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534A -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 - Google Patents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534A
KR19990024534A KR1019970045681A KR19970045681A KR19990024534A KR 19990024534 A KR19990024534 A KR 19990024534A KR 1019970045681 A KR1019970045681 A KR 1019970045681A KR 19970045681 A KR19970045681 A KR 19970045681A KR 19990024534 A KR19990024534 A KR 19990024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output
signal
band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8011B1 (ko
Inventor
최창호
박주령
홍성철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7004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80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80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04M3/28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 H04M3/32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lines between exchanges
    • H04M3/323Automatic routine testing ; Fault testing; Installation testing; Test methods, test equipment or test arrangements therefor for lines between exchanges for the arrangements providing the connection (test connection, test call, call sim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2Traffic simulation tools or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국의 성능 측정을 위한 테스트 지그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개인통신시스템의 이동국 성능 측정을 위해서 기지국 장비 또는 계측기와 이동국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국에 시뮬레이션 시험 환경을 설정해 주어 이동국의 각종 성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무선 채널 경로를 제공하는 테스트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RS232C 병렬 포트를 통하여 이동국 무선 채널 경로 및 입력부에 외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수신전력의 시간간격과 레벨을 자동 조절하여 실지 필드와 유사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설정하고, 각 무선 채널 경로의 경로 손실 테이타를 테이블화하여 외부에서 스위치만 조정하면 미리 예측된 경로 손실 오프셋을 포함한 무선 채널 경로가 자동 설정되도록 하여 시험 항목별로 측정의 균일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다른 시험 항목도 별도의 외부 조작없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각종 이동국의 성능 측정에 이용됨.

Description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개인통신시스템(PCS :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의 이동국 성능 측정을 위해서 기지국 장비 또는 계측기와 이동국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국에 시뮬레이션 시험 환경을 설정해 주어 이동국의 각종 성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무선 채널 경로를 제공하는 테스트 지그에 관한 것이다.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개인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의 성능 및 기능 평가 기술은 미국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규격인 J-STD-018(1800MHz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국 최소 성능 규격)과 CDG(CDMA Developement Group) 단계(Stage)의 권고 항목들을 측정하므로써 검증되어 왔다.
종래의 이동국 시험 환경은 기지국 장비와 이동국간 또는 계측기와 이동국간에 각종 무선주파수(RF) 소자들을 구성하여 무선 채널 경로를 설정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동국 성능 측정 항목중 일부의 필드 시뮬레이션 환경 설정이 난해하여 실험실내의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일예로 핸드오프 시험은 이동국에 수신되는 2종의 채널 전력이 주기적 레벨을 가지는 형태로 임의 조정이 안되어 이동국 핸드오프 성능의 정량적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폐루프 전력 제어 실험의 경우는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Generator) 레벨 변동에 따른 이동국 폐루프 전력 제어 응답 시간을 측정하는 것인데, AWGN을 임의 조정할 수 없어 시험이 불가능하였다. 이 항목이 실시되지 못한 800MHz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이동국은 실지 필드에서도 정량적 측정이 안되어, 이동국 핸드오프 동작 실패시에는 그 원인 근원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동국과 기지국의 중복 검증이 요구되었다.
그 외의 항목 측정의 경우에는 기지국 장비와 계측기 그리고 이동국 사이의 무선 채널 경로가 시험 항목별로 상이한 형상으로 요구되어 경로상의 무선주파수(RF) 소자들을 재배치하여야 함에 따라 시간 지연 요인이 발생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RS232C 형식의 병렬 포트를 통하여 이동국 무선 채널 경로 및 입력부에 외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수신 전력의 시간 간격과 레벨을 자동 조절하여 실지 필드와 유사한 시뮬레이션 시험 환경을 설정하고, 또한 각 무선 채널 경로의 경로 손실 테이타를 테이블화하여 외부에서 스위치만 조정하면 미리 예측된 경로 손실 오프셋을 포함한 무선 채널 경로가 자동 설정되도록 하여 시험 항목별로 측정의 균일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기타의 시험 항목도 별도의 외부 조작없이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는 테스트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의 구성도.
도 2 는 이동국의 인접 집합 파일롯 검출 시간에 대한 다이아그램.
도 3 은 폐루프 전력 제어 시험의 이동국 송신 전력에 대한 다이아그램.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인터페이스 보드 16 : 디지털 감쇠기
28,30 : 디지털 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지국 장비와 이동국 또는 계측기와 상기 이동국 사이에 다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무선 채널 경로를 설정하여 이동국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지그에 있어서, 외부기기로부터 감쇠 제어 명령과 스위칭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기와 정합하는 정합 수단;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감쇠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시간 간격을 조정하고 신호 레벨을 감쇠시키기 위한 제1 감쇠 수단;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이동국의 수신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수단;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감쇠시키기 위한 제2 감쇠 수단; 및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이동국의 송신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 장비와 이동국 또는 계측기와 상기 이동국 사이에 무선 채널 경로를 설정하여 이동국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지그에 있어서, 외부기기로부터 감쇠 제어 명령과 스위칭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기와 정합하는 정합 수단; 외부의 소스 기지국 또는 부가 백색 가우시안 잡음 발생기(AWGN)의 출력을 외부 감쇠기를 통하여 입력받아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감쇠 제어 명령에 따라 재감쇠시키기 위한 디지털 감쇠 수단;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지털 감쇠 수단의 출력을 스위칭하기 위한 제1 디지털 스위칭 수단; 상기 디지털 스위칭 수단의 출력과 타 경로의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 수단; 상기 제1 결합 수단의 출력을 전달하고 역방향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1 신호 차단 수단; 상기 제1 신호 차단 수단의 출력중 상기 이동국의 수신 대역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 대역 통과 여파 수단;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출력을 입력받아 필요한 대역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2 대역 통과 여파 수단; 상기 제2 대역 통과 여파 수단의 출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스텝 감쇠 수단;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텝 감쇠 수단의 출력을 스위칭하기 위한 제2 디지털 스위칭 수단;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스위칭 수단의 출력을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 수단; 상기 제2 결합 수단의 출력을 분배하기 위한 제1 분배 수단; 상기 제1 분배 수단의 일출력을 감쇠시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3 디지털 감쇠 수단; 및 상기 제1 분배 수단의 타출력을 감쇠시켜 외부의 타겟 기지국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4 디지털 감쇠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 신호 전력 조절을 위해 기지국 장비 및 계측기 입력부에 컴퓨터로서 조절이 가능한 디지털 감쇠기 모듈을 구비하고, 측정 항목별로 상이한 채널 환경을 모두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채널 경로를 구성하며, 인터페이스 보드와 연결되어 각 무선 채널 경로를 외부에서 컴퓨터 제어 명령으로 자동 설정해 주는 디지털 스위치 모듈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표 1]에서 인접 집합 파일롯 검출과 소프트 핸드오프시의 파일롯 오검출 실험의 채널 경로는 순방향 경로로서, 소스 기지국 출력 또는 AWGN 출력을 입력받아 감쇠시키는 외부 감쇠기(11), 인터페이스 보드(14)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의 감쇠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외부 감쇠기(11)의 출력을 재감쇠시키는 디지털 감쇠기(16),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14)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의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지털 감쇠기(16)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디지털 스위치(30), 상기 디지털 스위치(30)의 출력과 결합기(32)의 출력을 결합하는 결합기(31), 상기 결합기(31)의 출력을 순방향으로 대역 통과 여파기(34)로 전달하고 상기 대역 통과 여파기(34)로부터의 역방향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아이솔레이터(33) 및 상기 아이솔레이터(34)의 출력중 이동국의 수신 대역만을 통과시켜 외부의 방향성 커플러(13)를 통하여 이동국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대역 통과 여파기(34)로 이루어진다.
즉, 소스 기지국 출력인 채널 파일롯 세기는 디지털 감쇠기(16)에서 인터페이스 보드(14)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컴퓨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감쇠 레벨이 자동 조절되어 도 2 의 실험 기준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다른 소스 기지국 출력은 채널 파일롯 세기가 변동없는 경우이기 때문에 직접 결합기(32)에 입력하여 상기 소스 기지국의 출력과 동시에 결합기(31)에 입력한다. 이 신호들은 아이솔레이터(33)에서 방향성을 가지고 대역 통과 여파기(34)로 입력되며, 이동국의 수신 대역(1810MHz~1820MHz)의 신호 대역만이 통과되어 방향성 커플러(13)를 거쳐 이동국에 입력된다.
한편, 이동국의 출력 경로는 역방향 경로로서, 상기 방향성 커플러(13)을 통하여 이동국으로부터의 출력을 입력받아 필요한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여파기(35), 상기 대역 통과 여파기(35)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감쇠시키는 스텝 감쇠기(29), 상기 인터페이스 보드(14)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의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텝 감쇠기(29)의 출력을 스위칭하는 디지털 스위치(28), 상기 두 디지털 스위치(28,30)의 출력을 결합하는 결합기(27), 상기 결합기(27)의 출력을 분배하는 분배기(25), 상기 분배기(25)의 일출력을 감쇠시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감쇠기(23) 및 상기 분배기(25)의 타출력을 감쇠시켜 외부의 타겟 기지국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감쇠기(2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술되는 [표 1]의 폐루프 전력 제어 실험의 경우에 역방향 경로의 단말기 송신 전력을 미리 고정할 필요가 있을 때는 스텝 감쇠기(29)로써 레벨을 수동 조절하고, AWGN 출력 세기를 디지털 감쇠기(16)로써 자동 조절되게 한다.
다음으로, 특수 계측기가 사용되는 항목 측정시의 순방향 경로는, 외부의 제1 계측기로부터의 입력중 필요한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여파기(17), 외부의 제2 계측기로부터의 입력중 필요한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여파기(20), 상기 두 대역 통과 여파기(17,20)의 출력을 결합하여 결합기(31)로 출력하는 결합기(32)로 이루어지며, 이동국 다경로 페이딩 항목 측정시의 순방향 경로는 상기 결합기(32)에 페이딩 에뮬레이터(12)가 바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특수 계측기가 사용되는 항목 측정시의 역방향 경로는, 상기 디지털 스위치(28)의 출력을 입력받아 분배하는 분배기(26), 상기 분배기(26)의 일출력을 대역 통과 여파기(18)로 전달하고 상기 대역 통과 여파기(18)로부터의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아이솔레이터(19), 상기 아이솔레이터(19)의 출력중 필요한 대역만을 통과시켜 상기 제1 계측기로 출력되도록 하는 대역 통과 여파기(18), 상기 분배기(26)의 타출력을 대역 통과 여파기(21)로 전달하고 상기 대역 통과 여파기(21)로부터의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아이솔레이터(22) 및 상기 아이솔레이터(22)의 출력중 필요한 대역만을 통과시켜 상기 제2 계측기로 출력되도록 하는 대역 통과 여파기(21)로 이루어진다.
도 2 는 이동국의 인접 집합 파일롯 검출 시간에 대한 다이아그램을 나타낸다.
여기서, T_ADD는 인접 기지국이 후보 기지국에 들어가기 위해 만족해야 하는 기지국 파일럿 세기의 값이고, T_DROP는 기지국이 활성 집합에 남기 위한 최저 신호 레벨값이다.
데이터 인가시에만 동작하는 디지털 감쇠기는 도 2 에서와 같이 감쇠 레벨이 조절되도록 프로그램된 데이터를 RS232C 병렬포트를 통해 컴퓨터로부터 입력받게 된다. 이 기능을 지원해주는 감쇠기 조절부는 감쇠기와 호환되도록 인터페이스 보드 형태로 프로그램과 함께 레벨 조절 회로로 제공된다.
종래 기술은 기지국 장비 출력단의 송신 신호 전력을 직접 업 컨버터의 송신 이득값을 설정하여 조절해왔으나, 기지국 출력 신호 대 시간 다이아그램이 측정 항목의 요구 사양처럼 정밀하게 조정되지 않아, 이동국 수신 파일롯의 의사잡음(PN) 칩당 평균에너지와 총 전송전력 스펙트럼 밀도와의 비율(Ec/Io) 변동을 시험 알고리즘에 따라 발생시켜 가며 핸드오프 영역을 시험할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동국 수신 경로상에 마이크로초(microsec) 단위의 스위치 타이밍을 갖는 디지털 감쇠기 모듈을 구성하여, 측정항목 요구사양과 동일한 신호 다이아그램의 감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감쇠 조절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감쇠 효과가 임의 주기로 발생하도록 하였다. 그 예로 도 2 의 감쇠 주기 T는 10msec 단위의 임의 값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특수 계측기가 사용되는 항목 측정시에는 이동국 수신 경로상에 계측기가 적용되어 외부 단자에 연결되며, 이 경우에 외부 컴퓨터를 통하여 디지털 스위치를 조절하여 무선 채널 경로가 외부 장비로 설정되도록 한다. 또한, 각 시험 항목마다 미사용되는 경로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통하여 불필요한 신호가 유입되지 않도록 착탈식 차단캡을 설치하였다.
도 3 은 폐루프 전력 제어 시험의 이동국 송신 전력에 대한 다이아그램을 나타낸다.
이동국에서 핸드오프 알고리즘이 동작되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기지국 장비를 이용하는데, 타겟 기지국의 업 컨버터의 송신 이득값을 고정하더라도, 소스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채널 전력에 대해서만 감쇠 레벨을 임의로 변동시키므로써 이동국이 수신하는 파일롯 Ec/Io를 변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국은 자체 핸드오프 알고리즘에 의해 인접 집합 파일롯 검출(neighbor set pilot detection)을 수행하여 핸드오프 관련 메시지를 보고 하게 된다. 핸드오프 시험은 이동국에서 보고하는 핸드오프 검출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 시험을 가능하게 한다. 폐루프 전력 제어 시험의 경우에서는 AWGN을 디지털 감쇠기에 연결하여 이동국의 송신전력이 도 3 과 같은 효과가 나도록 감쇠 조절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 경우에 규격값에 의하여 감쇠기 작동 후에 이동국의 송신전력은 매 12.5ms 동안 8dB이상 12dB이하의(9.6Kbps 경우) 범위내로 변동되어야 하며, 본 발명으로써 이 측정도 실험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 다경로 페이딩 항목 측정시에는 이동국 수신 경로상에 페이딩 에뮬레이터 계측기가 삽입되며, 이 경우에는 컴퓨터로써 디지털 스위치를 외부 장비용 채널 경로로 자동 설정할 수 있으므로 경로 손실 오프셋을 예측할 수 있다. 종래 기술로 시험을 못했던 미국 ANSI 이동국 성능 측정 항목중 본 발명으로써 해결되는 항목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1]
규격 명칭 규격 목차 측정 항목명
ANSI J-STD-008(PN-3385): 1800-MHzCDMA 이동국최소 성능 규격 3.2.33.2.43.2.53.2.63.2.73.3 슬롯 모드에서의 유휴 핸드오프인접 집합 파일롯 검출과 소프트 핸드오프시의 파일롯 오검출후보 집합 파일롯 검출과 소프트 핸드오프시의 파일롯 오검출활성 집합 파일롯 검출과 소프트 핸드오프시의 파일롯 오검출다른 주파수로의 유휴 핸드오프복조 요구 사항
CDG2 : CDG단계2 연동기능 시험 규격 4.14.2 폐루프 전력 제어 시험순방향 통화 채널 전력 제어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국 수신 경로중 외부 장비 입력부에 RS232C 병렬 포트를 통한 컴퓨터 조정으로써 시간 간격, 레벨이 자동 조절되는 디지털 감쇠기 모듈을 구성하므로써 이동국에 입력되는 2종의 채널 전력을 순시적으로 임의 조정하여 이동국이 핸드오프를 일으키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하고, 외부 장비를 입력부에 적용하여 실험할 경우에 폐루프 출력 전력 시험도 가능하게 하였으며, 각 무선 채널 경로의 경로 손실 데이터를 미리 테이블화하고 테스트 지그 외부에서 스위치를 조작하면 채널 경로가 자동 설정되도록 하므로써 각 시험 항목별로 경로 손실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국 성능 측정시 실지 필드 환경에서도 정량적 평가가 불가능했던 실험을 시뮬레이션하여 실험실내에서도 별도 장비없이 단시간내에 시험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 비용 절감과 측정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동국 인수 검사시 제조자별 다종, 다수의 제품들을 균일한 환경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므로써 시험 환경 변화에 따른 재검증이 불필요하게 되어 업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기지국 장비와 이동국 또는 계측기와 상기 이동국 사이에 다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무선 채널 경로를 설정하여 이동국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지그에 있어서,
    외부기기로부터 감쇠 제어 명령과 스위칭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기와 정합하는 정합 수단;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감쇠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이동국으로 수신되는 신호의 시간 간격을 조정하고 신호 레벨을 감쇠시키기 위한 제1 감쇠 수단;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이동국의 수신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1 스위칭 수단;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감쇠시키기 위한 제2 감쇠 수단; 및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이동국의 송신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2 스위칭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테스트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험 항목을 측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계측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중 상기 이동국의 수신 대역을 통과시켜 상기 이동국의 수신 경로를 통하여 상기 이동국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국에 다양한 수신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대역 통과 여파 수단;
    상기 제2 스위칭 수단의 출력을 분배하여 상기 이동국에 다양한 송신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분배 수단;
    상기 분배 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전송하고 반대 반향의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차단 수단; 및
    상기 신호 차단 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필요 대역을 통과시켜 상기 계측기로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대역 통과 여파 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테스트 지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다경로 페이딩을 시험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국의 수신 경로에 외부의 페이딩 에뮬레이터를 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수단은,
    수신 전력의 시간 간격과 레벨을 자동 조절하여 실지 필드와 유사한 시뮬레이션 시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와, 각 무선 채널 경로의 경로 손실 테이타를 테이블화하여 미리 예측된 경로 손실 오프셋을 포함한 무선 채널 경로가 자동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지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경로의 외부 입력 단자는,
    각 시험 항목을 시험시 사용되지 않는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하여 불필요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착탈식 차단캡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지그.
  6. 기지국 장비와 이동국 또는 계측기와 상기 이동국 사이에 무선 채널 경로를 설정하여 이동국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지그에 있어서,
    외부기기로부터 감쇠 제어 명령과 스위칭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상기 외부기기와 정합하는 정합 수단;
    외부의 소스 기지국 또는 부가 백색 가우시안 잡음 발생기(AWGN)의 출력을 외부 감쇠기를 통하여 입력받아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감쇠 제어 명령에 따라 재감쇠시키기 위한 디지털 감쇠 수단;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디지털 감쇠 수단의 출력을 스위칭하기 위한 제1 디지털 스위칭 수단;
    상기 디지털 스위칭 수단의 출력과 타 경로의 신호를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 수단;
    상기 제1 결합 수단의 출력을 전달하고 역방향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1 신호 차단 수단;
    상기 제1 신호 차단 수단의 출력중 상기 이동국의 수신 대역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 대역 통과 여파 수단;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출력을 입력받아 필요한 대역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2 대역 통과 여파 수단;
    상기 제2 대역 통과 여파 수단의 출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스텝 감쇠 수단;
    상기 정합 수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스위칭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스텝 감쇠 수단의 출력을 스위칭하기 위한 제2 디지털 스위칭 수단;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스위칭 수단의 출력을 결합하기 위한 제2 결합 수단;
    상기 제2 결합 수단의 출력을 분배하기 위한 제1 분배 수단;
    상기 제1 분배 수단의 일출력을 감쇠시켜 상기 소스 기지국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3 디지털 감쇠 수단; 및
    상기 제1 분배 수단의 타출력을 감쇠시켜 외부의 타겟 기지국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4 디지털 감쇠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테스트 지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외부의 제1 계측기로부터의 입력중 필요한 대역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3 대역 통과 여파 수단;
    외부의 제2 계측기로부터의 입력중 필요한 대역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4 대역 통과 여파 수단;
    상기 제3 및 제4 대역 통과 여파 수단의 출력을 결합하여 상기 제1 결합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3 결합 수단;
    상기 제2 디지털 스위칭 수단의 출력을 분배하기 위한 제2 분배 수단;
    상기 제2 분배 수단의 일출력을 입력받아 전송하고 반대 반향의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2 신호 차단 수단;
    상기 제2 신호 차단 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필요 대역을 통과시켜 상기 제1 계측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5 대역 통과 여파 수단;
    상기 제2 분배 수단의 타출력을 입력받아 전송하고 반대 반향의 신호를 차단하기 위한 제3 신호 차단 수단; 및
    상기 제3 신호 차단 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필요 대역을 통과시켜 상기 제2 계측기로 출력하기 위한 제5 대역 통과 여파 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테스트 지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다경로 페이딩을 시험하기 위하여 상기 제3 결합 수단에 외부의 페이딩 에뮬레이터를 더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지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수단은,
    수신 전력의 시간 간격과 레벨을 자동 조절하여 실지 필드와 유사한 시뮬레이션 시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와, 각 무선 채널 경로의 경로 손실 테이타를 테이블화하여 미리 예측된 경로 손실 오프셋을 포함한 무선 채널 경로가 자동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지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경로의 외부 입력 단자는,
    각 시험 항목을 시험시 사용되지 않는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하여 불필요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도록 착탈식 차단캡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지그.
KR1019970045681A 1997-09-03 1997-09-03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 KR100228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681A KR100228011B1 (ko) 1997-09-03 1997-09-03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681A KR100228011B1 (ko) 1997-09-03 1997-09-03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534A true KR19990024534A (ko) 1999-04-06
KR100228011B1 KR100228011B1 (ko) 1999-11-01

Family

ID=1952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681A KR100228011B1 (ko) 1997-09-03 1997-09-03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80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238B1 (ko) * 1998-01-16 2002-01-0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및 장치와,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
KR100837227B1 (ko) * 2007-05-23 2008-06-11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 단말기와 측정기의 송수신 채널 정합 장치 및방법
US10912162B2 (en) 2016-06-09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cking member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238B1 (ko) * 1998-01-16 2002-01-05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및 장치와,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
KR100837227B1 (ko) * 2007-05-23 2008-06-11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이동통신 단말기와 측정기의 송수신 채널 정합 장치 및방법
US10912162B2 (en) 2016-06-09 2021-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cking member and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8011B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65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wireless devices
KR101637625B1 (ko) 다수의 디지털 신호 송수신기를 병렬로 시험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913963B2 (en) Method and device in over-the-air test environment
CN1996802B (zh) 时分同步码分多址接入终端射频一致性测试系统
CN107294557B (zh) 移动终端的射频前端电路和整机耦合测试方法
WO2013104174A1 (zh) 一种射频指标的测试系统
WO2017184925A1 (en) Antenna element self-test and monitoring
KR20010019997A (ko)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광대역 씨디엠에이 신호용 채널 시뮬레이터
KR20160052595A (ko) 다중 데이터 패킷 신호 트랜시버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100316746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위한무선채널 모사시험방법 및 장치
US11606125B2 (en) Beamforming antenna, measurement device, antenna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KR100467222B1 (ko) 다중 주파수할당 기지국의 수신감도 측정방법
KR100228011B1 (ko)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
CN1848712B (zh) 无线装置的测试系统以及测试方法
CN109286449B (zh) 一种误码测试和模拟卫星转发器的设备测试仪
FI100930B (fi) Menetelmä keskinäismodulaatioiden mittaamiseksi ja tukiasema
KR960014674B1 (ko) 이동통신용 페이더(Fader) 내장형 무선 채널 시뮬레이터 장치
KR100262935B1 (ko)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페이딩 시험을 위한 접속 장치
KR10059259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시험 장치 및 그 방법
KR100241895B1 (ko) 디지털셀룰라시스템에서의 타가입자잡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입자 부하인가방법
CN114598405B (zh) 无线通信测试系统
KR20030033434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 분석 진단장치
KR960014673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용 알에프(rf) 링크 시뮬레이션 장치
KR100834613B1 (ko) 기지국에서 송신 출력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Ben-Sassi et al. Intermodulation Products of a CMOS SP6T Antenna Switch: Results Comparison Between an Experimental Test-Bench and a Corresponding Simulated Virtual Test-B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