 작업하고 다시 커버(23)를 밀어서 닫고 보울트(25)를 조이게 되면 장착이 된다.
먼저 언더커버(23) 내부의 각종 기능품을 확인하거나 수리하고자 할 때, 프레임(20) 상에 언더커버(23)를 고정하고 있는 다수의 보울트(25)를 조금씩 풀어 언더커버(23)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손잡이(24)를 앞으로 잡아당겨 필요한 공간 만큼 열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내부확인이나 수리등의 작업을 하면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을 마치게 되면 손잡이(24)를 이용하여 언더커버(23)를 밀어서 닫고 보울트(25)를 조이게 되면 장착이 된다.
또, 때에 따라서는 일정부분만 조금 열어 두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울트(25)를 풀고 손잡이(24)를 필요한 만큼 열어놓고 다시 보울트(25)를 잠그게 되면 원하는 만큼의 공간을 열어둘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엔진룸 내부로 풍량증가를 꾀하므로써, 과다한 굴삭작업이나, 주행으로 인해 엔진이 과열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굴삭기의 언더커버를 완전 분리하지 않고 슬라이딩 개방토록 하므로써, 각종 기능품의 검사 및 고장수리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수 절감 과 작업자의 능률 향상은 물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굴삭기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굴삭기 내부에 형성되는 프레임과, 다수의 홈을 갖고 그 홈을 통해 상기 프레임에 보울트 결합되는 슬라이딩 바와,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딩 바 사이에 개재되어 슬라이딩 개방되는 언더커버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 장치.
KR2019970038697U 1997-12-19 1997-12-19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장치 KR200159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697U KR200159835Y1 (ko) 1997-12-19 1997-12-19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8697U KR200159835Y1 (ko) 1997-12-19 1997-12-19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163U true KR19990026163U (ko) 1999-07-15
KR200159835Y1 KR200159835Y1 (ko) 1999-11-01

Family

ID=1951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8697U KR200159835Y1 (ko) 1997-12-19 1997-12-19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8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671B1 (ko) 2008-12-18 2016-05-3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주행모터 커버조립체
KR101313276B1 (ko) 2011-07-28 2013-09-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엔진룸 사이드 커버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9835Y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3784B2 (en) Exhaust system protection device
US4353521A (en) Anti-theft device
KR200159835Y1 (ko) 굴삭기의 언더커버 슬라이딩장치
US4257247A (en) Boat propellor security device
KR101172736B1 (ko) 일체화된 철도차량용 도어장치
KR200343780Y1 (ko) 로크너트
US2727526A (en) Safety cap for shear relief valves
US1854488A (en) Tire lock assembly
JPH0446507A (ja) 盤間連結装置
US8602511B2 (en) Generator set with removable panels and captive bolt system
JP2571151Y2 (ja) 超小型パワショベル
KR0134408Y1 (ko) 툴커버가 구비된 차량의 언더 및 휠가드
CN219175358U (zh) 机罩及作业机械
US3353794A (en) Traveling block
KR840002081Y1 (ko) 배 전 함
JP4646113B2 (ja) 車両
US1974198A (en) Automobile clutch pedal lock
KR100263271B1 (ko) 너트 미 체결 방지장치.
US20040149126A1 (en) Pump cylinder lock
JPS6260301B2 (ko)
KR101269768B1 (ko) 파워팩 마운트 잠금장치
KR0130692Y1 (ko) 릴레이 박스 장착용 브라켓트
KR910004421Y1 (ko) 굴삭기의 발판겸용 공구박스
KR200246562Y1 (ko) 디젤엔진의플랩오픈시스타팅방지장치
KR0128066Y1 (ko) 장착탈 가능한 루프온 쿨러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