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179B1 - 절첩식 의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179B1
KR100370179B1 KR10-2000-0077016A KR20000077016A KR100370179B1 KR 100370179 B1 KR100370179 B1 KR 100370179B1 KR 20000077016 A KR20000077016 A KR 20000077016A KR 100370179 B1 KR100370179 B1 KR 100370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olding
chair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703A (ko
Inventor
황주환
Original Assignee
황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환 filed Critical 황주환
Priority to KR10-2000-0077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1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47C4/286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foldable side to side and front to back, e.g. umbrella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47C4/42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관이나 휴대가 용이한 절첩식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부의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지지구조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X자형으로 링크되어 힌지(1)를 중심으로 절첩되면서 시트부재(8)를 지지하는 복수의 절첩지각(2,3,4,5), 시트부재(8)로 부터 연장되어지는 등받이부(8a)를 지지하는 입설지주(9), 상기 입설지주(9)의 하단부를 좌,우 절첩지각(2,3)의 적소에 지지고정 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입설지주(9)가 지지되어질 좌,우 절첩지각(2,3)의 길이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결합홈(30); 입설지주(9)의 하단이 고정핀(21)에 의해 회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지는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상기 좌,우 절첩지각(2,3)을 따라 유동되는 연결브라켓(20); 상기 연결브라켓(20)에 결합되어지되, 그 저면에는 상기 결합홈(30)에 대응되어지는 결합돌부(24)가 저면에 형성된 고정플레이트(23); 상기 연결브라켓(20)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입설지주(9)의 하단부로 전달된 하중에 의해 힘을 받아 상기 고정플레이트(23)를 눌러주는 누름편(2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식 의자{FOLD AND UNFOLD TYPE CHAIR}
본 발명은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이나 이동시에는 의자를 접어두어 휴대의 편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낚시등 야외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의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작되어 시중에 유통되는 휴대용 의자에 있어서는 X형으로 절첩이 가능한 절첩지각과, 이 절첩지각 상단으로 사용자가 등을 기대고 앉을 수 있도록 등받이부가 연장 형성된 시트부와, 상기 절첩지각을 받쳐주는 받침대로 구성된 상태에서 X자형 절첩지각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절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어지는 종래 휴대용 의자는 휴대나 보관시의 편리한 점은 있으나 등받이부가 항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고정되어져 있으므로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없으며, 사용자가 장시간 앉아있을 경우에는 허리에 통증이 발생하는 등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 불편함을 개선코자 근래에는 등받이부의 경사각도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등받이부 지지용 입설지주의 하단부를 브라켓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절첩지각을 따라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에서 등받이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등받이부를 지지하고 있는 입설지주의 적정각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브라켓을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절첩지각에 고정시켜야 함으로 인해 사용이 번거로운 가운데, 등받이부의 각도를 변경하거나 보관을 위하여 의자를 접는경우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져 있는 브라켓의 고정을 다시 해제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절첩식 의자의 등받이부 각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부 지지구조를 제공하여 의자의 이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X자형으로 링크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절첩되면서 의자를 지지하는 복수의 절첩지각, 의자로 부터 연장되어지는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입설지주, 상기 입설지주의 하단부를 해당 절첩지각의 적소에 지지고정 또는 해제가 가능토록 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지는 휴대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입설지주가 지지되어질 해당 절첩지각의 길이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결합홈; 상기 입설지주의 하단이 고정핀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체결공에 결합되며 상기 절첩지각을 따라 유동되는 연결브라켓; 상기 연결고정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되, 그 저면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어지는 결합돌부가 저면에 형성된 고정플레이트; 상기 연결브라켓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입설지주의 회동에 의해 힘을 받아 상기 탄성플레이트를 눌러주는 누름편;을 포함하는 의자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첩식 의자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절첩식 의자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의자의 입설지주 고정부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입설지주 고정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4는 동작전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동작중 상태도.
도 7 및 도 8은 위치별로 고정이 완료되었을 때의 상태도.
도 9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우절첩지각의 사시도 및 A-A부 단면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힌지 2,3,4,5 : 절첩지각
6 : 받침구 7 : 연결구
8 : 시트부재 8a : 등받이부
9 : 입설지주 12 : 마개
20 : 연결브라켓 21 : 고정핀
22 : 체결공 23 : 고정플레이트
24 : 결합돌부 26 : 누름편
30,30' : 결합홈 40 : 체결홈
41 : 스탭바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의자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시되어지는 의자는 힌지(1)를 중심으로 절첩되는 금속재질의 좌,우 절첩지각(2,3) 및 전,후방 절첩지각(4,5)이 각각의 적소에서 받침구(6)와 연결구(7)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절첩지각에 의해 시트부재(8)가 지지되어지며, 시트부재(8)로 부터 연장되어진 등받이부(8a)는 양측의 입설지주(9)에 의해 지지되어진다.
상기 시트부재(8)의 양측에는 팔걸이부(10)가 구비되었고, 허리 지지밴드(12)가 시트부재(8)를 감싸며 구비되었으며, 도면부호 11은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캔 수납부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입설지주(9)는 좌,우 절첩지각(2,3)을 따라 안내되어지도록 장착된 본 발명의 연결브라켓(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었는데, 이에 대한 구성은 도 3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즉, 입설지주(9)는 하단에 마개(12)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핀(21)에 의해 연결브라켓(20)에 장착되게 되는데, 고정핀(21)은 브라켓 체결공(22)과 각 부재의 관통공(9a,12a)을 관통 체결되게 된다.
상기 브라켓 체결공(22)은 하향되어지는 소정의 길이(D)를 이루고 있으므로 입설지주(9)를 고정시킨 고정핀(21)이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어질 수 있게된다.
또한, 연결브라켓(20)의 양단에는 절첩지각을 따라 이동되어지도록 가이드링(27)이 구성되었으며, 브라켓 내부에는 누름편(26) 및 고정플레이트(23)가 볼트(25)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23)의 저면에는 결합돌부(24)가 형성됨으로서, 좌,우 절첩지각(2,3)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진 결합홈(30)과 대응되어질 수 있게된다.
상기 결합홈(30)은 만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결합돌부(24)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의자의 동작상태를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 발명의 절첩식 의자를 비사용시에는 각 절첩지각(2,3,4,5)을 힌지(1)를 중심으로 접어줌으로서 필요공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의 연결브라켓(20)에 의해 좌,우 절첩지각(2,3)에 입설지주(9)가 결합된 상태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같이, 이때에는 입설지주(9)가 좌,우 절첩지각(2,3)과 평행을 이루고 있으므로 누름편(26)에 어떠한 힘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서, 좌,우 절첩지각(2,3)에 결합되어진 연결브라켓(2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입설지주(9)를 도 5에서와 같이 소정높이 상승시키면 연결브라켓(20)이 좌,우 절첩지각(2,3)을 따라 점차 상승되어 지게 된다.
그리고, 의자의 사용을 위해 각 절첩지각(2,3,4,5)을 힌지(1)를 회동축으로 하여 서서히 펼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설지주(9)와 좌,우 절첩지각(2,3)간에 각도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와같이 입설지주(9)의 회동에 의해 등받이부(8a)가 적정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사용자가 등받이부(8a)에 기대게 되면, 이때 등받이부(8a)에 가해진 하중은 입설지주(9)를 통해 누름편(26)에 전달되고, 누름편(26)은 다시 연결브라켓(20)에 고정되어진 고정플레이트(23)의 중앙부를 눌러줌으로서 그 저면에 형성된 결합돌부(24)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해당 위치에서 하단측 가장 근거리에 있는 결합홈(30)에 결합되어지게 된다.
즉, 체결공(22)에 결합되어진 고정핀(21)은 일정간격(D) 만큼의 유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입설지주(9)에 가해진 하중에 의해 하강동작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입설지주(9)의 하단부 마개(29)가 누름편(26)에 힘을 가하게 됨으로서 고정플레이트(23)까지 하중이 전달되어지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으로 인해, 연결브라켓(2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짐으로서 등받이부(8a)를 지지하고 있는 입설지주(9)의 유동이 방지되면서 사용자는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등받이부(8a)의 각도를 더욱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등받이부(8a)에 가해진 힘을 해제하게 되면, 입설지주(9)에 가해지던 하중이 없어지게 됨으로서 고정플레이트(23)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돌부(24)가 결합홈(30)으로 부터 이격이 되면서 연결브라켓(20)의 위치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등받이부(8a)의 각도를 재조절한 후 등받이부(8a)에 몸을 기대면 입설지주(9)에 다시 하중이 가해짐으로서 연결브라켓(20)의 위치가 고정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8은 입설지주(9)의 이와같은 각도 재조절을 통해 연결브라켓(20)의 위치를 한단계 더 상승시킴으로서 등받이부(8a)의 경사각도를 더욱 증가시켰을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설지주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금속재질의 파이프인 좌,우절첩지각(2,3)에 결합홈(30)이 직접 형성되어진 경우, 장기간 사용시 결합홈(30)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결합돌부(24)에서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결합홈(30)과의 걸림동작시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9a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좌,우절첩지각(2',3')을 따라 연결브라켓(20)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지는 구간상에 수지재질의 스탭바(41)를 체결하였으며, 상기 스탭바(41)의 상부면에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와동일한 형태의 결합홈(30')을 소정간격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A-A부에서 스탭바(41)와 좌,우절첩지각(2',3')간의 체결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를 도 9b에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같이, 좌,우절첩지각(2',3')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되어진 걸림턱 형상의 체결홈(40)을 형성하였으며, 이 체결홈(40)에 스탭바(41)가 체결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을 이룬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23)의 결합돌부(24)가 결합홈(30')에 결합되어지는 동작으로 인해 입설지주(9)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짐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동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탭바(41)는 수지재질로서 결합홈(30')과의 결합동작시 발생할 수 있는 결합돌부(24)의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되어, 제품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스탭바(41)는 절첩지각(2',3')과의 착탈이 가능함으로 인해 제품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 절첩식 의자의 입설지주 지지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의 절첩식 의자는, 입설지주가 결합되어진 브라켓의 위치고정이 사용자의 하중작용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입설지주에 의해 지지되어지는 등받이부의 각도조절이 용이하여 의자의 이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함께, 주요 부품의 마모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Claims (4)

  1. X자형으로 링크되어 힌지(1)를 중심으로 절첩되면서 시트부재(8)를 지지하는 복수의 절첩지각(2,3,4,5), 시트부재(8)로 부터 연장되어지는 등받이부(8a)를 지지하는 입설지주(9), 상기 입설지주(9)의 하단부를 좌,우 절첩지각(2,3)의 적소에 지지고정 또는 해제가 가능토록 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지는 휴대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입설지주(9)가 지지되어질 좌,우 절첩지각(2,3)의 외주면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형성되어진 결합홈(30,30');
    상기 입설지주(9)의 하단이 고정핀(21)에 의해 회동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지는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상기 좌,우 절첩지각(2,3)을 따라 유동되는 연결브라켓(20);
    상기 연결브라켓(20)에 결합되어지되, 그 저면에는 상기 결합홈(30,30')에 대응되어지는 결합돌부(24)가 저면에 형성된 고정플레이트(23);
    상기 연결브라켓(20)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입설지주(9)의 하단부로 전달된 하중에 의해 힘을 받아 상기 고정플레이트(23)를 눌러주는 누름편(2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절첩지각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크기로 개방되어진 체결홈(40)이 형성되어짐으로서 수지재질의 스탭바(41)가 체결되어지되, 상기 결합홈(30')은 이 스탭바(41)의 상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의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22)은 상기 누름편(26) 측으로 소정길이를 형성함으로서, 결합되어지는 고정핀(21)이 이를 따라 안내되어질 수 있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의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결합홈(30) 및 결합돌부(24)는 중심에서 양측으로 점차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의자.
KR10-2000-0077016A 2000-12-15 2000-12-15 절첩식 의자 KR100370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016A KR100370179B1 (ko) 2000-12-15 2000-12-15 절첩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016A KR100370179B1 (ko) 2000-12-15 2000-12-15 절첩식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703A KR20020046703A (ko) 2002-06-21
KR100370179B1 true KR100370179B1 (ko) 2003-01-30

Family

ID=2768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016A KR100370179B1 (ko) 2000-12-15 2000-12-15 절첩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760B1 (ko) * 2002-04-18 2004-08-09 한윤숙 절첩식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988U (ko) * 1988-10-17 1990-05-01 주식회사 토탈디자인 절첩되는 사각안락의자
US5054848A (en) * 1990-08-29 1991-10-08 Liu Chung Hsin Folding chair frame tube positioning device
US5882068A (en) * 1998-03-23 1999-03-16 Coastal Sales Associates, Inc. Folding reclining chair apparatus
KR200163853Y1 (ko) * 1999-03-22 2000-02-15 동일물산주식회사 접철식간이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988U (ko) * 1988-10-17 1990-05-01 주식회사 토탈디자인 절첩되는 사각안락의자
US5054848A (en) * 1990-08-29 1991-10-08 Liu Chung Hsin Folding chair frame tube positioning device
US5882068A (en) * 1998-03-23 1999-03-16 Coastal Sales Associates, Inc. Folding reclining chair apparatus
KR200163853Y1 (ko) * 1999-03-22 2000-02-15 동일물산주식회사 접철식간이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703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2518B2 (ja) 椅 子
US6923503B2 (en) Chair with movable seat and backrest
US4948197A (en) Child shampooing chair
US6779838B2 (en) Foldable chair with reclining back
JPS5810010A (ja) いす
US4555136A (en) Furniture construction
US4919481A (en) Multiple positionable chair construction
US4997234A (en) Rocker-recliner chair
US20030006632A1 (en) Foldable lounge chair
US20050077758A1 (en) Collapsible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US4607883A (en) Reclining mechanism for easy chair
GB2384978A (en) Foldable chair with adjustable back with adjustment mechanism inside the pivots
JPH07289384A (ja) 人間工学的オートバランス肘掛け椅子
US5971474A (en) Collapsible glider chair
KR100370179B1 (ko) 절첩식 의자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JP6196438B2 (ja) ロッキング椅子
US4198095A (en) Adjustable reclining chair
CN208863902U (zh) 一种靠垫折叠连接件
CN217365180U (zh) 一种洗头椅的枕托结构
JP2020058762A (ja) 椅子
KR200275537Y1 (ko) 의자
CN218390355U (zh) 一种折叠式摇椅
CN213097035U (zh) 一种可折叠的椅子
US5873632A (en) Pillow and backrest of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