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191B1 -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191B1
KR100408191B1 KR10-2001-0077937A KR20010077937A KR100408191B1 KR 100408191 B1 KR100408191 B1 KR 100408191B1 KR 20010077937 A KR20010077937 A KR 20010077937A KR 100408191 B1 KR100408191 B1 KR 100408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ector
signal
revers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445A (ko
Inventor
이상준
변재완
이종헌
최영래
윤종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191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 채널 환경이 고려된 다중 채널 CDMA 역방향 신호를 발생시켜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 시험을 위한 입력 신호로 이용함으로서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고 결과적으로 기지국 각 섹터의 통화량의 균형을 이루게 하여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에 기여하기 위한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 및 그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이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에 있어서, 실제 무선 채널 환경을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된 무선 채널 파라메터에 의해 수신 전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수신 전력값에 의해 역방향 채널 신호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채널 제어 수단;상기 채널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대역폭을 갖는 소스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 채널을 무선 채널 환경상의 섹터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분배하기 위한 채널 공급 수단; 상기 채널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채널 공급 수단에서 분배된 섹터별 채널 신호를 각 섹터별로 다른 셀 및 섹터에 의한 신호 간섭, 섹터별 가입자의 신호 분포 특성, 음성 활동율 및 전력 제어를 고려하여 조정하기 위한 채널 조정 수단; 및 상기 채널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채널 조정 수단으로부터 조정된 채널 신호의 전력을 분배하고, 상기 전력 분배된 채널 신호의 감쇄 및 합성을 통해 역 방향 채널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역방향 채널 생성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성능 측정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of generating reverse link traffic for testing smart sector system,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무선 채널 환경에서 다중 빔 안테나로 인입되는 특성과 유사한 다중의 역방향 채널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서비스는 섹터별 통화량 분균형이 심하여 무선 채널 이용 효율이 저조하며 특히 특정 섹터에 통화량이 집중될 경우 커버리지가 축소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화량의 변동에 따라 적응적으로 섹터를 가변 할 수 있는 스마트 섹터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실제 무선 채널 환경이 고려된 다중의 CDMA 역방향 채널 신호 발생 기술이 반드시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CDMA 역방향 채널 신호 발생 기술은 CDMA 신호 발생기와 무선채널 에뮬레이터가 따로 구현되어 있고, 또한 신호 출력 채널이 1 개 또는 2 개로 제한이 되어 있어, 이를 스마트 섹터 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복잡할 뿐 만 아니라 그 비용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섹터당 4개 또는 8 개로 다중화된 빔의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섹터당 4 개 혹은 8 개의 다중 신호 출력이 요구되는데, 단일 신호 출력 채널로는 스마트 섹터 시스템에 적용하기 어렵고 분배기를 사용하여 신호 채널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다중빔 안테나로 인입되는 신호 특성을 정확히 모델링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채널 환경이 고려된 다중의 CDMA 역방향 채널 신호를 발생시켜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 시험을 위한 입력 신호로 이용함으로서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고 결과적으로 기지국 각 섹터의 통화량의 균형을 이루게 하여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에 기여하기 위한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채널 소스 모듈 200 : 채널 조정 모듈
300 : 역방향 채널 생성 모듈 400 : 채널 제어 모듈
500 : 전력 공급 모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에 있어서, 무선 채널 환경을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된 무선 채널 파라메터에 의해 수신 전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수신 전력값에 의해 역방향 채널 신호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채널 제어 수단; 상기 채널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대역폭을 갖는 소스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 채널을 무선 채널 환경상의 섹터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분배하기 위한 채널 공급 수단; 상기 채널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채널 공급 수단에서 분배된 섹터별 채널 신호를 각 섹터별로 다른 셀 및 섹터에 의한 신호 간섭, 섹터별 가입자의 신호 분포 특성, 음성 활동율 및 전력 제어를 고려하여 조정하기 위한 채널 조정 수단; 및 상기 채널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채널 조정 수단으로부터 조정된 채널 신호의 전력을 분배하고, 상기 전력 분배된 채널 신호의 감쇄 및 합성을 통해 역 방향 채널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역방향 채널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에 따른 대역폭(W), 데이터 전송율(R) 및 백그라운드 잡음(No)의 값을 결정하고, 각 섹터나 빔내의 가입자수를 임의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역방향 채널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각 섹터나 빔내의 가입자 신호 분포 특성, 음성 활동율 및 전력 제어 요소를 가정하고, 상기 가정된 요소를 무선채널 환경과 유사한 값으로 설정하는 제 2 단계; 다른 셀이나 섹터 혹은 다른 빔에서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에 의한 간섭을 정의하고 계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에서 설정된 정보에 의해 각 섹터 및 빔에서의 수신 전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을 토대로 무선 채널 환경이 고려된 역방향 채널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을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에, 시스템에 따른 대역폭(W), 데이터 전송율(R) 및 백그라운드 잡음(No)의 값을 결정하고, 각 섹터나 빔내의 가입자수를 임의로 설정하는 제 1 기능; 역방향 채널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각 섹터나 빔내의 가입자 신호 분포 특성, 음성 활동율 및 전력 제어 요소를 가정하고, 상기 가정된 요소를 무선채널 환경과 유사한 값으로 설정하는 제 2 기능; 다른 셀이나 섹터 혹은 다른 빔에서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에 의한 간섭을 정의하고 계산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 제 2 기능 및 제 3 기능에서 설정된 정보에 의해 각 섹터 및 빔에서의 수신 전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을 토대로 무선 채널 환경이 고려된 역방향 채널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CDMA 시스템, IMT-2000 시스템, PCS 시스템 및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되나, 하기의 설명상에는 중복되는 설명을 회피하고자 CDMA 시스템에 국한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는, 채널 소스 모듈(100), 채널 조정 모듈(200), 역방향 채널 생성 모듈(300), 채널 제어 모듈(400) 및 전력 공급 모듈(500)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 소스 모듈(100)은 기존 셀룰라 시스템의 대역인 1.2288MHz의 대역폭을 가진 CDMA 신호뿐 만 아니라 3.84MHz의 광대역 CDMA 신호나, 다른 임의의 무선 채널 신호를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채널 조정 모듈(20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채널 소스 모듈(100)은 각 섹터별로 독립적인 무선 채널 환경을 적용하기 위해 섹터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CDMA 채널 신호를 채널 조정 모듈(200)로 전달한다.
상기 채널 조정 모듈(200)은 채널 소스 모듈(100)로부터 전달받은 CDMA 채널 소스 신호를 후술될 채널 제어 모듈(400)의 제어에 의해 각 섹터별로 다른 셀이나 섹터에 의한 신호 간섭, 섹터별 가입자의 신호 분포 특성, 음성 활동율 및 전력 제어가 고려된 무선 채널 환경으로 조정하여 역방향 채널 생성 모듈(300)로 전달한다.
상기 역방향 채널 생성 모듈(300)은 채널 조정 모듈(200)에서 조정된 CDMA 채널 신호를 다중 빔 안테나(스마트 섹터 시스템에 설치됨)의 각 빔별로 수신되는 전력과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전력 분배하며,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 시험을 위한 입력 신호로 이용한다.
상기 채널 제어 모듈(400)은 후술될 전원 공급 모듈(500)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고, 입력되는 채널 환경 정보에 따라 채널 조정 모듈(200) 및 역방향 채널 생성 모듈(300)을 각각 제어한다. 또한, 상기 채널 제어 모듈(400)은 각 모듈간의 감시 정합 기능을 가지며, 각 모듈 내부의 부품 제어 및 감시 정합을 수행한다.
상기 전원 공급 모듈(500)은 AC 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시키며, 각 모듈의 바이어스 및 제어 신호원을 제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 소스 모듈(100)은 신호 발생기(110), 업 컨버터(120), 제 1 스위칭부(130), 제 1 내지 제 4 밴드패스 필터(142,144,162,164), 제 1 및 제 2 증폭기(152,154), 제 2 스위칭부(170) 및 전력 분배기(18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발생기(110)는 기저 대역(BaseBand)의 CDMA 채널 소스를 생성하여 업 컨버터(120)로 전달한다.
상기 업 컨버터(120)는 기저 대역의 CDMA 채널 신호를 국부 발진기(미 도시)에서 입력되는 기준 주파수에 의해 동작하여 RF 신호로 변환하며 제 1 스위칭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제 1 스위칭부(130)는 업 컨버터(120)로부터 전달받은 RF 신호를 채널 제어 모듈(40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 하여 제 1 밴드 패스필터(142) 또는 제 2 밴드패스 필터(144)로 전달하고, 상기 제 1 밴드 패스 필터(142) 또는 제 2 밴드 패스 필터(144)는 불필요한 대역의 채널 소스 신호인 RF 신호를 필터링 동작에 의해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증폭기(152,154), 밴드 패스 필터(162,164) 및 제 2 스위칭부(170)를 통해 원하는 대역내의 신호만이 증폭하여 전력 분배기(180)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스위칭부(130) 및 제 2 스위칭부(170)는 채널 제어 모듈(4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일한 위치로의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기존의 셀룰라 시스템의 대역에 해당하는 역방향 채널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제 1 스위칭부(130)는 a 접점으로 스위칭되고, 제 2 스위칭부(170)는 c 접점으로 스위칭되어, 결국 업 컨버터(120)에 의해 RF 신호로 변환된 채널 소스 신호는 제 1 밴드패스 필터(142), 제 1증폭기(152) 및 제 3 밴드 패스필터(162)를 통해 대역이 필터링 및 증폭되어 전력 분배기(180)에 전달된다.
또한, 임의의 다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대역에 해당하는 역방향 채널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제 1 스위칭부(130)는 b 접점으로 스위칭되고, 제 2 스위칭부(170)는 d 접점으로 스위칭되어, 결국 업 컨버터(120)에 의해 RF 신호로 변환된 채널 소스 신호는 제 2 밴드패스 필터(144), 제 2 증폭기(154) 및 제 4 밴드 패스필터(164) 를 통해 대역이 필터링 및 증폭되어 전력 분배기(180)에 전달된다.
상기 전력 분배기(180)는 제 2 스위칭부(170)를 통해 전달되는 소스 채널 신호를 각 섹터별 독립적인 무선 채널 환경을 적용하기 위해 섹터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분배하여 채널 조정 모듈(2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조정 모듈(200)은 전력 분배기(180)에서 분배된 섹터 개수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내지 제 3 채널 조정부(210,220,230)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채널 조정부(210,220,230)는 제 1 내지 제 3 음성 활동 조정 스위치(202,212,222) 및 제 1 내지 제 3 조정 감쇄기(204,214,22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채널 조정 모듈(200)은 전력 분배기(180)에서 분배된 채널 섹터를 각각 제 1 음성활동 조정 스위치(202), 제 2 음성활동 조정 스위치(212) 및 제 3 음성활동 조정 스위치(222)를 통해 셀 가입자의 음성 활동율에 따라 스위칭 동작한다. 그러므로, 상기 스위칭 동작에 의해 음성 활동율이 고려된 채널 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조정 감쇄기(204,214,224)는 통신 환경상의 간섭이나 전력 제어 요소를 고려하여 채널 신호를 감쇄를 통해 조정하고, 상기 조정된 채널 신호를 역방향 채널 생성 모듈(3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음성활동 조정 스위치(202,212,222)는 채널 제어 모듈(300)에 기 저장된 파라메터에 의해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고속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역방향 채널 생성 모듈(300)의 구성은 제 1 내지 제 3 전력 분배기(310,320,330), 각각의 전력 분배기(310,320,330)에 접속된 분배 감쇄기(315,325,335) 및 전력 합성기(3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역방향 채널 생성 모듈(300)은 채널 조정 모듈(200)에서 조정된 채널 신호를 제 1 내지 제 3 전력 분배기(310,320,330)에 의해 스마트 섹터 시스템에서 하나의 섹터를 이룰 수 있는 최대의 빔 개수만큼 섹터 신호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채널 섹터 신호는 해당 분배 감쇄기(315,325,335)로 전달된다.
상기 분배 감쇄기(315,325,335)는 전달받은 채널 섹터 신호를 상기 채널 제어 모듈(400)의 제어에 의해 스마트 섹터 시스템으로 입력되는 다중 신호와 유사한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각 빔별로 신호 레벨을 각각 감쇄 조정하여 전력 합성기(340)로 전달한다.
상기 전력 합성기(340)는 각 빔별로 분리 조절된 다중 채널 섹터 신호를 다시 합성하여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스위칭 서브 시스템의 입력단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섹터 시스템이 무선 채널 환경상에서의 입력신호와 유사한 다중 채널 섹터 신호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검증 시스템은 기존 셀룰라 시스템 대역 및 IMT-2000 시스템 대역뿐 만 아니라 임의의 시스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템에 소요되는 모듈 구성 부품을 듀얼 밴드 또는 광대역 밴드 특성을 가지는 모듈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실제 무선 채널 환경에서 다중 빔 안테나로 인입되는 것과 특성이 유사한 다중 채널 CDMA 역방향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시스템에 따른 대역폭(W), 데이터 전송율(R) 및 백그라운드 잡음(No)의 값을 결정하고(S301), M(M은 자연수)개의 각 섹터나 빔이 존재할 때 각 섹터나 빔내의 가입자수를 N1,N2,...Nm으로 설정한다(S302).
그리고, 다중 채널 CDMA 역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정보를 가정한다(S303).
즉, 상기 과정(S303)은 각 섹터 및 빔내의 가입자 신호 분포 특성을 고려하여 각 섹터나 빔내의 가입자는 λ/μ 평균값을 가지는 포아송(Poisson) 분포 특성을 가지도록 한다. 여기서,λ는 포아송(Poisson) 착신호 율을 나타내는 단위로 calls/sec이고, μ는 호 통화시간을 나타내는 단위로 second/calls이다.
또한, 과정(S303)은 통화중 음성 활동을 고려하여 음성 활동율이 1이 될 확률을 V로, 0이 될 확률은 (1-V)로 가정한다. 그리고, 각 가입자마다 원하는 FER을만족시키기 위해 각기 다른 Eb/Io값을 가지는데 이는 역방향 전력 제어가 각 가입자 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제어에 따른 각 가입자의 Eb/Io값은 log-normal 분포를 가지며 임의의 평균값과 표준편차 값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의 과정(S303)을 통해 각 섹터나 빔내의 가입자의 신호 분포 특성, 음성 활동율 및 역방향 전력 제어 요소를 실제 무선 채널 환경과 유사한 값으로 설정하고(S304), 다른 셀이나 섹터 혹은 다른 빔에서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에 의한 간섭(η)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가입자에 의한 간섭 값을 계산한다(S305).
그리고, 상기 과정(S301)에서 과정(S305)까지의 설정 및 계산된 변수와 상수값을 (수학식 1) 및 (수학식 2) 에 대입하여 각 섹터 및 혹은 빔에서의 수신 전력값(Ci)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을 토대로 채널 조정 모듈(200) 및 역방향 채널 생성 모듈(300)을 제어하여, 무선 채널 환경이 고려된 다중 채널 CDMA 역방향 신호를 발생시킨다(S306).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발생된 역방향 채널 신호가 스마트 섹터 시스템으로 전달됨으로서, 결국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 및 그 방법은,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해 하나의 시스템으로 다중 채널 CDMA 역방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비용면에서나 성능면에서 효율적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기지국 각 섹터의 통화량의 균형을 이루게 하여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에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에 있어서,
    무선 채널 환경을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된 무선 채널 파라메터에 의해 수신 전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수신 전력값에 의해 역방향 채널 신호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채널 제어 수단;
    상기 채널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대역폭을 갖는 소스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 채널을 무선 채널 환경상의 섹터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분배하기 위한 채널 공급 수단;
    상기 채널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채널 공급 수단에서 분배된 섹터별 채널 신호를 각 섹터별로 다른 셀 및 섹터에 의한 신호 간섭, 섹터별 가입자의 신호 분포 특성, 음성 활동율 및 전력 제어를 고려하여 조정하기 위한 채널 조정 수단; 및
    상기 채널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채널 조정 수단으로부터 조정된 채널 신호의 전력을 분배하고, 상기 전력 분배된 채널 신호의 감쇄 및 합성을 통해 역 방향 채널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역방향 채널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공급 수단은,
    기저 대역(BaseBand)의 소스 채널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스 채널을 기준 주파수에 따라 업 컨버터 동작하여 R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소스 채널 발생 수단;
    상기 채널 발생 수단에서 발생된 소스 채널을 통해 임의의 이통통신 시스템의 사용 대역을 선택하기 위한 소스 채널 선택 수단; 및
    상기 채널 선택 수단에서 선택된 소스 채널 신호를 각 섹터별 독립적인 무선 채널 환경을 적용하기 위해 섹터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분배하기 위한 소스 채널 전력 분배 수단
    을 포함하는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조정 수단은,
    상기 소스 채널 전력 분배 수단으로부터 분배된 소스 채널 신호를 상기 채널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셀 내 가입자의 음성 활동율을 고려하기 위해 스위칭 동작하는 음성 활동 조정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음성 활동 조정 스위칭 수단에 의해 음성 활동율이 고려된 소스 채널 신호를 상기 채널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통신 환경상의 간섭이나 전력 제어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채널 신호의 감쇄를 통해 조정하기 위한 채널 조정 감쇄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활동 조정 스위칭 수단 및 채널 조정 감쇄 수단은 상기 소스 채널 전력 분배 수단에 의해 분배된 다수의 소스 채널에 독립적으로 대응되도록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채널 생성 수단은,
    상기 채널 조정 수단에 의해 조정된 채널 신호를 스마트 섹터 시스템에서 하나의 섹터를 이룰 수 있는 최대의 빔 개수만큼 분배하고, 상기 분배된 섹터 전력을 토대로 분배된 채널을 상기 채널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감쇄하기 위한 섹터 전력 감쇄 수단; 및
    상기 섹터 전력 분배 수단에서 분배 및 감쇄 조정된 채널 신호를 합성하여 역방향 채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섹터 전력 합성 수단
    을 포함하는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
  5.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에 따른 대역폭(W), 데이터 전송율(R) 및 백그라운드 잡음(No)의 값을 결정하고, 각 섹터나 빔내의 가입자수를 임의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역방향 채널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각 섹터나 빔내의 가입자 신호 분포 특성, 음성 활동율 및 전력 제어 요소를 가정하고, 상기 가정된 요소를 무선채널 환경과 유사한 값으로 설정하는 제 2 단계;
    다른 셀이나 섹터 혹은 다른 빔에서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에 의한 간섭을 정의하고 계산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1 단계,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에서 설정된 정보에 의해 각 섹터 및 빔에서의 수신 전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을 토대로 무선 채널 환경이 고려된 역방향 채널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방법.
  6.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을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에,
    시스템에 따른 대역폭(W), 데이터 전송율(R) 및 백그라운드 잡음(No)의 값을 결정하고, 각 섹터나 빔내의 가입자수를 임의로 설정하는 제 1 기능;
    역방향 채널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각 섹터나 빔내의 가입자 신호 분포 특성, 음성 활동율 및 전력 제어 요소를 가정하고, 상기 가정된 요소를 무선채널 환경과 유사한 값으로 설정하는 제 2 기능;
    다른 셀이나 섹터 혹은 다른 빔에서 서비스를 받는 가입자에 의한 간섭을 정의하고 계산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1 기능, 제 2 기능 및 제 3 기능에서 설정된 정보에 의해 각 섹터 및 빔에서의 수신 전력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을 토대로 무선 채널 환경이 고려된 역방향 채널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77937A 2001-12-10 2001-12-10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및 그 방법 KR100408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937A KR100408191B1 (ko) 2001-12-10 2001-12-10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937A KR100408191B1 (ko) 2001-12-10 2001-12-10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445A KR20030047445A (ko) 2003-06-18
KR100408191B1 true KR100408191B1 (ko) 2003-12-01

Family

ID=29574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937A KR100408191B1 (ko) 2001-12-10 2001-12-10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1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744A (ko) * 1998-10-01 2000-05-06 김영환 스위치를 이용한 다중섹터용 기지국 장치
KR20000046101A (ko) * 1998-12-31 2000-07-25 김영환 기지국의 섹터 증설 장치 및 방법
EP1028599A2 (en) * 1999-02-09 2000-08-16 ECI Telecom Ltd. A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channels for sectors of a cell in cellular systems
KR20000067075A (ko) * 1999-04-23 2000-11-15 조정남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셀 및 섹터의 운용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20093553A (ko)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다중 섹터 처리형 채널 카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744A (ko) * 1998-10-01 2000-05-06 김영환 스위치를 이용한 다중섹터용 기지국 장치
KR20000046101A (ko) * 1998-12-31 2000-07-25 김영환 기지국의 섹터 증설 장치 및 방법
EP1028599A2 (en) * 1999-02-09 2000-08-16 ECI Telecom Ltd. A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channels for sectors of a cell in cellular systems
KR20000067075A (ko) * 1999-04-23 2000-11-15 조정남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셀 및 섹터의 운용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20093553A (ko)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다중 섹터 처리형 채널 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445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216B1 (en) Remotely controlled gain control of transceiver used to inter-connect wireless telephones to a broadband network
JP3078328B2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ユーザによる干渉をシミュレート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6374124B1 (en) Dynamic reallocation of transceivers used to interconnect wireless telephones to a broadband network
RU218503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илот-сигнала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жесткого переключения каналов связи
US6223021B1 (en) Signal filtering in a transceiver for a wireless telephone system
KR100567172B1 (ko) 통신시스템에서 비선형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62529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gaining control of individual narrowband channels using a wideband power measurement
US67661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adio frequency conditions for testing wireless communications equipment
US5625889A (en) RF sniffer module and method with a self-test circuit
KR0152374B1 (ko) 전력 증폭기의 피크 포락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3096670B2 (ja) マイクロセルに対する負荷を測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GB2301719A (en) Controlling transmitter gain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002503412A (ja) 信頼距離帯域幅低減のための制御を採用している無線通信用の方法及び装置
EP1186124B1 (en) Apparatus for testing mobile phones
KR20070058526A (ko) 디지털 다이버시티 수신기에서의 예측 전력 제어
KR20000005925A (ko) 시디엠에이이동통신시스템및그시스템에사용하는전송전력제어방법
KR100467222B1 (ko) 다중 주파수할당 기지국의 수신감도 측정방법
KR100408191B1 (ko) 스마트 섹터 시스템의 검증을 위한 역방향 채널 발생 장치및 그 방법
KR19980032124A (ko) 부호분할 다중 접속방식 단말기의 외부 간섭신호 제거장치 및 방법
US5983105A (en) Method and receiver implemented on the rake principle
US765336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signal power in transmitter of radio system by weighting, and transmitter therefor
KR100204954B1 (ko) 주파수간 하드 핸드오버를 원활하게 수행하는 파일롯 비콘
JPH09312885A (ja) 移動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と移動局装置
US84572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artitioning gain for wireless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s
KR100241895B1 (ko) 디지털셀룰라시스템에서의 타가입자잡음 발생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가입자 부하인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