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382A - 낚시용 저 프로파일 릴과 이를 위한 프레임 - Google Patents

낚시용 저 프로파일 릴과 이를 위한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382A
KR19990023382A KR1019980031890A KR19980031890A KR19990023382A KR 19990023382 A KR19990023382 A KR 19990023382A KR 1019980031890 A KR1019980031890 A KR 1019980031890A KR 19980031890 A KR19980031890 A KR 19980031890A KR 19990023382 A KR19990023382 A KR 19990023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eel
fishing
spoo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포드 에이. 콕커햄
Original Assignee
다우슨 짐
제브코 디비젼 오브 브룬스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슨 짐, 제브코 디비젼 오브 브룬스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다우슨 짐
Publication of KR19990023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3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프레임을 사용한 저 프로파일 릴은 제1측판, 제1측판으로부터 이격된 제2측판 및 릴을 낚싯대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제1과 제2측판 사이에 위치된 푸트를 포함하고 있다. 푸트의 바닥은 푸트의 바닥으로부터 프레임의 바닥 까지의 거리가 프레임의 상부와 프레임의 바닥 사이의 거리의 약 15% 내지 약 40%의 범위내에 있도록 프레임의 바닥에서 이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제1 및 제2측판은 릴이 전통적인 둥근형상을 가지도록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Description

낚시용 저 프로파일 릴과 이를 위한 프레임
하나의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낚시용 베이트캐스트릴에 관한 것이다. 다른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프레임과 낚시용 릴의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베이트캐스트 낚시용 릴은 널리 알려져 있다. 낚시용 베이트캐스트릴은 전형적으로, 한쌍의 대향 측판을 가진 스프릿 프레임, 릴을 낚싯대에 부착하기 위하여 프레임으로부터 뻗어 있는 푸트, 낚싯줄을 감고 유지하기 위하여 프레임 측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된 낚싯줄스풀, 스풀이 고정되고 프레임 측판을 통하여 뻗어 있는 끝을 가진 스풀축, 스풀축상에 제공된 피니온기어, 낚싯줄을 감기위하여(감아 올리기 위하여)스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수동으로 작동가능한 크랭크핸들, 크랭크핸들을 스풀축 피니온 기어에 기계적으로 연결한 기어열 및 크랭크축 조립체, 낚싯줄이 스풀의 길이에 따라 균일하게 감겨지는 것을 보장하도록 감는 동안에 스풀을 횡단하는 레벨와인드기구, 크랭크 핸들 및 스풀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방지기구, 캐스팅동안에 스풀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피니온기어를 스풀에서 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한 클러치기구, 클러치를 맞물리기 위한 외부 액츄에이터(전형적으로 엄지레버), 및 스풀드래그 또는 스풀제동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좌우측 커버는 다양한 릴 작동기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프레임 측판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오른손용 베이트캐스트릴(즉 오른손잡이용으로 설계된 릴)은 전형적으로 스풀드래그 또는 스풀제동기구가 좌측커버 아래에 수용되고 크랭크 핸들이 우측커버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크랭크축, 기어열, 피니온 기어, 클러치, 및 역전방지기구가 우측커버 아래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오른손용 베이트캐스트릴은 통상 좌측커버를 제거함으로써 릴스풀에 접근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측커버를 제거함에 있어서, 스풀은 릴프레임의 좌측판에 제공된 구멍을 통하여 전형적으로 제거 및/또는 교체될 수 있다.
편리함을 위하여, 오른손용의 투시는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릴 및 릴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떤 베이트캐스트의 좌측변형은 왼손용의 릴이 오른손용으로의 릴이 변형의 미러상이도록 릴 구성요소의 배열을 간단하게 역전시킴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스풀드래그 또는 스풀제동시스템은 통상 캐스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낚싯줄 백래시 문제점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베이트캐스트릴에 통상 사용된다. 이러한 제동시스템이 횡단으로 향한 스풀을 활용하기 때문에 베이트캐스트릴은 스핀링릴과 스핀 캐스트릴보다 더 많은 백래싱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캐스팅 동안에 스풀에 의해서 지지된 회전모멘텀으로부터 발생된다. 베이트캐스트릴에 사용된 대부분 통상 타입의 드래그/제동기구는 자기 드래그 시스템과 원심제동시스템이다.
2가지 기본 스타일의 릴이 베이트캐스트릴 수요에서 우수하다. 제1스타일은 둥근 고 프로파일을 가진 전통적인 베이트캐스트릴로 이루어 졌다. 제2스타일은 눈물방울형상 또는 타원형형상을 가진 현재의 저 프로파일 릴로 이루어 졌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고 프로파일은 릴이 낚싯대에 고정될 때 릴의 상부가 낚싯대의 상부에서 비교적 큰간격으로 이격된 베이트캐스트릴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에 반하여, 용어저 프로파일은 릴이 낚싯대에 고정될 때 릴의 상부가 낚싯대의 상부에서 비교적 짧은 간격으로 이격된 베이트캐스트릴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지금까지는, 전통적인 둥근 베이트캐스트릴은 기본적인 2가지 요소로 인해 비교적 고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었다. 제1요소는 전통적인 둥근 형상을 얻기 위하여 큰 프레임 측판을 사용하여야 한다. 제2요소는 릴 푸트를 릴프레임의 바닥아래에 또는 그 바닥에 위치시켜야 한다.
전통적인 베이트캐스트릴에 사용되는 원형프레임측판은 (a) 측판 사이에 위치된 다양한 구조와 구성요소를 둘러싸고 (b) 릴의 원형측 커버내에서 릴의 작동기구의 모두를 수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형적으로 비교적 크게 되어 있다. 프레임측판 사이에 위치된 구조부과 구성요소는 릴스풀, 레벨와인드기구, 적어도 2개의 프레임지지 구조부을 포함하고 있다. 이들 구조는 적당한 지지 및 작동을 위하여 프레임측판 사이에 둘러싸여 있다. 부가적으로, 릴의 작동기구의 모두 뿐만 아니라, 구조부과 구성요소는 전체가 둥근 전통적인 형상을 얻기 위하여 릴의 원형 프로파일내에 둘러싸여 있어야 한다.
지금까지 둥근 베이트캐스트릴에 사용된 전형적인 푸트구조부은 프레임지지부의 하나의 외부(바닥)표면에 부착된 분리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왔다. 프레임지지구조부은 원형측판의 주위에서 또는 근처에서 스풀둘레에 전형적으로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릴푸트는 릴의 바닥에 또는 아래에 위치되어 왔다. 따라서, 낚싯대상에 장착될 때, 실질적으로 전체의 큰 프로파일의 릴은 낚싯대의 상부위에 위치되었다.
전통적인 베이트캐스트릴과 같은 현재의 베이트캐스트릴은 릴푸트가 릴의 바닥에 또는 아래에 위치되도록 전형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저 프로파일을 얻기 위하여 현재의 베이트캐스트릴은 타원 또는 눈물방울형상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구성하였다. 이들 현재의 프레임은 릴스풀의 전방 및/후방에 프레임지지 구조부와 다양한 작동기구를 위치시킴으로써 저프로파일이 얻어지는 전방 및 후방으로 뻗어있는 부위를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둥근 베이트캐스트릴에 대한 연속적인 상당한 수요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많은 사용자는 현재의 베이트캐스트릴보다 전통적인 베이트캐스트릴을 선호한다. 공교롭게 전통적인 둥근 베이트캐스트릴의 고 프로파일 특성은 어떤 단점을 가지고 있다. 다수의 사용자는 낚싯줄을 감는 동안에 낚시용 릴이 한쪽손안에 잡히는 것을 좋아한다. 낚시용 릴을 다룰 때 사용자는 릴과 낚싯대를 한쪽손에 유지하고 다른 한쪽손으로 크랭크핸들을 회전시킨다. 많은 사용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낚싯대와 릴을 유지하는 것이 편안하고 균형이 잡힌다는 것을 알고 있다. 릴을 다루는 동안에 사용자는 낚싯줄을 감는 동안에 다루는 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사이를 통과하도록 낚싯줄을 전형적으로 유지한다. 따라서 손의 다룸은 낚싯줄으로부터의 습기를 제거하고 감는 과정동안에 낚싯줄상의 필요한 응력량을 유지함으로써 효율적인 감기를 도모하는 데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필요성은 전통적인 둥근 외관을 가지고 있고 전통적인 베이트캐스트릴의 상술된 이점과 장점을 제공하는 저 프로파일 베이트캐스트릴에 현재 존재한다. 지금까지 베이트캐스트릴을 위한 프레임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방법은 현저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통상 대부분 사용된 방법은 다이캐스팅, 정밀주조, 단조 및 스템핑이다. 정밀주조는 비교적 노동집약적이다. 또한 정밀주조는 합금선택을 제한하며 생산함에 있어 바람직하지 않은 고 다공성레벨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단조방법은 고 설비비용과 광대한 가공조건으로 인해 전형적으로 약간 비싸다. 스템핑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구성요소의 형성과 부착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스템핑은 전형적으로 치수정밀도를 관리할 수 없으며 전체강도가 비교적 낮은 제품을 만든다.
다른 프레임 제조방법 보다 덜 비용이 들어가지만 다이 캐스팅방법은 전형적으로 저품질의 제품을 만든다. 다이 캐스팅제품은 고 다공성레벨, 고 오염레벨 및 고 아웃-가싱레벨을 통상 나타낸다.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방법은 성형된 재료가 다이벽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과정 동안에 재료의 유동을 촉진시키도록 철과 실리콘을 첨가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첨가는 두껍고 광이나고, 산화처리하는 마무리를 할 수 없게 한다. 그러므로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 프레임은 통상 페인트를 칠하거나 가벼운 산화처리를 한다. 따라서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 프레임은 전형적으로 낮은 내식성 및 스크래치 저항성, 낮은 강도, 낮은 마무리성 및 낮은 미적외관을 가지고 있다. 부가적으로 다이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의 재료의 받아들일 수 있는 유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다이캐스트 프레임의 측판 사이에서 뻗어있는 지지구조부은 전형적으로 비교적 두꺼워야 한다.
따라서, 베이트캐스트릴용 고품질프레임을 제조하는 비용이 효율적인 방법이요구되었다. 특히 베이트캐스트릴용 고품질 알루미늄프레임을 제조하는 비용이 효율적인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치수정밀도의 고레벨을 바람직하게 제공하고 우수한 합금의 사용을 허락한다. 이러한 방법은 광이나고, 산화처리하는 마무리를 촉진시키고 고강도, 고스크래치 저항성 및 고내식성을 바람직하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필요성를 해결하고 충족시킨다. 본 발명은 전통적인 등근형상을 가진 저 프로파일 베이트캐스트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릴을 쉽게 다룰 수 있어서 더 좋은 편리성, 개량된 감기효율, 및 더좋은 평형성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베이트캐스트릴(2)의 실시예의 좌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릴(2)의 우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릴(2)의 부분절취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릴(2)의 우측 커버 조립체(28)의 분해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릴(2)의 우측 커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좌측 커버 조립체(28)의 내부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프레임(4)의 좌측의 외부도,
도 8은 본 발명의 릴(2)에 사용되는 커버유지부재(40)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프레임(4)의 우측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프레임(4)의 좌측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프레임(4)의 후방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선 12-12에서 본 발명의 프레임(4)의 절취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프레임(4)의 우측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프레임(4)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프레임(4)의 저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프레임(4)의 좌측 정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선 17-17에서 본 발명의 프레임(4)의 절취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프레임(4)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압출된 바 스톡(260)의 가늘고 긴 부위의 사시도,
도 19는 바 스톡부위(260)의 정면 끝면도.
본 발명의 릴은 프레임의 바닥상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일체적인 푸트 구조부을 가진 신규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이 프레임은 고강도단일방향의 그레인 구조부을 제공하고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은 합금선택을 허용하고 산화처리 및 마무리에 대한 추가적인 해독성을 제거 또는 크게 감소시키고 고 치수정밀도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저다공성, (0.0004인치 이상으로) 두껍고 광이나고 아름답고 산화처리하는 마무리, 및 고 내식성과 스크래치저항성을 허용 및/또는 제공한다.
하나의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프레임과 낚싯대상에 낚시용 릴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의 최상 지점은 프레임의 최저 지점에서 제1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장착수단의 바닥은 프레임의 최저 지점에서 제1거리의 약 15% 내지 약 40%의 범위내에서 제2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다른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1측판, 제1측판으로부터 이격된 제2측판, 프레임을 낚싯대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제1측판과 제2측판 사이에 위치된 장착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낚시용 릴의 프레임을 제공한다.프레임의 최상지점은 프레임의 최저지점에서 제1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장착수단은 프레임의 최저지점에서 제2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2거리는 약 15% 내지 약 40%의 범위내에 있다.
다른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a) 전통적인 둥근형상을 가진 릴 하우징과 (b) 낚시용 베이트캐스트릴이 저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릴 하우징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다른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압출된 시작편으로부터 낚시용 릴의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압출된 시작편은 길이방향의 제1측벽과 길이방향의 제2측벽을 포함하고 있다. 제2측벽은 제2측벽이 제1측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측벽에 대해 이격된 관계로 되어 있다. 이 방법은 압출된 시작편으로부터 복수의 개개의 낚시용 릴의 프레임을 제조하도록 압출된 시작편을 기계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프레임을 시작편으로부터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여기에서 시작편은 (a) 길이방향의 제1측벽과 (b) 제2측벽이 제1측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측벽에 대해 이격된 관계를 가진 길이방향의 제2측벽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방법은 (a) 제1측벽을 통하여 일련의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시작편으로부터 복수의 개개의 프레임을 제조하도록 시작편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개개의 프레임의 각각은 하나의 분리구멍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a) 가늘고 긴 시작편으로부터 복수의 개개의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하여 가늘고 긴 시작편을 절단하는 단계와 (b) 개개의 프레임을 낚싯대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수단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낚시용 릴의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가늘고 긴 시작편은 길이방향의 제1측벽, 제2측벽이 제1측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1측벽에 대해 이격된 관계를 가진 길이방향의 제2측벽, 및 제1 및 제2측벽을 이격된 관계로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횡단구조부를 포함하고 있다. 개개의 프레임의 각각은 제1측벽의 분리부분, 제2측벽의 분리부분 및 횡단구조부의 분리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단계(b)에서 제조된 장착수단은 개개의 프레임에 포함된 횡단구조부의 부분으로부터 형성된다.
또 다른 특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단일방향의 그레인 구조부을 포함하는 낚시용 릴의 프레임을 제공한다.
이 프레임은 단일방향의 그레인 구조부을 가진 단일구조부이며, 상기 단일구조부은 제1벽, 제1벽으로부터 이격된 제2벽, 및 제1벽과 제2벽 사이에서 뻗어 있는 지지구조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당해기술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수반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공된 베이트캐스트릴(2)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릴(2)은 베이트캐스트릴 프레임(4), 원형우측판(8)과 원형좌측판(10) 사이에 회전하게 장착된 낚싯줄 스풀(6), 스풀(6)이 고정되는 가늘고 긴 스풀축(7), 우측판(8)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우측커버(12), 낚싯줄이 스풀(6)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되은 것을 보장하도록 감는 중에 스풀을 횡단하는 레벨와인드 기구(16), 릴(2)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하여 프레임(4)에 일체로 형성된 푸트구조부(18) 및 프레임(4)의 좌측판(10)에 제거가능하게 부착가능한 좌측커버(20)를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있다. 조립시, 프레임(4)과 커버(12,20)는 릴의 다양한 작동구조 및 기구용 하우징(13)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릴(2)은 오른손잡이용 베이트캐스트릴로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었지만, 당해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은 외손잡이용 베이트캐스트릴에 동등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릴(2)의 좌측커버(20)는 원심제동시스템(22), 스풀유지편(26), 스풀축 베어링(24) 및 좌측커버(20)를 프레임(4)의 좌측판(10)상에 고정하고 유지하기 위한 조립체(28)를 바람직하게 수용하고 있다.
스풀리테이너(26)는 원형유지판(30), 유지판(30)을 둘러싸는 원통형외부벽(32), 외부벽(32)으로부터 방사상외측으로 돌출한 외부플랜지(34), 외부플랜지(3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편평한 방사상귀부(36)를 가지고 있다. 한쌍의 노치(38)는 한쌍의 커버유지부재(40)를 작동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외부플랜지(34)에 제공되어 있다. 스풀리테이너(26)는 볼트(42)에 의해서 좌측커버(20)의 내부에 고정된다. 볼트(42)는 원형유지판(30)을 통하여 뻗어있고 커버(2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식 보스(44,46,48)에 수용된다. 스풀리테이너(26)는 유지판(30)의 내측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원통형 베어링컵(50)과 유지판(30)의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브레이크조립체 안내포스트(52)를 더 포함하고 있다. 베어링 컵(50)은 스풀베어링(24)을 유지하고 있다. 베어링(24)은 압입에 의해서, 클립링을 사용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통상 사용되는 어떤 다른수단에 의해서 베어링컵(50)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당해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어떤 타입의 스풀 드래그 또는 스풀제동 시스템은 본 발명의 릴(21)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릴에 사용된 스풀제동/드래그 시스템(22)은 바람직하게 조정가능하고, 원심제동시스템은 하우징(54)이 캐스팅중에 스풀(6)과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스풀축(7)에 압입되는 브레이크패드 하우징(54), 하우징(54)의 회전에 반응하여 방사상외측으로 미끄럼이동되는 복수의 브레이크패드(56), 캐스팅중에 어떤 또는 모든 브레이크패드(56)가 브레이크링(58)과 접촉하도록 하우징(54) 둘레에서 선택적으로 위치가능한 브레이크링(58), 브레이크링(58)이 부착되는 나사식보스(62)를 가진 캠슬라이더(60), 좌측커버(20)에 제공된 구멍(66)을 통하여 돌출된 브레이크조정다이얼(64) 및 다이얼(64)에 제공된 세레이션(70)과 상호작용함으로써 다이얼운동의 가청표시를 제공하기 위하여 커버(20)에 고정된 클리커스프링(68)을 포함하고 있다.
캠보스(62)는 유지판(30)에 제공된 구멍을 통하여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동시스템(22)에 의해서 발생된 제동력의 양을 조정하기 위하여 캠슬라이더(60)와 브레이크링(58)을 축방향으로 (즉, 스풀축(7)과 브레이크하우징(54)의 회전축선을 따라)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캠램프(72)는 캠슬라이더(60)와 브레이크링(58)의 축방향위치가 다이얼을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도록 다이얼내에서 캠슬라이더(60)상에 제공된다. 캠슬라이더(60)와 스풀리테이너(26) 사이에 위치된 가압스프링(76)은 작동맞물림상태로 캠램프를 유지한다. 도 3, 도 4 및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측커버(20)를 프레임(4)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는 부착조립체(28)는 프레임판(10)의 내부표면에 고정된 플랜지유지부재(40), 방사상작동리지(116)가 제공된 방사상중심판(80)을 가진 잠금핀(78), 액츄에이터 및 가압스프링(84)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있다. 잠금핀(78), 액츄에이터(82) 및 스프링(84)은 스풀유지편(26)에 의해서 좌측커버(20)내에서 작동적으로 유지된다.
커버유지부재(40)는 볼트(86)에 의해서 프레임측판(10)의 외부표면에 고정된다. 각각이 유지부재(40)는 스풀리테이너(26)의 방사상플랜지(34)가 수용되고 유지되는 립(88)을 포함하고 있다. 정지부(90)는 립(88)의 한쪽 끝에 제공되어 있다.
유지부재(40)는 좌측커버(20)가 프레임판(10)에 대해 위치되면 유지부재(40)가 리테이너프레임판(10)에 제공된 노치(38)를 통하여 수용되도록 프레임(10)에 위치된다. 또한 유지부재(40)가 프레임판(10)에 제공된 스풀구멍(92)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좌측커버(20)가 프레임(4)에 고정되면 스풀베어링(26)이 스풀축(7)과 적당하게 정렬되고 조정가능한 브레이크링(58)은 브레이크패드 하우징(54)과 적당하게 정렬된다.
유지부재(40)를 플랜지노치(38)에 위치시키고 좌측커버(20)를 프레임(4)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스풀리테이너 플랜지(34)의 노치에지는 유지립(88)의 선단(96) 아래에 수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적어도 립(88)의 초기위치는 사용자가 커버(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립(88)의 경사진부분과의 노치에지의 맞물림이 프랜지(34)와 커버(20)를 프레임판(10)쪽으로 당겨지도록 바람직하게 경사져 있다. 따라서, 노치에지(94)가 정지부(90)에 맞닿음상태로 플랜지(34)가 립(88) 아래에 완전하게 수용되면 커버(20)는 프레임판(10)에 대해 헐겁게 유지된다. 액츄에이터(82)는 그 외부끝상에 형성된 버튼(102)을 가진 가늘고 긴 액츄에이터판(100)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있다. 액츄에이터판(100)은 편평한 외측측면(104), 계단식 내부측면(106), 커버보스(46)를 수용하기 위한 제1길이방향의 슬롯(108), 잠금핀(78)의 내측끝을 수용하는 제2길이방향의 슬롯(110), 외부측판(104)내에 형성되고 잠금핀중심판(80)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로된 오목부(112), 및 잠금핀리지(116)를 수용하기위하여 오목부(112)의 내측에 형성된 측방향홈(114)을 포함하고 있다. 측방향홈(114)은 잠금핀(78)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리지(116)와 상호작용하는 경사진 뒷벽(118)을 포함하고 있다.
액츄에이터(82)는 커버(20)과 액츄에이터판(100)의 왕복운동을 허용하도록 좌측커버(20)에 작동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액츄에이터(82)는 (a) 액츄에이터판(100)이 스풀리테이너(26)와 좌측커버(20)에 형성된 매끄러운 보스(120) 사이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유지되어 있고 (b) 커버보스(46)가 액츄에이터슬롯(108)을 통하여 수용되고 그리고 (c) 액츄에이터버튼(102)이 커버(20)의 측벽을 통하여 형성된 버튼구멍(122)으로부터 작동적으로 돌출되도록 바람직하게 유지되어 있다. 보스(46,120)는 액츄에이터(82)의 운동을 안내하여 액츄에이터(82)가 실질적으로 선형, 비회전방식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스풀리테이너(26)와 작용한다.
잠금핀(78)은 그 길이방향축선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좌측커버(20)내에 작동적으로 유지된다. 잠금핀(78)은 (a) 잠금핀(78)의 외측끝이 커버(20)내에 제공된 핀보스(124)내에서 왕복운동가능하게 유지되고, (b) 잠금핀중심판(80)이 액츄에이터판(100)과 커버(20) 사이에 위치되고 (c) 잠금핀리지(116)가 액츄에이터측방향홈(114)에 수용되고, (d) 잠금핀(78)의 내측끝이 스풀리테이너귀부(36)를 통하여 형성된 구멍(126)과 액츄에이터슬롯(11)을 통하여 돌출하고, (e) 스프링(84)이 커버(20)와 잠금핀중심판(80) 사이에서 핀보스(124)둘레에서 위치되도록 바람직하게 유지된다. 핀보스(124)와 리테이너귀부의 구멍(126)은 잠금핀(78)의 축방향왕복운동을 안내한다.
슬롯(128)은 잠금핀(78)의 내측끝을 수용하기 위하여 프레임판(10)의 외부표면내에 형성되어 커버(20)를 프레임(4)상의 고정위치에 잠금한다. 슬롯(128)은 스풀리테이너(26)의 노치에지(94)가 플랜지유지부재(40)에 제공된 정지부(90)와 맞닿을 때 잠금핀(78)이 슬롯(128)내에 수용되도록 위치된다. 잠금핀(78)은 (a) 잠금핀(78)의 길이방향축선이 액츄에이터(82)의 왕복라인에 실질적으로 수직이고 (b) 잠금핀(78)이 프레임슬롯(128)에 수용될 때 잠금핀(78)의 길이방향축선이 프레임판(10)의 외부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바람직하게 정렬되어 있다. 스프링(84)은 잠금핀리지(116)를 액츄에이터측방향홈(114)에서 유지되고 잠금핀(78)을 프레임슬롯(128)과의 맞물림상태로 가압하기 위하여 작용한다.
잠금핀(78)은 액츄에이터버튼(102)을 간단하게 가압함으로써 프레임슬롯(128)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102)을 누르면 액츄에이터(82)는 측방향홈(114)의 경사진 뒷벽(118)이 잠금핀리지(116)를 가로질러 미끄럼이동하도록 내측으로 이동한다. 리지(116)를 가로지르는 경사진 벽(118)의 미끄럼운동은 프레임슬롯(128)으로부터 잠금핀(78)을 끌어당긴다. 잠금핀(78)이 슬롯으로부터 후퇴됨에 따라 사용자는 프레임(4)에 대해 커버(20)를 약간 회전시킴으로써 프레임판(10)으로부터 커버(20)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유지부재(40)의 립(88)아래로부터 스풀리테이너플랜지(34)를 제거한다.
사용자가 액츄에이터버튼(102)을 해제하면 스프링(84)은 핀리지(116)을 측방향홈(114)의 경사진 뒷벽(118)에 대해 가압하여 액츄에이터(82)를 외측으로 가압시킴으로써 그 본래의 위치로 버튼(102)을 복귀시키게 작동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릴(2)의 우측의 분해 사시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릴(2)의 우측에 위치된 구성요소 및 구조부은 크랭크축조립체(130), 스풀긴장조립체(132), 및 캐스팅 액츄에이터조립체(134)를 포함하고 있다. 크랭크축조립체(130), 스풀긴장조립체(132), 및 캐스팅 액츄에이터조립체(134)는 당해기술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각각의 타입이다.
크랭크축 조립체(130)는 크랭크축(136), 레벨와인드기구(138), 트립래칫(140), 제1마찰와셔(142), 구동기어(144), 제2마찰와셔(146), 드래그와셔(148), 와셔(150), 우측커버(12)로부터 돌출한 개구보스(153)내에 유지되는 클러치(152), 클러치(152)내에 수용된 클러치 슬리브(154), 한쌍의 외부드래그와셔(156), 와셔(158), 드래그스타(160), 및 스프링와셔(162)를 포함하고 있다. 크랭크핸들(14)은 너트(164)에 의해서 크랭크축(136)의 외부 끝에 고정된다. 레벨와인드기어(138), 트립래칫(140), 클러치슬리브(154), 스프링와셔(162) 및 드래그와셔(148,156)가 항상 크랭크축(136)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이들구성요소는 크랭크축(136)상에 형성된 편평한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릴(2)에 사용된 드래그시스템과 별개로, 구동기어(144)는 크랭크축(136)에 고정되어 있지않다. 대신에 구동기어(144)는 트립래칫(144)과 드래그와셔(144) 사이에서 고정되는 결과로서 크랭크축(136)과 회전하게 된다. 이 드래그시스템은 과도한 인장력이 낚싯줄에 적용되면 부가적인 낚싯줄이 제동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낚싯줄의 충분한 양이 풀리도록 크랭크축(136)상의 구동기어(144)의 회전미끄러짐의 조정가능한 정도를 제공한다.
구동기어(144)에 적용된 파지력/ 드래그력의 양은 드래그스타(160)를 회전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드래그스타(160)는 드래그스타(1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증가된 파지력/ 드래그력이 구동기어(144)에 적용되도록 크랭크축(136)의 외부 끝에 나사식으로 수용된다. 대안적으로, 구동기어(144)에 적용된 파지력/ 드래그력은 드래그스타(16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크랭크축(136)의 회전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그 내부끝(168)은 베어링(170)에 위치된다. 리테이너(172)는 우측판(8)에 제공된 오목부(236)내에서 베어링(170)을 유지한다. 내부끝(168)이 베어링(170)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리고 크랭크축(136)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E-클립(176)은 리테이너(172)를 통하여 제공된 구멍(174)내에서 내부끝(168)을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당해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E-클립(176)은 끝(168)의 외부둘레에 제공된 얕은 홈(도시안됨)내에서 고정된다.
레벨와인드기어(138)는 인접한 우측판(8)에 위치된 웜축기어(178)과 작동적으로 맞물린다. 이 기어(178)는 레벨와인드기구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웜축의 끝에 부착된다. 당해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같이, 웜축은 감는 동안에 레벨와인드기구가 낚싯줄 스풀을 가로질러 전후로 이동하도록하는 레벨와인드기구로 통상 사용된다.
크랭크축조립체(130)에 포함된 구동기어(144)는 스풀축(7)의 한쪽 끝에 제공된 피니온기어(180)의 작동적으로 맞물린다. 기어(144,180)의 작동적인 맞물림의 결과로서, 사용자는 크랭크핸들(14)을 회전시킴으로서 낚싯줄 스풀(6)을 회전시킬수 있다.
스풀텐션조립체(132)는 어느정도로 낚싯줄 스풀(6)의 회전자유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풀축(7)의 끝에 적용된 유지응력의 양을 조정하기 위하여 작동가능하다. 스풀텐션조립체(132)는 우측커버(12)를 통하여 제공된 구멍(184)내로 압입되는 내부끝을 가진 텐션보스(182), 테션보스(182)의 외부부분주위에 위치된 O-링(186), 스풀축(7)의 끝을 수용하기 위하여 보스(182)에 위치된 베어링(188), 베어링(188)상에 위치된 한쌍의 스풀와셔(190), 베어링(188) 위에 있는 보스(182)상에서 나사식으로 수용되는 텐션노브(192)를 포함하고 있다. 텐션노브(192)를 테션보스(182)에 나사부착시킴으로 인해 스풀축(7)의 끝에 적용된 응력의 양은 텐션노브(192)를 시계방향으로 수동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
캐스팅 액츄에이터 조립체(134)는 스풀축(7)상에서 피니온기어(18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온요크(194), 나사식끝(179)에 의해서 우측판(8)에 부착된 한쌍의 가늘고 긴 리테이너(192), 피니온요크(94)와 피니온기어(180)를 측판(8) 쪽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리테이너(196)에 의해 유지되는 한쌍의 가압스프링(192), 안내포스트(204)와 E-클립(205)에 의해서 피봇가능하게 유지되는 해제 슬라이더(202), 슬라이더(202)를 피니온요크(194)와의 맞물림으로부터 떨어지게 가압하기 위하여 슬라이더(202)와 우측판(8) 사이에 부착된 한쌍의 토션스프링(206), 해제슬라이더(202)로부터 뻗어있는 엄지레버(210), 및 크랭크축을 트립래칫(140)에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해제슬라이더(202)상에 제공된 킥레버(212)를 포함하고 있다. 가늘고 긴 리테이너(196)는 요크(194)가 우측판(8)에서 원근이동하게 리테이너(196)상에서 미끄럼이동하도록 요크구멍(198)을 통하여 수용된다.
우측커버(12)는 볼트(179)에 의해서 프레임(4)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볼트(179)는 프레임우측판(8)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도 9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4)은 원형우측판(8), 원형좌측판(10), 판(8,10) 사이에 뻗어있는 상부지지 구조부(222), 판(8,10) 사이에서 뻗어 있는 바닥지지 구조부(224) 및 바닥지지 구조부(224)으로부터 뻗어 있는 푸트구조부(18)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및 바닥지지 구조부(222,224)은 측판(8,10)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이격관계로 측판(8,10)를 지지하고 유지한다.
푸트구조부(18)은 바닥지지 구조부(224)과 대부분 일체로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24)와의 푸트(18)의 일체적인 성형은 신규의 저프로파일을 얻게한다. 부가적으로 릴(2)이 낚싯대상에 위치될 때 소망하는 저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을 보장하도록 바닥지지 구조부(224)과 푸트(18)는 프레임(4)의 최하지점(250)위의 푸트(18)의 최하부분(248)의 간격이 프레임(4)의 최하지점(250)으로부터 프레임(4)의 최상지점(252)까지의 거리의 약 15% 내지 40%의 범위에 있도록 우측 좌측판(8,10) 사이에 바람직하게 위치된다. 더 바람직하게 지점(250)위의 최하지점(250)의 간격은 지점(250)으로부터 지점(252)까지의 약 20% 내지 약 30%의 범위내에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4)의 좌측판(10)은 잠금핀(78)을 수용하기 위한 슬롯(128), 낚싯줄 스풀(6)이 수용되는 큰 원형구멍(214), 커버유지부재(40)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식보스(226), 레벨와인드기구(16)의 웜축안내부(231)을 유지하기 위한 원형구멍(232), 레벨와인드기구(16)에 사용되는 캐리어안내부(235)의 좌측끝을 유지하기위한 원형구멍(233) 및 엄지레버(210)의 좌측끝을 수용하기 위한 만곡된 내부홈(23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의 우측판(8)은 스풀베어링을 유지하기 위한 베어링컵(218), 이 베어링컵(218)을 통하여 뻗어있는 스풀축구멍(216), 낚싯줄 스풀(6)의 우측끝을 수용하기 위하여 베어링컵(218)둘레에 형성된 큰 내부오목부(220), 엄지레버(210)가 수용되는 만곡된 엄지레버슬롯(228), 웜축안내부(231)의 우측끝을 유지하기 위한 원형구멍(232), 캐리어안내부(235)의 우측끝을 유지하기 위한 구멍(234), 크랭크축베어링(179)을 유지하기 위한 보어(236), 베어링리테이너(172)을 부착하기 위한 한쌍의 나사식보어(238), 액츄에이터 조립체(134)에 사용된 외부안내포스트(204,207)를 부착하기 위한 보어(240,242), 토션스프링나사(245)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식보어(244) 및 요크리테이너(196)를 부착하기 위한 나사식보어(24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프레임(4)이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가늘고 긴 시작편(260)으로부터 제조되는 신규의 방법을 제공한다. 가늘고 긴 시작편(260)은 바람직하게 단일압출부재이다. 가늘고 긴 시작편(260)은 알루미늄 압출과정에 의해서 형성되는 압출된 바 스톡이다. 시작편(260)은 좌측벽(26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이 벽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가늘고 긴 길이방향의 우측벽(264), 측벽(262,264)의 상부 사이에 연결된 가늘고 긴 상부횡단 구조부(266) 및 측벽(262,264)의 사이에 연결된 가늘고 긴 길이방향의 하부횡단 구조부(266)를 포함하고 있다. 푸트(18)의 바닥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만곡된 특징부/돌출부(270)는 하부 길이방향의 횡단구조부을 따라 제공된다.
시작편(260)은 그 상부를 따라 가늘고 긴 리지(272)를 포함하고 있다. 가늘고 긴 리지(272)는 기계가공의 목적을 위하여 시작편(260)을 파지하는데 사용된다.기계가공에서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면, 리지(272)는 바람직하게 제거된다.
가늘고 긴 시작편(260)으로부터 형성된 프레임(4)이 본 발명의 저 프로파일특징부를 제공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가늘고 긴 시작편(260)은 측벽(262,264)의 바닥에지(263,265)상의 만곡된 에지의 최하에지의 간격이 상부길이방향의 횡단구조부(266)의 바닥에지(263,265)로부터 상부(267)까지의 거리의 약 15%로부터 약 40%까지의 범위에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바닥에지(263,265)상의 만곡된 에지의 최하에지의 간격은 상부횡단 구조부(266)의 바닥에지(263,265)로부터 상부(267)까지의 거리의 약 20% 내지 약 30%의 범위내에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4)을 형성하는 압출된 시작편을 사용하는 것은 더 많은 합금선택을 허용하고 산화처리 및 마무리에 대한 부가적인 유독성을 크게 감축시키거나 제거한다. 또한 프레임(4)을 형성하는 압출된 시작편을 사용하는 것은 당일방향의 그레인구조부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두껍고 광이나고 산화처리하는 마무리을 할수 있고 (a) 고강도, (b) 저다공성, (c) 두껍고 광이나고 아름답고 산화처리하는 마무리 및 (d) 고내식성과 스크래치저항성을 제공한다.
상술된 이점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고효율 및 정밀기계가공과정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3단계 기계가공 과정은 단일의 가늘고 긴 시작편(260)으로부터 원하는 개수의 개개의 프레임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이 과정의 3단계는 (1)좌측기계가공단계, (2) 우측기계가공단계 및 (3) 마무리단계이다. 명백한 바와같이, 이들 스테이지 및 스테이지에 포함된 단계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좌측 기계가공단계는 시작편(260)의 좌측벽(262)의 외부가 기계기공하기위하여 향하도록 가늘고 긴 시작편(260)을 기계가공입방체 또는 다른 기계가공 구조부에 파지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시작된다. 일련의 스풀구멍(214)과 개개의 프레임을 위하여 다른 외부 좌측판특징부(즉 보어(226,232 및 233)과 슬롯(128))는 가늘고 긴 좌측벽(262)에서 가공된다. 그 다음에 대응일련의 베어링컵(218)과 다른 내부우측판특징부는 가늘고 긴 우측벽(264)의 내부면에서 가공된다. 우측내부특징부는 스풀구멍(214) 또는 선행단계에서 형성된 다른 좌측특징부를 통하여 가공공구를 삽입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측벽(264)은 베어링컵(218)의형성을 허용하는 비교적 두꺼운 부분(269)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단계는 좌측벽(262)내의 일련의 둥근 프로파일을 절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프로파일(290)은 푸트구조부(18)의 좌측에지의 궁극적인 위치를 초과하지않은 깊이로 절삭된다. 둥근 프로파일(290)은 개개의 프레임(4)의 좌측판(10)을 형성하고 있으며 단계1에서 형성된 다른 좌측판특징부의 완전한 세트를 포함하도록 절삭된다. 본 발명의 과정의 우측가공단계(단계2)에 있어서, 가늘고 긴 시작편(260)은 우측벽(264)의 외부가 기계가공을 위하여 위치하도록 회전된다. 단계1에서 형성된 일련의 특징부에 대응하는 일련의 외부우측판특징(즉, 크랭크축 베어링 캐비티(236), 만곡된 엄지 레버슬롯(228)등)은 가늘고 긴 우측벽(264)에서 또는 이 벽을 통해서 기계가공된다. 그 다음에 일련의 엄지레버홈(230)과 다른 내부좌측 판특징부는 가늘고 긴 측벽(262)의 내면에서 기계가공된다. 이들 좌측특징부는 적당한 가공공구를 선행단계에서 형성된 외부 우측판특징부를 통해서 삽입시킴으로써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단계1에서와 같은 과정을 사용함으로써 단계2는 우측벽(264)에서 일련의 둥근 프로파일을 절삭시키고 개개의 프레임(4)을 시작편(260)으로부터 절단시킴으로써 바람직하게 달성된다. 이들 둥근 프로파일은 개개의 프레임(4)의 우측판(8)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정의 마무리단계(단계3)에 있어서, 개개의 프레임(4)은 기계가공 구조부상에 바람직하게 장착되며 이때 밀링헤드는 프레임을 마무리하는 데 채용된다. 밀링헤드는 (a) 개개의 프레임(4)에 포함된 상부횡단 구조부(266)의 부분으로부터 상부지지 구조부(222)을 형성하고 (b) 개개의 프레임(4)에 포함된 하부횡단구조부(268)의 부분으로부터 푸트구조부(18)을 형성하고 (c) 개개의 프레임(4)의 어떤 남아있는 내부 또는 다른 특징부를 기계가공하는 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단계3의 완료에 따라, 개개의 프레임(4)은 비드브라스팅, 산화처리 및/또는 어떤 다른 원하는 미무리작동을 위해 준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적을 달성하고 이들 고유의 성질뿐만아니라 상술된 이점과 목표를 얻는데 적합하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 개시의 목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은 당해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명백하게 이룰수 있다. 이러한 변화 및 변경은 첨부된 클레임에 의해서 한정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정신내에 포함되어 있다.

Claims (9)

  1. 최저지점에서 제1거리만큼 이격된 최상지점과 최저지점을 가진 낚시용 릴의 프레임에 있어서,
    제1측판,
    상기 제1측판으로부터 이격된 제2측판, 및
    상기 프레임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과 상기 제2측판 사이에 위치된 장착구조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장착구조부는 상기 프레임의 최저지점에서 제2거리만큼 이격된 바닥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거리는 상기 제1거리의 약 15% 내지 약 4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측판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원형주위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주위의 각각은 최상지점과 최하지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원형주위의 상기 최상지점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최상지점에 위치되며, 상기 원형주위의 상기 최하지점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최저지점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릴은 베이트캐스트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측판은 수평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측판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프레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측판을 이격관계로 유지하기위하여 상기 제1과 제2측판 사이에서 뻗어있으며,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구조부부재로부터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프레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측판을 상기 이격관계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과 제2측판 사이에서 뻗어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구조부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의 프레임.
  8. 전통적인 둥근 프로파일을 가진 릴하우징과,
    낚시용 베이트캐스트릴이 저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상기 릴하우징을 낚싯대에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구조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베이트캐스트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릴하우징은 최저지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릴하우징은 상기 최저지점에서 제1거리만큼 이격된 최상지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장착구조부는 상기 최저바닥지점에서 제2거리만큼 이격된 바닥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거리는 상기 제1거리의 약 15% 내지 4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베이트캐스트릴.
KR1019980031890A 1997-08-05 1998-08-05 낚시용 저 프로파일 릴과 이를 위한 프레임 KR199900233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0649597A 1997-08-05 1997-08-05
US8/906,495 1997-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382A true KR19990023382A (ko) 1999-03-25

Family

ID=25422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890A KR19990023382A (ko) 1997-08-05 1998-08-05 낚시용 저 프로파일 릴과 이를 위한 프레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103734A (ko)
KR (1) KR19990023382A (ko)
CN (1) CN12072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9198B (zh) * 2011-10-14 2013-06-26 佛山市南海中宇渔具有限公司 渔轮支架的装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03734A (ja) 1999-04-20
CN1207242A (zh) 1999-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3798A (e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KR19980081739A (ko) 베이트 캐스트 릴용 조정가능한 브레이크
US4238085A (en) Fixed-spool reel
US4549702A (en) Drag for spinning reel
KR100333135B1 (ko) 베이트 캐스트 릴을 위한 조정가능한 브레이크
JP534934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KR101265999B1 (ko) 스피닝 릴의 드랙 기구
US20140263791A1 (en) Ratchet wheel for fishing reel
KR19990023566A (ko) 낚시용 릴의 프레임
JP2011147396A5 (ko)
US6481657B1 (en) Fishing reel
US5292087A (en) Baitcasting reel
TWI415563B (zh) 紡車式捲線器的捲筒
US5100079A (en) Drag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US6315228B1 (en) Baitcasting reel
EP0803191A2 (en) Frame structure for spinning reel
US5810274A (en) Apparatus for attaching a cover to a fishing reel
KR19990023382A (ko) 낚시용 저 프로파일 릴과 이를 위한 프레임
US4402469A (en) Self-aligning drag drive for fishing reels
US7104485B2 (en) Spinning-reel sounding mechanism
EP1332670B1 (en) Fishing-reel power transmission device
US584538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baitcasting reels
US2621869A (en) Combination spinning and casting fishing reel
US4674698A (en) Left-right retrieve spin cast reel
US5799892A (en) Baitcasting reel with a lowered profile to facilitate pal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