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9238B1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및 장치와,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및 장치와,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238B1
KR100319238B1 KR1019990000689A KR19990000689A KR100319238B1 KR 100319238 B1 KR100319238 B1 KR 100319238B1 KR 1019990000689 A KR1019990000689 A KR 1019990000689A KR 19990000689 A KR19990000689 A KR 19990000689A KR 100319238 B1 KR100319238 B1 KR 100319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enuator
path
performance
mobile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882A (ko
Inventor
쳉테리시-퐁
간디아시프다우디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1999006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91Modelling the propagation channel
    • H04B17/3911Fading models or fading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6Test equipment located at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 개인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 PCS) 시스템이나 셀룰러 시스템, 또는 다른 유형의 무선 시스템에 있어서 링크 성능은 시스템 구성의 다양한 변경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테스트 셋-업(set-up) 방식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예시하는 일 실시예는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의 수신 경로와 송신 경로의 공통 영역에 배열된 제 1 감쇄기와, 수신 경로의 수신 전용 영역 또는 송신 경로의 송신 전용 영역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열된 제 2 감쇄기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감쇄기에 의해 제공된 감쇄량은 수신 경로상의 감쇄량과는 다른 감쇄량이 송신 경로상에 제공될 수 있도록 분리된다. 시스템의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의 성능은 제 1 감쇄기 또는 제 2 감쇄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쇄기 값을 변경하면서 측정된다. 주어진 측정에 대해, 감쇄기 값은 기지국 증폭기 전력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구성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또다른 예로써, 감쇄기 값은 셀 크기가 증가되는 구성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감쇄 배열은 효율적이고 정확한 링크 밸런스 상태의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및 장치와,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ORWARD AND REVERSE LINK PERFORM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CDMA 시스템에서 링크 밸런스, 기지국 송신 전력의 증가에 따른 성능 결과, 및 다른 성능 상태들을 측정하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
IS-95 표준에 의거한 CDMA 개인 통신 서비스(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 PCS)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효과적인 구현 및 사용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성능의 정확한 측정을 요구한다. 전형적으로, CDMA PCS 시스템은 이동 송신 전력 제한에 의거하여 셀 유효 범위(cell coverage)를 계산함으로써, 그리고 순방향(즉, 기지국에서 단말기 방향) 링크가 셀 유효 범위내에서 이동 수신기의 간섭을 실질적으로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설계된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는, 시스템 구성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에 대한 시스템 구성의 특정 변경에 대한 효과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신호 전송을 위해 1.2와트(Watt)의 파일롯(pilot) 전력을 기지국에 설정하는 시스템(즉, 기지국은 롱텀(long term) 평균 전력이 8와트인 증폭기에서 15% 가용 전력을 이용한다)에 있어서, 16와트의 롱텀 평균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증폭기의 크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시스템 성능 및/또는 용량이 향상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점이 제기될 수 있다. 다른 의문점들은 부여된 시스템에서 원하는 성능과 용량 수준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셀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다.
불행히도, 통상적인 링크 측정 기법들은 시스템 구성에서 상술한 변경 및 다른 변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없다. 이러한 기법들은, 예를 들면, 시스템 전체에서의 실질적인 기지국 증폭기 전력의 증가 또는 실질적인 시스템 셀 크기의 증가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성능과 용량을 갖는 방식으로 테스트 이동 단말기를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변경이 가능하다 해도, 통상적인 기법들은 시스템 구성에서 특정 변경에 의해 원하는 성능과 용량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판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더욱이, 이러한 기법들은 CDMA 시스템의 동적 특성과, CDMA 시스템에서의 링크 밸런스가 위치에 의존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기법들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간의 링크 밸런스를 정확하게 제공하지 못한다.
상술한 바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고비용과 시간 소모가 많은 시스템 재구성 없이 링크 밸런스를 정확하게 지시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개선된 기법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성능을 측정하고, 링크 밸런스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시스템 구성에서 다양한 변경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상기 장치는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의 수신 경로 및 송신 경로의 공통 영역에 있는 제 1 감쇄기와, 송신 경로의 송신-전용 영역 또는 수신 경로의 수신-전용 영역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있는 제 2 감쇄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감쇄기의 구성은 역방향(즉, 이동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방향) 링크상에 제공된 감쇄량으로부터 순방향(기지국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방향) 링크상에 제공된 감쇄량을 효율적으로 분리한다. 링크의 성능은 각각 독립적으로 측정될 수 있어, 링크 밸런스가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가능한 일 구체예로서, 이러한 감쇄량의 분리는 장치내 이동 수신기와 이동 안테나 사이에 접속된 순환기를 이용함으로써 제공한다. 제 1 감쇄기는 순환기와 안테나간 수신 및 송신 경로의 공통 영역에 접속되고, 제 2 감쇄기는 순환기와 병렬로 제공된 수신-전용 경로 또는 송신-전용 경로중 어느 하나의 경로에 접속된다.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를 위해 제공된 감쇄량을 분리하기 위해 다른 분리 메카니즘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재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대체 구성들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쇄기 값은 기지국 증폭기 전력이 현재 시스템 구성의 감쇄기 값에 비례하여 변경되는 시스템 구성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감쇄기 값은 셀 크기가 현재 시스템 구성의 감쇄기 값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시스템 구성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다른 구성 변경도 또한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CDMA PCS 시스템과 결합하여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할 지라도, 광범위한 다른 유형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 소모가 많으며, 많은 경우에서 매우 비현실적인 시스템 재구성 없이, 시스템 구성에서 변경에 대해 효율적이고 정확한 링크 측정과 링크 밸런스 지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 그리고 다른 장점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다음의 상세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링크 성능 측정 기법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링크 밸런스 테스트 셋-업(link balance test set-up)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순방향 링크 성능 측정 기법에 있어서 감쇄 값에 따른 평균 프레임 에러율(frame error rate : FER)의 플롯도.
도 4a-4c은 본 발명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시스템 구성들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감쇄 값이 이용될 수 있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 밸런스 개념들(link balance concepts)을 예시하는 가상 시스템 구성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성능에 대한 에러율의 플롯도.
도 6a-6c은 본 발명의 기법들을 이용하는 예시적인 측정에 있어서 순방향 링크 성능, 순방향 링크 용량 및 역방향 링크 성능에 대한 측정 결과를 각각 도시한 플롯.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 밸런스 상태를 결정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순방향 및 역방향 플롯들의 비교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1, 14-2 : 이동 교환기(MSC)16 : 공중 전화망(PSTN)
20 : 홈 위치 레지스터(HLR)22 :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
30 : 테스트 셋-업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전형적인 IS-95 CDMA 무선 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임의의 특정 유형의 통신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국한되지 않고, 정확하고 효율적인 링크 성능 측정을 제공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기법들이 IS-95 CDMA 셀룰러 및 PCS 시스템을 참조하여 설명될 지라도, 본 발명의 기법들은 다른 CDMA 시스템들 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광대역 및 협대역 통신 시스템(wideband and narrowband wireless system)에서도 역시 적용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순방향 링크'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기지국에서 이동 단말기로의 통신 링크를 나타내는데 반해서, '역방향 링크'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 링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감쇄기'란 용어는 고정 또는 가변 감쇄기 패드 뿐만 아니라 다른 임의의 유형의 고정 또는 가변 감쇄 장치도 포함함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셀룰러 또는 PCS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시스템(10)은 TIA/EIA/IS-95A의 1996년 6월호에 기재된 'Mobile Station - Base Station Compatibility Standard for Dual-Mode Wideband Spread Spectrum Cellular System,'과 ANSI JSTD-008에 기재된 'Personal Station-Base Station Compatibility Requirements for 1.8 to 2.0 GHz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에 따라 구성되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 문헌으로 인용된다. 시스템(10)은 이동 단말기(12)와 다수의 기지국 BS1, BS2, BS3 및 BS4를 포함한다. 도 1의 기지국 BS1은 실선 화살표(24)로 표시된 경로를 통해 이동 단말기(12)와 통신하는 제 1 기지국(primary base station)을 의미한다. 제 1 기지국 BS1은 상기 인용된 표준안들에서 기술된 CDMA 기법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2)와 통신한다. 이동 단말기(12)가 시스템(10)내에서 이동할 때, 기지국 BS1 이외의 다른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12)와 통신하기 위해 제 1 기지국이 되는 핸드오프(handoffs)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2)가 시스템(10)내에서 이동할 때, 이동 단말기(12)와 관련하는 통신은 기지국 BS1로부터 기지국 BS2, BS3 및 BS4중 어느 하나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2)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대시 화살표들(26)로 표시된 경로를 통해, 파일롯 신호를 수신하고 핸드오프 관련 정보를 통신한다.
CDMA PCS 시스템(10)은 제 1 및 제 2 이동 교환기(MSC)(14-1 및 14-2)를 또한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부여된 MSC는 수 개의 기지국을 공중 전화망(PSTN)(16)과 접속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MSC(14-1)는 기지국 BS1 및 BS2를 PSTN(16)과 접속하며, MSC(14-2)는 기지국 BS3 및 BS4를 PSTN(16)과 접속한다. 시스템(10)은 홈 위치 레지스터(home location register:HLR)(20)와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isitor location register:VLR)(22)를 구비하는 다수의 레지스터를 갖는 메모리(18)를 또한 포함한다. HLR(20)과 VLR(22)은 시스템(10)의 각 이동 단말기(12)에 대한 가입자 데이터와 과금 정보(billing information)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 밸런스 측정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형적인 테스트 셋-업(30)을 예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CDMA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셀 유효 범위를 이동 단말기 송신 전력 제한에 의거하여 계산하고, 순방향 링크가 셀 유효 범위내에서 이동 수신기로의 간섭이 충분히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설계된다. CDMA 시스템내에 부여된 링크는 가변 감쇄기를 테스트 이동 단말기에 배치함으로써 인위적으로 강조될 수 있다. 가변 또는 고정 감쇄기는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감쇄기 패드 또는 간단히 패드로서 지칭될 것이다. 도 2의 테스트 셋-업(30)은 테스트 이동 단말기(32), 순환기(34) 및 안테나(38)를 포함한다. 공통-경로 패드(36)는 안테나(38)와 순환기(34)의 한 포트 사이에 결합된다. 따라서, 공통 경로 패드(36)는 테스트 셋-업(30)내 송신 및 수신 경로의 공통 영역에 배열된다. 공통-경로 패드(36)는 시스템 전체에서의 기지국 송신 증폭기의 고전력 또는 저전력의 사용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전체 수신 전력(즉, 신호와 간섭 포함)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통-경로 패드(36)는 역시 역방향 링크 경로 손실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므로, 공통-경로 패드는 시스템 셀 크기의 증가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단일-경로 패드(40)는 순환기(34)의 다른 포트에 접속되는데, 이는 공통-경로 패드(36)에 의해 제공된 경로 손실 외에 테스트 이동 단말기(32)와 안테나(38)간의 단일 경로(즉, 송신 경로와 수신 경로중 어느 하나의 경로)에서 추가적인 경로 손실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경로 패드(40)와 순환기(34)와의 접속은 다른 링크상에 경로 손실을 야기시키지 않고 역방향 링크 경로 손실 또는 순방향 링크 경로 손실이 증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테스트 셋-업(30)내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에 대해서 다른 감쇄량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테스트 셋-업(30)을 이용하여 측정된 예시적인 순방향 링크 성능을 도시한 플롯이다. 플롯은 데시벨(㏈) 단위의 수신 경로 감쇄값에 따른 프레임 에러율(frame error rate : FER)에 의한 순방향 링크 성능을 도시한다. 플롯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약 0㏈와 20㏈ 사이의 수신 경로 감쇄값에 대한 순방향 링크에 대한 평균 FER은 약 1.0과 1.2사이에 있다. 그러나, 약 25㏈ 이상의 수신 경로 감쇄값에 대해 링크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테스트 셋-업(30)에 의해 제공된 수신 경로 감쇄량을 변경시킴으로써, 순방향 링크의 성능을 특성화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테스트 셋-업(30)에 의해 제공된 송신 경로 감쇄량을 변경시킴으로써, 역방향 링크의 성능을 특성화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4a-4c는 테스트 단말기(32)에서 시스템 전체에서의 증폭기의 특정 전력 레벨의 사용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이동 단말기에서 수신 경로 감쇄값의 변경에 의해, 전체 수신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한다. 도 4a-4c의 각 도면은 N개의 셀을 갖는 시스템에서 4 개의 전형적인 셀(45-1, 45-2, 45-3 및 45-4)을 도시한다. 셀(45-i)은 육각형 형태를 갖는 것으로 예시된다. 셀(45-i) 각각은 기지국(47)과 3-섹터 방향성 안테나(three-sector directional antenna)를 포함한다. 셀(45-i)내에 있는 기지국(47)은 섹터 S1, S2, S3 및 S4 뿐만 아니라 상세하게 열거되지 않은 다른 섹터에서 송신된 신호를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든 섹터는 동일한 주파수를 공유한다. 테스트 이동 단말기(32)는 셀(45-1)내의 X로 표시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a는 셀(45-i)내의 각 기지국이 8와트의 롱텀 평균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도 2의 테스트 셋-업에서 전체 수신 경로 감쇄값이 10㏈로 설정된 케이스 A를 도시한다. 케이스 A에서 섹터 S1에 대한 테스트 이동 단말기(32)에서의 신호 대 간섭 비 EC/IO는 다음과 같이 부여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Sf1은 순방향 링크를 통하여 테스트 이동 단말기(32)에서 수신된 섹터 S1 파일롯 신호의 전력을 나타내고, Si는 i번째 섹터로부터의 테스트 이동 단말기(32)에서 수신된 전체 전력을 나타낸다. 도 4b는 상기 셀(45-i)내 각 기지국이 16와트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도 2의 테스트 셋-업에서 전체 수신 경로 감쇄값이 10㏈로 설정된 케이스 B를 도시한다. 이러한 케이스 B에서, 섹터 S1에 대한 테스트 이동 단말기(32)에서의 신호 대 간섭 비 EC/IO는 다음과 같이 부여된다.
도 4c는 케이스 B에서와 동일한 섹터 S1에 대한 신호 대 간섭 비 EC/IO가 셀(45-i)의 각각에서 증폭기 전력을 배가시켜 산출되지는 않지만, 테스트 이동 단말기(32)에서 전체 수신 경로 감쇄값을 3㏈ 만큼 감소시킴으로써 산출되는 케이스 C를 도시한다. 따라서 테스트 셋-업(30)내 전체 수신 경로 감쇄값은 시스템 전체에서의 기지국 증폭기 전력의 증가를 시뮬레이션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 셋-업(30)은 순방향 링크 수신 경로와는 독립적으로 역방향 링크 경로 손실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테스트 셋-업(30)은 현재 셀의 실제 크기의 임의의 변경없이 보다 큰 셀 크기를 갖는 임의의 시스템에 대한 역방향 링크 성능을 특성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역방향 링크가 추가로 3㏈ 만큼 늘어나도록 현재 셀의 크기를 증가하는 임의의 제안된 시스템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테스트하려면 전체 송신 경로 감쇄값을 3㏈로 설정함으로써 시스템을 시뮬레이션하면 될 것이다. 따라서, 테스트 셋-업(30)은 시간 낭비, 고비용, 그리고 매우 비현실적인 시스템의 재구성없이 다양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성능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IS-95 CDMA PCS 시스템에서의 링크 성능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성능 측정 프로세스가 테스트 셋-업(30)을 예시하여 설명될 것이다. 시스템은 빌딩내 또는 차량의 유효 범위내에 대해 설계되고, 이로 인한 약간의 여유량, 23㏈m의 최대 이동 송신 전력, 및 약 -104㏈m(IS-95 현재 표준안에서) 감도를 갖는 것으로 설계되는 것은 제약없이 가정될 것이다. 먼저, 상기 시스템의 수 개의 셀을 통과하도록 '구동 루트(drive route)'는 선택되며, 선택된 구동 루트상에 있는 테스트 이동 단말기는 수 개의 다른 셀 섹터의 내부 및 외부를 통과한다. 따라서, 구동중에 테스트 이동 단말기는 수 개의 섹터와의 간단한 접속을 위해서 수 개 섹터의 각 섹터 내부에 약간의 시간 동안 존재해야 하고, 다른 때에 테스트 이동 단말기는 다른 셀 또는 섹터와 핸드오프 모드가 되도록 섹터의 외부 영역에 존재해야 할 것이다. 선택된 구동 루트를 통해 얻은 성능 측정이 시스템 전체 성능의 정확한 픽쳐(picture)를 제공하도록, 구동 루트는 수 개 셀의 내부 및 외부 영역을 커버해야 한다. CDMA 시스템에서 링크 밸런스 문제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와 관련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정의 방법에서는 상술한 구동 루트의 선택이 중요하다.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에 대한 시스템 성능은 다음과 같이 측정될 수 있는데, 즉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가 균등하게 감쇄되도록, 공통-경로 패드(36)를 10㏈와 같은 특정 값으로 설정하고 단일-경로 패드(40)를 0으로 설정하는 단계(1)와, 구동 루트를 따라서 수신 경로 감쇄에 대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시스템 성능을 측정하는 단계(2)와, 모든 다른 시스템 파라미터를 변경하지 않고 유지시키면서 수신 경로 감쇄를 4㏈와 같은 지정된 양만큼 증가시키는 단계(3)와, 구동 루트를 따라서 증가된 수신 경로 감쇄에 대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성능을 측정하는 단계(4)와, 단계(3) 및 단계(4)를 반복하되, 순방향 링크 성능이 저하되기 시작할 때까지 매번 수신 경로 감쇄를 증가시키는 단계(5)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단계(2) 및 단계(4)에 있어서 시스템 성능은 프레임 에러율 또는 다른 적합한 파라미터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경로 감쇄의 증가가 시스템 셀 크기의 증가를 시뮬레이션하는 반면, 수신 경로 감쇄의 감소는 시스템 전체에서의 기지국 증폭기 전력 레벨의 증가를 시뮬레이션한다.
상술한 단계(3)의 초기 반복시에, 단계(2)에서의 수신 및 송신 경로 감쇄값에 비례하여 약 4㏈만큼 증가된 수신 및 송신 경로 감쇄값으로 인해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의 프레임 에러율 성능이 실제로 변경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능의 불변은 전혀 예상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순방향 링크 이동 수신기에서, 추가의 4㏈ 수신 경로 감쇄는 원하는 가입자 전력을 4㏈만큼 필수적으로 감소시키고, 또한 다른 시스템 가입자들의 전력(즉, 동일 섹터와 다른 섹터/셀로부터의 CDMA 내부 간섭)을 4㏈만큼 감소시킨다. 내부 간섭이 열 잡음 플로어(thermal noise floor)보다 훨씬 크다면, 시스템은 간섭에 의해 제한되고, 신호 및 잡음의 동일 감소에 대해서 시스템의 성능이 실제로 어떠한 차이도 없을 것이다. 유사하게, 테스트 셋-업(30)은 본질적으로 역방향 링크 경로 손실을 4㏈만큼 증가시키는 것처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역방향 링크의 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가용 이동 송신 전력이 충분하다면, 시스템에서의 전력 제어 기능은 추가적인 4㏈의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작동하게 되고, 역방향 링크 성능은 실제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될 것이다.
상술한 측정 프로세스의 연속적인 반복 과정에서 수신 및 송신 경로 감쇄값이 증가될 때,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의 성능은 대개 저하되기 시작할 것이다. 예를 들어, 충분한 송신 경로 감쇄값에서 이동 송신기가 기지국 수신부에 대한 전체적인(즉, 실질적인 것과 유도 패드 포함) 역방향 링크 경로 손실을 극복하기 위해 충분한 전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역방향 링크의 성능은 저하되기 시작할 것이다. 순방향 링크 이동 수신기에서, 보다 큰 수신 경로 감쇄값에 의해 결국 열 잡음 전력이 CDMA 내부 간섭 전력에 필적하게 될 것이다. 그러한 관점에서, 시스템은 더 이상 간섭 제한되지 않게 되고, 더 이상의 수신 경로 감쇄의 증가는 신호 대 간섭 비 EC/IO의 감소와 그에 상응하게 순방향 링크 성능을 감소시킬 것이다.
도 5는 도 2의 테스트 셋-업 및 상술한 측정 과정을 이용하여 링크 밸런스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고려사항을 예시한다. 도 5는 전체 수신 경로 감쇄패드 값과 전체 송신 경로 감쇄 패드 값에 따른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의 가상 성능을 도시한 플롯이다. 이 성능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각각에 대한 평균 순방향 FER과 역방향 FER과 같은 성능 메트릭의 관점에서 측정된다. 각 플롯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프로세스, 즉 강력한 역방향 링크를 유지하기 위해서 전체 송신 경로 감쇄값을 상당히 낮은 값으로 유지하면서, 전체 수신 경로 감쇄값을 증가하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에 대한 성능이 측정된다. 가상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신 경로 감쇄값이 18㏈로 증가될 때까지, 즉 평균 FFER이 두배의 3.0% 평균 FFER로 감소하는 시점까지, 순방향 링크 성능은 1.5% 평균 FFER에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역방향 링크의 성능은 평균 RFER이 2.7%로 감소하는 지점인 15㏈의 전체 송신 경로 감쇄 패드 값까지 0.9%의 평균 RFER에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이와 같은 가상 케이스에 대해, 순방향 링크가 역방향 링크에 비해 3㏈ 만큼 더 우수하다고 결론짓고 있다.
시스템 전체에서의 증폭기 전력의 3㏈ 감소는 도 5에서 3㏈ 만큼 좌측으로 쉬프트시키며, 15㏈의 수신 경로 감쇄값에서 순방향 링크는 3%의 FFER로 저하된다. 그 결과,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는 동일한 감쇄값(즉, 15㏈)에서 성능 저하 또는 '차단'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질적인 프레임 에러율의 정상 상태 성능이 아닌 오히려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모두의 동시 파손 현상은 링크 밸런스의 표시기로 사용된다. 링크 밸런스(즉, RFER의 점근선값 보다 더 큰 FFER의 값은 링크 밸런스를 의미하지 않는다)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도 5에 도시된 플롯들의 평평한 부분은 절대적인 값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대신에, 링크 밸런스는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모두에 대해 저하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링크 밸런스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도 2의 테스트 셋-업(30)의 패드(36, 40)를 이용하여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를 불균일하게 감쇄시키면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에 대한 플롯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롯과 유사하게 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 셋-업(30)은 하나의 링크 성능이 저하되는 지점이 결정되는 동안, 다른 하나의 링크 성능이 허용 레벨로 유지될 수 있도록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감쇄를 분리 또는 격리한다.
도 6a-6c는 23 ㏈m의 최대 이동 송신 전력과 -104 ㏈m의 이동 수신 감도를 갖는 예시적인 IS-95 PCS CDMA 시스템에 상술한 기법들을 적용하여 구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성능 측정을 예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결과는 1%의 목표 FFER과 1%의 목표 RFER에 대한 것이다. 상기 성능 측정에서는, 실제의 음성 호 목표 RFER이 0.5%가 되도록 총율 마르코프 호(full rate Marcov call)가 이용된다. 전체 시스템에는, 12 가입자들을 로딩하는 타-채널 노이즈 시뮬레이터(other-channel noise simulator : OCNS)와, 총율 마르코프 호를 이용하는 테스트 단말기(각 가입자는 72개의 디지털 이득 단위(digital gain unit : DGU)로 구성됨)가 제공되어 순방향 링크상에 총 14명의 가입자들이 구성된다고 가정된다. 동일한 로드가 역방향 링크상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6a-6c에서 데이터 지점들을 통해서 도시된 직선들은 단지 예시적이고 명확성을 위해 도시된 것이지 평균값을 나타내지는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6a는 평균 FFER과 3%보다 더 큰 FFER을 갖는 빈(bins) 백분율의 메트릭스를 이용한 순방향 링크 성능 결과를 도시하는 플롯으로서, 둘은 ㏈ 단위의 수신 경로 감쇄값의 함수이다. 도 6b는 평균 FFER에서 순방향 링크 성능에 따라서 도시된 평균 DGU의 메트릭을 이용한 순방향 링크 용량 측정을 도시한 플롯으로서, 둘은 수신 경로 감쇄값의 함수이다. 도 6c는 평균 RFER, 1%보다 더 큰 RFER을 갖는 빈 백분율, 그리고 2%보다 더 큰 RFER을 갖는 빈 백분율의 메트릭스를 이용한 역방향 링크 성능 결과를 보이는 플롯으로서, 모든 메트릭스는 ㏈ 단위의 송신 경로 감쇄값의 함수이다. 역방향 링크 결과에서, 로딩은 결과를 약 55% 폴점(pole point)의 역방향 링크 로딩에 상응하는 3.5㏈ 만큼 좌측으로 쉬프트함으로써 수행된다. CDMA 시스템에서 특정의 목표 FER을 얻기 위해서 역방향 링크 폴점은 요구하는 역방향 링크 Eb/NO와 같은 수 개의 파라미터에 의존됨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들 파라미터중 일부는 시스템 링크 비용면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하나의 시스템으로부터 다른 시스템으로의 구현에 있어서, 수신기 잡음 여유도(역시 잡음 상승으로 알려진)는 물론 폴점값에서도 약간의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도 6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드된 역방향 링크 성능은 송신 경로 감쇄의 약 22-23㏈을 지나서 상대적으로 빠르게 저하한다. 도 6c에 도시된 3개의 모든 역방향 링크 성능 측정은 거의 동일한 감쇄값에서 저하되고, 이로 인해 평균 RFER은 다음 설명에서 역방향 링크 성능의 벤치마크로 이용될 것이다. 도 6c의 역방향 링크 결과에 비해서,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방향 링크 성능 및 용량은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저하되는데, 이는 순방향 링크 차단점의 결정을 더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하지만, 도 6a와 도 6b(즉, 성능에 대한 평균 FFER과 3%보다 더 큰 빈 백분율, 그리고 용량에 대한 평균 DGU)에서 성능 및 용량 메트릭스는 모두 유사하게 저하된다.
도 7은 동일한 축적상에서 도 6a-6c로부터 얻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성능을 도시한 플롯이다. 이와 같은 플롯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성능상에 대한 소정의 시스템 구성 변경에 대한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총율 마르코프 호에 대한 역방향 링크에 대한 실제 목표 FER은 본질적으로 0.5%이기 때문에, 적절한 비교를 위해서 역방향 링크 결과는 두배로 승산된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순방향 링크에 대한 성능은 역방향 링크가 '차단'되기 전 약 4-6㏈에서 점차적으로 저하되기 시작한다. 역방향 링크 성능이 일단 저하되면, 그 성능 저하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된다.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플롯들은 약 23㏈의 감쇄값에서 목표율의 두배인 약 2%의 FER에서 교차하고, 그 후에 플롯들은 보다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비록 이와 같은 예에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을 지라도, 역방향 링크가 순방향 링크와 거의 동일한 지점에서 저하되지 않을 경우, 테스트 셋-업(30)에서의 송신 경로 감쇄는 역방향 경로 감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증가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테스트 셋-업과 성능 측정 프로세스는 시스템 전체에서의 기지국 송신 전력 증가와 같은 시스템 구성 변경의 결과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전체에서의 기지국 송신 전력의 3㏈ 또는 5㏈ 증가는 도 7에서 FFER 곡선을 우측으로 3㏈ 또는 5㏈ 만큼 각각 쉬프트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링크 밸런스 플롯 형태는 추가적인 순방향 링크 증폭기 전력은 아마도 시스템내에서 경계 값임을 나타내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내에서 모두 8와트의 평균 전력 기지국 송신 증폭기를 16와트의 평균 전력 증폭기로 대체함으로써, 3㏈의 추가적인 증폭기 전력이 가산되는 것으로 가정하자. 이러한 변경은 순방향 링크 성능 곡선을 우측으로 3㏈ 만큼 쉬프트시킬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여분의 3㏈는 가장 불리한 상황에 처한 이동 단말기에만 영향을 미치게 할 것이다. 즉, 평균 FFER은 약 0.35%(약 1.9%에서 1.55%까지) 만큼 감소할 것이고, 평균 DUG는 역방향 링크가 차단되기 시작하는 점(약 22㏈의 감쇄값)에서 약 5%만큼 감소할 것이다. 추가의 3㏈ 증폭기 전력은 모든 이동 단말기에 대한 상술한 바와 같은 매우 미세한 성능 개선점을 보장하지는 못할 것이다. 특정 섹터 또는 셀내에서의 16와트 평균 전력 증폭기의 국부적인 사용과 같은 다른 기법들은 비용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도 2의 테스트 셋-업(30)을 이용하여 수행된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성능 측정은 이와 같은 결정이 최소한의 비용 및 시스템 재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유사한 측정들은 부여된 시스템에 대한 다른 가능한 설계 변경을 통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으로 기술되었다. 대체 실시예는 다른 유형의 링크 성능 측정들을 수행할 수 있고,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에 대한 감쇄값을 분리하기 위해 다른 메카니즘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의 테스트 셋-업내 순환기는 송신 및 수신 경로를 분리하는 하나의 적합한 필터 또는 다수개의 필터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내에 있는 다른 다양한 대체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 성능 측정 기법을 이용함으로써, 고비용과 시간 소모가 많은 시스템의 재구성 과정 없이 다양한 시스템 변경에 따른 각각의 링크 밸런스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상호 통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신 경로상의 감쇄량과는 다른 감쇄량이 송신 경로상에 제공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송신 경로와 수신 경로의 공통 부분에 제 1 감쇄기를 삽입하고, 상기 수신 경로의 수신-전용 영역과 상기 송신 경로의 송신-전용 영역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제 2 감쇄기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감쇄기 및 제 2 감쇄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쇄기 값을 변경하면서 상기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하여 상기 시스템의 다수의 기지국의 재구성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단계는 상기 송신 경로와 상기 수신 경로의 공통 부분에 제 1 가변 감쇄기를 삽입하고, 상기 수신 경로의 수신-전용 영역과 상기 송신 경로의 송신-전용 영역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제 2 가변 감쇄기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기지국 증폭기 전력이 현재 시스템 구성의 감쇄기 값에 비례하여 변경되는 시스템 구성에서 상기 시스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쇄기 값이 선택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셀 크기가 현재 시스템 구성의 감쇄기 값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시스템 구성에서 상기 시스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쇄기 값이 선택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쇄기 값을 변경하면서 상기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 성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쇄기 값을 변경하면서 상기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성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중 단 하나의 감쇄기 값만을 변경하고 다른 하나의 감쇄기 값은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의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에 대한 링크 밸런스 상태가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8.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상호 통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성능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의 공통 부분에 배열된 제 1 감쇄기와,
    상기 수신 경로상의 감쇄량과는 다른 감쇄량이 상기 송신 경로상에 제공되도록, 상기 수신 경로의 수신-전용 영역과 상기 송신 경로의 송신 전용 영역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열된 제 2 감쇄기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의 다수의 기지국의 재구성을 시뮬레이션하도록, 상기 시스템의 성능이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쇄기 값을 변경하면서 측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접속된 이동 수신기와,
    상기 안테나와 상기 이동 수신기간에 접속된 순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감쇄기는 상기 송신 및 수신 경로의 공통 부분에서, 상기 순환기의 포트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감쇄기는 상기 순환기와 소정의 경로에서 병렬로 접속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는 가변 감쇄기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기지국 증폭기 전력이 현재 시스템 구성의 감쇄기 값에 비례하여 변경되는 시스템 구성에서 상기 시스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쇄기 값이 선택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장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셀 크기가 현재 시스템 구성의 감쇄기 값에 비례하여 증가되는 시스템 구성에서 상기 시스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쇄기 값이 선택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 성능은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쇄기 값을 변경하면서 측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장치.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성능은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쇄기 값을 변경하면서 측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중 단 하나의 감쇄기 값만을 변경하고 다른 하나의 감쇄기 값은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의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에 대한 링크 밸런스 상태가 결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17.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에 접속된 이동 수신기와,
    상기 안테나와 상기 이동 수신기간에 접속된 순환기와,
    상기 순환기의 포트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 접속된 제 1 감쇄기와,
    상기 순환기와 소정의 경로에서 병렬로 접속되는 제 2 감쇄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수신 경로 감쇄량과는 다른 감쇄량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송신 경로상에 제공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가 배열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쇄기는 송신-전용 경로상에서 상기 순환기와 병렬로 접속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쇄기는 수신 전용 경로상에서 상기 순환기와 병렬로 접속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
  20.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상호 통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송신 및 수신 경로의 공통 부분에서 제 1 감쇄량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경로의 수신-전용 영역과 상기 송신 경로의 송신-전용 영역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제 2 감쇄량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감쇄량에 의해 상기 시스템의 다수의 기지국의 재구성을 시뮬레이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21.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상호 통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경로상에서의 감쇄량과는 다른 감쇄량을 상기 송신 경로상에 제공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의 수신 경로상에 제공된 감쇄량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송신 경로상에 제공된 감쇄량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의 다수의 기지국의 재구성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상기 송신 경로 및 상기 수신 경로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상에 제공된 상기 감쇄량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22.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상호 통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링크 성능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송신 경로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수신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경로는 상기 수신 경로상의 감쇄량과는 다른 분리된 감쇄량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송신 경로 및 상기 수신 경로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상에 제공된 감쇄량을 변경하여 상기 시스템의 다수의 기지국의 재구성을 시뮬레이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장치.
  23.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상호 통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링크 성능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송신 경로 및 수신 경로의 공통 부분에 배열된 제 1 감쇄기와,
    상기 수신 경로상의 감쇄량과는 다른 감쇄량이 상기 송신 경로상에 제공되도록, 상기 수신 경로의 수신-전용 영역과 상기 송신 경로의 송신 전용 영역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배열된 제 2 감쇄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안테나와,
    상기 이동 단말기와 관련되며 상기 안테나에 접속된 이동 수신기와,
    상기 이동 수신기와 상기 안테나간에 접속된 순환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감쇄기는 상기 송신 및 수신 경로의 공통 부분에서, 상기 순환기의 포트와 상기 안테나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 2 감쇄기는 상기 순환기와 소정의 경로에서 병렬로 접속되며,
    상기 시스템의 성능은 상기 제 1 및 제 2 감쇄기중 적어도 하나의 감쇄기 값을 변경하면서 측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장치.
KR1019990000689A 1998-01-16 1999-01-13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및 장치와,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 KR100319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008,255 1998-01-16
US09/008,255 US6154638A (en) 1998-01-16 1998-01-16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orward and reverse link performa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08,255 1998-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882A KR19990067882A (ko) 1999-08-25
KR100319238B1 true KR100319238B1 (ko) 2002-01-05

Family

ID=2173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0689A KR100319238B1 (ko) 1998-01-16 1999-01-13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및 장치와,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54638A (ko)
EP (1) EP0930735A2 (ko)
JP (1) JPH11298423A (ko)
KR (1) KR100319238B1 (ko)
CN (1) CN1231571A (ko)
AU (1) AU1210899A (ko)
BR (1) BR9900003A (ko)
CA (1) CA22569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9452B1 (en) * 1999-10-01 2003-02-1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erformance
US6438363B1 (en) * 1999-11-15 2002-08-20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modem alignment in a multi-cell environment
JP3516663B2 (ja) * 2001-02-26 2004-04-0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Cdma基地局試験装置及び基地局試験方法
JP3498063B2 (ja) * 2001-03-26 2004-02-1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局試験装置
US7574230B1 (en) * 2001-05-31 2009-08-11 Sprint Spectrum L.P. Remote base station with transmit power control
US7260415B1 (en) * 2001-05-31 2007-08-21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based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7221653B2 (en) * 2001-07-30 2007-05-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ast flow control methods for communication networks
US8977284B2 (en) 2001-10-04 2015-03-10 Traxcell Technologies, LLC Machine for providing a dynamic data base of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8050670B2 (en) * 2003-04-22 2011-11-0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mobile telephone network
US7853215B2 (en) * 2003-10-10 2010-12-14 Motorola, Inc. Communication circuit and method for selecting a reference link
US7636322B1 (en) 2005-03-07 2009-12-22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RF access probes based on RF conditions
US8712422B1 (en) 2005-05-18 2014-04-29 Sprint Spectrum L.P. Dynamic allocation of access channels based on access channel occupancy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55395A1 (en) * 2005-12-29 2007-07-05 Nandu Gopalakrishnan Scheduling mobile users based on cell load
JP4732963B2 (ja) * 2006-06-09 2011-07-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基地局試験装置
US7672669B2 (en) * 2006-07-18 2010-03-02 Veriwav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able simulation of mobility
US20080159199A1 (en) * 2007-01-03 2008-07-03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orward channel access using a reverse channel
US7852810B1 (en) * 2007-01-03 2010-12-14 Sprint Spectrum L.P. Dynamic adjustment of forward-link frame-error-rate (FFER) target
CN101035387B (zh) * 2007-04-06 2011-12-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接入终端信道抑制的测试方法
US7813323B1 (en) 2007-06-13 2010-10-12 Sprint Spectrum L.P. Dynamic adjustment of reverse-link frame-error-rate (RFER) target based on reverse-link RF conditions
US8509090B2 (en) * 2007-10-04 2013-08-13 Litepoi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wireless transceiver
US8098748B1 (en) 2007-11-13 2012-01-17 Clearwire IP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of testing wireless networks
US8140107B1 (en) 2008-01-04 2012-03-20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power control of wireless coverage areas
US8019385B1 (en) 2008-01-09 2011-09-13 Clear Wireless Llc Load simulation for testing uplink of wireless networks
US8107988B1 (en) 2008-07-25 2012-01-31 Sprint Spectrum L.P. Conducting power control based on reverse-link RF conditions
US8477686B1 (en) 2009-09-10 2013-07-02 Sprint Spectrum L.P. Automatic increase of target frame error rate for duration based on call drop timer
US8509699B1 (en) 2009-09-22 2013-08-13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ccess parameters in response to surges in paging buffer occupancy
US8537700B1 (en) 2010-04-19 2013-09-17 Sprint Spectrum L.P. Identifying and selectively controlling reverse-noise contribution on a per-access-terminal basis
US8290532B1 (en) 2010-04-19 2012-10-16 Sprint Spectrum L.P. Selectively conducting reverse-link power control and call admission control
US8744390B2 (en) * 2012-03-29 2014-06-03 Adc Tele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system tests based on detected interference
US9942412B1 (en) 2014-09-08 2018-04-10 Sprint Spectrum L.P. Use of contention-free random-access preamble in paging proces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010A (ja) * 1993-03-04 1994-09-16 Fujitsu Ltd フェージング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フェージングシミュレータ
KR950022211A (ko) * 1993-12-24 1995-07-28 양승택 이동통신용 페이더(Fader) 내장형 무선 채널 시뮬레이터 장치
KR970008939A (ko) * 1995-07-21 1997-02-24 김광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기지국의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19980043210A (ko) * 1996-12-02 1998-09-05 김영환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전력제어 유도기능 테스트 방법
KR19990019975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시험장치 및 이의 기능 구성방법
KR19990024534A (ko) * 1997-09-03 1999-04-06 서정욱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6109A (en) * 1989-11-07 1991-10-08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dma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US5669066A (en) * 1993-05-14 1997-09-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Dynamic control of transmitting power at a transmitter and attenuation at a receiver
US5475870A (en) * 1994-09-12 1995-12-1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dding and removing a base station from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5884187A (en) * 1996-03-13 1999-03-16 Ziv; Noam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entralized power control administration for a set of base statio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1010A (ja) * 1993-03-04 1994-09-16 Fujitsu Ltd フェージング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フェージングシミュレータ
KR950022211A (ko) * 1993-12-24 1995-07-28 양승택 이동통신용 페이더(Fader) 내장형 무선 채널 시뮬레이터 장치
KR970008939A (ko) * 1995-07-21 1997-02-24 김광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기지국의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19980043210A (ko) * 1996-12-02 1998-09-05 김영환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전력제어 유도기능 테스트 방법
KR19990019975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 시험장치 및 이의 기능 구성방법
KR19990024534A (ko) * 1997-09-03 1999-04-06 서정욱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882A (ko) 1999-08-25
EP0930735A2 (en) 1999-07-21
JPH11298423A (ja) 1999-10-29
CA2256979A1 (en) 1999-07-16
CN1231571A (zh) 1999-10-13
US6154638A (en) 2000-11-28
AU1210899A (en) 1999-08-05
BR9900003A (pt) 1999-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23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링크 성능 측정 방법 및 장치와, 무선 통신 시스템용 이동 단말기
KR100511144B1 (ko) 파일럿 커버리지 추정 방법 및 장치
US6584318B2 (en) Method for dividing traffic in a cellular radio network
KR100295437B1 (ko) 멀티주파수할당시스템의커버리지최적화방법
JP4535658B2 (ja) 無線通信装置の適合性試験をする方法
US6438357B1 (en) Air interface simulator and method thereof
US20100150017A1 (en) Device and method for link balancing detection
US54463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the output of a RF switch matrix utilized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50591A (ko) 리버스 링크 오버로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Laiho et al. Radio network planning process and methods for WCDMA
US6826410B2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radio communication
US7167681B2 (en) Antenna adjustment method, system and network element
US72001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ower control system outer loop of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20000072944A (ko) 이동통신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호 제한 방법
KR19980043210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전력제어 유도기능 테스트 방법
US20040102158A1 (en) Calibration of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AU7255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sing forward power control in A CDMA system
KR100931725B1 (ko) 링크 균형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212484B1 (ko) 이동통신망 모의실험기의 초기화 방법
CN108400822B (zh) 一种调节信号强度差异的方法及装置
KR100233085B1 (ko) 디지털셀룰러시스템에서의 역방향링크 가입자 부하조건 부가방법
KR19990058813A (ko)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네트워크의 역방향 링크 최적화 방법
KR20010048893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시험 장치 및 그 방법
Gandhi et al. An approach to determine link balance in a CDMA system
KR100708502B1 (ko) 무선 네트워크 기능으로 사용된 중간 주파수 측정값을추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