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938A - 기저귀 - Google Patents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938A
KR19990022938A KR1019970709408A KR19970709408A KR19990022938A KR 19990022938 A KR19990022938 A KR 19990022938A KR 1019970709408 A KR1019970709408 A KR 1019970709408A KR 19970709408 A KR19970709408 A KR 19970709408A KR 19990022938 A KR19990022938 A KR 19990022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er
absorbent
absorbent article
waist reg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9612B1 (ko
Inventor
조지 바르톨 글랙킨
신티아 진 패닝
리즈스위즉 로라 그라버스 반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19990022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7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7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 A61F13/5147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 A61F13/5148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structure being a laminate, e.g. multi-layered or with several layers having an impervious inner layer and a cloth-lik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4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printed or coloured, e.g. to match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02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including dispos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 불투과성을 제공하고 또한 흡수제품에 직물 촉감과 외관을 제공하는 개선된 배면 시이트를 갖는 흡수제품(예: 일회용 기저귀, 실금자용 브리이프, 기저귀 지지체, 배변훈련용 바지 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흡수제품은 후방 허리 영역, 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 중심 영역, 한쌍의 측면 영역, 한쌍의 종방향 가장자리 및 한쌍의 말단 가장자리를 갖는다. 흡수제품은 액체 투과성 상면 시이트, 이에 연결된 배면 시이트 및 이들 상면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를 포함한다. 배면 시이트는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물질 내층 및 부직 섬유상 물질 외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외층은 측면 영역으로 신장되지 않음으로써, 종종 부직 물질로부터 떨어지는 테이프 탭과 같은 고정 부재가 내층에 직접 부착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기저귀
유아 및 그 밖의 실금자들은 기저귀와 같은 흡수제품을 착용하여 뇨 및 그 밖의 신체 분비물을 수용 및 봉쇄한다. 흡수제품은 배출된 물질을 봉쇄하는 역할 및 이러한 물질을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및 착용자의 가멘트 또는 잠옷으로부터 격리시키는 작용을 한다. 많은 상이한 기본 디자인의 일회용 흡수제품이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일회용 흡수제품의 통상적인 형태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이트, 흡수 코어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이트(예: 폴리에틸렌 필름)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업자들이 극복해야 하는 장애물중 하나는 많은 엄마들이 기저귀의 촉감을 싫어하며, 특히 폴리에틸렌 필름의 촉감을 싫어한다는 것이다. 1975년 1월 14일자로 뷰엘(Kenneth B.Buell)에게 허여된 일회용 기저귀를 위한 수축성 측면부(Contractible Side Portions for Disposable Diaper)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3,860,003 호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가 배면 시이트와 유아의 피부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피해간다고는 하지만, 많은 엄마들이 여전히 플라스틱 물질은 유아에게 편안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고 있으며, 따라서 노출된 플라스틱 배면 시이트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를 단지 한 번 사용해보는 것도 꺼리고 있다. 이러한 우려를 만족시키기 위해, 일회용 기저귀 제조업자들은 제품의 촉감과 외관을 개선시키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아 부었다.
상기 문제에 대해 제기된 한가지 해결책은 플라스틱 배면 시이트를 완전히 제거하고 이를 방수 처리된 제직물 또는 부직물로 대체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량의 액체를 기저귀 안에서 유지할 정도로 충분히 방수성인 섬유상 웹을 부드러운 감촉을 해치지 않으면서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문제에 대해 제기된 또 다른 해결책은 폴리에틸렌 배면 시이트를 깊게 엠보싱 처리하여 질감 및 촉감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깊게 엠보싱된 배면 시이트를 갖는 기저귀는 배면 시이트가 엠보싱되지 않거나 또는 약간 엠보싱된 기저귀에 비해 실질적으로 개선된 질감 및 촉감 특성을 갖지만, 이러한 배면 시이트도 여전히 폴리에틸렌 필름의 촉감을 갖는다.
상기 문제에 대해 제기된 또 다른 해결책은 플라스틱 내층에 섬유상 외층을 접착시키는 것이다. 섬유상 외층이 플라스틱 내층에 접착된 기저귀는 유쾌한 외부 촉감을 줄 뿐 아니라 또한 더 얇은 치수, 덜 비싼 물질을 플라스틱 층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저귀를 덜 뻣뻣하고 더욱 편안하게 만들어 준다. 그러나, 부직 외층을 플라스틱 내층에 접착시키는 것이 제조공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일회용 기저귀에 고정 테이프를 고정시키는 과정 등에서 약간의 복잡성을 가중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부직물은 플라스틱 층에 첨가될 때, 신장가능해야 하는 기저귀 부분, 예를 들면, 탄성 측면 패널의 신장가능성을 방해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을 간략화하고 기저귀의 신장가능한 부분의 신장성을 방해하지 않는 섬유상 외층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에게 개선된 촉감 및 편안함을 제공하는 섬유상 외층을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이 다음 내용을 참조로하여 고려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할 때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수분 불투과성을 제공하고 또한 흡수제품에 대해 직물 감촉 및 직물 외관을 제공하는 개선된 배면 시이트를 갖는 흡수제품(예: 일회용 기저귀, 실금자용 브리이프, 기저귀 지지체, 배변훈련용 바지 등)을 제공한다. 이러한 흡수제품은 후방 허리 영역, 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 중심 영역, 한쌍의 측면 영역, 한쌍의 종방향 가장자리, 및 한쌍의 말단 가장자리를 포함한다. 흡수제품은 액체 투과성 상면 시이트, 이에 연결된 배면 시이트, 및 상면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를 추가로 포함한다. 배면 시이트는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물질 내층 및 부직 섬유상 물질 외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외층은 측면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측면 영역으로 신장되지 않는다. 외층은 기저귀의 후방 허리 영역으로부터 전방 허리 영역으로 신장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말단 가장자리 부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흡수제품(예: 기저귀, 실금자용 브리이프, 기저귀 지지체, 배변훈련용 바지 등)에 관한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선된 배면 시이트를 갖는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가 본 발명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주요 사항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명백히 청구하는 청구의 범위로 결론을 맺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여기서, 동일한 기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과 관련하여 기술된 다음 내용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하위 구조를 드러내기 위해 절개된 부분을 갖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기저귀의 내면이 관찰자를 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기저귀의 외면이 관찰자를 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회용 기저귀 실시양태의 평면도이다(기저귀의 외면이 관찰자를 향한다).
도 4는 도 2의 라인 4-4를 따라 취한 도 2에 도시된 일회용 기저귀의 거꾸로 된 단편적인 단면도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흡수제품이란 용어는 신체 분비물을 흡수 및 봉쇄하는 제품 말하는 것이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착용자의 신체에 대향하거나 근접하여 위치되어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각종 배설물을 흡수 및 봉쇄하는 제품을 말하는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일회용이란 용어는 세탁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복원시키거나 또는 흡수제품으로서 재사용할 목적이 아닌(즉, 일회 사용 후 버릴 목적인, 바람직하게는 재생되거나 비료화되거나 또는 환경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다른 방법으로 처분될 목적인) 흡수제품을 말한다. 일체형 흡수제품이란, 함께 결합되어 일치된 실체를 형성하는 별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서 별개의 지지체 및 라이너와 같은 별도의 조작 부분을 필요로 하지 않는 흡수제품을 말한다. 본 발명의 흡수제품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형 일회용 흡수제품, 즉 기저귀(20)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기저귀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유아 또는 실금자에 의해 착용자의 하위 몸통에 착용되는 흡수제품을 말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흡수제품(예: 실금자용 브리이프, 실금자용 언더가멘트, 기저귀 지지체 및 라이너, 여성 위생 가멘트, 배변훈련용 바지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착용자를 대향하는 기저귀(20)의 부분, 관찰자를 대향하는 내면(40)을 갖는 본 발명의 기저귀(20)를 수축되지 않은 상태(즉, 탄성 유도된 수축을 끌어 당긴)로 펼친 평면도로서 그 구조중 일부분은 기저귀(20)의 구성을 더욱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절개되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20)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이트(24); 상면 시이트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이트(26); 및 상면 시이트(24)와 배면 시이트(26)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28)를 포함하는 봉쇄 조립체(22)를 포함한다. 기저귀는 바람직하게는 탄성 측면 패널(30); 탄성 다리 커프스(32); 탄성 허리밴드(34); 및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고정 부재(37) 및 랜딩 부재(38)를 포함하는 고정 시스템(36)을 추가로 포함한다(도 2에 도시됨).
기저귀(20)는 도 1에서 내면(40)(도 1에서 관찰자를 대향하는 면), 내면(40)과 반대쪽의 외면(42), 후방 허리 영역(44), 후방 허리 영역(44)과 반대쪽의 전방 허리 영역(46), 후방 허리 영역(44)과 전방 허리 영역(46) 사이에 위치한 가랑이 영역(48), 및 기저귀(20)의 외부 둘레 또는 가장자리에 의해 한정된 둘레(여기서, 종방향 가장자리는 (50)으로 표시되고 말단 가장자리는 (52)로 표시된다)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저귀(20)의 내면(40)은, 사용중에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기저귀(20) 부분을 포함한다(즉, 내면(40)은 일반적으로 상면 시이트(24)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면 시이트(24)에 연결된 그 밖의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외면(42)은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는 기저귀(20) 부분을 포함한다(즉, 외면(42)은 일반적으로 배면 시이트(26)의 적어도 일부분과 배면 시이트(26)에 연결된 그 밖의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연결된이란 용어는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바로 고정됨으로써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바로 고정되는 형태, 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에 교대로 부착된 중간부재에 한 요소를 부착함으로써 한 요소가 간접적으로 다른 요소에 고정되는 형태를 포함한다. 후방 허리 영역(44) 및 전방 허리 영역(46)은 둘레의 말단 가장자리(52)로부터 가랑이 영역(48)까지 신장된다. 기저귀(20)는 또한 중심 영역(60) 및 한쌍의 측면 영역(62)을 갖는다. 중심 영역(60)은 두 개의 측면 영역(62) 사이에 위치한다.
기저귀(20)는 또한 두 개의 중심선, 종방향 중심선(100) 및 횡방향 중심선(102)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종방향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기저귀(20)를 착용하였을 때 직립 착용자를 좌반신과 우반신으로 이등분하는 수직 평면을 따라 정렬된 기저귀(20)의 평면에 있어서의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횡방향 및 측방향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에 수직인 기저귀의 평면 안에 놓여 있는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이는 착용자를 전반신과 후반신으로 이등분한다).
기저귀(20)의 봉쇄 조립체(22)가 도 1에서 기저귀(20)의 주요 몸체(몸통)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봉쇄 조립체(22)는 적어도 상면 시이트(24), 배면 시이트(26) 및 흡수 코어(28)를 포함한다. 흡수제품이 별도의 지지체 및 라이너를 포함하면, 봉쇄 조립체(22)는 일반적으로 지지체 및 라이너를 포함한다[즉, 봉쇄 조립체(22)는 지지체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물질층을 포함하고, 라이너는 흡수 복합체(예: 상면 시이트, 배면 시이트 및 흡수 코어)를 포함한다]. 일체형 흡수제품에 있어서, 봉쇄 조립체(22)는 기저귀의 주요 구조를 복합 기저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부가되는 그 밖의 특성부와 함께 포함한다. 따라서, 기저귀(20)에 있어서 봉쇄 조립체(22)는 일반적으로 상면 시이트(24), 배면 시이트(26) 및 흡수 코어(28)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는 상면 시이트(24) 및 배면 시이트(26)가 일반적으로 흡수 코어(28)보다 큰 길이와 나비를 갖는 봉쇄 조립체(22)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상면 시이트(24) 및 배면 시이트(26)는 흡수 코어(28)의 가장자리 밖으로 신장됨으로써 기저귀(20) 둘레를 형성한다. 상면 시이트(24), 배면 시이트(26) 및 흡수 코어(28)는 다양한 잘 공지된 구성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예시적인 봉쇄 조립체 구성은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하는 1975년 1월 14일자로 뷰엘에게 허여된 일회용 기저귀를 위한 수축성 측면부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3,860,003 호; 1992년 9월 29일자로 뷰엘 등에게 허여된 사전배치된 탄력있는 굴곡성 힌지를 갖는 역동적 탄성중합체상 허리 특성부를 갖는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 with Dynamic Elastic Waist Feature Having A Predisposed Resilient Flexural Hinge)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51,092 호에 개시되어 있다.
흡수 코어(28)는 일반적으로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고, 편안하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적이며 뇨 및 그 밖의 신체 분비물과 같은 액체를 흡수 및 봉쇄할 수 있는 임의의 흡수 부재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코어(28)는 가멘트-대향 측면(54), 신체 대향 측면(55), 한쌍의 측면 가장자리(56) 및 한쌍의 측면 가장자리(57)를 갖는다. 흡수 코어(28)는 광범위한 크기 및 모양(예: 직사각형, 모래시계, T-형, 비대칭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일회용 기저귀 및 다른 흡수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범위한 액체-흡수성 물질(예: 일반적으로 공기펠트라고 불리는 분쇄된 목재 펄프)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흡수성 물질의 예는 크레이핑된 셀룰로즈 충전물, 적합하고 화학적으로 보강, 개질되거나 또는 가교결합된 셀룰로즈 섬유를 포함하는 용융 취입된 중합체, 티슈 랩을 포함하는 티슈 및 티슈 적층물, 흡수 발포체, 흡수 스폰지, 초흡수 중합체, 흡수 겔화 물질, 또는 임의의 등가의 물질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흡수 코어(28)의 구성부 및 구조는 또한 변할 수 있다(예를 들면, 흡수 코어는 다양한 캘리퍼 영역, 친수성 구배, 초흡수성 구배, 또는 낮은 밀도 및 낮은 평균 기초 중량 포획 영역을 가질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층 또는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수 코어(28)의 크기 및 흡수능은 또한 유아에서부터 성인에 이르는 착용자에게 맞추기 위해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흡수 코어(28)의 총 흡수능은 기저귀(20)의 예상되는 하중 및 목적하는 용도와 양립할 수 있어야 한다.
기저귀(20)의 한가지 실시양태는 전방 허리 영역에 귀모양 부분을 갖고 후방 허리 영역에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 비대칭 변형 T형 흡수 코어(28)를 갖는다. 호평을 받으면서 상업적으로 성공한 본 발명의 흡수 코어(28)로서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흡수 구조물이 다음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참조: 1986년 9월 9일자로 웨이스먼(Weisman) 등에게 허여된 High-Density Absorbent Structur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10,678 호; 1987년 6월 16일자로 웨이스먼 등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s with Dual-Layered Cor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73,402 호; 1989년 12월 19일자로 안그스타드트(Angstadt)에게 허여된 Absorbent Core Having A Dusting Layer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888,231 호; 및 1989년 5월 30일자로 알레매니(Alemany) 등에게 허여된 High Density Absorbent Members Having Lower Density and Lower Basis Weight Acquisition Zones이란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834,735 호]. 흡수 코어는 흡수 저장 코어상에 위치한 화학적으로 보강된 섬유의 포획/분포 코어를 함유하는 이중 코어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한다[참조: 1993년 8월 10일자로 알레매니 등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Waist Feature and Enhanced Absorbency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234,423 호; 및 1992년 9월 15일자로 영(Young), 라본(LaVon) 및 테일러(Taylor)에게 허여된 High Efficiency Absorbent Articles For Incontinence Management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47,345 호, 모두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함].
본 발명의 배면 시이트(26)는 수분 불투과성을 제공하면서 또한 기저귀(20)에 직물 감촉 및 외관을 제공하는 이중 작용을 수행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제 도 2를 언급하자면, 배면 시이트(26)는 내층(110) 및 외층(112)을 갖는 이층 복합 물질을 포함한다.
배면 시이트(26)의 내층(110)은 흡수 코어(28)의 가멘트-대향 표면(54)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표면에 당해 기술분야에 잘 공지된 부착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된다. 예를 들면, 내층(110)은 균일하고 연속적인 접착층, 패턴화된 접착층 또는 일렬의 별도의 선, 나선 또는 점 형태의 접착제에 의해 흡수 코어(28)에 고정될 수 있다. 만족스러울 것으로 생각되는 접착제가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 소재의 에이치 비 풀러 캄파니(H. B. Fuller Company)에서 제조되고 HL-1258로 판매되고 있다. 필라멘트형 접착제의 개방 패턴 망상을 포함하는 적절한 부착 수단의 예가 1986년 3월 4일자로 미네톨라(Minetola) 등에게 허여된 일회용 분비물-봉쇄 가멘트(Disposable Waste-Containment Garment)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573,986 호에 개시되어 있다. 나선 패턴으로 감겨 있는 다수의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또 다른 적절한 부착 수단이 1975년 10월 7일자로 스프라그 주니어(Sprague, J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911,173 호; 1978년 11월 22일자로 지에커(Zieck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785,996 호; 및 1989년 6월 27일자로 웨레니즈(Werenicz)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42,666 호에서 제시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설명된다. 이러한 특허는 각각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부착 수단은 열 결합, 가압 결합, 초음파 결합, 동기계적인 결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부착 수단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은 이러한 부착 방법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서는 또한 흡수 코어가 내층(110), 상면 시이트(24) 또는 모두에 연결되지 않아서 전방 허리 영역(46) 및 후방 허리 영역(44)에 더 큰 신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내층(110)은 액체(예: 뇨)에 불투과성이고 바람직하게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부터 제조되지만, 그 밖의 가요성 액체 불투과성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가요성이란 용어는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고, 인체의 형태 및 윤곽에 잘 부합되는 물질을 지칭한다. 내층(110)은 흡수 코어(28) 안에 흡수 및 봉쇄되어 있는 분비물이 침대 시이트 및 언더가멘트와 같이 기저귀(20)와 접촉하고 있는 제품을 적시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증기가 흡수 코어(28)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한다(즉, 통기가능하다). 따라서, 내층(110)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중합체상 필름을 포함한다. 내층(110)으로서 적절한 물질은 두께가 약 0.012 mm(0.5 밀) 내지 약 0.051 mm(2.0 밀)인 열가소성 필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내층(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기계적 연신에 도입되어 탄성 측면 패널(30)을 형성하는 응력 변형 제로 연신 적층물을 제공한다. 내층(110)은 응력 변형 제로 연신 적층물 배면 시이트 및 탄성 측면 패널의 형성과 관련하여 다음 문헌에 기술된 작업과 유사한 점진적 기계적 연신 시스템을 직접 통과시켜 응력을 부여할 수 있다[참조: 1992년 9월 29일자로 뷰엘 등에게 허여된 사전배치된 탄력있는 굴곡성 힌지를 갖는 역동적 탄성 허리 특성부를 갖는 흡수제품이란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151,092 호]. 따라서, 내층(110)은 바람직하게는 인장가능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늘어날 수 있으며, 반드시 탄성중합체상일 필요는 없고, 따라서 내층(110)은 기계적 연신을 가하면, 적어도 어느 정도는 연속적으로 인장되어 그의 원래 변형되지 않은 구성으로 완전히 되돌아가지는 않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내층(110)은 과도한 파손 또는 파열없이 기계적 연신에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층(110)이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 D-638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횡기계방향으로 400% 이상 내지 약 700%의 최종 파단신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층(110)으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필름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높은 함량으로 함유한다.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더 클로페이 코포레이션(The Clopay Corporation)에서 적절한 내층을 상품명 1401로서 제조한다. 그 밖의 내층으로서 적절한 물질은 인디아나주 테르 호트 소재의 트레데가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Tredegar Industries, Inc.)에서 제조한 RR8220 취입 필름 및 RR5475 금형 필름을 포함한다.
내층(110)의 크기는 흡수 코어(28)의 크기 및 선택된 정확한 기저귀 디자인에 의해 정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내층(110)은 흡수 코어 밖으로 전체 기저귀 둘레 주위로 최소 거리 약 1.3 내지 약 2.5 cm(약 0.5 내지 약 1.0 인치) 신장된 변형된 모래시계 모양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층(110)은 후방 허리 영역(44)에서 흡수 코어보다 훨씬 더 넓어서 후방 허리 영역(44)에서 측면 영역(62)은 일반적으로 전방 허리 영역(46)에서의 측면 영역(62)보다 측방향으로 더 넓다.
외층(112)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직 섬유상 물질 층으로 구성된다. 외층(112)으로서 적절한 물질은 합성 섬유(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스펀결합된(spunbonded) 부직 웹; 셀룰로즈 섬유, 직물(예: 레이온 섬유, 면화 등), 또는 셀룰로즈 섬유 및 직물의 혼합물의 부직 웹; 셀룰로즈성 펄프 섬유 또는 직물과 혼합된 합성 섬유(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스펀결합된 부직 웹; 또는 용융취입된 열가소성 섬유(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 밖의 열가소성 물질의 거대섬유(macrofiber) 또는 미세섬유(microfiber) 또는 이러한 열가소성 거대섬유 또는 미세섬유와 셀룰로즈성 펄프 또는 직물의 혼합물)를 포함한다.
배면 시이트(26)의 내층(110) 및 외층(112)은 두 층에 대해 선택된 특정 물질을 위한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두 층은 열 또는 압력 또는 모두를 사용하여 적층될 수 있다. 두 층은 접착제, 열 밀봉 또는 초음파 밀봉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내층(110)의 열가소성 중합체상 물질은 부직 외층(112) 상으로 압출피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부직 외층(112)의 직물 효과는 각종 엠보싱 패턴에 의해 추가로 증진될 수 있다. 또한, 내층(110)은 엠보싱되어 직물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실시양태에 있어서, 외층(112)은 중심 영역(60) 안에서 위치되고 적어도 후방 허리 영역(44)으로부터 전방 허리 영역(46)으로 신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외층(120)은 후방 허리 영역(44)에서 말단 가장자리(52) 부분을 형성하고, 전방 허리 영역(46)에서 말단 가장자리(52)를 형성한다. 외층(112)은 중심 영역(60) 안에서 측면 영역(62) 사이에 위치하고 측면 영역(62)으로 신장되지 않는다. 외층(112)을 기저귀 중심 영역(60) 안에 위치시키면, 고정 부재(37)를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물질 내층(110)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부재(37)는 외층(112)의 어떤 부분에도 직접적으로나 또는 간접적으로도 연결되지 않는다. 고정 부재(37)를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물질 내층(110)에 직접 부착시키면 고정 부재(37)를 부직 섬유상 물질에 부착시키는 것보다 더욱 안전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부직 섬유상 물질에 고정 부재를 부착시키면 기저귀의 사용 및/또는 착용시 기저귀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고정 부재(37)를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물질 내층(110)에 직접 부착시키면 고정 부재(37)가 기저귀의 사용 및/또는 착용시 기저귀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줄어든다. 또한, 부직 외층(112)은 후방 허리 영역(44)에서 측면 영역(62)에 위치한 탄성 측면 패널(30)의 신장성을 방해하지 않아서 탄성 측면 패널(30)이 완전히 신장가능하도록 해준다.
도 3에 나타낸 실시양태에 있어서, 외층(112)은 중심 영역(60) 안에서 측면 영역(62) 사이에서 위치되고 후방 허리 영역(44)으로부터 전방 허리 영역(46)까지 종방향으로 신장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랜딩 부재(38)는 내층(110)에 직접 고정되고 외층(112)은 전방 허리 영역(46)에서 랜딩 부재(38) 밖으로 신장되지 않는다. 또한 외층(112)은 탄성 허리밴드(34) 상으로도 신장되지 않는다.
상면 시이트(24)는 흡수 코어(28)의 신체-대향 표면(55)과 인접하게 위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표면 및 배면 시이트(26)의 내층(110)에 당해 기술분야에 잘 공지된 부착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된다. 적절한 부착 수단이 내층(110)을 흡수 코어(28)에 연결하는 것에 관해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면 시이트(24) 및 내층(110)은 기저귀 둘레에서 서로 직접 연결되고 이를 흡수 코어(28)에 부착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직접 연결함으로써 함께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상면 시이트(24)는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고, 촉감이 부드러우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적이다. 또한, 상면 시이트(24)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투과성이어서 액체(예: 뇨)를 쉽게 그의 두께를 통해 통과시킬 수 있다. 적절한 상면 시이트(24)는 폭넓은 범위의 물질, 예를 들면 다공성 필름; 망상 발포체;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또는 천연 섬유의 제직물 또는 부직물(예: 나무 또는 목화 섬유), 합성 섬유(예: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천연 섬유 및 합성 섬유의 배합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면 시이트(24)는 상면 시이트(24)를 통과해 흡수 코어(28)에 봉쇄된 액체를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즉, 재습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수성 물질로 제조된다. 상면 시이트(24)가 소수성 물질로 제조되더라도, 상면 시이트(24)의 적어도 상부 표면은 친수성으로 처리되어 액체가 상면 시이트를 통해 더욱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한다. 이는 신체 분비물이 상면 시이트(24)를 통해 유도되거나 흡수 코어(28)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 상면 시이트(24) 밖으로 흘러나올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상면 시이트(24)는 계면활성제로서 처리하여 친수성으로 만들 수 있다. 상면 시이트(24)를 계면활성제로 처리하는 적절한 방법은 상면 시이트(24) 물질에 계면활성제를 분사하고 이 물질을 계면활성제 안으로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처리 및 친수성에 대한 상세한 내용이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참조: 본원에서 모두 참조로서 인용하는, 1991년 1월 29일자로 레이징(Reising) 등에게 허여된 Absorbent Articles with Multiple Layer Absorbent Layer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988,344 호; 및 1991년 1월 29일자로 레이징에게 허여된 Articles with Rapid Acquiring Absorbent Core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988,345 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면 시이트(24)의 적어도 일부분은 기계적 연신에 도입되어 탄성 측면 패널(30)을 형성하는 응력 변형 제로 연신 적층물을 제공한다. 상면 시이트(24)는 본원에서 응력 변형 제로 연신 배면 시이트의 형성에 관해 설명한 방법(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포함하여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응력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면 시이트(24)는 바람직하게는 인장가능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늘어날 수 있지만, 반드시 탄성중합체상일 필요는 없고, 따라서 상면 시이트(24)는 기계적 연신을 가하면, 적어도 어느 정도는 연속적으로 인장될 것이고 따라서 그의 원래 구성으로 완전히 되돌아가지는 않을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면 시이트(24)는 과도한 파손 또는 파열없이 기계적 연신에 도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면 시이트(24)는 낮은 횡기계 방향(측방향) 수득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 시이트(24)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많은 제조 기술이 있다. 예를 들면, 상면 시이트(24)는 섬유의 부직 웹일 수 있다. 상면 시이트(24)가 부직 웹을 포함하면, 웹은 스펀결합, 카딩, 습윤-적층, 용융 취입, 유체결합되거나 또는 이들 모두의 조합일 수 있다. 적절한 상면 시이트(24)는 당해 제조분야의 숙련인들에게 잘 공지된 수단에 의해 카딩하고 열 결합한다. 만족스러운 상면 시이트(24)는 약 2.2 데니어를 갖는 스테이플 길이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 길이 섬유란 용어는 약 15.9 mm(0.625 인치) 이상의 길이를 갖는 섬유를 말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면 시이트(24)는 약 14 내지 약 25 g/㎡의 기본중량을 갖는다. 적절한 상면 시이트는 미국 메사추세츠주 왈폴 소재의 베라텍 인코포레이티드(Veratec, Inc.)의 디비젼 오브 인터내셔날 페이퍼 캄파니(Division of International Paper Company)에서 상품명 P-8로 제조된다.
기저귀(20)는 바람직하게는 액체 및 그 밖의 신체 분비물의 개선된 봉쇄를 제공하기 위한 탄성 다리 커프스(32)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탄성 다리 커프스(32)는 다리 영역에서 신체 분비물의 누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몇몇 상이한 실시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다리 커프스는 경우에 따라 다리 밴드, 측면 플랩, 차단 커프스 또는 탄성 커프스로서 언급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3,860,003 호에는 탄성 다리 커프스(가스켓 커프스)를 제공하기 위한 측면 플랩 및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를 갖는 수축성 다리 개구부를 제공하는 일회용 기저귀가 기술되어 있다. 1990년 3월 20일자로 아지즈(Aziz) 등에게 허여된 탄성 플랩을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Flap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909,803 호에는 다리 영역의 봉쇄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직립형 탄성 플랩(차단 커프스)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가 기술되어 있다. 1987년 9월 22일자로 로손(Lawson)에게 허여된 이중 커프스를 갖는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Cuff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95,278 호에는 가스켓 커프스 및 차단 커프스를 포함하는 이중 커프스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1987년 11월 3일자로 뷰엘에게 허여된 일회용 허리 봉쇄 가멘트(Disposable Waist Containment Garment)란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704,115 호에는 가멘트 안에 유리 액체를 봉쇄하도록 구성된 측면-가장자리-누출-보호 홈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 또는 실금자용 가멘트가 기재되어 있다. 각각의 이러한 특허는 본원에서 참조로서 도입한다. 각각의 탄성 다리 커프스(32)는 상기 기술한 임의의 다리 밴드, 측면 플랩, 차단 커프스 또는 탄성 커프스와 유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각각의 탄성 다리 커프스(32)가 적어도 상기 참조로서 인용된 미국 특허 제 4,909,803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차단 플랩 및 이격 부재를 포함하는 내부 차단 커프스(8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탄성 다리 커프스(32)는 하나 이상의 탄성 스트랜드를 갖고 차단 커프스(84)의 바깥쪽으로 위치된 탄성 가스켓 커프스(104)를 포함한다[참조: 상기 언급된 미국 특허 제 4,695,278 호].
기저귀(20)는 바람직하게는 개선된 적합성 및 봉쇄성을 부여하도록 해주는 탄성 허리밴드(34)를 추가로 포함한다. 탄성 허리밴드(34)는 착용자의 허리에 동력학적으로 적합하도록 탄성적으로 연장되고 수축되는 기저귀(20)의 부분 또는 대역이다. 탄성 허리밴드(34)는 바람직하게는 흡수 코어(28)의 허리 가장자리(57)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종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신장되고 일반적으로 기저귀(20)의 말단 가장자리(52)중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일회용 기저귀는 단일 탄성 허리밴드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두 개의 탄성 허리밴드, 즉 후방 허리 영역(44)에 위치한 하나와 전방 허리 영역(46)에 위치한 하나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탄성 허리밴드(34) 또는 임의의 구성 부재는 기저귀(20)에 부착된 별도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탄성 허리밴드(34)는 배면 시이트(26) 또는 상면 시이트(24), 바람직하게는 배면 시이트(26)와 상면 시이트(24)와 같은 기저귀의 그 밖의 부재의 신장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탄성 허리밴드(34)는 다음 문헌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 많은 상이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참조: 1985년 5월 7일자로 키에비트(Kievit) 등에게 허여된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ally Contractible Waistband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515,595 호 및 뷰엘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51,092 호,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함].
탄성 허리밴드(34)는 임의의 적절한 연신가능한 물질 또는 탄성중합체상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연신가능한이란 용어는 물질에 힘이 가해졌을 때 그리고 신장에 어떤 저항에 가해졌을 때 신장가능한 물질을 말한다; 탄성중합체상이란 용어는 힘이 물질에 적용될 때 한 방향 이상으로 신장되고 힘이 이완된 후 대략 원래의 크기로 되돌아가는 물질을 말한다). 탄성 허리밴드(34)로서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탄성중합체상 물질이 탄성 측면 패널(30)과 관련하여 이후 기술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기저귀(20)는 또한 후방 허리 영역(44)에 배치된 탄성 측면 패널(30)을 포함하기도 한다[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배치된이란 용어는 기저귀 부재(들)가 특정 위치 또는 지점에서 기저귀의 다른 부재들과 일체형 구조로서 또는 기저귀의 다른 부재들과 연결된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된(연결되고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탄성 측면 패널(30)은, 우선 기저귀가 착용자에게 적합하게 맞도록 하고 기저귀가 분비물에 의해 하중을 받더라도 탄성 측면 패널이 기저귀의 측면이 연장되어 수축되도록 하므로 이러한 적합성을 착용자가 잘 보내는 시간 내내 유지하게 함으로써, 더욱 편안한 체형 적합성을 부여하는 탄성적으로 신장하는 특성부를 제공한다. 탄성 측면 패널(30)은 기저귀를 다루는 자가 사용중에 하나의 탄성 측면 패널(30)을 멀리 다른 것보다 멀리 당기더라고(즉, 비대칭적으로), 기저귀(20)가 착용중에 자기-조정을 할 것이므로, 더욱 효율적인 기저귀(20) 사용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저귀(20)는 바람직하게는 후방 허리 영역(44)에 배치된 탄성 측면 패널(30)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기저귀(20)는 또한 전방 허리 영역(46) 및 후방 허리 영역(44)에 배치된 탄성 측면 패널을 갖추고 있다. 탄성 측면 패널(30)이 많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 측면 패널을 갖는 기저귀의 예가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참조: 1989년 8월 15일자로 우드(Wood) 등에게 허여된 Disposable Diaper Having Shirred Ear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857,067 호; 1983년 5월 3일자로 시아라파(Sciaraffa)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381,781 호; 1990년 7월 3일자로 검펠(Van Gompe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38,753 호; 및 1992년 9월 29일자로 뷰엘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51,092 호, 이들 각각은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탄성 측면 패널로서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탄성 물질은 탄성중합체상 발포체, 합성 또는 천연고무, 합성 또는 천연 고무 발포체, 탄성중합체상 필름, 탄성중합체상 스크림, 탄성중합체상 제직 또는 부직 웹, 탄성중합체상 복합체(예: 탄성중합체상 부직 적층물 등) 등을 포함한다.
기저귀(20)는 또한 후방 허리 영역(44) 및 전방 허리 영역(46)을 중첩된 구성으로 유지하는 측면 폐쇄부를 형성하는 고정 시스템(36)을 포함하여 측방향 인장력이 기저귀의 원주 주위로 유지되어 기저귀를 착용자상에 유지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시스템(36)은 후방 허리 영역(44)에서 각 종방향 가장자리(50)에 인접하게 배치된 고정 부재(37), 및 전방 허리 영역(46)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랜딩 부재(38)를 포함하여 외면(42)의 일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고정 부재(37)는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탭(120) 및 제 1 고정 구성요소(122)를 포함한다. 랜딩 부재(38)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부재(37)의 제 1 고정 구성요소(122)와 맞물릴 수 있는 보조 제 2 고정 구성요소(124)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고정 구성요소가 각각 후크 및 루프 고정재를 포함하는 기계적 폐쇄 부재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고정 시스템이 1989년 9월 26일자로 스크립스(Scripp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69,724 호에 개시되어 있다. 기계적 폐쇄 부재를 사용하는 고정 시스템은 또한 1989년 7월 11일자로 스크립스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46,815 호; 및 1990년 1월 16일자로 네스테가르드(Nestegard)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94,060 호에 개시되어 있다. 고정 시스템은 1990년 8월 7일자로 배트렐(Battrel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46,52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접착성 폐쇄 부재/기계적 폐쇄 부재를 함께 포함한다. 각각의 이러한 특허는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고정 시스템(36)은 접착성 부착층(126)을 포함하는 테이프 탭(120) 및 배면 시이트(26)에 연결된 보강 스트립(128)을 포함하는 랜딩 부재(38)를 포함하는 접착성 테이프 탭 고정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착성 테이프 탭 고정 시스템의 예가 1974년 11월 19일자로 뷰엘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848,594 호에 개시되어 있고; 접착성 테이프 탭, 보강 스트립, 및 표지 수단은 1987년 5월 5일자로 히로쓰(Hirotsu) 및 로버츠슨(Robert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62,875 호에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이러한 특허들은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한다.
고정 시스템(36)의 각각의 고정 부재(37)는 랜딩 부재(38)와 맞물리는 고정 수단을 제공하여 기저귀(20)에 고정 측면 폐쇄부, 바람직하게는 가변 위치지정 측면 폐쇄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 부재(37)는 하나 이상의 고정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각각의 고정 부재(37)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고정 구성요소를 랜딩 부재(38)에 인접하도록 위치시켜 최적 적합 측면 폐쇄부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 부재(37)는 기저귀상에 측면 폐쇄를 이루기 위한 임의의 잘 공지된 구성 및 수단(예: 기저귀의 내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고정 구성요소의 패치 또는 스트립, 또는 고정 구성요소가 위에 배치된 테이프 탭)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37)는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탭(120)을 포함한다. 테이프 탭의 임의의 잘 공지된 구성 및 구성부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예시적인 테이프 탭이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된 1974년 11월 19일자로 뷰엘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3,848,594 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테이프 탭(120)은 도 4에 설명되어 있고, 고정 표면(130) 및 배면(132)을 갖는다. 고정 표면(130)은 테이프 탭(120)의 표면이 본 발명의 랜딩 부재(38)와 맞물리도록 디자인된다. 따라서, 테이프 탭(120)의 고정 표면(130)은 일반적으로 기저귀(20)의 내면을 대향하도록 배향된다. 배면(132)은 고정 표면(130)에 반대쪽 표면이고 일반적으로 기저귀(20)의 외면을 대향한다. 배면(130)은 따라서 일반적으로 기저귀(20)를 착용하는 동안 노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테이프 탭(120)은 배면 시이트(26)의 내면(110)에 연결되어 고정된 부분(135)(즉, 제조중 기저귀(20)에 연결된 테이프 탭(120)의 말단)를 생성하는 것이다. 테이프 탭(120)은 또 다른 탭 부분(136) 부재를 갖는다[즉, 기저귀(20)의 종방향 가장자리(50) 밖으로 바깥쪽으로 신장되고 착용자상에 기저귀를 고정시킬 때 기저귀를 다루는 사람이 잡도록 되어 있는 테이프 탭(120)의 말단]. 테이프 탭(120)의 원위 가장자리(137)는 거친 모서리 가장자리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여 복부가 긁힐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둥근 모서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테이프 탭(120)은 또한 기저귀(20)의 상면 시이트(24)에 연결된 릴리이스 부분(140)을 포함한다. 릴리이스 부분(140)은 탭 부분(136)이 접착성 부착층(126)이 사용전에 오염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제작중에 안쪽으로 접히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리이스 부분(140)은 기저귀(20)의 종방향 가장자리(50)로부터 안쪽으로 바람직하게는 탄성 측면 패널(30)의 부분까지 신장되고 이 부분에 걸쳐 중첩된다. 탭 부분(136)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릴리이스 부분(140)보다 측방향으로(나비) 더 짧아서 기저귀를 다루는 사람이 탭 부분(136)을 처음에 쉽게 잡을 수 있게 해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부분(135)은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된 내층(110)에 연결된다. 고정된 부분(135)은 바람직하게는 측면 영역(62) 안에 존재하고 중심 영역(60)으로 신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정된 부분(135)은 내층(110)에 바로 연결된다. 고정된 부분(135)은 부직 섬유상 외층(112)의 어떤 부분에서도 이를 향해 신장되지 않고 이와 연결되지 않는다. 테이프 탭(120)의 고정된 부분(135)이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물질(110) 내층에만 연결됨으로써, 부직 섬유상 층에 연결되었을 때(더 약한 결합을 제공하여 테이프 탭이 기저귀로부터 잘 떨어지게 한다)보다 테이프 탭(120)을 기저귀의 사용 및/또는 착용중에 기저귀(20)로부터 떼어내기가 더 어렵다.
고정 부재(37)의 고정 구성요소는 랜딩 부재(38)의 고정 부재와 보조 고정 구성요소 사이에 폐쇄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고정 구성요소는 기저귀(20)에 안정한 측면 폐쇄부를 제공하기 위해, 랜딩 부재(38)의 보조 고정 구성요소를 맞물리게하여 전방 허리 영역(46)과 후방 허리 영역(44)을 중첩 구성으로 유지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기저귀가 상이한 치수의 착용자들에게 적합하고 고정 시스템이 사용하기에 간단하고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저귀가 여러 치수에 적합하면서도 최소한의 노력을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 구성요소가 폐쇄 대역을 가변 위치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고정 구성요소는 이후 정의하는 조정가능한 위치지정 고정 폐쇄부를 달성하기 위한 임의의 잘 공지된 부착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정가능한 위치지정 부착 수단의 예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공지된 감압성 접착제와 같은 접착성 부착층, 후크 고정재 또는 루프 고정재와 같은 기계적 폐쇄 부재,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응집성 물질, 또는 접착성 폐쇄 부재/기계적 폐쇄 부재의 결합을 포함한다.
제 1 고정 구성요소(122)는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탭(120)상에 위치되고 여기에 연결된 접착성 부착층 또는 기계적 폐쇄 부재와 같은 별도의 물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고정 구성요소(122)는 바람직하게는 탭 부분(136)상에 피복된 접착성 부착층(126)을 포함하여 고정 표면(130)을 형성한다.
제 1 고정 구성요소(122)는 고정 부재(37)상의 어디에든 위치할 수 있다. 고정 부재(37)가 테이프 탭(120)을 포함하면, 제 1 고정 구성요소(122)는 바람직하게는 탭 부분(136)의 고정 표면(130)의 모두에 또는 적어도 일부분상에 위치된다. 제 1 고정 구성요소(122)는 고정 표면(130)상에서 탭 부분(136)의 또 다른 영역상에 및 테이프 탭(120)의 원위 가장자리(137)에 인접하게 배치된 접착성 부착층 및 기계적 폐쇄 부재를 갖는 접착성 폐쇄 부재/기계적 폐쇄 부재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예시적인 실시양태가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하는 1989년 9월 26일자로 스크립스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69,724 호에 개시되어 있다.
고정 시스템(36)의 랜딩 부재(38)는 그 자체를 고정 부재(37)에 고정시켜 측면 폐쇄부를 제공하고 전방 허리 영역(46) 및 후방 허리 영역(44)을 중첩된 구성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랜딩 부재(38)는 고정 부재(37)와 맞물려서 측면 폐쇄부, 바람직하게는 가변 위치지정 측면 폐쇄부를 제공할 수 있는 한 기저귀(20)상에 어디에든 배치될 수 있다. 랜딩 부재(38)가 어디에 고정 부재(37)가 최적 적합성으로 위치되는가의 대략의 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랜딩 부재(38)는 바람직하게는 기저귀가 다양한 치수를 맞추는 측면 폐쇄부의 가변 위치지정을 달성할 수 있도록 위치되어 전방 허리 영역(46)과 후방 허리 영역(44) 사이의 중첩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랜딩 부재(38)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허리 영역(46)에서 종방향 중심선(100) 주위로 중앙에 위치하고 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신장된다.
랜딩 부재(38)는 기저귀(20)에 연결된 불연속, 별도의 부재 또는 부재들이거나 또는 기저귀(20)의 부재를 포함하는 일체형 물질일 수 있다. 랜딩 부재(38)는 따라서 예를 들면 상면 시이트(24) 또는 배면 시이트(26)를 포함할 수 있다. 랜딩 부재(38)가 치수 및 모양을 변화시킨다고 가정할 수 있지만, 착용자에게 기저귀(20)의 최대 적합한 조정을 허용하는 전방 허리 영역(46)에서 배면 시이트(26)에 연결된 물질의 하나 이상의 패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20)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도 2에 설명한 바와 같이, 랜딩 부재(38)는 길다란 직사각형 모양을 갖고 전방 허리 영역(46)에서 접착성 부착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배면 시이트(26)에 고정된다. 랜딩 부재(38)는 고정 부재(37)의 고정 구성요소(제 1 고정 구성요소(122))와 함께 신장가능한 고정 구성요소(제 2 고정 구성요소(124))를 포함한다. 따라서, 랜딩 부재(38)의 고정 구성요소(제 2 고정 구성요소(124))는 고정 부재(37)의 고정 구성요소를 안전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는 광범위한 물질 및 구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 부재(37)의 제 1 고정 구성요소(122)가 접착성 부착층(126)을 포함하면, 랜딩 부재(38)의 제 2 고정 구성요소(124)는 바람직하게는 보강 스트립(128)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37)의 제 1 고정 구성요소(122)가 기계적 폐쇄 부재를 포함하면, 제 2 고정 구성요소(124)는 또한 기계적 폐쇄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고정 구성요소(122)가 후크 고정재를 포함하면, 제 2 고정 구성요소(124)는 바람직하게는 루프 고정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랜딩 부재(38)는 바람직하게는 테이프 탭(120)의 접착성 부착층(126)과 풀리면서 맞물릴 수 있는 보강 스트립(128)을 포함한다. 보강 스트립(128)은 기저귀(20)의 배면 시이트(26)에 고정된 임의의 수의 구성부 및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 스트립(128)은 바람직하게는 배면 시이트(26)에 고정되어 기저귀(20)의 외면(42)의 일부를 형성하는 별도의 부재이다. 바람직한 보강 스트립(128)은 이축으로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포함한다.
보강 스트립(128)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저귀를 다루는 사람이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맞추어 최적 허리 적합성 및 다리 개구부 적합성을 얻는 것을 돕기 위한 표지 수단(150)을 갖추고 있다. 표지 수단(150)은 기저귀를 착용자에게 각각의 적합성에 맞도록 착용하여 특정 테이프 탭 패스너를 목적하는 고정 지점에 신속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임의의 유형의 라인, 패턴, 장식용 디자인, 상징, 스크립트, 칼라 코드, 또는 그 밖의 표시일 수 있다. 이러한 표지 수단(150)은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하는 1987년 5월 5일자로 히로쓰 및 로버츠슨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62,875 호에 더욱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기저귀(20)는 또한 기저귀(20)를 편안하고 용이하게 처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처분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처분 수단은 기저귀(20)를 처분을 위한 구성으로 접거나 또는 말아 올리고 오염된 기저귀 안의 내용물을 봉쇄하는 구성으로 구성시킬 수 있는 임의의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처분 수단의 예는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하는 1990년 10월 16일자로 로버츠슨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63,140 호에 개시되어 있다.
사용시, 기저귀(20)는 바람직하게는 후방 허리 영역(44)을 착용자의 등 밑에 위치시키고 기저귀(20)의 나머지 부분을 착용자의 다리 사이로 끌어 올려서 전방 허리 영역(46)을 착용자의 전방을 가로질러 위치시킴으로써 착용자에게 사용된다. 고정 시스템의 테이프 탭을 이어서 릴리이스 부분으로부터 떼어낸다. 이어서 기저귀를 다루는 사람은 계속해서 탭 부분을 잡으면서 탄성 측면 패널을 착용자 주위로 에워싼다. 이러한 고정 시스템은 기저귀의 외면에 고정되어 측면 폐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를 설명하고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각종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인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범주 안에 있는 변화 및 변형을 첨부된 청구의 범위 안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Claims (9)

  1. 후방 허리 영역, 전방 허리 영역, 가랑이 영역, 중심 영역, 한쌍의 측면 영역, 한쌍의 종방향 가장자리, 및 한쌍의 말단 가장자리를 갖고, 액체 투과성 상면 시이트, 여기에 연결된 배면 시이트 및 상면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위치한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으로서,
    배면 시이트가 액체 불투과성 플라스틱 물질 내층, 및 상기 측면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후방 허리 영역으로부터 전방 허리 영역으로 신장되는 부직 섬유상 물질 외층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외층이 하나 이상의 말단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흡수제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외층이 각각의 말단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흡수제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하는 흡수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고정 시스템이 한쌍의 고정 부재 및 랜딩 부재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6. 제 5 항에 있어서,
    한쌍의 고정 부재가 후크 고정재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7. 제 5 항에 있어서,
    랜딩 부재가 루프 고정재를 포함하는 흡수제품.
  8. 제 5 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가 고정된 부분 및 탭 부분을 갖는 테이프 탭을 포함하는 흡수제품.
  9. 제 8 항에 있어서,
    테이프 탭의 고정된 부분이 액체 불투과성 물질 내층에 연결된 흡수제품.
KR1019970709408A 1995-06-16 1996-05-16 기저귀 KR100249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91,559 US5618280A (en) 1995-06-16 1995-06-16 Diaper
US8/491559 1995-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938A true KR19990022938A (ko) 1999-03-25
KR100249612B1 KR100249612B1 (ko) 2000-03-15

Family

ID=2395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408A KR100249612B1 (ko) 1995-06-16 1996-05-16 기저귀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5618280A (ko)
EP (1) EP0836461B1 (ko)
JP (1) JPH11508156A (ko)
KR (1) KR100249612B1 (ko)
CN (1) CN1190883A (ko)
AR (1) AR002496A1 (ko)
AT (1) ATE195069T1 (ko)
AU (1) AU5859996A (ko)
BR (1) BR9608855A (ko)
CA (1) CA2224219C (ko)
CO (1) CO4700398A1 (ko)
CZ (1) CZ289461B6 (ko)
DE (1) DE69609615T2 (ko)
DK (1) DK0836461T3 (ko)
EG (1) EG21140A (ko)
ES (1) ES2148773T3 (ko)
GR (1) GR3034707T3 (ko)
HK (1) HK1010478A1 (ko)
HU (1) HUP9802558A3 (ko)
MX (1) MX9710116A (ko)
MY (1) MY113498A (ko)
NO (1) NO975886L (ko)
PE (1) PE9798A1 (ko)
PT (1) PT836461E (ko)
TR (1) TR199701630T1 (ko)
TW (1) TW376731U (ko)
WO (1) WO1997000056A1 (ko)
ZA (1) ZA9651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5292A1 (en) * 1997-06-06 1998-12-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xtensible laminate structures
EP0890350A1 (en) * 1997-07-08 1999-0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clothlike feel backsheet having zoned breathability and process for making such backsheets
US6264641B1 (en) 1998-05-07 2001-07-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xpandable cover garment
US6702801B2 (en) 1998-05-07 2004-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with an extensible backsheet
US6132410A (en) * 1998-05-07 2000-10-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garment having dryness barriers with expandable attachment to an absorbent
US5985081A (en) * 1998-06-26 1999-11-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a shaped product with no material waste
US6000056A (en) * 1998-07-10 1999-12-14 Brady; Dennis P. Disposable bib adapted to carry articles for use in feeding
AU9683498A (en) * 1998-10-02 2000-04-26 Procter & Gamble Company, The Disposable garment having elastic laminate including polystyrene thermoplastic elastomer and nonwoven layer containing polyester
WO2000020207A1 (en) * 1998-10-02 2000-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ic laminates and disposable garment employing the same
US20010018579A1 (en) * 1998-12-18 2001-08-30 Walter Klemp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stretchable side waist regions
US8343127B1 (en) 1999-11-22 2013-0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garment-like refastenable seams
US6217563B1 (en) 1999-02-12 2001-04-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hree-dimensional, inward leg gather disposable garment
US6632213B1 (en) 1999-04-13 2003-10-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rolled leg cuff
EA200000501A1 (ru) 2000-02-14 2001-08-27 Грачья Арутюнович Арутюня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оскальзывания колес автомобилей
US6687120B2 (en) * 2001-10-17 2004-02-03 Dell Products L.P. Computer system including speaker-antenna assembly
WO2002094152A1 (fr)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Tampon interlabial
ATE536157T1 (de) 2001-05-22 2011-12-15 Uni Charm Corp Interlabial-polster
US6575950B1 (en) * 2002-03-05 2003-06-10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Stretch ear diaper having perforated backsheet
US6575949B1 (en) * 2002-03-05 2003-06-10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Perforated stretch ear diaper
EP1236457B1 (en) * 2002-05-17 2008-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closure
EP1902698A1 (en) * 2006-09-22 2008-03-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anding zone for mechanical fasteners of disposable products,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products
KR100860099B1 (ko) * 2006-09-28 2008-09-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천연 순면을 이용한 일회용 흡수제품
DE102007008288A1 (de) 2007-02-16 2008-08-21 Evonik Stockhausen Gmbh Verfahren zur Überprüfung der Stabilität einer Sauglage
DE202011105054U1 (de) 2010-09-03 2011-12-29 Hyga Gmbh & Co. Kg Wegwerfbare Windel
JP2014533151A (ja) * 2011-10-19 2014-12-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伸張可能な身体ゾーンを有する、再利用可能なシャーシを備える着用可能な吸収性物品
KR102555872B1 (ko) * 2022-08-05 2023-07-14 김정곤 천연순면 메쉬가 구비되는 흡수용품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9246A (en) * 1971-10-07 1973-12-18 Johnson & Johnson Disposable diaper
US3949130A (en) * 1974-01-04 1976-04-06 Tuff Spun Products, Inc. Spun bonded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4205679A (en) * 1976-07-23 1980-06-03 Johnson & Johnson Disposable undergarment
US4475912A (en) * 1981-10-26 1984-10-09 Coates Fredrica V Adjustable diapers with fastening means
US4578066A (en) * 1984-05-29 1986-03-25 Kimberly-Clark Corporation Incontinent garment, catamenial device or wound dressing
US4646362A (en) * 1985-01-10 1987-03-03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underpants, such as child's training pants and the like
US4725473A (en) * 1986-11-25 1988-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Cloth-like, liquid impervious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753649A (en) * 1987-03-31 1988-06-28 Kimberly-Clark Corporation Film reinforcement for disposable diapers having refastenable tapes
US4861652A (en) * 1987-10-13 1989-08-29 Kimberly-Clark Corporation Diaper article with elasticized waist panel
US4963140A (en) * 1987-12-17 1990-10-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chanical fastening systems with disposal mean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4894060A (en) * 1988-01-11 1990-0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hook fastener portion
US5176670A (en) * 1988-12-20 1993-01-05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mechanical fastening system
CA2034984A1 (en) * 1990-09-21 1992-03-22 Paul T. Van Gompel Absorbent article with poly baffle
US5252374A (en) * 1992-02-18 1993-10-12 Paper-Pak Products, Inc. Underpad for incontinent patients
US5288546A (en) * 1992-07-31 1994-02-22 Kimberly-Clark Corporation Attachment tape finger tab
US5399174A (en) * 1993-04-06 1995-03-21 Kimberly-Clark Corporation Patterned embossed nonwoven fabric, cloth-like liquid barrier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9802558A3 (en) 2000-07-28
CO4700398A1 (es) 1998-12-29
DE69609615D1 (de) 2000-09-07
MX9710116A (es) 1998-10-31
KR100249612B1 (ko) 2000-03-15
WO1997000056A1 (en) 1997-01-03
EP0836461A1 (en) 1998-04-22
DK0836461T3 (da) 2000-09-04
TW376731U (en) 1999-12-11
AU5859996A (en) 1997-01-15
AR002496A1 (es) 1998-03-25
ZA965109B (en) 1997-01-22
EG21140A (en) 2000-11-29
ATE195069T1 (de) 2000-08-15
DE69609615T2 (de) 2001-04-12
EP0836461B1 (en) 2000-08-02
CZ403397A3 (cs) 1998-07-15
CA2224219C (en) 2001-12-18
NO975886L (no) 1998-02-16
NO975886D0 (no) 1997-12-15
BR9608855A (pt) 1999-06-08
TR199701630T1 (xx) 1998-05-21
MY113498A (en) 2002-03-30
HK1010478A1 (en) 1999-06-25
GR3034707T3 (en) 2001-01-31
CA2224219A1 (en) 1997-01-03
ES2148773T3 (es) 2000-10-16
CN1190883A (zh) 1998-08-19
US5618280A (en) 1997-04-08
PE9798A1 (es) 1998-04-04
JPH11508156A (ja) 1999-07-21
PT836461E (pt) 2000-12-29
HUP9802558A2 (hu) 1999-03-29
CZ289461B6 (cs)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612B1 (ko) 기저귀
KR100203654B1 (ko) 신장성 스플리트 코어를 갖는 흡수 제품
US6132411A (en) Absorbent article with multiple zone side panels
KR100234465B1 (ko) 만곡된 차단 커프스를 갖는 흡수 제품 및 그의제조방법
US6551294B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 stretch panel and an integrated waist size adjustment mechanism
KR100234460B1 (ko) 개선된 탄성 허리밴드를 갖는 흡수제품
JP3478826B2 (ja) 弾性臀部パネルを有する動的弾性特性を有する吸収性物品
EP0869756B1 (en) Absorbent article using extensible leg cuffs
KR100244616B1 (ko) 흡수제품을 함유하는 포장물
US5944707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djustment system
EP0955977B1 (en) Absorbent product with leg closures
KR20000075948A (ko) 통기성 배면 시이트를 갖는 흡수제품
JPH09505227A (ja) 多方向伸長性サイドパネルを有する吸収体物品
MX2008013701A (es) Articulos absorbentes desechables con costuras reforzadas.
KR20000075947A (ko) 통기성 배면 시이트를 갖는 흡수제품
US6235011B1 (en) Three-piece tape landing zone for diapers
CA2205924C (en) Absorbent article with fit enhancement system
JP3923520B2 (ja) 吸収体及び挿入物を含むパッケージ
US5672164A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xtended sublayer
EP0874611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djustment system
MXPA99011287A (en) Absorbent article with side panels having zones of different extensibility
MXPA97005584A (en) Package that contains absorbing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