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851A -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851A
KR19990024851A KR1019970046223A KR19970046223A KR19990024851A KR 19990024851 A KR19990024851 A KR 19990024851A KR 1019970046223 A KR1019970046223 A KR 1019970046223A KR 19970046223 A KR19970046223 A KR 19970046223A KR 19990024851 A KR19990024851 A KR 1999002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interior
door
lamp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웅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46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851A/ko
Publication of KR1999002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851A/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냉장고의 고내등은 냉장고도어의 개폐에 따라 온/오프되는 도어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면 이와 동시에 냉장고의 고내등이 점등되도록 되며, 반면에 냉장고 도어가 폐쇄되는 것과 동시에 고내등이 소등되도록 되어 있었던 바, 이는 실내가 충분히 밝아 굳이 냉장고의 고내등이 점등되지 않아도 되는데도 불구하고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어 있으면 항상 고내등이 점등되어 있어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어 왔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각 고내에 광센서를 설치하되 냉장고 도어스위치와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이러한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가 소정크기 이상이면 고내등을 소등시키고 그 이하이면 고내등을 점등시키도록 하여 실내 조도에 따라 고내등의 점멸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냉장고의 소비전력을 절약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
본 발명은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도어 개방시 그 주변의 조도(ILLUMINATION)에 따라 고내등이 온 오프되도록 한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시된 도 1 과 같이, 냉장고의 사절부(60) 일단에 냉동실 도어스위치(50a)와 냉장실 도어스위치(50b)가 냉동실(F) 및 냉장실(R)에 설치된 고내등(10)(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냉동실도어 혹은 냉장실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해당 도어스위치(50a)(50b)가 온(ON)되면서 냉동실 및 냉장실에 설치된 고내등(10)(20)이 점등되도록 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냉장고 고내등(10)(20) 점등방법은 도어개방시 주변이 충분히 밝아서 냉장고 내부의 고내등 점등이 필요없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고내등이 점등되어 있어 전력이 과다 소비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즉, 통상 실내, 예컨데 거실이나 부엌 등에 설치되는 냉장고는 투광이 잘되거나 혹은 냉장고가 설치된 주변의 실내 조명시설이 우수하여 조도(illumination)가 고내에 수납중인 식품을 충분히 분별할 수 있는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부득이하게 냉장고 도어 개방과 동시에 점등되도록 설치된 종래의 고내등 점등방법은 상당히 불합리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냉장고 도어 개방시 냉장고 주위의 조도에 따라 고내등이 점등 혹은 소등되도록 하여 필요시에만 고내등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서 소비전력을 절약하고자 함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고내등이 부착된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센서가 부착된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흐름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고내등 30..... 광센서(PHOTO SENSOR)
50a, 50b..... 도어스위치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설치된 고내등 점등방법에 있어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냉장고 도어가 폐쇄되어있다면 고내등을 계속 오프하는 단계를 거쳐 초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순환되고 상기 판단단계에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었다면 광센서가 작동하여 감지된 조도가 설정된 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값이 설정조도 이상이면 고내등을 오프하고 최초 도어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순환되고 설정조도 이하이면 고내등을 온 하는 단계를 거쳐 상기 최초 도어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선호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고내의 조도(照度)에 따라 반응하는 광센서(PHOTO SENSOR)(30)가 냉동실(F) 및 냉장실(R)에 설치된 모양을 도시한 것으로, 냉동실(F) 혹은 냉장실(R) 배면 내상 상측에 설치된다.
즉,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선에 노출되기 쉽고 고내 선반에 저장되는 수납물품에 의해 잘 가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냉장고 고내 배면 내상 상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광센서(30)는 사절부(60)의 일단부에 설치된 도어스위치(50a)(50b) 및 냉장고의 제어부(도시생략)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냉동실(F)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확보된 냉장실(R)에는 종래와 같이 2 개의 고내등(20)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주변 조도(illumination)에 따라 고내등(10)(20)이 점등 혹은 소등되는 제어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냉동실(F)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며, 냉장실(R)의 경우도 상술한 냉동실의 경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제어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의 냉동실(F) 고내등(10)의 점등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전에는 항상 냉동실도어에 의해 냉동실 도어스위치(50a)가 온(ON)되어 있으면, 예컨데 상기 도어스위치(50a)가 눌리어있으면 고내등(10)이 소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어부가 지속적으로 전기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여 도어스위치(50a)의 현재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90)를 거쳐 도어스위치(50a)가 온 상태이면 고내등을 오프하는 단계(91)를 수행한 후에 이를 재차 판단하는 초기단계로 진행되는 순환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도어스위치(50a)의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90)에서 냉동실도어가 개방되어 사절부(60)의 일단부에 설치된 냉동실 도어스위치(50a)가 오프(off)상태라면 그 이후단계인 센서에 의해 고내로 투광된 빛의 조도를 체크하여 냉장고의 제어부가 이를 판단하는 단계(92)로 돌입된다.
즉, 냉동실의 경우 고내로 투광된 조도가 130 ± 5 룩스(lx)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냉동실 고내등을 오프하는 단계(94)를 수행한 후에 초기판단 단계로 진행되는 순환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광센서(30)는 물체가 빛의 조사를 받으면 빛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기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광전효과에 의해 생선된 광전류를 제어부가 검출하여 제어토록 한 것으로, 조도에 따라 생성되는 광전류값이 다르기 때문에 냉장고 내부로 투광되는 조도의 범위를 충분히 한정하여 제어부가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조도는 조명된 면에 빛이 닿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면적 S [m2] 의 면에 Φ [lm] 이 닿는 경우의 면의 평균조도 E 는,
E = Φ / S [lx] 이므로 냉동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냉장실의 경우는 제어부가 판단하는 조도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더 커야 하며 실험치에 의하면 통상 냉동실로 투광되는 조도의 약 2 배, 예컨데 260 ± 7 룩스(lx) 정도이다.
반면에, 조도를 판단하는 단계(92)에서 광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의 범위가 130 ± 5 룩스(lx) 이하라고 판단되면, 고내등을 온(on)시키는 점등단계(93)를 거쳐 초기판단 단계로 되돌아가서 지속적인 고내등 온/ 오프여부를 판단하는 순환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내등은 종래와 같이 냉장고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점등되지 않고 고내로 투광된 조도에 따라 고내등의 점등 혹은 소등이 결정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은, 냉장고 도어 개방시 고내등이 항상 점등되는 것이 아니고 고내로 투광되는 조도에 따라 정하여진 기준값 이하이면 고내등을 점등시키고 그 이상이면 고내등을 소등시키도록 함으로서 소비전력이 불필요하게 과다 소비되지 않도록 하여주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냉장고의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설치된 고내등 점등방법에 있어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90)와;
    상기 판단단계(90)에서 냉장고 도어가 폐쇄되어있다면 고내등을 계속 오프하는 단계(91)를 거쳐 초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90)로 순환되고, 상기 판단단계(90)에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었다면 광센서가 작동하여 감지된 조도가 설정된 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92)와;
    상기 단계(92)에서 판단된 값이 설정조도 이상이면 고내등을 오프하고 최초 도어 개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순환되고, 설정조도 이하이면 고내등을 온 하는 단계(93)를 거쳐 상기 최초 도어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순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조도는 냉동실의 경우에는 130±5 룩스이고, 냉장실의 경우에는 260±7 룩스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
KR1019970046223A 1997-09-08 1997-09-08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 KR19990024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223A KR19990024851A (ko) 1997-09-08 1997-09-08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223A KR19990024851A (ko) 1997-09-08 1997-09-08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851A true KR19990024851A (ko) 1999-04-06

Family

ID=6604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223A KR19990024851A (ko) 1997-09-08 1997-09-08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8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760A (ko) * 1998-04-09 1999-11-05 윤종용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39849B1 (ko) * 2002-03-19 2008-06-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램프 점등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9760A (ko) * 1998-04-09 1999-11-05 윤종용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39849B1 (ko) * 2002-03-19 2008-06-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램프 점등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20890A1 (en) Refrigerator
JPH10300338A (ja) 冷蔵庫
JP4337789B2 (ja) 冷凍冷蔵庫
WO2010073653A1 (ja) 冷蔵庫
JP5366686B2 (ja) 冷蔵庫
TW201135169A (en) Refrigerator
KR19990024851A (ko) 냉장고의 고내등 점등방법
JP2010281481A (ja) 冷蔵庫
KR102157878B1 (ko) 냉장고
KR20070077943A (ko) 냉장고의 램프 제어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US20040080932A1 (en) Door sensing illumination device
KR100909465B1 (ko) 냉장고 조명장치
KR100389647B1 (ko) 냉장고의 고내등 제어방법
KR20090074973A (ko) 냉장고 조명장치
KR20070113049A (ko) 냉장고의 조명장치
CN113494810B (zh) 冷藏冷冻装置及其照明控制方法
CN2747524Y (zh) 具有冷冻室照明灯的冰箱
KR19990020218U (ko) 냉장고의 고내등
KR19990061266A (ko) 냉장고의 고내등 제어방법
JP2004039301A (ja) 照明装置
KR100286028B1 (ko) 냉장고
CN219829191U (zh) 冰箱
CN114543431B (zh) 超低温保存箱的照明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295254B1 (ko) 냉장고 고내등 제어장치 및 방법
KR0123446B1 (ko) 냉장고의 고내등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