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895B1 - 디지털셀룰라시스템에서의 타가입자잡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입자 부하인가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셀룰라시스템에서의 타가입자잡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입자 부하인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895B1
KR100241895B1 KR1019970017838A KR19970017838A KR100241895B1 KR 100241895 B1 KR100241895 B1 KR 100241895B1 KR 1019970017838 A KR1019970017838 A KR 1019970017838A KR 19970017838 A KR19970017838 A KR 19970017838A KR 100241895 B1 KR100241895 B1 KR 100241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noise
noise signal
signal
m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2764A (ko
Inventor
김건엽
위평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7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895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2Traffic simulation tools or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디지털셀룰라시스템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디지털셀룰라시스템에서의 셀 최적화 및 기지국의 성능 검증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원접속방식 시스템에서 가상의 타가입자 잡음을 발생하는 타가입자잡음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가입자부하 인가방법에 있어서, 실제필드에서의 풀로드필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상기 타가입자잡음 시뮬레이터에서 발생되는 타가입자 잡음을 기지국의 RF단에 인가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의 한 구성요소인 BTS(Base Station Transmiter)의 성능 검증 및 셀 최적화시 필요하다.

Description

디지털셀룰라시스템에서의 타가입자잡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입자부하 인가방법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셀룰라시스템(digital cellular system)에서의 셀 최적화 및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의 성능 검증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드분할 다원접속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함)시스템의 궁극적인 목표는 호 용량(cell capacity), 호 이동(call mobility), 호 품질(call quality)의 향상이다. 잡음(noise)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각 조건의 성능은 다르게 나타나는데, 바로 이러한 현상이 CDMA시스템의 특징이라 볼 수 있다. 잡음 형태로는 가입자에 의한 잡음을 들 수 있다. 각 가입자마다는 서로에게 잡음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가입자 량이 증가할수록 호 품질(call quality)는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가입자 최대 용량(maximum capacity)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호 품질(call quality)를 만족할 수 있도록 셀(cell)을 설계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셀 최적화(cell optimization)가 수행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필드 테스트(field test)시 최대 시험환경을 구축해야 함은 당연한 이치다. 그러나, 실제 가입자로 멀티 셀(multi cell) 환경을 구축한다는 것은 필드 테스트(field test)를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게 한다. 비록 그것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인력 및 시험 단말기의 낭비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볼 때 실제 가입자가 통화하고 있는 환경과 동일하게 구현된 가상의 가입자 환경을 시스템 내부에서 만들어 주는 것이 요망된다.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타가입자잡음(other user noise)을 인가하는 방안이 있었다.
방안 1. 시험자들이 직접 휴대용 단말기를 가지고 필드에서 실제의 호(real call)을 발생시킨다.
방안 2. 기지국의 수신 경로에 잡음지수(noise figure)를 직접 제어하여 로딩(loading)해 주는 방법이다. 발명자 Scott M. Hall과 Clarke J. Calvin에 의해서 발명되고 Motorola사에 양도되어 출원된 후 1996년 5월 21일자로 특허 발행된 미합중국특허번호 5,519,888호(발명의 명칭: RECEIVER INCORPORATING AN OTHER USERS NOISE SIMULATOR(OUNS) FOR USE IN A COMMUNICATION SYSTEM)에서는 방안 2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방안 2와 같은 방법은 이론적인 결과를 소프트웨어적 작업을 통하여 직접 구현하여야 하며 시스템별 모듈 특정별로 모두 잡음지수(noise figune)를 측정한 후 정확한 값을 산출한 후에 적용할 수 있다.
방안 1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실제 가입자를 통해 실제의 호를 발생시킬때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필드 최적화(field optimization)시 실제의 호를 발생시키기에는 인력면이나 시간적인 측면에서 큰 손실이다.
방안 2에 대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이 방안에 의하면 중간주파단(IF)단에서 잡음지수를 조절해야 하나 실제 시스템에서 각 특정 모듈마다 약간의 편차가 있고,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각 모듈의 잡음지수를 측정하여야 한다. 결국 IF단에서의 잡음지수 조절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므로 호 최적화시 기지국 레벨의 하드웨어 점검은 부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셀 최적화 및 기지국의 성능 검증을 위해 이용되는 타가입자잡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입자부하 인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 최적화(cell optimization)시 가상의 가입자를 시스템 내부에서 조정함으로써 풀 로드 필드(full load field)환경을 구축함에 있어 발생되는 인력 및 단말기의 수급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제필드환경을 재현할 수 있는 가입자부하 인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코드분할 다원접속방식 시스템에서의 셀 최적화 및 기지국 성능검증을 위해 타가입자잡음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시험자의 제어하에 실제필드에서의 풀로드필드환경에 부합되는 가상의 타가입자 로드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단말장치와, 상기 가상의 타가입자 로드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필드환경과 유사한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 및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을 생성하여 기지국의 RF단에 직접 공급하는 타가입자잡음 시뮬레이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원접속방식 시스템에서 가상의 타가입자 잡음을 발생하는 타가입자잡음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가입자부하 인가방법에 있어서, 실제필드에서의 풀로드필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상기 타가입자잡음 시뮬레이터에서 발생되는 타가입자 잡음을 기지국의 RF단에 인가함을 특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분할 다원접속방식 시스템에서의 셀 최적화 및 기지국 성능검증을 위한 장치 구성도.
도 2은 도 1의 OUNS 100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순방향링크용 잡음신호 FL_OUN이 공급되는 기지국의 송신 RF단의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이 공급되는 각 섹터의 송신 RF초단72,74,76의 구체적인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역방향링크용 잡음신호 RL_OUN이 공급되는 기지국의 수신 RF단의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이 공급되는 각 섹터당 두개씩 존재하는 수신 RF초단110∼120의 구체적인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1) IF(Intermidiate Frequency)단에서의 잡음지수(noise figure) 조절은 문제가 있으므로 RF단에서 직접 잡음소오스(noise soure)를 공급한다. (2) 잡음 소오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여 시험자는 실제 필드에서 발생하는 잡음값만 적용한다. (3) RF(Radio Frequency)단에 잡음소오스를 공급하여 순방향 링크(forward link)와 역방향 링크(reverse link)에 적용한다. 그래서 다중경로(multipath)의 필드환경과 같은 최악의 경우와 거의 유사한 효과를 얻도록 한다. (4) 실제 필드환경과 같이 순방향(forward)와 역방향(reuerse) 링크에 적용한다. 그래서 기지국별 RF 필드 최적화(field optimization)에 가장 적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셀 최적화(cell optimization)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가상의 가입자 로드를 시스템 내부에서 조정함으로써 풀 로드 필드(full load field)환경을 구축함에 있어 발생되는 인력 및 단말기의 수급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드분할 다원접속방식 시스템에서의 셀 최적화 및 기지국 성능검증을 위한 장치 구성도로서, 타가입자잡음 시뮬레이터(Other User Noise Simulator: 이하 OUNS라 칭함) 4를 이용하여 기지국의 RF초단 6에 잡음소오스(noise soure)를 공급함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잡음소오스로는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 및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이 있다. 여기서, ″순방향링크용″이라 함은 순방향 CDMA채널용을 의미하고, ″역방향링크용″이라 함은 역방향 CDMA채널용을 의미한다. 순방향 CDMA채널은 기지국에서 이동국(mobile station)(휴대용단말기)으로 형성되는 채널이고 역방향 CDMA채널은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형성되는 채널이다.
도 1에서, PC(Personal Computer) 2는 시험자의 제어에 의거하여 실제필드에서의 풀로드필드(full load field)환경에 부합되는 가상의 타가입자로드 정보를 만들어 OUNS 4로 인가하는 제어단말장치이다. 시험자는 계산에 의해서 않고도 실제 필드에서 발생하는 잡음값을 이용하여 실제필드에서의 풀로드필드환경에 부합되는 가상의 타가입자로드 정보를 만들 수 있다. 이는 실제 필드환경의 신호특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신호특성을 가지는 RF초단6에서 잡음소오스가 공급되기 때문이다. OUNS 4는 PC 2로부터 인가되는 가상의 타가입자 로드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필드환경 또는 풀 로드 필드환경의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 및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을 생성하여 기지국의 RF초단 6에 직접 공급한다. 스펙트럼 분석기(계측기임) 8은 실제 필드환경 또는 풀 로드 필드환경의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 및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이 인가되는 단의 타측에 있는 RF초단 6에 연결되며, RF초단 6을 통하여 들어오는 상기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 FL_OUN 및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 RL_OUN의 레벨을 분석한다.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 8은 OUNS 4로 10MHz(Maga Hertz)의 기준신호를 제공한다. 시험자는 스펙트럼 분석기 8에서 분석된 정보를 참조하여 PC 2에 가상의 타가입자로드 정보를 조정하므로 셀 최적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도 1의 OUNS 4에서는 실제 필드에서의 풀 로드 필드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을 3개,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을 6개 발생시키고 있다. 기지국이 위치하는 하나의 셀은 예컨데, 3개의 섹터 α,β,γ로 구성된다. 하나의 셀에서, 순방향링크는 각 섹터당 하나씩 구성되고, 역방향링크는 각 섹터당 2개씩(A수신경로, B수신경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하나의 셀에서 순방향링크는 3개로 이루어져 있고, 역방향링크는 6개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의 OUNS 4에서 발생되는 3개의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α섹터·β섹터·γ섹터 송신RF초단 72,74,76으로 인가된다. 그후 α섹터·β섹터·γ섹터 송신RF초단 72,74,76를 통하여 각각의 안테나 78,80,82를 통하여 전송된다. 도 1의 스펙트럼 분석기 8은 상기 안테나 78,80,82가 위치한 노드 73,75,77에 연결되어 순방향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 레벨을 분석하게 된다. 시험자는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 8을 필요에 따라 상기 노드 73,75,77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할 수 있으며, 모두에도 연결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이 공급되는 각 섹터의 송신 RF초단 72,74,76의 구체적인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섹터의 송신 RF초단 72,74,76은 각각 XCVR(Tranceiver) 88, LPA(Linear Power Amplifier) 90, BPF(Band Pass Filter) 92, 방향성 커플러 94, 및 안테나 96으로 구성된다. 도 1의 OUNS 4로부터 출력된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은 각 섹터 송신 RF초단 72,74,76의 LPA 90에 인가되고, BPF(Band Pass Filter) 92, 방향성 커플러 94 및 안테나 96를 거쳐 송신된다. 스펙트럼 분석기 8은 안테나 96과 방향성 커플러 94 사이에 위치한 노드 95에 연결되며, 상기 노드 95를 통하여 인가되는 순방향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 레벨을 분석하게 된다.
도 1의 OUNS 4에서 발생되는 6개의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α섹터·β섹터·γ섹터 수신RF초단 100,102,104 각각에 두개씩 존재하는 A,B수신 RF초단 110∼120에 인가된다. 그후 상기 α섹터·β섹터·γ섹터 수신RF초단 72,74,76 각각에 두개씩 존재하는 A,B수신 RF초단 110∼120을 통하여 기지국의 RF후단으로 인가된다. 도 1의 스펙트럼 분석기 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수신 RF초단 110∼120과 그 후단 사이에 위치하는 노드에 연결되며, 상기 A,B수신 RF초단 110∼120을 통하여 수신되는 순방향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 레벨을 분석하게 된다. 시험자는 상기 스펙트럼 분석기 8을 필요에 따라 A,B수신 RF초단 110∼120의 출력단 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할 수 있으며, 모두에도 연결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이 공급되는 각 섹터의 수신 RF초단 100,102,104의 구체적인 블록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서 (A)측의 블록 구성은 도 5의 A수신 RF초단 110,114,118의 블럭 구성이고, (B)측의 블록 구성은 B수신 RF초단 112,116,120의 블록 구성이다. 각 섹터의 수신 RF초단 100,102,104는 각각 안테나 140-A,B, 방향성 커플러 142-A,B, BPF(Band Pass Filter) 144-A,B, LNA(Low Noise Amplifier) 146-A,B, 및 XCVR(Tranceiver) 148로 구성된다. 도 1의 OUNS 4에서 발생된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은 각 섹터 수신 RF초단 100,102,104의 방향성커플러 142-A,B에 인가되고, BPF(Band Pass Filter) 144-A,B, LNA 146-A,B 및 XCVR 148을 거쳐 수신된다. 스펙트럼 분석기 8은 LNA 146-A,B와 XCVR 148 사이에 위치한 노드 150,152에 연결되며, 상기 노드 150,152를 통하여 인가되는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 레벨을 분석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예로 전술한 내용을 살펴보면, 도 1의 OUNS 4는 실제필드환경(멀티 셀(multi-cell)의 환경을 재현)에서의 풀로드필드(full load field)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RF초단 6에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을 3개,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을 6개 발생시켜야함을 알 수 있다.
도 1의 OUNS 4의 상세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OUNS 4는, PC인터페이스부 10, OUNS제어부 20, 주파수합성기 30,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발생부 40 및 타가입자잡음 발생부 50으로 구성된다. PC인터페이스부 10은 PC 2와 OUNS제어부 20간의 인터페이싱 기능을 수행한다. OUNS제어부 20은 주파수 합성기제어부 22, TX/RX감쇄기제어부 24, 및 전원공급부 26으로 구성된다. 주파수 합성기 30은 7.2MHz PLL 32, 송신국부주파수 PLL 34, 및 수신국부주파수 PLL 36으로 구성되며, 송신대역 및 수신대역 국부주파수(local freguency)를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AWGN 발생부 40은 70MHz의 기준잡음신호 AWGN을 발생시킨다. 타가입자잡음발생부 50은 주파수 합성기 30의 송수신국부주파수 PLL 34와 36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믹셔 52와 54, AWGN발생부 40과 연결되어 있는 70MHz SAW필터 58, 70MHz SAW(Surface Acoustic Wave)필터 58에 연결되어 있는 2웨이 분배기(2 way divider) 60, 2웨이 분배기(2 way divider) 60에 연결되어 있는 증폭기 62와 64, 믹셔 54의 출력선에 연결된 6웨이 분배기 56, 및 믹셔 52의 출력선에 연결된 2웨이 분배기 57로 구성된다. 상기 타가입자잡음발생부 50은 OUNS제어부 20의 제어에 의거하여 순방향 링크용 타가입자잡음 FL_OUN 및 역방향 링크용 타가입자잡음 RL_OUN을 발생한다.
이러한 도 2의 구성에 의거하여 OUNS 4의 동작을 후술한다. 주파수 합성기 30에 있는 7.2MHz PLL 32는 스펙트럼분석기 8에서 제공되는 10MHz 기준신호를 받아 7.2MHz의 신호를 만들어 송신용 국부주파수 PLL 34와 수신용 국부주파수 PLL 36으로 신호를 인가한다. 송신용 국부주파수 PLL 34는 주파수합성부 22의 주파수 제어에 의거하여 799.04∼823.97MHz의 송신용 국부주파수를 발생하여 믹셔 52에 인가한다. 수신용 국부주파수 PLL 36은 상기 주파수합성부 22의 주파수 제어에 의거하여 754.04∼778.97MHz의 수신용 국부주파수를 발생하여 믹셔 54에 인가한다. 상기 송신용 국부주파수를 799.04∼823.97MHz중 임의의 값으로 조정되는 것과 수신용 국부주파수를 754.04∼778.97MHz중 임의의 값으로 조정되는 것은 PC 200에서 제공하는 채널번호정보에 의거하여 주파수제어를 수행하는 주파수합성기 제어부 22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CDMA에서 채널번호는 1∼799번, 990∼1023번까지 있으며, 매 채널마다는 3KHz의 간격을 가지고 있다. 시험자가 PC 10을 통하여 채널번호를 변경해감에 따라 송신용국부주파수 PLL 34 및 수신용 국부주파수 PLL 36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송신용 국부주파수 및 수신용 국부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송신용 국부주파수 및 수신용 국부주파수를 달리함에 따라 멀티 셀(multi cell) 환경이 구축된다. 통상 어느 하나의 셀의 인접셀은 대략 5개 정도이며 해당 모든 셀의 반경은 서로 오버 랩(over lap)되어 있다.
한편 AWGN 발생부 40에서 발생한 70MHz의 기준잡음신호 AWGN은 70MHz SAW필터 58을 거쳐 2웨이 분배기 60으로 인가된다. 70MHz SAW필터 58은 70MHz대역의 기준잡음신호만 통과시키는 위한 대역통과필터이다. 2웨이 분배기 60은 70MHz대역 필터링된 기준잡음신호를 두 출력으로 분배한다. 분배된 각각의 기준잡음신호는 증폭기 62 및 64를 거쳐 TX감쇄기 66 및 RX감쇄기 68에 인가된다. TX감쇄기 66 및 RX감쇄기 68은 TX/RX감쇄기 제어부 24의 감쇄제어에 의거하여 증폭기 66, 64로부터 출력되는 기준잡음신호를 최대 63.5dB까지 감쇄제어한다. TX감쇄기 66 및 RX감쇄기 68에서 수행되는 기준잡음신호에 대한 감쇄정도가 적으면 타가입자잡음의 로드는 크게될 것이고, 그 감쇄정도가 크면 타가입자잡음의 로드는 적게될 것이다. 그러므로 셀 최적화를 위해 풀로드 필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시험자는 기준잡음신호에 대한 감쇄정도를 점차로 줄어가야 할 것이다. TX 및 RX 기준잡음신호가 임의의 값으로 감쇄제어되는 것은 PC 2에서 제공하는 가상의 타가입자 로드상태정보에 의거하여 감쇄제어를 수행하는 TX/RX감쇄제어부 24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TX/RX감쇄기 66,68에서 감쇄제어된 송신용/수신용 기준잡음신호(70MHz)는 믹셔 52, 54에 인가된다. 믹셔 52는 송신용국부주파수 PLL 34에서 출력되는 송신용국부주파수(799.04∼823.97MHz)와 TX감쇄기 66에서 출력되는 송신용 기준잡음신호(70MHz)를 믹싱하여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869.04∼893.97MHz)로 발생한다. 믹셔 54는 수신용국부주파수 PLL 36에서 출력되는 수신용국부주파수(754.04∼778.97MHz)와 RX감쇄기 68에서 출력되는 수신용 기준잡음신호(70MHz)를 믹싱하여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824.04∼848.97MHz)로 발생한다.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869.04∼893.97MHz)과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824.04∼848.97MHz)는 CDMA 주파수 대역(TX: 869.04∼893.97MHz, RX: 824.04∼848.97MHz)에 해당된다. 상기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824.04∼848.97MHz)은 6웨이 분배기 56에서 6웨이로 분배된다. 6웨이 분배된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RL_OUN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α섹터·β섹터·γ섹터 수신RF초단 72,74,76 각각에 두개씩 존재하는 A,B수신 RF초단 110∼120에 각각 인가된다. 상기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 FL_OUN(869.04∼893.97MHz)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α섹터·β섹터·γ섹터 송신RF초단 72,74,76에 각각 인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셀 최적화나 기지국 성능 테스트시 가상의 가입자를 시스템 내부의 RF단에서 조정함으로써 풀 로드 필드(full load field) 환경을 만들 때 단말기 등의 수급 어려움과 인력 배치 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싱글셀내에서, 순방향(forward)쪽의 3개 경로 각각에 타가입자 잡음(other user noise)를 인가하고 역방향(reverse)쪽의 6개 경로 각각에 타가입자 잡음(other user noise)를 인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멀티 셀(multi-cell)의 환경을 재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초단에서 타가입자잡음을 발생시켜줌으로써 신호간의 간섭이 완전히 배제되어 있는 직교(orthogonal) 신호가 아니라 신호간의 간섭이 존재하는 비직교(non-orthogonal)한 신호를 인가 해 주는 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실제필드 환경과 같은 환경을 만들 수 있다.

Claims (11)

  1. 코드분할 다원접속방식 시스템에서의 셀 최적화 및 기지국 성능검증을 위해 타가입자잡음을 발생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시험자의 제어하에 실제필드에서의 풀로드필드환경에 부합되는 가상의 타가입자 로드상태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단말장치와,
    상기 가상의 타가입자 로드상태정보에 의거하여 실제 필드환경과 유사한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 및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을 생성하여 기지국의 RF단에 직접 공급하는 타가입자잡음 시뮬레이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가입자잡음 시뮬레이터는,
    상기 제어단말장치에 제어에 의거하여 송수신용주파수 제어 및 타가입자로드 레벨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송수신용주파수제어에 의거하여 송신용 및 수신용 국부주파수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합성기와,
    기준잡음신호를 발생하는 기준잡음신호발생부와,
    상기 타가입자로드 레벨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잡음신호에 대한 감쇄제어를 행하고, 감쇄제어된 기준잡음신호와 상기 송신용 및 수신용 국부주파수를 믹싱하여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와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신호를 발생하는 타가입자잡음발생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가입자잡음발생부는
    상기 기준잡음신호를 2분배하는 2웨이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에서 각각 분배된 기준잡음신호를 소정 증폭하는 제1,제2 증폭기와,
    상기 제1,제2 증폭기에서 증폭된 기준잡음신호를 상기 타가입자로드 레벨 제어에 의거하여 감쇄제어하여 출력하는 제1,제2 감쇄기와,
    제1,제2감쇄기에서 감쇄제어된 기준잡음신호와 상기 송신용 및 수신용 국부주파수를 믹싱하여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와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신호로 출력하는 제1,제2 믹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믹셔에서 출력되는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를 3분배하여 셀을 구성하는 3섹터의 송신RF단으로 출력하는 3웨이 분배기와,
    상기 제2믹셔에서 출력되는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신호를 6분배하여 셀을 구성하는 3섹터내 2개씩 구성된 수신RF단으로 출력하는 6웨이 분배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잡음신호발생부는 70MHz의 기준잡음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잡음신호 발생부와 상기 2웨이 분배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70MHz의 기준잡음신호를 70MHz대역만 필터링하는 SAW필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 감쇄기가 최대 63.5MHz까지 감쇄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코드분할다원접속방식 시스템에서 가상의 타가입자 잡음을 발생하는 타가입자잡음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가입자부하 인가방법에 있어서,
    실제필드에서의 풀로드필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상기 타가입자잡음 시뮬레이터에서 발생되는 타가입자 잡음을 기지국의 RF단에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되는 타가입자잡음중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은 상기 RF단의 송신용전력증폭기에 인가되고,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은 RF단의 방향성 커플러에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은 3분배되어 하나의 셀을 구성하는 3섹터 각각에 있는 RF단의 송신용전력증폭기에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링크용 타가입자잡음은 6분배되어 하나의 셀을 구성하는 3섹터 각각에 두개씩 있는 RF단의 방향성커플러에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17838A 1997-05-09 1997-05-09 디지털셀룰라시스템에서의 타가입자잡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입자 부하인가방법 KR100241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838A KR100241895B1 (ko) 1997-05-09 1997-05-09 디지털셀룰라시스템에서의 타가입자잡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입자 부하인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838A KR100241895B1 (ko) 1997-05-09 1997-05-09 디지털셀룰라시스템에서의 타가입자잡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입자 부하인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764A KR19980082764A (ko) 1998-12-05
KR100241895B1 true KR100241895B1 (ko) 2000-02-01

Family

ID=19505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838A KR100241895B1 (ko) 1997-05-09 1997-05-09 디지털셀룰라시스템에서의 타가입자잡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입자 부하인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8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64B1 (ko) * 2001-10-24 2005-04-29 (주)유윈 패킷 로그 및 스크립트 언어를 이용한 응용 시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821A (ko) * 2003-05-29 2004-12-08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잡음 시뮬레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64B1 (ko) * 2001-10-24 2005-04-29 (주)유윈 패킷 로그 및 스크립트 언어를 이용한 응용 시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764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9054B1 (en) Calibra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a loopback module
US5465393A (en) Simulated air interface system for simulating radio communication
KR100362131B1 (ko) 시분할다중액세스무선통신시스템내의기지국을테스트하는방법및장치
JP3098037B2 (ja) トランシーバのテスト方法及び時分割無線通信システムのベースステーション
CN100546401C (zh) 实现td-scdma射频前端全双工测试装置及方法
US20020123306A1 (en) Channelized booster amplifier for cellular communications
US70926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ing signals in a transmitter
US6978131B1 (en) Testing mobile phones
KR20010019997A (ko)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의 광대역 씨디엠에이 신호용 채널 시뮬레이터
KR100316746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 분석을 위한무선채널 모사시험방법 및 장치
KR100241895B1 (ko) 디지털셀룰라시스템에서의 타가입자잡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입자 부하인가방법
CN216016855U (zh) Mimo低频宽带收发电路结构
KR960014674B1 (ko) 이동통신용 페이더(Fader) 내장형 무선 채널 시뮬레이터 장치
KR100228011B1 (ko) 이동국 성능 측정용 테스트 지그
KR100374024B1 (ko) 다중 주파수 할당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
KR960014673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cdma)용 알에프(rf) 링크 시뮬레이션 장치
KR0125479B1 (ko) 셀룰라 기지국 시험장치
KR20060051677A (ko) 다수의 휴대용 전화기를 시험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199765Y1 (ko) 이득조정기능을 갖는 무선중계기용 채널선택장치와, 이를이용한 채널선택형 무선중계기
KR100233085B1 (ko) 디지털셀룰러시스템에서의 역방향링크 가입자 부하조건 부가방법
KR100408191B1 (ko)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및 그 방법
KR0125480B1 (ko) 개선된 전파경로를 갖는 셀룰라 기지국 시험장치
CN117560707A (zh) 一种干扰环境的模拟系统及方法
KR20030092934A (ko) 디시에스 및 피시에스 공용 고주파 감쇄기
WO1999062199A1 (en) A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