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592U - 자동판매기의원격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원격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592U
KR19990022592U KR2019990004709U KR19990004709U KR19990022592U KR 19990022592 U KR19990022592 U KR 19990022592U KR 2019990004709 U KR2019990004709 U KR 2019990004709U KR 19990004709 U KR19990004709 U KR 19990004709U KR 19990022592 U KR19990022592 U KR 199900225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controller
vending
station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60173Y1 (ko
Inventor
최영
Original Assignee
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 filed Critical 최영
Priority to KR2019990004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173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5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1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1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여러 장소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자동판매기를 컨트롤러 및 모뎀(CM)과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관리소에서 간편하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종합적인 관리를 하여 자동판매기의 가동율 및 상품판매성을 높이고 고임금을 탈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의 각종 구동부(모터류) 신호와, 센서류 신호와, 스위치류 신호가 입ㆍ출력 드라이버를 통하여 CPU로 입력되게 함으로써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에 부하를 주지않고, 설치 및 유지가 간편하면서 모든 자동판매기에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설정시간이 되면 컨트롤러가 획득한 데이터를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소(또는 모니터링 시스템)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설정시간대의 각종 재료와 상품의 소모량 및 판매량과, 구동부ㆍ센서부ㆍ스위치부의 작동횟수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재료나 상품의 재고부족, 자동판매기의 충격, 자동판매기의 흔들림ㆍ도어 열림과 같은 이상이 감지되면 자동 다이얼 기능을 이용하여 관리소로 이상신호를 바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관리소의 컴퓨터는 각각의 자동판매기로부터 전송 입력되는 데이터를 취합 분석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안정적이고도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Remont management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를 원격으로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분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자동판매기를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도 간편하면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자동판매기의 가동율 및 상품판매성을 높이며 고임금을 탈피할 수 있으며, 또한 모든 자동판매기에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판매 수요가 있는 여러 장소에 분산 설치하여 수용된 각종 상품을 자동으로 판매하게 되며, 장소와 시간의 제약없이 각종 물품을 판매 및 구매할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자동판매기의 상품이나 재료의 재고량이 떨어지면 상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판매할 수 없으므로 관리기사가 자동판매기가 설치된 장소를 주기적이거나 수시로 방문하면서 자동판매기의 정상 동작여부, 상품 및 재료의 재고량이나 이상 유.무 등을 확인하여 필요한 경우 고장부분을 수리하거나 상품 및 재료를 보충 공급하고, 또한 판매금액을 회수하게 된다.
자동판매기가 도입된 초기에는 원할한 교통소통 덕분으로 한 사람의 관리기사가 약 70대의 자동판매기 까지도 관리할 수 있었으나 자동차의 급증으로 교통이 혼잡한 현대에는 복수 장소에 분산 설치되는 자동판매기까지 순회하는데 따른 시간이 과다 소요되어 한 사람의 관리기사가 채 30여대의 관리도 힘든 실정이므로 자동판매기의 효율적이고도 신속한 관리가 어려워 서비스의 질이 크게 떨어지며, 또한 관리기사가 판매금액의 일부를 가로채는 경향이 있어서 자동판매기 관리자의 수익성이 많이 떨어질 뿐 아니라 관리기사와 자동판매기 관리자 간에 불신이 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별도의 무인 또는 원격 관리시스템이 없는 관계로 관리기사가 복수 장소에 떨어져 설치된 자동판매기로 순회하면서 직접 관리하는 방식이므로 관리자에 의한 직접적이고도 종합적인 관리가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러 장소에 분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자동판매기를 컨트롤러 및 모뎀(CM)과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관리소에서 간편하면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종합적인 관리를 하여 자동판매기의 가동율 및 상품판매성을 높이고 고임금을 탈피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의 각종 구동부(모터류) 신호와, 센서류 신호와, 스위치류 신호가 입ㆍ출력 드라이버를 통하여 CPU로 입력되게 함으로써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에 부하를 주지않고, 설치 및 유지가 간편하면서 모든 자동판매기에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원격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설정시간이 되면 컨트롤러가 획득한 데이터를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소(또는 모니터링 시스템)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설정시간대의 각종 재료와 상품의 소모량 및 판매량과, 구동부ㆍ센서부ㆍ스위치부의 작동횟수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재료나 상품의 재고부족, 자동판매기의 충격, 자동판매기의 흔들림ㆍ도어 열림과 같은 이상이 감지되면 자동 다이얼 기능을 이용하여 관리소로 이상신호를 바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리소의 컴퓨터는 각각의 자동판매기로부터 전송 입력되는 데이터를 취합 분석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안정적이고도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러 장소에 분산 설치되는 자동판매기의 내부 에 컨트롤러 및 모뎀을 설치한 다음 자동판매기의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고, 상기 컨트롤러 및 모뎀에는 전화국과 연결된 공중전화선(또는 일반전화선)을 접속하고, 또 다른 전화선에 관리소의 컨트롤러 및 모뎀과 출력장치(모니터, 프린트)를 갖는 컴퓨터를 차례로 연결하여 컨트롤러 및 모뎀으로 획득된 자동판매기에 대한 각종 정보가 공중전화선과 전화국을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소로 전송되게 구성하고, 관리소(QC)에서는 각 자동판매기의 매시, 매일, 매월의 정확한 매출 데이터, 누계 데이터, 매출집계, 매출분석기, 매출금액, 재료나 상품의 판매량, 재료나 상품의 재고량, 수요예측, 적정 재고유지 및 관리 스케쥴 수립, 자동판매기의 고장부위, 자동판매기에 도어열림, 자동판매기의 충격작용, 과도한 흔들림 상태 등을 전화기(T)나 팩시밀리(FAX)나 우편을 이용하여 회원사에 통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 및 모뎀은 복수 개의 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입ㆍ출력 드라이버와 CPU를 접속하고, CPU의 입ㆍ출력부에 예약시간에 자동으로 다이얼하여 해당 자동판매기로 부터 획득한 각종 데이터를 모뎀과 전화선을 통하여 관리소로 전송하는 예약 다이얼부와, 컨트롤러 및 모뎀을 운용하고 자동판매기의 정보를 획득하여 램에 저장하고 관리소로부터의 인트럽트 신호에 응답하는 등의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롬과, 관리소의 전화번호와 자동판매기로부터 획득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관리소로부터 데이터 전송요구신호가 있으면 저장하고 있던 데이터를 모뎀과 전화선을 통하여 관리소의 컴퓨터로 바로 전송하는 램을 접속하고, CPU의 입ㆍ출력부에 관리소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모뎀을 접속한다.
또한, 모터류 신호, 밸브류 신호, 릴레이류 신호, 스위치류 신호, 센서류 신호 들은 입ㆍ출력 드라이버의 포토카플러로 신호 절연한 다음 역류방지용 다이오드를 통하여 CPU로 입력되어 신호처리되게 하고, 포토카플러의 앞단에는 푸쉬스위치를 병렬접속하여 컨트롤러 및 모뎀의 정상동작 여부를 시험해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를 증설하거나 감시대상 신호원을 증설하는 경우 시스템을 유연성 있게 확장할 수 있도록 24포트를 48포트 또는 그 이상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 본 고안의 구성도.
도 2 : 본 고안의 회로블럭도.
도 3 : 본 고안의 순서도.
도 4 : 본 고안 전원부의 회로도.
도 5 : 본 고안 CPU 부분 회로도.
도 6 : 본 고안 CPU에 접속되는 롬(ROM) 부분 회로도.
도 7 : 본 고안 CPU에 접속되는 램(RAM) 부분 회로도.
도 8 : 본 고안 CPU에 접속되는 S램(SRAM) 부분 회로도.
도 9 : 본 고안 CPU에 접속되는 어드레스 디코더 IC 부분 회로도.
도 10 : 본 고안 CPU에 접속되는 어드래스 래치 IC 부분 회로도.
도 11 : 본 고안에서 모뎀이 접속되는 시리얼 포트(RS232C) 부분 회로도.
도 12 : 본 고안의 식별코드 부분회로도.
도 13 : 본 고안 회로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초기화(RESET) 부분 회로도.
도 14 : 본 고안 CPU의 부저출력단자에 접속되는 경보회로도
도 15 : 본 고안 CPU의 릴레이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충격감지 회로도.
도 16 : 본 고안 입ㆍ출력 드라이버 부분 회로도.
도 17 : 본 고안 채널확장 IC 부분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M1)(CM1)....(CMn)--컨트롤러 및 모뎀 (CM)--모뎀
(TW)--전화국 (QC)--관리소
(RA)--어레이 저항 (IC)--직접회로
(DS)--딥 스위치 (T)--전화기
(FAX)--팩시밀리 (RTC)--예약 다이얼부
(RAM)-램 (ROM)--롬
(RS-232C)--인터페이스 (PC)--포토 카플러
(D)(ZD)--다이오드 (SW)--스위치
(CON)-콘넥터 (C)--캐페시터
(R)--저항 (CPU)--중앙처리장치
(INT1)--인트럽트 단자 (G)--게이트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로, 여러 장소에 분산 설치되는 자동판매기의 내부 에 컨트롤러 및 모뎀(CM1)(CM1)....(CMn)을 설치한 다음 자동판매기의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고, 상기 컨트롤러 및 모뎀(CM1)(CM1)....(CMn)에는 전화국(TW)과 연결된 공중전화선(또는 일반전화선)을 접속하고, 또 다른 전화선에 관리소(QC)의 컨트롤러 및 모뎀(CM)과 출력장치(모니터, 프린트)를 갖는 컴퓨터를 차례로 연결하여 컨트롤러 및 모뎀(CM1)(CM1)....(CMn)로 획득된 자동판매기에 대한 각종 정보가 공중전화선과 전화국(TW)을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소(QC)로 전송되게 구성 한다.
상기에서 자동판매기마다 설치되는 컨트롤러 및 모뎀(CM)(CM1)....(CMn)에는 도 12와 같이 풀업 어레이 저항(RA2)(RA3)이 접속된 코드 IC(IC8)(IC9)의 일단에 16 비트(bit) 딥스위치(DS1)(DS2)를 접속하여 자동판매기마다 고유의 식별코드를 부여함으로써 관리소(QC)에서 복수 개의 자동판매기를 각각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 및 모뎀(CM1)(CM1)....(CMn)의 모뎀은 전화국(TW)과 연결된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관리소(QC)의 모뎀 및 관리컴퓨터와 접속하고, 관리 프로그램이 탑재된 상기 컴퓨터에는 모니터와 프린터 및 입력수단인 마우스와 키보드 등을 접속하여 관리소(QC)를 구성한다.
또한, 관리소(QC)에서는 각 자동판매기의 매시, 매일, 매월의 정확한 매출 데이터, 누계 데이터, 매출집계, 매출분석기, 매출금액, 재료나 상품의 판매량, 재료나 상품의 재고량, 수요예측, 적정 재고유지 및 관리 스케쥴 수립, 자동판매기의 고장부위, 자동판매기에 도어열림, 자동판매기의 충격작용, 과도한 흔들림 상태 등을 전화기(T)나 팩시밀리(FAX)나 우편을 이용하여 회원사에 통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 컨트롤러 및 모뎀(CM)의 회로블럭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순서도로, 복수 개의 신호가 각각 입력될 수 있게 복수 개의 채널을 갖는 입ㆍ출력 드라이버와 CPU를 접속하고, CPU의 입ㆍ출력부에는 예약시간에 자동으로 다이얼하여 해당 자동판매기로 부터 획득한 각종 데이터를 모뎀과 전화선을 통하여 관리소(QC)로 전송하는 예약 다이얼부(RTC)와, 컨트롤러 및 모뎀(CM)을 운용하고 자동판매기의 정보를 획득하여 램(SRAM)에 저장하고 관리소(QC)로부터의 인트럽트신호에 응답하는 등의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롬(ROM)과, 관리소(QC)의 전화번호와 자동판매기로부터 획득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관리소(QC)로부터 데이터 전송요구 신호가 있으면 저장하고 있던 데이터를 모뎀과 전화선을 통하여 관리소(QC)의 컴퓨터로 전송하는 램(SRAM)을 접속한다.
또 다른 CPU의 입ㆍ출력부에 관리소(QC)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RS-232C)와 모뎀을 접속하고, 모터나 솔레노이드, 솔레노이드 밸브, 센서류, 스위치류, 릴레이 등을 제어하거나 상태를 감지하는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의 입ㆍ출력부에 입ㆍ출력 드라이버를 접속하여 이들 동작신호 또는 감지신호가 입ㆍ출력 드라이버의 복수 채널을 통하여 CPU로 입력되게 한다.
상기에서, 커피나 국산차를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의 경우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와 연결되는 모터류는 냉수조모터, 커피믹싱모터, 국산차 믹싱모터, 커피모터, 고급커피모터, 설탕모터, 프림모터, 국산차 투출모터, 컵투출 모터, 타렛모터 등을 들 수 있으며, 밸브류는 급수밸브, 국산차 밸브, 냉급수 밸브, 냉음료 밸브, 커피급수밸브, 결빙방지 밸브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릴레이류는 압축기 릴레이, 마그네트 릴레이, 히터 제어릴레이, 형광등 제어릴레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스위치류는 상한 스위치, 하한 스위치, 배수 스위치, 컵 감지스위치, 컵 스톱스위치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센서류는 결빙방지센서, 물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도 16은 CPU에 접속되는 상기 입ㆍ출력 드라이버의 상세회로도로, 입력되는 상기의 모터류 신호, 밸브류 신호, 릴레이류 신호, 스위치류 신호, 센서류 신호 들이 입ㆍ출력 드라이버의 포토카플러(PC2)~(PC9)에 의해 신호절연된 다음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7)~(D14)를 통하여 CPU로 입력되어 신호처리되며, 상기 포토카플러(PC2)~(PC9)의 앞단에는 푸쉬스위치(SW5)~(SW12)가 병렬로 각각 접속하여 컨트롤러 및 모뎀(CM1)(CM1)....(CMn)의 정상동작 여부를 시험해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의 모터류 신호, 밸브류 신호, 릴레이류 신호, 스위치류 신호, 센서류 신호가 입ㆍ출력 드라이버를 통하여 CPU로 바로 입력되게 함으로써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에 부하를 주지않고, 설치 및 유지가 간편하므로 모든 자동판매기에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감시대상 신호수의 증가에 따라 시스템을 유연성 있게 확장할 수 있도록 24포트를 48포트 또는 그 이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즉, 커피나 국산차 자동판매기의 경우 입ㆍ출력 드라이버의 채널수가 10개 전ㆍ후이면 만족하나, 캔 자동판매기와 같이 필요한 채널수가 10 이상인 경우 채널의 확장이 필요하며, 이러한 경우 도 17과 같이 풀업 어레이 저항(RA4)(RA5)(RA6)이 접속된 확장 IC(IC10)와 도 16과 같이 콘넥터(CON6)(CON7)를 갖는 입ㆍ출력 드라이버를 증설 접속하여 자동판매기의 감시대상 신호원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4는 컨트롤러 및 모뎀(CM1)(CM1)....(CMn)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회로도로, 도시안된 강압 트랜스에 의해 저압으로 변환된 교류전원을 콘넥터(CON4)로 공급하여 브리지 다이오드(ZD)로 정류한 다음 캐페시터(C1)(C2)와 코일(L) 및 정전압IC(IC1)로 구성된 정전압부와 평활부에 의해 안정화된 전원(VCC)과 안정화되니 않은 전원(VPP)을 컨트롤러 및 모뎀(CM1)(CM1)....(CMn)의 각 회로부분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 CPU 부분 상세 회로도로, 클럭발진부(OSC1)가 접속된 CPU의 입력에 풀업 어레이 저항(RA1)과 발광 다이오드(D1)(D2)(D3)(D4)와 푸쉬스위치(SW1)(SW2)(SW3)(SW4)가 직렬로 각각 접속된 스위치부를 접속하여 스위치(SW2)를 누르면 CPU는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관리소(QC)와 연결한 다음 해당 자동판매기의 고유코드(및 설치위치)를 관리소(QC)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관리기사의 현재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해당 자동판매기의 도어를 연 상태에서 스위치(SW3)를 설정된 시간이내 예컨데 10초 이내에 누르지 아니하면 CPU는 비정상적인 도어의 열림으로 판단하여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관리소(QC)에서 자동판매기를 순회하고 있는 인근의 관리기사 또는 관리인을 호출하여 도어열림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히 이동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도어가 열린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스위치(SW3)가 눌러지면 CPU는 관리기사 또는 관리인이 자동판매기의 점검이나 수리, 재료 및 상품의 보충이나 재고상태, 판매금액 회수 등을 위하여 자동판매기의 도어를 연것으로 판단하여 도어열림신호 전송을 보류하도록 한다.
또한, 스위치(SW4)는 재료충전 스위치로 스위치(SW4)를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보충하고자 하는 재료나 상품 키를 동시에 눌러주면 CPU는 재료 또는 상품이 가득히 공급된 것으로 인식하여 재료 또는 상품공급용 모터의 전원공급 회수를 카운터하여 재료 또는 상품의 총 공급량 및 현재 재고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경우 재료 또는 상품공급용 모터가 한번 동작할 때 배출되는 재료의 양이나 상품의 갯수(컵 배출개수, 캔 배출개수 등)가 결정되므로 재료 또는 상품공급용 모터의 전원공급 회수를 카운터하면 재료 또는 상품의 총 공급량 및 현재 재고량을 파악할 수 있게된다.
또한, 스위치(SW1)은 예비확장용 스위치이며, CPU의 인트럽트 단자(INT1)에 접속된 게이트(G1)는 확장기능으로 인트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각종 키를 스캔(SCAN)해서 눌러진 키를 확인하게 된다.
도 6은 상기 CPU에 접속되는 불휘발성 롬(ROM)(IC6)으로 제어 프로그램과 통신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도 7은 상기 CPU에 접속되는 램(RAM)(IC7)으로 롬(ROM)(IC6)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입ㆍ출력 드라이버로 입력되는 해당 자동판매기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설정된 예약시간이 되면 자동 다이얼로 관리소(QC)와 연결하여 온라인 상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관리소(QC)의 데이터 전송요구에 응하여 저장하고 있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CPU의 단자((RD)(PSEN)에 접속되는 칩 셀렉터(G3)(G4)는 데이터를 램이나 롬에 쓰기(WRITE)할 것인지 읽기(READ)할 것인지를 선택하게 된다.
도 8은 S램(SRAM)(IC2)으로 자동판매기의 매상 카운터와, 자동판매기의 고장이력, 관리소(QC)의 전화번호, 도어 열림시간, 예약 다이얼 시간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설정된 예약시간이 되면 자동 다이얼로 관리소(QC)와 연결하여 온라인 상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관리소(QC)의 데이터 전송요구에 응하여 저장하고 있던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도 9는 어드레스 버스와 데이터 버스를 타이밍으로 구분하는 어드레스 디코더 IC(IC3)이며, 도 10은 어드래스 래치 IC(IC4)이며, 도 11은 데이터 송신단자(TXD:Transmitted Data), 데이터 송신출력단자(TXD_OUT), 데이터 수신단자(RXD:Received Data), 데이터 수신출력단자(RXD_OUT)와, 송ㆍ수신 단자 및 캐페시터(C3)(C4)(C5)(C6)를 갖는 관리소(QC)와 통신을 위한 시리얼 포트 IC(IC5)(RS232C)이며, 상기 시리얼 포트(RS232C)에 외장형 모뎀과 전화선을 접속하여 관리소(QC)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본 고안의 오동작이나 초기전원 공급시 회로를 초기화(RESET)하는 리셋회로도로, 리셋 스위치(SW5)와 다이오드(D5)가 직렬로 접속되며, 리셋 스위치(SW5)를 누르면 저항(R1)과 캐페시터(C7)에 의한 시정수 값에 의해 리셋신호가 다소 간 지연된 인버터(G2)에 의해 신호반전되고 CPU의 리셋단자(RESET)로 입력되므로 CPU가 초기화되어 오동작이 방지된다.
도 14는 CPU의 부저출력단자(P1.6)에 접속되는 경보회로도로, 자동판매기의 도어가 열리거나 이상상태가 발생한 경우 경보신호가 출력되면, 저항(R2)과 포토 카플러(PC1)를 통하여 부저가 울려 경보되므로 관리가가 또는 관리자가 자동판매기의 이상여부를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5는 CPU의 릴레이 출력단자(P1.7)에 접속되는 충격감지 회로도로, 콘넥터(CON2)를 통하여 CPU의 31번 입력단자에 접속되는 충격감지기(도시안됨)를 자동판매기 내부에 설치하여 자동판매기로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흔들림이 발생되면 CPU는 자동판매기의 파손이나 도난으로 판단하여 외부버저를 통하여 강력한 경보를 하게 된다.
즉, 충격감지신호가 CPU로부터 출력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Q)가 턴-온되면서 외부부저가 동작하므로 자동판매기의 파손이나 도난이 1차 예방되며 상기 충격감지신호는 CPU의 통신에 의해 관리소(QC)의 컴퓨터로 전달되므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 이와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고안은 컨트롤러 및 모뎀(CM1)(CM1)....(CMn)으로 각각 입력된 신호는 공중전화망(TW)과 전화국(TN)을 통하여 관리소(QC)의 모뎀(CM)을 통하여 컴퓨터로 입력된다. 즉, 각종 센서를 이용해서 감지한 정보는 인터페이스부와 모뎀(변복조장치)을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다음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원격지인 관리소(QC)로 정확히 송출해 줌으로써 자동판매기를 종합적이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CPU는 관리소(QC)와 양방향 통신을 하면서 자동판매기의 감시대상 마다 할당된 각종 어드레스 및 데이터의 분석과 처리를 담당하고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고장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감지 및 판단된 각종 결과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원격지로 전송하게 되며, 예약 다이얼부(RTC)는 복수 개의 자동판매기에 대한 감시활동에 대한 예약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모든 자동판매기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자동판매기의 제어기에 부하를 주지않는 회로로 구성되므로 간편한 설치와 유지관리를 할 수 있다.
관리소(QC)의 컴퓨터는 자동판매기의 컨트롤러 및 모뎀(CM1)(CM1)....(CMn)으로 부터 수시로 전송되거나 예약시간에 전송되는 신호 또는 관리소(QC)의 요청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 예컨데, 자동판매기의 동작신호, 정지신호, 고장신호, 상품 재고량 신호, 상품 판매 신호와 변동 여부 자동판매기를 호출한 시간, 판매량, 재료와 상품별 모터의 동작수 각 채널에 대한 카운터 값 등을 시간단위로 감시(체크)하고 또한 롬(ROM)에 저장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각 자동판매기의 시간 단위별(시, 일, 주, 월, 년등) 판매현황과 판매율 등을 분석 및 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분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자동판매기를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간편하면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자동판매기의 가동율 및 상품판매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고임금을 탈피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 고효율성의 판매효과가 있다.
또한, 판매액의 일일정산이나 월말 정산이 관리소의 컴퓨터로 자동 관리되어 업무가 간편화되므로 업무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매시, 매일, 매월의 정확한 매출 데이터를 컴퓨터로 신속 간편하게 누계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매출집계와 분석기능으로 인한 손실(loss)을 줄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출금에 대한 관리기사와의 불신을 해소 할 수 있으며, 재료나 상품의 재고량을 사전에 파악하여 보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요예측이 가능하여 적정 재고유지 및 관리 스케쥴 수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의 고장이 발생된 경우 원격지의 관리소로 바로 통보되므로 신속한 A/S를 할 수 있어서 매출을 향상시키고 고객불만 사항 및 자동판매기에 대한 불신을 해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에 문열림 해제장치를 부가 설치하여 도어를 연 다음 일정시간 안에 해제스위치가 눌러지지 아니하면 자동판매기의 도어가 강제로 열리는 것으로 판단하여 도어 열림신호가 공중전화망을 이용하여 관리소로 바로 통보되므로 신속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에 과도한 충격이 작용되면 자동판매기에 설치된 경보장치가 동작하여 경보됨과 동시에 충격감지신호가 관리소로 바로 통보되므로 자동판매기의 파손이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의도적으로 도어가 열리거나 과도한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관리인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폰이나 삐삐로 자동 송출되므로 신속히 이동하여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료와 상품을 공급하거나 고장수리 및 점검을 위하여 도어가 열린다음 해재스위치가 눌러진 상태에서 재료나 상품의 공급 및 동작상태 확인을 위하여 유출되는 상품판매 신호는 판매량 제외신호로 처리되어 관리소로 전송되므로 판매량 누계오차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로 과도한 충격이 전달되거나 흔들림이 발생되면 부근에 설치된 폐쇄카메라(CCTV)와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관리소로 화상데이터가 압축 전송되므로 자동판매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이터를 주고 받는 전화망은 자동판매기 부근에 위치하는 전화선을 이용(겸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화선 가설과 그에 따른 비용부담 요인이 불필요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의 각종 구동부(모터류) 신호와, 센서류 신호와, 스위치류 신호가 입ㆍ출력 드라이버를 통하여 CPU로 입력되므로 모든 자동판매기에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므여,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에 부하를 주지아니하며, 컨트롤러 및 모뎀(CM)의 설치와 유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매상금액을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 예약(스케쥴)기능을 이용하여 판매량이나 재고량, 고장여부 데이터가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관리소로 바로 전송되므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여러 장소에 분산 설치되는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컨트롤러 및 모뎀(CM1)(CM1)....(CMn)을 설치한 다음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고, 컨트롤러 및 모뎀(CM1)(CM1)....(CMn)에는 전화국(TW)과 연결된 공중전화선(또는 일반전화선)을 접속하고, 전화국(TW)과 연결된다른 전화선에 관리소(QC)의 컨트롤러 및 모뎀(CM)과 출력장치를 갖는 컴퓨터를 차례로 연결하여 컨트롤러 및 모뎀(CM1)(CM1)....(CMn)로 획득된 자동판매기에 각각에 대한 각종 정보가 공중전화선과 전화국(TW)을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소(QC)로 전송되게 구성하여 북수 개의 자동판매기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의 각종 구동부(모터류) 신호와, 센서류 신호와, 스위치류 신호가 입ㆍ출력 드라이버를 통하여 CPU로 입력되게 함으로써 자동판매기용 제어기에 부하를 주지않고, 설치 및 유지가 간편하면서 모든 자동판매기에 범용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예약시간이 되면 획득한 데이터를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소(또는 모니터링 시스템)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예약시간대의 각종재료와 상품의 소모량과 판매량 및 재고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재료나 상품의 재고부족, 자동판매기의 충격, 자동판매기의 흔들림ㆍ도어 열림과 같은 이상이 감지되면 자동 다이얼 기능을 이용하여 관리소(또는 모니터링 시스템)로 이상신호를 바로 전송하여 신속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관리소(QC)에서 각 자동판매기의 매시, 매일, 매월의 정확한 매출 데이터, 누계 데이터, 매출집계, 매출분석기, 매출금액, 재료나 상품의 판매량, 재료나 상품의 재고량, 수요예측, 적정 재고유지 및 관리 스케쥴 수립, 자동판매기의 고장부위, 자동판매기에 도어열림, 자동판매기의 충격작용, 과도한 흔들림 상태 등을 전화기(T)나 팩시밀리(FAX)나 우편을 이용하여 회원사에 통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감시대상 신호수의 증가에 따라 확장 IC(IC10)와, 확장IC(IC10)에 접속할 수 있는 콘넥터(CON6)(CON7)를 갖는 입ㆍ출력 확장드라이버를 부가접속하여 자동판매기의 감시대상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
KR2019990004709U 1999-03-24 1999-03-24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 KR2002601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709U KR200260173Y1 (ko) 1999-03-24 1999-03-24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709U KR200260173Y1 (ko) 1999-03-24 1999-03-24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592U true KR19990022592U (ko) 1999-07-05
KR200260173Y1 KR200260173Y1 (ko) 2002-01-10

Family

ID=5475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709U KR200260173Y1 (ko) 1999-03-24 1999-03-24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17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190A (ko) * 2001-01-03 2002-07-12 신희택 모뎀을 이용한 자동판매기의 운영 관리 방법
KR100368466B1 (ko) * 2000-06-14 2003-01-24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자판기 관리 시스템
KR100378775B1 (ko) * 2000-10-23 2003-04-07 손재설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온-라인 판매 집계 시스템
KR100397636B1 (ko) * 2000-07-27 2003-09-13 (주) 하우텔 자판기 원격관리를 위한 통신 컨트롤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387A (ko) * 2000-08-25 2002-03-04 손영혜 자판기의 종합관리 시스템
KR200458775Y1 (ko) 2010-12-31 2012-03-09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판기에서의 외부충격에 의한 반출도어 열림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466B1 (ko) * 2000-06-14 2003-01-24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자판기 관리 시스템
KR100397636B1 (ko) * 2000-07-27 2003-09-13 (주) 하우텔 자판기 원격관리를 위한 통신 컨트롤러 장치
KR100378775B1 (ko) * 2000-10-23 2003-04-07 손재설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온-라인 판매 집계 시스템
KR20020059190A (ko) * 2001-01-03 2002-07-12 신희택 모뎀을 이용한 자동판매기의 운영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173Y1 (ko) 200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7826B1 (en) Methods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remote local units connected in a network and generating messages therefrom, and a device employed in said local units
US6564227B2 (en) Customer support system
US4766548A (en) Telelink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US75231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the services needs of remote point of sale devices
US5608643A (en) System for managing multiple dispensing units and method of operation
US4412292A (en) System for the remote monitoring of vending machines
ES2288032T3 (es) Red de distribuidores automaticos conectados interactivamente a un ordenador principal que crea una base de datos.
US6308111B1 (en)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US84840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consumer demand for multiple products and services at remotely located equipment
US20100258643A1 (en) System for the real time inventory and localization of refrigerating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
US7385504B2 (en) Vending machine door monitoring system
US2010009445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cashless payment and diagnostics for vending machines
US20010053939A1 (en) Method for supplying maintenance and operational support services from a service centre for a plurality of industrial cleaning processes or machines and system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industrial cleaning processes or machines
US200801405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valuating Consumer Demand for Multiple Products and Services at Remotely Located Equipment
KR200260173Y1 (ko) 자동판매기의 원격관리시스템.
JPH11306424A (ja) 無人店舗、広域無人店舗集中管理システムおよびガソリンスタンド遠隔管理システム
US20040098322A1 (en) Remote monitoring of consumables for a computer to plate imaging system
JPH11282928A (ja) 設備機器の部品支援装置
WO1996005552A9 (en) Interface between electronic lock and remote site
WO1996005552A1 (en) Interface between electronic lock and remote site
KR19990017707A (ko) 무인 자동 판매기 관리장치 및 방법
KR20020016387A (ko) 자판기의 종합관리 시스템
KR19990085483A (ko) 통신을 이용한 냉각수계의 원격감시제어방법
KR20210095467A (ko) 자동 판매기 원격 입출고 관리, 데이터 정리 및 통계 자료 표시 관리 프로그램
JP2017138894A (ja) 情報収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