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6072A - Storage roo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 Google Patents

Storage roo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6072A
KR19990026072A KR1019970048043A KR19970048043A KR19990026072A KR 19990026072 A KR19990026072 A KR 19990026072A KR 1019970048043 A KR1019970048043 A KR 1019970048043A KR 19970048043 A KR19970048043 A KR 19970048043A KR 19990026072 A KR19990026072 A KR 19990026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s
wafer carrier
wafer
load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80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용일
박범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8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6072A/en
Publication of KR19990026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072A/en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라인용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웨이퍼 캐리어내의 웨이퍼들에 대해서 스플릿 및 머지 작업을 수행하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저장고내의 이송수단과 연동하여 웨이퍼정렬로봇에 의해 웨이퍼들이 자동으로 스플릿 및 머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생산의 효율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ervoir for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In the present invention, a worker performs split and merge operations on wafers in a wafer carrier by manual operation. By allowing them to automatically split and merge, you can expect an increase in product production efficiency.

Description

반도체 제조 라인용 저장고Storage roo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라인용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웨이퍼 캐리어내의 웨이퍼들에 대한 스플릿 및 머지를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하지 않고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제조 라인용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ervoir for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servoir for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that enables automated splitting and merging of wafers in a wafer carrier without manual labor.

일반적으로 양호한 기능의 반도체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반도체 제조 라인내의 공간은 온도, 습도, 파티클 등이 인위적으로 조절 관리되는 청정한 상태로 유지되며, 이러한 청정 상태의 반도체 제조 라인내에서 반도체 생산공정의 대부분이 이루어진다.Generally, the space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is kept in a clean state where temperature, humidity, and particles are artificially controlled to manufacture a semiconductor product having a good function. Is done.

이러한 반도체 제조 라인은 단위 공정별로 영역이 나누어져 있고, 각각의 영역은 공정 진행을 위한 복수의 베이(bay)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베이에는 공정 진행을 위한 각종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is divided into regions for each unit process, each reg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ys for process progress, and each bay is provided with various equipments for process progress.

또한, 선행 공정을 완료한 웨이퍼들을 로트 단위로 적재한 웨이퍼 캐리어는 자동반송 시스템 및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베이내에 위치해 있는 저장고에 다음 공정을 위해 입고된다.In addition, the wafer carriers in which the wafers, which have completed the preceding process, in the unit of lot are loaded into the storage located in the bay for the next process by the automatic transfer system and the manual operation of the operator.

이후, 다음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작업자의 콘트롤러 제어에 의해 웨이퍼 캐리어는 해당 설비로 이송되기 위해 저장고로부터 출고되는 바, 이때, 저장고내의 반송물의 테이터는 라인의 자동화를 위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Then, the wafer carrier is released from the reservoir to be transferred to the facility by the controller control of the operator to proceed to the next process, wherein the data of the conveyed material in the reservoir is stored in the database for the automation of the line.

출고된 웨이퍼 캐리어는 다음 공정 진행을 위해 소정의 설비로 이송된다.The shipped wafer carrier is transferred to a predetermined facility for the next process.

이때, 웨이퍼 캐리어내에 적재되어 있는 웨이퍼들 가운데 일부의 웨이퍼들은 다른 웨이퍼들의 진행 공정과 다른 공정을 진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바, 이때, 작업자는 하나의 웨이퍼 캐리어내에 각기 다른 공정 조건의 웨이퍼들을 다른 빈 웨이퍼 캐리어로 스플릿(split)한 다음, 각각의 공정설비에 웨이퍼 캐리어들을 로딩하여 공정을 진행한다.In this case, some of the wafers loaded in the wafer carrier may undergo different processes from those of other wafers. In this case, an operator may change wafers having different process conditions in one wafer carrier. After splitting into empty wafer carriers, the wafer carriers are loaded in respective process facilities to proceed with the process.

또한, 각각 다른 웨이퍼 캐리어에 수납되어 공정이 진행되던 웨이퍼들이 동일 종류의 공정을 진행할 경우, 작업자는 수작업으로 각각의 웨이퍼 캐리어에 수납되어 있는 웨이퍼들을 하나의 웨이퍼 캐리어내로 머지(merge)한 후, 다음 공정을 진행하였다.In addition, when wafers that are stored in different wafer carriers and undergo the same kind of process, the operator manually merges the wafers stored in each wafer carrier into one wafer carrier and then, The process was carried out.

그러나, 하나의 웨이퍼 캐리어내의 웨이퍼들 가운데 일부의 웨이퍼들 다른 웨이퍼 캐리어에 스플릿하거나, 각각 다른 웨이퍼 캐리어내에 있는 웨이퍼들을 하나의 웨이퍼 캐리어에 머지할 경우,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웨이퍼들이 스플릿되거나 머지됨으로써 작업능률의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some of the wafers in one wafer carrier are split into different wafer carriers, or each of the wafers in the other wafer carrier is merged into one wafer carrier, the wafers are split or merged by the operator's manual work. There was a problem of deterioration of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이퍼 캐리어내에 적재되어 있는 웨이퍼들을 스플릿하거나 머지할 경우, 이를 저장고내에서 자동으로 스플릿 및 머지할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제조 라인용 저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age for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that enables splitting and merging of wafers loaded in a wafer carrier automatically in the stor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제조 라인용 저장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reservoir for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웨이퍼를 수납하는 웨이퍼 캐리어를 소정의 위치에 이송 로딩하는 이송수단과;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and loading a wafer carrier containing a plurality of wafers in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웨이퍼 캐리어가 로딩되는 복수개의 작업대와;A plurality of working tables onto which the wafer carrier is loaded by the transfer means;

상기 작업대 상부에 로딩된 상기 웨이퍼 캐리어내의 상기 웨이퍼들을 스플릿 또는 머지하는 웨이퍼정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wafer alignment means for splitting or merging the wafers in the wafer carrier loaded on the workta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제조 라인용 저장고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orage for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로트 단위의 웨이퍼(미도시)들을 수납하는 웨이퍼 캐리어(미도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고(stocker ; 10)가 배치되어 있다.As shown, a stocker 10 for temporarily storing a wafer carrier (not shown) for storing wafers in a lot unit is arranged.

이때, 저장고(10)내에는 웨이퍼 캐리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In this case, a space for storing the wafer carriers is formed in the storage 10.

또한, 선행 공정을 완료한 웨이퍼 캐리어를 저장고(10)내로 입고 및 출고할 수 있도록 저장고(10)에는 인풋 콘베이어(input conveyor; 미도시)와 아웃풋 콘베이어(output conveyor; 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저장고(10)내에는 인풋 콘베이어에 로딩된 웨이퍼 캐리어를 저장고(10)내의 소정 위치에 로딩하는 이송수단, 예를 들어 이송로봇(11)이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n input conveyor (not shown) and an output conveyor (not shown) are installed in the storage 10 so that wafer carriers having completed the preceding process can be received and shipped into the storage 10. In the reservoir 10, a transfer means for loading the wafer carrier loaded on the input conveyor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reservoir 10, for example, a transfer robot 11 is installed.

이때, 이송로봇(11)은 웨이퍼 캐리어를 적재한 후, 이 웨이퍼 캐리어를 저장고(10)내의 소정 위치에 로딩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상하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transfer robot 11 is mounted to be movable up, down, left, and right along a guide rail (not shown) so that the wafer carrier is loaded and then loa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torage 10.

또한, 저장고(10)내의 소정 영역에는 스플릿 및 머지를 위한 웨이퍼들이 적재된 웨이퍼 캐리어를 로딩하는 작업대(15)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작업대(15)는 스플릿 및 머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 1 작업대(13)와, 제 2 작업대(14)로 이루어져 있는 한편, 작업대(10)에 로딩된 웨이퍼 캐리어의 웨이퍼들에 대해 스플릿 및 머지 기능을 수행하는 웨이퍼정렬수단, 예를 들어 웨이퍼정렬로봇(12)이 작업대(12)에 관련하여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area in the storage 10 is provided with a work bench 15 for loading a wafer carrier on which wafers for split and merge are loaded. At this time, the work bench 15 is composed of a first work bench 13 and a second work bench 14 so as to perform splitting and merging, while a work piece 15 is divided into wafers of the wafer carrier loaded on the work bench 10. Wafer alignment means for performing a merge function, for example, a wafer alignment robot 12, is provided in relation to the work table 12.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반도체 제조 라인용 저장고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servoir for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having such a structure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소정의 공정을 완료한 웨이퍼들을 수납한 웨이퍼 캐리어는 다음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인풋 콘베이어를 통해 저장고(10)내로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때, 저장고(10)의 콘트롤러(미도시)에서는 일시저장된 웨이퍼 캐리어의 다음 공정을 파악하는 한편, 인풋 콘베이어를 통해 입고된 웨이퍼 캐리어는 이송로봇(11)에 의해 이송되어 소정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다.First, a wafer carrier containing wafers that have completed a predetermined process is temporarily stored into the storage 10 through an input conveyor to proceed with the next process. At this time, the controller (not shown) of the storage 10 identifies the next process of the temporarily stored wafer carrier, while the wafer carrier received through the input conveyor is transferred by the transfer robot 11 and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

차후, 콘트롤러에 의해 파악된 웨이퍼 캐리어내에 공정 진행 조건이 다른 웨이퍼들이 수납되어 있으면, 공정 진행이 동일한 웨이퍼들을 하나의 웨이퍼 캐리어에 수납하는 바, 이때, 이송로봇(11)에 의해 소정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웨이퍼 캐리어를 제 1 작업대(13) 상부에 로딩하고 제 2 작업대(14) 상부에 공웨이퍼 캐리어를 로딩한 다음, 웨이퍼정렬로봇(12)에 의해 제 1 작업대(13) 상부에 로딩된 웨이퍼 캐리어내의 웨이퍼들의 일부를 제 2 작업대(14) 상부에 로딩된 공웨이퍼 캐리어내로 스플릿한다Subsequently, when wafers having different process progress conditions are stored in the wafer carrier identified by the controller, the wafers having the same process progress are stored in one wafer carrier, and the transfer robot 11 then stores the wafers in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The stored wafer carrier is loaded on the first workbench 13 and the empty wafer carrier is loaded on the second workbench 14, and then loaded on the first workbench 13 by the wafer alignment robot 12. Split some of the wafers in the wafer into the empty wafer carrier loaded on the second workbench 14.

이어서, 스플릿 과정을 거친 웨이퍼 캐리어들은 이송로봇(11)에 의해 다음 공정 진행을 위해 아웃 콘베이어에 올려놓으면, 웨이퍼 캐리어는 아웃 콘베이어를 통해 출고되어 다음 공정이 진행될 설비로 이송된다.Subsequently, the wafer carriers that have undergone the split process are placed on the out conveyor for the next process by the transfer robot 11, and the wafer carrier is shipped through the out conveyor and transferred to the facility where the next process is to proceed.

또한, 복수개의 웨이퍼 캐리어내에 있는 웨이퍼들에 대해 하나의 웨이퍼 캐리어내로 머지할 경우, 상기에서 기 설명한 과정을 거쳐 웨이퍼들이 웨이퍼정렬로봇(12)에 의해 웨이퍼 캐리어내로 머지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인풋 콘베이어를 통해 입고되는 복수개의 웨이퍼 캐리어들은 이송로봇(11)에 의해 소정의 저장 공간에 각각 저장되는데, 이때, 콘트롤러는 입고되는 웨이퍼 캐리어내의 웨이퍼들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afers in the plurality of wafer carriers are merged into one wafer carrier, the wafers are merged into the wafer carrier by the wafer alignment robot 12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In more detail, a plurality of wafer carriers received through an input conveyor are stored in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by the transfer robot 11, an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grasps information about wafers in the received wafer carrier. .

이러한 콘트롤러의 정보 파악에 따라 이송로봇(11)은 머지할 대상의 웨이퍼 캐리어를 제 1 작업대(13)와 제 2 작업대(14) 상부에 올려놓고, 이어서, 웨이퍼정렬로봇(12)에 의해 제 1 작업대(13)와 제 2 작업대(14) 상부에 올려진 웨이퍼 캐리어내의 웨이퍼들은 하나의 웨이퍼 캐리어내로 머지된다.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the transfer robot 11 places the wafer carrier to be merged on the first workbench 13 and the second workbench 14, and then the wafer alignment robot 12 makes the first operation. Wafers in the wafer carrier mounted on the workbench 13 and the second workbench 14 are merged into one wafer carrier.

이러한 과정을 거쳐 머지된 웨이퍼들을 수납한 웨이퍼 캐리어는 이송로봇(11)에 의해 아웃 콘베이어를 통해 다음 공정 진행 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Through this process, the wafer carrier containing the merged wafers is moved by the transfer robot 11 to the next process progress area through the out conveyor.

이와 같이 종래에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웨이퍼 캐리어내의 웨이퍼들을 스플릿 및 머지하던 것을 저장고내에서 웨이퍼정렬로봇을 통해 자동으로 웨이퍼들을 스플릿 및 머지함으로써 제품 생산의 효율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As such, the splitting and merging of the wafers in the wafer carrier by the manual labor of the worker can be expec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roduct production by automatically splitting and merging the wafers through the wafer alignment robot in the storag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웨이퍼 캐리어내의 웨이퍼들에 대해서 스플릿 및 머지 작업을 수행하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저장고내의 이송수단과 연동하여 웨이퍼정렬로봇에 의해 웨이퍼들이 자동으로 스플릿 및 머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 생산의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performs split and merge operations on the wafers in the wafer carrier by manual ope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fers are automatically driven by the wafer alignment robot in conjunction with the transfer means in the storage. By splitting and merging, the efficiency of product production is increased.

Claims (3)

복수개의 웨이퍼를 수납하는 웨이퍼 캐리어를 소정의 위치에 이송 로딩하는 이송수단과;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and loading a wafer carrier containing a plurality of wafers in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웨이퍼 캐리어가 로딩되는 복수개의 작업대와;A plurality of working tables onto which the wafer carrier is loaded by the transfer means; 상기 작업대 상부에 로딩된 상기 웨이퍼 캐리어내의 상기 웨이퍼들을 스플릿 또는 머지하는 웨이퍼정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라인용 저장고.And wafer sorting means for splitting or merging the wafers in the wafer carrier loaded on the workben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복수개의 웨이퍼를 수납한 상기 웨이퍼 캐리어가 로딩되는 제 1 작업대와, 상기 제 1 작업대 상부에 로딩된 상기 웨이퍼 캐리어내의 웨이퍼들이 상기 웨이퍼정렬수단에 의해 스플릿되어 수납되는 공웨이퍼 캐리어가 로딩되는 제 2 작업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라인용 저장고.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bench is a first workbench is loaded with the wafer carrier containing a plurality of wafers, and wafers in the wafer carrier loaded on the first workbench is split and received by the wafer alignment means A reservoir for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comprising a second workbench loaded with an empty wafer carri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작업대 각각에는 복수개의 웨이퍼를 수납한 상기 웨이퍼 캐리어가 각각 로딩되어 상기 제 1,2 작업대에 로딩된 어느 한 상기 웨이퍼 캐리어내로 상기 웨이퍼들이 머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 라인용 저장고.3. The wafer carrier of claim 2, wherein the wafer carriers each containing a plurality of wafers are respectively loaded o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working tables to merge the wafers into one of the wafer carriers loaded on the first and second working tables. Storage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s.
KR1019970048043A 1997-09-22 1997-09-22 Storage roo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KR199900260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043A KR19990026072A (en) 1997-09-22 1997-09-22 Storage roo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8043A KR19990026072A (en) 1997-09-22 1997-09-22 Storage roo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072A true KR19990026072A (en) 1999-04-15

Family

ID=66044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8043A KR19990026072A (en) 1997-09-22 1997-09-22 Storage roo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607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4318A (en) Manufacturing system
US53218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rinted wiring boards
JPH0722490A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rranging lots
JP5391862B2 (en) Flexible produ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062826B2 (en) Management system for flexible processing system
JPH0265934A (en) Feed of part in assembly line
JPH0278243A (en) Continuous processing system for semiconductor substrate
US20050000379A1 (en) Method of inspecting a workpiece during a production run in which workpieces are supplied to workstations by an autoloader
KR19990026072A (en) Storage room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ine
CN110850830B (en) Slot type equipment for automatic process treatment and formula scheduling method thereof
JPH1190791A (en) Flexible machining device and pallet therefor
KR20090059731A (en) Pallet feeding unit for cnc and method thereof
JP2815430B2 (en)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JPS62136402A (en) Device for conveying and storing article
JPS6056859A (en)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JP3023438B2 (en) Transfer processing equipment
JP2000280146A (en) Production method in fms including heat treatment facility, and fms using same production method
JP4096464B2 (en) Out-of-lin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etal processing line
JPS58109256A (en) Preset system for work in automatic manufacturing process
JPH05138510A (en) Production line system
JP3307772B2 (en) Workpiece carry-in / out control device
JPH0351550B2 (en)
JPS582716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nveyance of goods using a conveyor
JP2000280149A (en) Production method in fms including heat treatment facility, and fms using same production method
JPH0982773A (en) Automatic convey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