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227U - 접철식간이의자 - Google Patents

접철식간이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227U
KR19990022227U KR2019990004571U KR19990004571U KR19990022227U KR 19990022227 U KR19990022227 U KR 19990022227U KR 2019990004571 U KR2019990004571 U KR 2019990004571U KR 19990004571 U KR19990004571 U KR 19990004571U KR 19990022227 U KR19990022227 U KR 199900222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pipe
leg
connector
arm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일
Original Assignee
박양숙
동일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숙, 동일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양숙
Priority to KR2019990004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227U/ko
Publication of KR199900222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227U/ko
Priority to KR2019990014649U priority patent/KR2001638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47C4/286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foldable side to side and front to back, e.g. umbrella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3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47C1/0324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positioned under the arm-re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레저용 간이의자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접지되는 앞·뒷다리와, 좌대와, "ㄷ"자형 등받이와, 팔걸이를 따로 제작하여서, 연결이 필요한 각각의 부재 사이를 소정 형상의 연결구나 결합구 등으로 연결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하였다. 특히, 제1특징인 등받이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측방향으로 구멍이 뚫린 팔걸이의 후단부와 등받이 사이, 그리고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와 뒷다리 사이를 힌지로 결합하고; 상기 팔걸이의 중공부 내측 상면 상에 설치한 래치와 대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등받이를 뒤로 젖힐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각도 조절이 된 후에는 등받이가 더이상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를 가진 다리 연결구의 상단을 상기 팔걸이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팔걸이를 살짝 들어올린 상태에서 등받이를 뒤로 젖히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2특징인 뒷다리의 길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뒷다리를 대직경의 파이프와 이 파이프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한 소직경의 파이프로 구성하되, 상기 소직경의 파이프가 대직경의 파이프로부터 요구된 길이만큼 빠져 나왔을 때는 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멈춤 수단을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상에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접철식 간이의자{FOLDING CHAIR}
본 고안은 낚시터 등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한 레저용 간이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경사진 곳 또는 굴곡이 심한 곳에서도 좌대가 수평으로 놓일 수 있고, 게다가 등받이를 일정 각도 내에서 뒤로 젖힐 수 있는 접철식 간이의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접철식(또는 절첩식) 간이의자라고 하면, 도6에 도시된 것처럼 고강도·경량의 지지다리들(41a∼41h)을 "X"자 형태로 교차시켜, 그곳을 핀(42a∼42c)으로 힌지·고정함으로서, 상기 핀을 중심으로 하여 지지다리들이 안쪽으로 모아질 수 있게 구성한 것이 주종이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접철식 간이의자는, 지지다리들을 안쪽으로 오므려 모을 수는 있으나, 지지다리 자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는 없어, 비스듬히 경사진 곳이나 굴곡이 심한 지면상에 놓아두게 되면, 간이의자 자체도 지면에 따라서 경사지거나 혹은 접지가 제대로 되지 않아 한쪽으로 기울게 되어 사용자에게 대단히 불편하였다.
또한, 등받이 부분(43)은, 서로 나란히 수직상태로 세워진 긴 파이프 형상의 지지다리들(41g,41h)을 이용하여 그 상단부에 직물 포켓(커버)을 덮어 씌워서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등받이 부분(43)을 뒤로 젖힐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구조의 간이의자는, 비탈진 곳이나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곳에서는 사용하기 힘들 정도로 대단히 불편하였으며, 특히 낚시할 때처럼 장시간 앉아서 기다려야 할 경우에는, 등받이를 뒤로 젖힐 수 없는 형태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앉은 자세가 불편하더라도 편한 자세로 고쳐 앉을 만한 방도가 없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국내에 소재한 여러 제조사들은, 등받이 부분을 뒤로 젖힐 수 있도록 하는데, 많은 연구·투자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본 출원인이 현재까지 국내에서 개발·소개된,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레저용 간이의자를 살펴 본 바에 의하면, 대부분 유공압 실린더를 이용하고 있거나, 또는 스퍼기어와 같은 기어류를 사용하고 있어서, 비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 장점은 있으나, 간이의자의 부피가 대형화되고 무게가 무겁게 되는 등, 접철식 간이의자가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특징, 즉 소형화·경량화의 특징이 없어져 버린 단점을 발견하게 되었고, 더욱이 이러한 간이의자에는 아직까지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이 분야의 기술개발이 시급하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접철식 간이의자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유지하면서도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서 뒷다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좌대가 수평상태로 놓이게 한, 접철식 간이의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다음의 수단들을 강구하였다.
즉,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접철식 간이의자처럼,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지면에 접지되는 앞·뒷다리(통상적으로, 업계에서는 이들 다리를 지지각이라 함)와, 사용자가 착석하는 "ㅂ"자 형상의 좌대와, 통상의 "ㄷ"자형 등받이와, 팔걸이를 따로 제작하여, 연결이 필요한 각각의 부재 사이를 합성수지제의 연결구나 결합구 등으로 연결하여 접을 수 있게 구성하였다.
특히, 본 고안의 제1특징인 등받이의 각도 조절을 위하여, 측방향으로 구멍이 뚫린 팔걸이의 후단부와 등받이 사이, 그리고 상기 등받이의 하단부와 뒷다리 사이를 힌지로 결합하고; 상기 팔걸이의 중공부 내측 상면 상에 설치한 래치와 대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등받이를 뒤로 젖힐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각도 조절이 된 후에는 등받이가 더이상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또는 포인트)를 가진 다리 연결구의 상단을 상기 팔걸이의 아래쪽에서부터 삽입하여, 상기 팔걸이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등받이를 뒤로 젖히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제2특징인 뒷다리의 길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뒷다리를 텔레스코프(telescope)처럼, 대직경의 파이프와, 이 파이프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슬라이드 운동이 가능한 소직경의 파이프로 구성하되, 상기 소직경의 파이프가 대직경의 파이프로부터 요구된 길이만큼 빠져 나왔을 때에는 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멈춤 수단(편심레버를 구비한 고정구)을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상에 설치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간이의자의 개략적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간이의자의 등받이 각도 조절 메커니즘을 도시한 요부 확대 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간이의자의 좌대 및 등받이와 뒷다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고안의 접철식 간이의자를 접은 상태의 투시 사시도,
도5a 내지 도5c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주요 연결구의 사시도,
도6은 종래 접철 가능한 간이의자의 예시도.
〔도면 부호의 설명〕
1...등받이, 2...앞다리,
3...뒷다리, 4...좌대,
5...팔걸이, 7...등받이/좌대 연결구,
8A, 8B...다리 연결구, 9...편심레버,
10...래치, 11...스토퍼,
12...연결구, 13...고정구,
14...연결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접철식 간이의자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도면중,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간이의자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5a 내지 도5c는 본 고안에 따라서 제작된 합성수지 재질(플라스틱)의 주요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본 고안의 접철식 간이의자는, 고강도·경량의 듀랄루민 파이프를 "ㄷ"자 형상으로 구부려 앞다리(2)와 뒷다리(3)를 제작하고, 동(同) 재질의 파이프로 좌대(4) 및 등받이(1)를, 그리고 합성수지(플라스틱)로는 팔걸이(5)를 따로 제작한 다음, 이들 부재(1∼5) 사이를 특별히 제작된 본 고안의 연결구 또는 결합구로, 상호 힌지운동이 가능하게 체결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술하면, 본 고안에서는 도5a에 도시된 연결구(12)를 "ㄷ"자 형상의 좌대용 파이프 양단부에 개재하여, 전체적으로 그 형상이 "ㅂ"자 모양이 되도록, 상기 연결구(12) 사이에 또다른 파이프를 끼워서 제작한 좌대(4)와;
도5b의 등받이/좌대 연결구(7)를 좌대(4)용 파이프의 후측부에 외삽하여, 여기에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설치한 "ㄷ"자 형상의 등받이(1)와;
회동이 자유롭게, 상기 좌대(4)의 연결구 외측면에 접한 상태로 핀 고정된, 듀랄루민 재질의 파이프를 "ㄷ"자 형상으로 구부려 만든 앞다리(2) 및 이 앞다리의 양단부에 삽착되는 도5c와 같은 형상의 다리 연결구(8A 또는 8B)와;
"ㄷ"자 형상으로 미리 구부려 놓은 소직경의 파이프 양단에, 상기 소직경의 파이프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내경을 갖는 대직경의 파이프를 외삽한 다음, 이들 대직경과 소직경의 파이프가 만나는 단차(段差)부위에,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측에 편심레버(9)가 힌지로 고정된 고정구(13)를 끼워, 이 편심레버(9)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대직경의 파이프와 소직경의 파이프가 슬라이드 운동하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앞다리(2)의 양단부에 삽착된 다리 연결구와 대응되는 다리 연결구(8B 또는 8A)가 대직경 파이프의 상단부에 삽착된 "ㄷ"자 형상의 뒷다리(3)와;
상기 뒷다리(3)의 고정구(13) 및 좌대(4)의 등받이/좌대 연결구(7)에 힌지로 결합되어, 본 고안의 간이의자를 펼쳐 놓았을 때에는 체중이 뒷다리쪽에 실리도록 하면서도 간이의자를 접을 때에는 180도 회전이 될 수 있도록 한 연결구(14)와;
상기 앞다리(2) 및 뒷다리(3)의 상단부에 삽착된 다리 연결구가 아래쪽에서 내삽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中空)되어 있고, 특히 이 중공된 내부의 상면에는 상기 다리 연결구(8A,8B)중 어느 한쪽의 상단부상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11)와 대응되는 래치(1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후단부는 등받이(1)에 힌지 결합되어 원하는 각도 내에서 회동이 가능하게 된 팔걸이(5)와;
상기 좌대(4)나 등받이(1) 또는 이들 모두에 걸쳐, 직물이나 인조가죽(속칭 레자)으로 만든 커버를 덮어씌움으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접철식 간이의자는, 힌지 결합된 부위나 연결구 또는 결합구 등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의 부재들을 회동운동 시키거나 슬라이드 운동을 시켜, 도4에 도시된 것처럼 접철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중, 도2와 도3은 본 고안의 요지에 해당하는 등받이 각도 조절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투시도이다.
상기 도2와 도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철식 간이의자는, 등받이(1)를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구멍이 뚫린 팔걸이(5)의 후단부와 등받이(1) 사이, 또한 상기 등받이(1)의 하단부와 뒷다리(3) 사이를 힌지로 결합하고; 상기 팔걸이(5)의 중공부 내측 상면에 설치한 래치(10)와 대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등받이(1)를 뒤로 젖힐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각도가 조절된 후에는 등받이(1)가 더이상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11)를 가진 다리 연결구를 상기 팔걸이(5)의 내부로 삽입한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팔걸이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등받이를 뒤로 젖히면, 상기 스토퍼(11)와 래치(10) 사이의 치합(이물림)이 해제되어 등받이를 젖힐 수 있으며, 팔걸이를 원상태로 내리면, 다리 연결구의 스토퍼(11)가 래치(10)와 다시 치합되어 더이상 등받이가 젖혀지지 않게 된다.
여기서, 분명하게 밝혀 둘 사실은, 이제까지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구체화된 일 실시예일 뿐,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사용된 각 부재들의 구성소재는, 본 실시예에서 언급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기타의 재질, 예컨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등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며, 각 부재의 형상에 있어서도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간이의자의 종류나 형태에 의해서도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접철식 간이의자는, 간이의자의 기본적인 특징인 소형화 및 경량화를 저해하는 일이 없이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 장점이 있고, 또한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서 뒷다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좌대가 수평상태로 놓이게 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접을 수 있는 레저용 간이의자에 있어서,
    좌대(4)와;
    상기 좌대(4)를 구성하고 있는 파이프 후측부상의 등받이/좌대 연결구(7)에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설치된 등받이(1)와;
    상기 좌대(4)의 연결구(12) 외측면에 접한 상태로 핀 고정되는 앞다리(2) 및 이 앞다리의 양단부에 삽착되는 다리 연결구(8A 또는 8B)와;
    상기 앞다리(2)의 양단부에 삽착된 다리 연결구와 대응되는 다리 연결구(8B 또는 8A)가 삽착된 뒷다리(3)와;
    상기 앞다리(2) 및 뒷다리(3)의 다리 연결구가 내삽될 수 있게 내부가 중공되고, 중공된 내부의 상면에는 상기 다리 연결구(8A,8B)중 어느 한쪽의 상단부상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11)와 대응되는 래치(10)가 설치되며, 후단부는 등받이(1)에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된 팔걸이(5)와;
    상기 좌대(4)나 등받이(1) 또는 이들 모두에 덮어 씌워지는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간이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다리(3)는
    "ㄷ"자 형상으로 구부려진 소직경의 파이프 양단에, 상기 파이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대직경의 파이프를 외삽한 다음, 이들 대직경과 소직경의 파이프가 만나는 단차(段差)부위에, 편심레버(9)가 힌지로 고정된 고정구(13)를 끼워, 이 편심레버(9)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대직경의 파이프와 소직경의 파이프가 슬라이드 운동하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간이의자.
KR2019990004571U 1999-03-22 1999-03-22 접철식간이의자 KR19990022227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571U KR19990022227U (ko) 1999-03-22 1999-03-22 접철식간이의자
KR2019990014649U KR200163853Y1 (ko) 1999-03-22 1999-07-22 접철식간이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571U KR19990022227U (ko) 1999-03-22 1999-03-22 접철식간이의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649U Division KR200163853Y1 (ko) 1999-03-22 1999-07-22 접철식간이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227U true KR19990022227U (ko) 1999-06-25

Family

ID=195739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571U KR19990022227U (ko) 1999-03-22 1999-03-22 접철식간이의자
KR2019990014649U KR200163853Y1 (ko) 1999-03-22 1999-07-22 접철식간이의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649U KR200163853Y1 (ko) 1999-03-22 1999-07-22 접철식간이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2222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327A (ko) * 2003-01-07 2004-07-14 윤병철 등받이 각도 조절 가능한 의자
KR101025313B1 (ko) * 2009-07-01 2011-03-29 신중균 절첩형 의자의 보조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179B1 (ko) * 2000-12-15 2003-01-30 황주환 절첩식 의자
KR100491755B1 (ko) * 2002-09-10 2005-05-30 허남두 의자
KR100929885B1 (ko) * 2008-01-16 2009-12-04 (주)진성메디 환자용 절첩식 변기의자
US8899673B2 (en) * 2012-12-18 2014-12-02 Pro Performance Sports, L.L.C. Portable folding and reclining chai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3327A (ko) * 2003-01-07 2004-07-14 윤병철 등받이 각도 조절 가능한 의자
KR101025313B1 (ko) * 2009-07-01 2011-03-29 신중균 절첩형 의자의 보조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853Y1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514B2 (en) Portable sports bench
US8205934B2 (en) Portable chair
CA1120847A (en) Adjustable and collapsible seating piece
US20080054686A1 (en) Collapsible chair
US201402178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furniture
US20160066693A1 (en) Portable chair
US8714643B2 (en) Folding swivel chair
US20020117878A1 (en) Collapsible swivel chair
US20070252415A1 (en) Adjustable configuration seating
NZ203463A (en) Reclining chair:pivotal back supported by pivotal struts bearing on steps in a channel slot of each rear leg
AU2001242093B2 (en) Chair and table assembly
KR200163853Y1 (ko) 접철식간이의자
JPS63255015A (ja) 折りたたみ可能肘掛け付椅子
US201803032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furniture with armrest
US20240081536A1 (en) Reclining foldable chair and method of operation
US11969093B2 (en) Modular chair
CN215226117U (zh) 折叠椅
US7950744B2 (en) Collapsible integral foot rest
US20020014791A1 (en) Reclining chair
US4735455A (en) Convertible piece of furniture
CN220212396U (zh) 一种多用途摇椅
JP2002223884A (ja) 椅 子
KR19980060619U (ko) 강의탁자를 갖는 의자
KR102088738B1 (ko) 휴대용 발걸이용 방석
KR101820478B1 (ko) 휴대용 간이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