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437A -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 Google Patents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437A
KR19990025437A KR1019970047063A KR19970047063A KR19990025437A KR 19990025437 A KR19990025437 A KR 19990025437A KR 1019970047063 A KR1019970047063 A KR 1019970047063A KR 19970047063 A KR19970047063 A KR 19970047063A KR 19990025437 A KR19990025437 A KR 19990025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ater
polyol
parts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9728B1 (ko
Inventor
김구니
문진복
장기영
유종선
윤정식
목동엽
조인기
Original Assignee
조인기
이희덕
김구니
덕성화학공업 주식회사
박정수
한국신발피혁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기, 이희덕, 김구니, 덕성화학공업 주식회사, 박정수, 한국신발피혁연구소 filed Critical 조인기
Priority to KR101997004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9728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87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s us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명칭]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과제]
현재의 폴리우레탄 바인더는 인화성이 강하고 독성이 높은 유기용제를 다량 사용하고 있어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므로 독성이 없는 수성 에멀젼형을 사용하기 위해 아크릴 또는 SBR계 에멀젼 등이 시험되었지만 내수·내용제성이 결여되는 결점이 있으며 또 비교적 다량의 바인더를 필요로 하여 섬유의 특성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고 반발탄성이 나쁘다는 것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폴리우레탄을 수성화하려는 여러가지 검토가 행해졌고 시험되었지만 유연성 및 탄성 등의 물성이 만족스러운 인공피혁을 아직 얻지 못하였으며 이를 개선했다고 보고된 사례(JPA93-32756)에서는 비정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과 같은 고가의 특수한 폴리올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용화하기 곤란한 점이 있었다.
[해결수단]
폴리올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쇄연장제를 반응시켜 얻어진 폴리우레탄 수분산체에 있어서 폴리올은,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여 다른 폴리에테르형 폴리올을 병용하고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아민계 쇄연장제를 사용하여 제조하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로써 해결함.

Description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본 발명은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극세섬유로 제조된 부직포를 고분자 바인더에 함침하여 인공피혁을 얻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 때 바인더는 인공피혁에 유연성, 탄성, 내구성,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고기능성과 감성의 조화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바인더 수지로서 폴리우레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폴리우레탄 바인더는 인화성이 강하고 독성이 높은 유기용제를 다량 사용하고 있어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므로 독성이 없는 수성 에멀젼형을 사용하기 위해 아크릴 또는 SBR계 에멀젼 등이 시험되었지만 내수·내용제성이 결여되는 결점이 있으며 또 비교적 다량의 바인더를 필요로 하여 섬유의 특성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고 반발탄성이 나쁘다는 것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폴리우레탄을 수성화하려는 여러가지 검토가 행해졌고 시험되었지만 유연성 및 탄성 등의 물성이 만족스러운 인공피혁을 아직 얻지 못하였으며 이를 개선했다고 보고된 사례(JPA93-32756)에서는 비정성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과 같은 고가의 특수한 폴리올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용화하기 곤란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수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원하는 수준의 탄성 및 유연성 등의 제품성을 나타내어 부직포에 처리했을 때 만족스러운 인공피혁의 물성을 나타내 줄 수 있는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들은 이를 위해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쇄연장제를 반응시켜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분산체에 있어서 폴리올은, 결정성 폴리테트라메틸렌클리콜과 비정성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적절히 혼용하고 지방족 및 지환족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아민계 쇄연장제의 사용량을 적절히 조정하며 적절한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르복실기 함유 말단 이소시아네이트형 폴리우레탄 트리폴리머는 종점의 방법대로 폴리올과 카르복실기 함유 폴리올 및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NCO/OH 비 1.35-3.0 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2.5의 범위에서 반응시켜 제조한다.
이때 NCO/OH 비가 1.35 이하가 되면 물성이 지나치게 저하되어 부직포의 탄성이 떨어지며 3.0 이상이 되면 부직포의 유연성이 떨어져 촉감이 나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은 화합물 중에 적어도 2개의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테르형 폴리올로써 분자량 1000-2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단독 혹은 다른 폴리에테르형 폴리올인 분자량 1000-40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분자량 500-40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병용하여 사용한다.
여기에서 폴리크로필렌 글리콜을 병용할 경우 사용량은 전체 폴리올 사용량의 0-50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중량%로 사용한다.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사용량이 50중량% 이상이 되면 수지의 물성이 저하되어 함침된 부직포의 탄성이 떨어지게 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병용한 경우에는 폴리올 사용량의 0-10중량%을 사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7중량%로 사용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사용량이 10중량% 이상이 되면 수지의 물성이 떨어질 뿐 아니라 에멀젼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적당치 않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테이트로서는 1,6-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크로헥실메틸렌-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2개 이상의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알킬탄소에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을 사용한다.
친수성기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카르복실기 말단 디올로는 디메틸올 프로피온산을 전체 폴리우레탄 중합체의 1.5-3.0중량%로 사용한다.
사용량이 1.5중량% 이하일 경우 수분산체의 안정성이 저하되며 3.0중량% 이상이면 필름의 유연서이 저하되어 부직포의 촉감이 나쁘게 된다.
중화제로서는 데메틸 아미노엔탄올, N-메틸모르포린, 트리에틸아민 등의 제3급 아민을 사용하며 사용량은 폴리머의 카르복실기 당량으로 사용한다.
쇄연장제로는 폴리아민을 사용하는데 1급 또는 2급 아미노기를 2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로써 하드라진, 에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디아미노핵산, 이소포론 디아민, 디시클로헥실메틸렌 디아민 등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사용한다.
프로폴리머의 쇄연장 및 유화는 프리폴리머를 중화제로 중화시킨 후 교반하면서 물을 가해 유화하고 쇄연장제를 투입하여 60℃에서 3시간 더 교반시켜 쇄연장을 행한다.
쇄연장이 끝난후 용제를 감압 제거하여 고형분농도 30-40%의 안정성 및 물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얻는다.
부직포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HLB값 13.0-20.0을 갖는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놀에테르형을 0-4.0중량%로 사용한다.
HLB값이 13.0 이하인 것은 부직포의 유연성을 향상시키지 않으면서도 물성저하가 일어나며 20.0 이상인 것은 부직포에 끈적이는 촉감을 주어 좋지 않은데, 사용량은 4.0중량% 이상이 되면 물성이 저하되고 눅눅한 촉감을 주게 된다.
계면활성제의 첨가는 유화와 동시 또는 유화 후에 투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면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자량 1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100중량부,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3.35중량부, IPDI 29.3중량부 및 촉매 틴옥토에이트 0.13중량부를 가하여 80℃에서 2시간 반응시켜 카르복실기 말단 NCO형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한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2.5 중량부를 가하여 중화시킨다.
중화된 프리폴리머를 빠르게 교반하면서 물 320중량부를 가하여 프리폴리머의 수분산물을 얻는다.
디시클로헥실메틸렌디아민 0.63중량부와 수첨 히드라진 0.2중량부를 적가한 후 온도를 60℃로 승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쇄연장 반응을 행한다.
쇄연장 후 HLB값 17.8의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 2.0중량부를 가하여 30분간 더 교반시킨다.
감압증류로 용제를 제거하여 고형분농도 30%의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얻는다.
[실시예 2]
분자량 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100중량부, 분자량 20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30중량부,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4.4중량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8.86중량부 및 틴옥토에이트 0.17중량부를 가하여 80℃에서 2시간 반응시켜 카르복실기 말단 NCO형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한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3.3중량부를 가하여 중화시킨다.
중화된 프리폴리머를 빠르게 교반하면서 물 400중량부를 가하여 프리폴리머의 수분산물을 얻는다.
이소포론 디아민 5.25중량부를 분산물에 적가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쇄연장 반응을 행한다.
쇄연장 후 감압증류로 용제를 제거하여 고형분농도 30%의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얻는다.
[실시예 3]
분자량 1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100중량부, 분자량 10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5.0중량부,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3.75중량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33.3중량부 및 촉매 틴옥토에이트 0.15중량부를 가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카르복실기 말단 NCO형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한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2.8중량부를 가하여 중화시킨다.
중화된 프리폴리머를 빠르게 교반하면서 물 345중량부를 가하여 프리폴리머의 수분산물을 얻는다.
다음, 이소포론 디아민 2.79중량부를 분산물에 적가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쇄연장 반응을 행한 후 감압증류로 용제를 제거하여 고형분농도 30%의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얻는다.
[비교예 1]
분자량 2000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100중량부, 분자량 2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30중량부,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4.4중량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8.86중량부 및 틴옥토에이트 0.17중량부를 가하여 80℃에서 2시간 반응시켜 카르복실기 말단 NCO형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한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3.3중량부를 가하여 중화시킨다.
중화된 프리폴리머를 빠르게 교반하면서 물 400중량부를 가하여 프리폴리머의 수분산물을 얻는다.
이소포론 디아민 5.25중량부를 분산물에 적가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쇄연장 반응을 행한다.
쇄연장 후 감압증류로 용제를 제거하여 고형분농도 30%의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얻는다.
[비교예 2]
분자량 1000인 폴리데트라메틸렌 글리콜 100중량부, 분자량 10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6.7중량부,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4.17중량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37.0중량부 및 촉매 틴옥토에이트 0.17중량부를 가하여 80℃에서 2시간 교반하여 카르복실기 말단 NCO형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한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3.1중량부를 가하여 중화시킨다.
중화된 프리폴리머를 빠르게 교반하면서 물 383중량부를 가하여 프리폴리머의 수분산물을 얻는다.
이소포론 디아민 3.1중량부를 분산물에 가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쇄연장 반응을 행한 후 감압증류로 용제를 제거하여 고형분농도 30%의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얻는다.
[비교예 3]
분자량 1500인 폴리에틸렌 디에틸렌 글리콜 아디핀산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0중량부,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3.35중량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22.2중량부 및 촉매 틴옥토에이트 0.13중량부를 가하여 80℃에서 2시간 반응시켜 카르복실기 말단 NCO형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한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2.5중량부를 가하여 중화시킨다.
중화된 프리폴리머를 빠르게 교반하면서 물 300중량부를 가하여 프리폴리머의 수분산물을 얻는다.
이소포론 디아민 1.3중량부를 분산물에 가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쇄연장 반응을 행한다.
반응종료 후 감압증류로 용제를 제거하여 고형분농도 30%의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얻는다.
[비교예 4]
분자량 2000인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100중량부, 분자량 2000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15중량부,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4.69중량부,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35.5중량부 및 촉매 틴옥토에이트 0.17g을 가하여 80℃에서 2시간 반응시켜 카르복실기 말단 NCO형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제조한다.
제조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트리에틸아민 3.5중량부를 가하여 중화시킨다.
중화된 프리폴리머를 빠르게 교반하면서 물 400중량부를 가하여 프리폴리머의 수분산물을 얻는다.
이소포론 디아민 11.07중량부를 분산물에 가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쇄연장 반응을 행한다.
반응종료 후 감압증류로 용제를 제거하여 고형분농도 30%의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얻는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3과 비교예 1-4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수지 필름의 물성 및 부직포함침 후의 상태를 비교하였다.
- 필름제작
수지필름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샤아레에 필름의 최종두께가 0.5-1mm가 되도록 폴리우레탄 수분산체를 부어 55-60℃의 건조오븐에서 하루동안 건조시켰다.
- 시편제작
건조된 필름을 KSM 6518 규격에 준하여 인장시험용 아령형 절단기를 사용하여 폭 10mm, 길이 20mm로 절단하여 물성측정에 사용하였다.
- 물성측정
제작된 시편필름을 KSM 6518 규격에 준하여 만능인장 시험기(독일, Zwick 1435)를 사용하여 20mm/min의 인장속도로 100% 신장시의 인장응력 M100과 파단시의 강도 Ts 및 신장률 EB를 구하였다.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 부직포 함침방법
제조된 수분산체 30g과 물 70g을 혼합하여 바인더액을 제조한 후 부직포를 3-5초 동안 2회에 걸쳐 함침하였다.
함침한 후 핸드롤러로 압력을 주어 건조수지의 함침량이 약 7-10%가 되도록 바인더액을 짜내었다.
함침된 부직포를 110℃ 오븐에서 1분간 건조시킨 후 140℃에서 10분간 숙성하였다.
- 부직포의 탄성 및 유연성의 평가
바인더가 함침된 부직포의 탄성 및 충실도는 촉감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탄성도는 부직포를 손으로 구긴 후 원상태로 회복되는 시간이 짧을수록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유연성은 부직포의 촉감이 왁스에 가까울수록 우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2에 나타내었다.
[표 1]
폴리우레탄 수지 필름의 물성
[표 2]
부직포 함침 상태
*× : 불량, △ : 보통, ○ : 양호, ⊙ : 우수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특수한 재료가 아닌 본 발명의 재료를 사용, 원하는 수준의 탄성 및 유연성 등의 제품성을 나타내어 부직포에 처리했을 때 만족스러운 인공피혁의 물성을 나타내 줄 수 있는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를 제공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4)

  1. 폴리올 및 카르복실기를 갖는 폴리올과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쇄연장제를 반응시켜 얻어진 폴리우레탄 수분산체에 있어서 폴리올은,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하여 다른 폴리에테르형 폴리올을 병용하고 지방족 또는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아민계 쇄연장제를 사용하여 제조하며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의 조성시 전체 폴리올 함량 중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은 0-50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0-10중량%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의 NCO/OH 값이 1.3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4. 제1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HLB값 13.2-20.0을 갖는 옥시에틸렌알킬페놀 에테르로써 함량은 0-10중량%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KR1019970047063A 1997-09-08 1997-09-08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KR100249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063A KR100249728B1 (ko) 1997-09-08 1997-09-08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063A KR100249728B1 (ko) 1997-09-08 1997-09-08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437A true KR19990025437A (ko) 1999-04-06
KR100249728B1 KR100249728B1 (ko) 2000-03-15

Family

ID=1952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063A KR100249728B1 (ko) 1997-09-08 1997-09-08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97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189B1 (ko) * 2005-04-14 2008-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그 제조 방법, 바인더 조성물 및 이들을 채용한 리튬전지
US8722230B2 (en) 2006-01-27 2014-05-13 Samsung Sdi Co., Ltd. Polyurethane binder, electrodes contain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employing the electrodes
KR20180110538A (ko) *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빅스 텍스타일 스킨 코팅용 친수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친수성 필름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794B1 (ko) * 1999-10-29 2002-07-19 주식회사 헵스켐 포지를 폴리우레탄 용액으로 함침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341870B1 (ko) * 2000-01-06 2002-06-24 김중현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제조방법
KR100378832B1 (ko) * 2000-06-27 2003-04-07 최용호 배관 누수 방지용 테이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189B1 (ko) * 2005-04-14 2008-0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그 제조 방법, 바인더 조성물 및 이들을 채용한 리튬전지
US8865844B2 (en) 2005-04-14 2014-10-21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binder composition, lithium battery containing the electrode and the binder composition
US8722230B2 (en) 2006-01-27 2014-05-13 Samsung Sdi Co., Ltd. Polyurethane binder, electrodes contain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employing the electrodes
KR20180110538A (ko) * 2017-03-29 2018-10-10 주식회사 빅스 텍스타일 스킨 코팅용 친수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친수성 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9728B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0256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系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DE102009014699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reaktiven Polyurethan-Emulsion
KR970004930B1 (ko) 불소화 폴리우레탄의 수성 분산액 및 이것을 스프리딩시킨 직물제품
AT408886B (de) Polyisocyanat-modifizierte isomonoolefin-para- alkylstyrol-elastomerzusammensetzung
JP2002541280A5 (ko)
CS214805B2 (en) Method of making the combined foil material
JP6079945B1 (ja) 凝固物の製造方法
WO2008138927A1 (en) Fluorinated polyurethane composition
US10934386B2 (en) Polyurethane dispersions of low hardness
KR100249728B1 (ko) 부직포용 수분산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DE10200401045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ichtechten Syntheseleders und danach hergestellte Produkte
EP0445192B1 (de) Wässrige polyurethan- bzw. polyurethanharnstoffdispersionen, verfahren zum beflocken elastomerer formkörper sowie zur heissversiegelung von textilen flächengebilden unter verwendung dieser dispersionen
JPWO2020129604A1 (ja) ウレタン樹脂組成物、皮膜、及び、合成皮革
CN105603758B (zh) 一种弹力运动织物
CN111533875B (zh) 阳离子水性聚氨酯、真皮封底树脂和真皮涂层的制备方法
EP0927211B1 (en) Water-dispersible polyurethanes
US20040171745A1 (en) Aqueous polyurearethanes dispersions using polyester glycol
KR102092532B1 (ko) 스웨이드의 함침 코팅용 난연성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259926B1 (ko) 신발 접착제용 폴리우레탄계 수분산체와 이의 제조방법
KR0136650B1 (ko) 활성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에멀젼 조성물
JP6989058B2 (ja) ウレタン樹脂水分散体、合成皮革、及び、合成皮革の製造方法
CN113195825B (zh) 合成皮革
DE3839940A1 (de) Waessrige polyurethan- bzw. polyurethanharnstoff-dispersionen und verfahren zum beflocken elastomerer formkoerper unter verwendung dieser dispersionen
JPH02269723A (ja) 水系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3121460B2 (ja) 皮革様シート状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