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501A -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의 입상화 톱밥대체 수분조절재 제조방법과 농가보급형 가축분료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의 입상화 톱밥대체 수분조절재 제조방법과 농가보급형 가축분료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501A
KR19990024501A KR1019970045628A KR19970045628A KR19990024501A KR 19990024501 A KR19990024501 A KR 19990024501A KR 1019970045628 A KR1019970045628 A KR 1019970045628A KR 19970045628 A KR19970045628 A KR 19970045628A KR 19990024501 A KR19990024501 A KR 19990024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development
rgo
manure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인
Original Assignee
김재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인 filed Critical 김재인
Priority to KR101997004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501A/ko
Publication of KR1999002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5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1. 본 발명에 속한 기술분야
(1) 발전소 제철소 제지공장 쓰레기소각장의 소각잔재 광재 회(Fly ash)의 재활용기술의 개발
(2) 조미료공장(MSG, IMP, GMP) 아미노산폐액 모액 원액의 재활용기술의 개발
(3) 년간 4400만톤의 가축분뇨 자원화처리에 필요한 톱밥대체 수분조절재의 개발 및 농가보급형 가축분뇨 처리 시스템의 연구개발
(4) WTO 협정에 의거 국제 식량무기화 추세에 따른 주곡의 자급기반조성에 필요한 완효성 생력적 종합토양개량제의 연구 개발공급
2.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인 과제
본 발명에서 재활용하는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Fly ash) 아미노산폐액은 산업폐기물이며 해당 산업분야에서 오랜기간 재활용기술을 개발하여 왔으나 아직 처리기술의 부족으로 일부가 재활용되고 대부분을 폐기물로 매립이나 해양투기로 처리되고 있는데, 매립지 확보의 곤란과 2차공해 문제의 해결을 위한 재활용 기술개발과 확대는 현안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내 축산농가에서 배출하는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깔집축사 발효돈사톱밥토양여과시설등 비료화에 필요한 톱밥부족에 따른 톱밥대용제의 개발과 악취와 분뇨를 근원적으로 무방류 처리하고, 인력과 인건비 유지관리비를 절감하는 효율적이고, 간편한 농가보급형 가축분뇨 처리시스템의 연구개발은 축산업계에 시급하고 중요한 당면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3. 본 발명의 해결방법 요지 및 중요한 용도
강 알카리성(pH 12~13)의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Fly ash)와 강 산성(pH 3~4)의 아미노산폐액을 교반 혼합하여 pH 6~7의 중성으로 안정화하고 과립상(3~10㎜) 입상(10~30㎜)으로 뭉치고 함수율 5%이하로 건조하여, 수분의 흡착율을 높여 톱밥대체 수분조절재(RGO)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RGO를 이용하여 가축분뇨를 원천적으로 무방류 자원화 처리하는 농가보급형 가축분뇨 처리 시스템인 RGO 깔집축사(우사 마사 돈사)기술과 소재를 개발 제공함에 있다.
가축분뇨 처리후에 수거하는 RGO는 유기물 비료성분 토양개량제를 함유한 종합토양개량제로 논토양에 환원하므로 고품질 양질미를 증산할 수가 있고, WTO 협정에 따른 무한경쟁시대에 주곡의 자급기반 조성에 필요한 완효성 노동력절감형비료와 그 제조기술을 제공하는 유익한 발명이다.
제5도, 수분조절제 및 비료제조 공정도

Description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의 입상화 톱밥대체 수분조절재 제조방법과 농가보급형 가축분뇨처리 시스템
(1) 수분조절재 및 비료제조 방법
Fly ash는 규산질 다공체로서 공극율이 높고, 함수율이 0%로서 수분과 양분의 흡착능력이 높으나, 강 알카리성의 미세한 분말이므로 깔집축사 또는 수분조절재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분진에 의한 가축의 호흡기질병의 우려와 운반, 보관상의 2차공해로 인한 문제점이 있어 사용에 불편하고 지금까지 사용기술의 미개발로 사용하지 않고 대부분 폐기되어 왔다.
본 발명의 특징은 강 알카리성(pH 12~13)미세한 분말 상태의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Fly ash)를 운반 보관 사용에 편리하도록 강산성(pH 3~4)의 아미노산폐액을 바인다로 사용하여 pH 6~8의 중성으로 안정화하며, 과립상(Granulate) 또는 입상(Bliquette)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수분조절재로 사용 2~3주간의 발효후에는 식물성 바인다가 분해되어 덩어리가 풀어지고, 유기물과 고르게 혼합 종합비료화되는, 톱밥대용 수분조절재를 제조하는 기술을 특징으로 한다.
제5도 공정도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운반공정
발전소, 고로, 제지공장 및 쓰레기소각로에서 함수율 0% 상태로 배출하는 Fly ash를 탱크로리로 수거운반하여 회 탱크(Ash silo)에 보관한다.
조미료 및 식품 생산공장에서 배출하는 아미노산폐액, 원액, 당밀, 엿물을 수거하여 탱크로리로 운반하여 바인다 탱크(Binder silo)에 보관한다.
제2공정;혼합공정
회 탱크에 보관되어 있는 Fly ash와 바인다 탱크에 보관되어 있는 바인다를 스크류콘베어로 운반하여 Fly ash 50~60중량%와 바인다 40~50중량%를 자동화시스템으로 계근, 혼합조에 운반하여 고속 교반기로 완전 혼합한다.
아미노산폐액 바인다는 농도에 따라 점도에 차이가 있으며 점도가 부족하여 덩어리가 쉽게 무너짐(부서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농축액을 사용하거나, 당밀액, 과당액, 엿물등 점성이 강한 식물성 바인다를 10~20%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무기바인다(CMC) 3~5%를 혼합하여 접착제로 사용한다.
제3공정;입상(Briquetting) 과립상(Granulate) 제조공정
혼합 교반공정을 거친후에 스크류콘베어로 이송하여 과립기(몰드직경 3~10㎜) 입상제조기(몰드직경 10~30㎜)에 투입하여 압출기(포련)로 밀어내거나 찍어내어 용도에 따라 과립상, 입상으로 배조한다.
제4공정;건조공정
함수율 30~40%의 과립, 입상 덩어리를 300~400℃의 고온의 터널식 건조로에 10~20분간 통과하여 함수율 5%이하로 건조하여, 입상 과립상으로 강도의 유지와 수분과 양분의 흡착능력을 높이어 톱밥대체 수분조절제 RGO(Recycle Growth Olganic)을 만든다.
제5공정;포장 운반공정
제품의 운반 보관중에 편리와 대기중의 흡습을 방지하기 위하여 20㎏ PE포대에 밀봉 포장하여 운반한다.
제6공정;비료제조공정
발효돈사 깔립축사에서 가축분뇨를 처리한후에 수거한 RGO 잔폐물에는 유기물과 비료성분 양분율 공극내에 흡착하여 포화된 상태로 수거, 적치중에 후발효되어 수도용비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Fly ash 50~60중량%와 아미노산폐액 40~50중량%를 혼합 교반 안정화하여 과립형상으로 제조한 RGO는 아미노산폐액에 함유한 유기물과 비료성분이 다공질 규산체에 농축된 종합 토양개량제로 수도용비료로 곧바로 포장한다.
(2) 본 발명의 효과
위와 같이 제조한 비료(RGO)의 시험성적은 아래 제6도와 같으며 본 발명 비료의 수도작 경작 시험성적서는 제7도와 같다.
제6도, 본 발명 부산물비료의 시험성적서 농업과학기술원
RGO의 특성은 악취와 유기물 질소등 영양분과 수분을 다량 흡착하며 보관성이 높은 미세다공질로 염기치환용량이 100~140me/100g으로 높고, 질소등 비료성분과 유기물 규산질 고토 석회 철분등 각종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경운시 1회의 가비로 100~150일간 서서히 공급해 주며 과비현상과 비료의 유실을 방지하는 완효성 종합토양 개량제로서, 수도작의 무농약 저화학비료 농법으로 고품질 양질미를, 증산하여 주식량(쌀) 자급을 위한 농업기반 조성에 기여하며, 농촌노동력 부족에 대비한 시비 농약살포 노동력절감을 위한 쌀 생산비의 절감과 생력화로 곡진 경쟁력을 높이는 수도용 생력적 노동력절감형비료가 된다.
(3) 본 발명 비료의 경작실례
우리나라 논토양의 특성을 살펴보면 규산의 적정함량 130~180ppm에 평균함량은 70~80ppm으로 크게 미달되며, 전체높이 97.2%가 규산이 부족하여 규산질비료를 주어야 하며, 정부에서도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여 규산질비료를 년차적으로 살포하여 주고있다.
규산은 질소비료의 8배이상을 필요로하는 노토양의 보약과 같다.
(농협중앙회 흙살리기운동 비료사업방향 p18~20, 일본 후쿠이농시 '76)
본 발명 비료를 논에 사용할 때에 유기물과 비료성분 토양개량제를 동시에 투입하게 되어 종래 여러가지 비료와 토양개량제를 살포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하며, 규산함량이 17%이상인 본 발명비료는 벼에 흡수 규화세포를 형성하여 벼도열병등 병해나 해충의 충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농약사용량이 줄어지며, 또 세포를 강화하여 튼튼해진 벼는 내도복성을 높이고, 경엽의 수광상태를 좋게하여 벼가 잘익어 등숙보합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 쌀 5%의 증수와 고품질 양질미 생산에 기여하는 좋은 결과를 얻었다.
표 7도, 본 발명 비료의 수도작 경작 시험성적서 1999년도
상술한 제반 수치는 본 고안의 실험을 위한 수치이므로 본 고안은 상기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4) 농가보급형 가축분뇨처리 시스템
측사바닥에 40~60㎝ 깊이의 발효상을 설치하고, 바닥에 RGO 70~80%를 채우고, 그 위에 톱밥 20~30%를 채워서 발효상을 조성한다. 발효상위에 가축을 사육하면 배설한 분뇨가 상재에 흡착하여 호기성 발효균제에 의하여 발효 분해되어 악취가 제거되고, 수분이 증발되고 측사내에서 퇴비화하는 방법으로 가축분뇨의 무방류처리시스템으로 수질오염을 근원적으로 방지하며,
시설비와 유지관리 처리비가 절감되는 효율적이고, 간편한 농가보급형 가축분뇨 처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깔집측사의 경우는 축사바닥에 5~20㎝의 깊이로 RGO를 채우고 그위에 가축을 사육하며 분뇨를 흡착한 후에 수거하는 방법이다.
표 8도, RGO 발효돈사
표 9도, RGO 깔집축사(우사, 마사, 돈사)
화력발전소, 고로, 제지공장, 쓰레기소각장에서 발생하는 Fly ash 소각잔재광재와 아미노산폐액을 재활용하여 제조한 RGO는 깔집축사에 사용할때에 5~30일간 분뇨의 흡착능력이 지속되며, 발효돈사에는 6개월이상 가축분뇨를 흡착 발효 건조 수분을 증발하여, 무방류 근원적으로 처리 부산물 비료화하는 방법이다.
분뇨를 매일 수거하는 인력과 인건비가 절감되며, 파리 모기 해충이 구제되는 효율적이며 생력적인 농가보급형 가축분뇨 처리 시스템이다.
(1)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Fly ash)의 발생과 그 처리
석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 제철소, 제지공장 소각로, 도시쓰레기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회, 고로광재, 소각잔재는 96년도 1년간 약 320만톤에 달 하였으며, 발전소 및 소각로의 증설에 따라 2005년에는 약 570만톤, 2010년도에는 약 610만톤에 이를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에서 발생되고 있는 회의 재활용 실적을 살펴보면 1995년도에 발전소 발생량의 약 18%가 시멘트원료, 레미콘혼화제로 재활용되었고, 대부분을 회처리장(Ash pond)에 매립으로 처리하고 있다[한국전력공사 '96 석탄회(Fly ash)활용 국제 워크숍 석탄회 처리현황과 대책참조]특별히 도시쓰레기소각로의 소각잔재, 회는 특정폐기물로 구분되어 쓰레기 매립장에 엄청난 비용을 들려 버리고 있는데, 매립지의 확보문제와 2차공해문제를 해결하고자, 배출업소나 환경관련 업체에서나 정부에서도 수십년간 2차공해를 주리는 방법을 개발하여 왔으며, 실용화하기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경제성 있는 기술이 개발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심각한 특정폐기물인 소각잔재, 광재, 회를 입상으로 뭉쳐서 톱밥대용 수분조절재를 제조하여, 가축분뇨의 비료화처리, 무방류시스템인 깔집축사 톱밥토양여과제 톱밥대용제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자원의 절약과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Fly ash에는 아래 제1도 부산물비료 공정규격과 Fly ash의 유해성분함량 비교표와 같이 부산물비료의 유해성분 허용기준량 보다 아주 적거나 검출되지 않아, 다른 유기물과 안정화하는 방법으로 비료를 제조 할때에 검출되지 않아, 다른 유기물과 안정화하는 방법으로 비료를 제조할때에 부산물비료 공정규격에 사용이 가능하다.
Fly ash에는 제2도 성분표와 같이 가용성규산질(Si) 석회(Ca) 고토(Mg) 가리(K) 인산(P)등 농작물 성장에 유효한 성분으로 이루어졌고, 함수율 0%인 다공체로서 수분과 영양분의 흡착능력과 염기치환용량이 높고, 비료의 효과를 3~5개월간 서서히 나타내는 완효성, 노동력절감형 비료 및 수분조절재(Bulking Agent)로 아주 적합한 물성을 가지고 있다.
제1도, 부산물비료 공정규격과 Fly ash의 유해성분함량 비교표
제2도, Fly ash 성분표(범위 및 평균치)
(2) 조미료공정 폐액의 발생과 그처리
그 조미료(MSG, IMP, GMP) 생산공장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아미노산원, 폐액은 년간 수십만톤에 달하고 있다.
pH 3~4 강산성의 아미노산폐액을 중성화하여 비료화 하기에 비용이 소요되며, 양분의 불균형, 토양의 산성화, 아미노산액비 사용농작물의 한계성과 재활용기술의 부족으로 많은량을 재활용하기가 어렵고, 부산물비료 제조시에 필요한 톱밥, 수피분 등 부자재 조달의 어려움으로 현재 개발된 기술의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많은량을 해양투기로 버리고 있고 그 처리비용도 수십억원에 이르고 있다.
(3) 가축분뇨의 발생과 그 처리기술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에 따라 식생활 양상이 동물성 단백질의 수요가 증가하고, 가축의 사육규모가 기업화되면서 가축분뇨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가 사회적인 과제로 대두되었고,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급격히 높아짐에 따라, 축사에서 발생하는 분뇨의 처리문제는 우리나라의 축산업 발전을 위하여 반드시 해결하지 않으면 않될 문제로 축산연구 단체나 업계에 중요한 기술적인 연구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가축의 사육두수가 증가함에 따라 분뇨의 발생량은 점중하고 1996년도에 년간 분뇨발생량은 약 4400만톤에 이른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제3도, 우리나라 축종별 사육동향
가축분뇨를 그대로 방류하거나 생분상태로 버릴 때에 수질오염, 호소의 부영양화, 지하수 오염, 악취공해와 각종 해충의 발생은 농촌생활 환경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축산폐수로 오염된 농업용수의 사용은 농산물의 수확량을 감소시킬 수가 있어 폐기물관리법에 엄격히 규제를 강화하여 축산농가의 가장 큰 현안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995년도말 현재 농림부 통계, 가축분뇨처리 시설의 설치현황을 살펴보면 아래 제4도와 같이 분뇨처리시설 설치대상농가 79,855호의 79%인 63,435호에서 시설을 설치하였는데, 42,987호(68%)에 설치한 자원화시설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때에 국내 화학비료 수요량의 40%이상을 가축분뇨를 재활용한 비료로 대체가 가능하다. [축산기술연구소:97심포지움 가축분뇨 처리 시험연구방향, 한정대과장]
제4도, 분뇨처리시설 설치 현황 농림부 : 95년도말 통계
축산농가들이나 가축분뇨를 수거하여 퇴비를 제조하는 비료공장에서 톱밥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년간 톱밥의 수요는 수백만톤에 이르고 있으나, 제재소에서 부산물로 생산되는 톱밥으로 수요를 충당할 수가 없어 가격이 폭등하고, 구입하기가 용이하지가 않아 깔집축사 시설운영과 가축분뇨 비료화 공장운영에 어려움과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가축분뇨 자원화시설의 보급에 문제점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톱밥대체부자재, 수분조절재의 연구개발과 농가형 가축분뇨처리시스템의 모델개발 보급사업은 축산기술연구단체나 축산업계에 시급하고 중요한 당면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4) 톱밥대체 수분조절재와 비료의 개발
1996~97년도 농림부 특정과제로 선정하여 경상대학교, 진주산업대학공동연구로 삼천포화력발전소 Fly ash를 가축분뇨의 비료화에 수분조절재(Bulking agent)로 사용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는데, 분말상태로 운반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과 강 알카리성으로 2차공해를 주리지 못하고, 운반 사용에 불편한 분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함수율 0% 상태의 회(Fly ash)에 30~35%의 물을 뿌려서 반출하므로 수분조절능력이 감소하였고, 강 알카리성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서 Fly ash를 수분조절재로 사용하여 제조한 비료는 25% 이상의 유기물과 3~5%의 비료성분(질소, 인산, 가리) 15~25%의 토양개량제(규산 석회 고토 철분) 식물성장에 필요한 미량원소를 다량 함유한 종합 토양개량효과로 현재 톱밥과 가축분뇨를 제조한 부산물비료 보다 사용효과가 제7도 수도작 경작실험 성적서와 같이 현저하게 높은 비료가 되며, 국내 농경지 면적의 60%인 논 105만 ha에 필요한 수도용비료의 잠재 수요량은 약 4~500만톤에 달한다.

Claims (3)

  1. 발전소 제련소 제지공장 쓰레기소각로에서 발생하는 함수율 0% 상태의 소작잔재 고로광재 Fly ash 50~60%중량%와 조미료 생산공장에서 발생하는 아미노산폐액 [MSG 제조공정중의 그루타민산 모액, 핵산조미료(IMP,GMP) 제조공정중의 폐약 포함] 40~50중량%를 교반하여 혼합한다; 과립기(몰드직경 3~10㎜) 입상제조기(몰드직경 10~30㎜)에 투입하여 고속 압출기(포련기)로 밀어내거나 찍어내어 과립상 입상으로 제조한다;
    함수율 30~40%의 과립상 입상 덩어리를 300~400℃의 건조로에서 10~20분간 통과하여 함수율 5%이하로 건조하여 수분과 양분의 흡착력을 높이고 운반과 사용에 편리한 수분조절재(RGO)를 제조하는 방법.
  2. 강 산성(pH 3~4)의 아미노산폐액 40~50중량%와 강 알카리성(pH 12~13)의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Fly ash) 50~60중량%를 교반 혼합하여 pH 6~7의 중성으로 안정화하여, 입상 또는 분말형으로 만들어 유기물과 비료성분(NPK)규산질 석회 고토등 토양개량제를 고르게 함유한 종합 토양개량제로 수도용 완효성 생력적 노동력 절감형비료와 그 제조방법.
  3. 축사바닥에 10~50㎝의 발효상을 설치하고 하부에 RGO 70~80%를 채우고, 상부에 톱밥 20~30%를 채우거나, 깔집축사인 경우는 5~20㎝의 발효상에 RGO를 채우고 가축을 사육하면 배설한 분뇨가 발효상재에 흡착하여, 호기성 미생물에 의하여 발효와 분해 건조되어 악취와 분뇨를 근원적으로 무방류 처리하고, 퇴비화하여 인력과 인건비와 유지관리비를 절감하는 효율적이고 간편한 농가보급형 가축분뇨 처리시스템에 관한 기술과 톱밥대체용제 및 수분조절재.
KR1019970045628A 1997-09-03 1997-09-03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의 입상화 톱밥대체 수분조절재 제조방법과 농가보급형 가축분료처리 시스템 KR19990024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628A KR19990024501A (ko) 1997-09-03 1997-09-03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의 입상화 톱밥대체 수분조절재 제조방법과 농가보급형 가축분료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628A KR19990024501A (ko) 1997-09-03 1997-09-03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의 입상화 톱밥대체 수분조절재 제조방법과 농가보급형 가축분료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501A true KR19990024501A (ko) 1999-04-06

Family

ID=6604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628A KR19990024501A (ko) 1997-09-03 1997-09-03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의 입상화 톱밥대체 수분조절재 제조방법과 농가보급형 가축분료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5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10B1 (ko) * 2002-01-26 2004-05-27 주식회사 토비이앤지 정제형 펠릿비료의 제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010B1 (ko) * 2002-01-26 2004-05-27 주식회사 토비이앤지 정제형 펠릿비료의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17237B (zh) 利用湖泊淤泥生产生态环保营养土的方法
EP2931680B1 (en) Organic fertilizer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KR100388346B1 (ko) 농수축산 폐기물과 슬러지를 원료로 한 비료와 그 제조방법
CN100387553C (zh) 利用赤霉菌培养基废渣生产颗粒商品有机肥技术
KR20000061948A (ko) 소각잔재와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입상수분조절재 및 입상규산질 비료 제조방법
CN101648831A (zh) 生活污水处理污泥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KR100222637B1 (ko) 하수슬러지 오니와 Fly ash를 이용한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348637B1 (ko) 축산폐수의 퇴비화 방법에 의한 무방류 처리공법 및 수도용비
KR100276670B1 (ko) 복합토양개량제와 그 제조방법
KR19990052626A (ko)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 유기성폐기물의 콤포스트 쓰레기매립 장 복토제 제조방법과 흙 대용 복토제
KR19990024501A (ko) 소각잔재 고로광재 회의 입상화 톱밥대체 수분조절재 제조방법과 농가보급형 가축분료처리 시스템
KR100220209B1 (ko) 수분조절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220210B1 (ko) Fly ash를 수분 조절제로 이용한 수도작용 완효성 비료 및 그 제조방법
Rani Rejuvenating soil health using organic manure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KR19990006257A (ko) 음식쓰레기와 Fly ash를 수분조절재로 이용한 비료제조방법 및 수도용 완효성 생력적 복합토양개량제(RGO)
CN1537831A (zh) 利用氢氧化钾处理植物材料生产肥料的方法
CN104370590A (zh) 一种利用植物秸秆灰渣生产多元素肥料的方法
Aboltins et al. Biomass ash and cattle slurry mixture solid fraction extracting and its use in agriculture
SK9648Y1 (sk) Zapojenie zariadenia na výrobu bioadsorbentu alebo zmesového bioadsorbentu, spôsob výroby bioadsorbentu alebo zmesového bioadsorbentu a zmesový bioadsorbent týmto spôsobom vyrobený
KR20000061949A (ko) 폐석회, 플라이-애쉬, 아미노 액시드를 이용한 수도작용 입상 토양개량제 제조방법
CN117447277A (zh) 一种基于畜禽粪便生产生物有机肥的工艺
RU2505511C2 (ru) Почвосмесь универсальная "плодород-рекорд"
DE102020118156A1 (de) Bodenzusatz in Form eines Granulates, Herstellungsverfahren für den Bodenzusatz und Verwendung für den Bodenzusatz
CZ11701U1 (cs) Granulované organominerálni hnojivo vyrobené z odpadu hasicích prášků
KR19990010308A (ko) 세팔로스포린-c 발효액 여과폐박의 비료화 방법과 그 비료 수도용 완효성 노동력절감형 종합비료(r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