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226U - 고정수단이형성된텐트 - Google Patents

고정수단이형성된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226U
KR19990022226U KR2019990004554U KR19990004554U KR19990022226U KR 19990022226 U KR19990022226 U KR 19990022226U KR 2019990004554 U KR2019990004554 U KR 2019990004554U KR 19990004554 U KR19990004554 U KR 19990004554U KR 19990022226 U KR19990022226 U KR 199900222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rame
coupling
connecto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5695Y1 (ko
Inventor
장재철
Original Assignee
장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철 filed Critical 장재철
Priority to KR2019990004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695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2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226U/ko
Priority to NZ511212A priority patent/NZ511212A/en
Priority to EP99947995A priority patent/EP1127203A1/en
Priority to CNA2003101047505A priority patent/CN1502765A/zh
Priority to AU61262/99A priority patent/AU6126299A/en
Priority to CN 200310104746 priority patent/CN1572996A/zh
Priority to CN 200310104751 priority patent/CN1266362C/zh
Priority to CA002347778A priority patent/CA2347778A1/en
Priority to JP2000577380A priority patent/JP2002527655A/ja
Priority to CN 99813405 priority patent/CN1131922C/zh
Priority to PCT/KR1999/000624 priority patent/WO200002367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6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텐트의 골격이 하나의 연결체로 형성된 것을 원터치로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되는 텐트에 있어서, 텐트를 우산식으로 펼쳐서 텐트를 치는 과정에서 하부연결체를 밀어올려 상부연결체에 접속시킬 경우에 접속부분에 고정수단을 형성함으로서 텐트가 외부에서 외력을 받아도 쓰러지지 않도록 고안된 텐트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우산 형식으로 들어올려 원터치로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텐트는 텐트의 폴대가 방사상으로 사방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끼임부가 직각으로 4등분되게 구분된 상부연결체에 절첩이 가능토록 연결되고, 상기 상부연결체의 직하방으로는 결합관이 형성되고, 상부연결체의 끼임부에 사방으로 연결된 각각의 폴대에는 지지대가 연결되어 지지대의 타측이 하부연결체의 끼임부에 끼워져 연결되고, 상기 하부연결체의 상부로는 결합돌축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텐트를 펼칠경우에 지지대가 연결되어진 하부연결체를 밀어올리면 결합돌축이 상부연결체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관으로 삽입되면서 지지대의 탄력에 의하여 텐트가 펼쳐지도록 되어 지는 것이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지지대의 탄력에 의하여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의 텐트는 하부연결체를 밀어 올려 하부연결체의 결합돌축이 상부연결체의 결합관으로 삽입되면서 단지 지지대의 탄력에 의해서만 텐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어지는 것일 뿐 별도의 고정 수단이 없기 때문에 텐트가 쳐 있는 상태에서 텐트의 상부로 물건이 떨어져서 힘이 가해지거나 텐트 내부에서 실수로 폴대나 하부연결체를 건드리게 되는 등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상부연결체의 관에 삽입된 하부연결체의 결합돌축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이탈되어 텐트가 쓰러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상부연결체의 중앙으로 나사구멍을 천공하여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수 있도록 일측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요입테가 형성된 결합돌축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축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부연결체에도 중앙으로 나사구멍을 천공하여 나사구멍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는 나사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면서 나사돌기가 형성되어진 작동테가 위치될 수 있도록 돌출테의 중앙으로 구멍이 천공된 요입테를 형성하고 전방으로 노출되는 안내돌기의 중앙으로는 결합돌축이 출입할 수 있도록 요입홈이 구멍이 천공된 요입테까지 형성토록 함으로서 작동테의 작동으로 작동테에 형성된 나사돌기가 결합돌축의 요입테에 걸리도록 되면서 고정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텐트

Description

고정수단이 형성된 텐트{The tent formed fixed device}
본 고안은 텐트의 골격이 일체로 형성된 폴대를 원터치로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되는 우산식 텐트에 있어서, 폴대를 펼쳐서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하부연결체 를 밀어올려 상부연결체에 밀착시킬 경우에 간편한 고정수단을 형성시킴으로서 텐트가 외부에서 외력을 받아도 텐트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텐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우산 형식으로 들어올려 원터치로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텐트는 폴대(20)가 사방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끼임부(31)가 직각으로 4등분되게 구분된 상부연결체(30)의 직하방으로는 결합관(3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연결체(30)의 끼임부(31)에 사방으로 연결된 각각의 폴대(20)에는 연결체(4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40)에는 지지대(50)가 절첩이 가능토록 연결되어 지지대(50)의 타측이 하부연결체(60)의 끼임부(31)에 절첩이 가능토록 끼워져 연결되고, 상기 하부연결체(60)의 상부로는 결합돌축(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텐트를 펼칠경우에 지지대(50)가 연결되어진 하부연결체(60)를 밀어올리면 결합돌축(1)이 상부연결체(30)의 하부에 형성된 관(32)으로 삽입되면서 지지대(50)의 지지력과 상부연결체(30)의 끼임부(31)에 연결된 폴대(20)의 탄력에 의하여 텐트가 펼쳐지도록 되어 지는 것이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지지대의 지지력과 폴대의 탄력에 의하여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텐트는 하부연결체(60)를 밀어 올려 하부연결체(60)의 결합돌축(1)이 상부연결체(30)의 결합관(32)으로 삽입되면서 단지 지지대(50)의 지지력과 폴대(20)의 탄력에 의해서만 텐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어지는 것일 뿐 별도의 고정 수단이 없기 때문에 텐트가 쳐 있는 상태에서 텐트의 상부로 물건이 떨어져서 힘이 가해지거나 텐트 내부에서 실수로 2단으로 형성된 폴대(20,20a)를 건드리게 되는 등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폴대(20,20a)가 접어지게 되면서 상부연결체(30)의 결합관(32)에 삽입된 하부연결체(60)의 결합돌축(1)이 빠지게 되면 텐트가 순간적으로 쓰러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부연결체의 중앙으로 나사구멍을 천공하여 나사구멍에 나사결합되수 있도록 일측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요입테가 형성된 결합돌축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돌축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부연결체에도 중앙으로 나사구멍을 천공하여 나사구멍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는 나사돌기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면서 나사돌기가 형성되어진 작동테가 위치될 수 있도록 돌출테의 중앙으로 구멍이 천공된 요입테를 형성하고 전방으로 노출되는 안내돌기의 중앙으로는 결합돌축이 출입할 수 있도록 요입홈이 구멍이 천공된 요입테까지 형성토록 함으로서 작동테의 작동으로 작동테에 형성된 나사돌기가 결합돌축의 요입테에 걸리도록 되면서 고정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요부구성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6은 종래의 결합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폴대가 상부연결체에 연결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종래의 고안의 사용상태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결합돌축 2 : 결합테
3,3a : 요입테 4 : 만곡돌기
5,5a: 나사돌기 6 : 걸림테
7,7a: 돌출테 8 : 구멍
9 : 경사면 10: 요입홈
11: 내입홈 12: 스프링
13: 가압표시부 14: 나사구멍
15: 결합돌기 16: 작동테
이하 본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명칭 및 부호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폴대(20)가 절첩되어지게 사방으로 연결되어지는 끼임부(31)가 직각으로 4등분되게 구분된 상부연결체(30)의 직하방으로는 결합관(3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연결체(30)의 끼임부(31)에 사방으로 연결된 각각의 폴대(20)중간부에는 연결체(4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40)에는 지지대(50)일측이 절첩이 가능토록 연결되고 지지대(50)타측은 하부연결체(60)의 끼임부(61)에 절첩이 가능토록 끼워져 연결되고, 상기 하부연결체(60)의 상부로는 결합돌축(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텐트를 펼칠경우에 지지대(50)가 연결되어진 하부연결체(60)를 밀어올리면 폴대(20)가 펼쳐지면서 결합돌축(1)이 상부연결체(3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관(32)으로 삽입되면 지지대(50)의 지지력과 상부연결체(30)의 끼임부(31)에 연결된 폴대(20)의 탄력에 의하여 텐트가 펼쳐진 상태로 고정되어지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부연결체(30)의 중앙으로 나사구멍(14)을 천공하여 나사구멍(14)에 나사결합될수 있도록 일측으로는 나사돌기(5)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요입테(3)가 형성된 결합돌축(1)을 형성하고, 하부연결체(60)에도 중앙으로 나사구멍(14a)을 천공하여 나사구멍(14a)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는 나사돌기(5a)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스프링(12)에 의하여 탄지되면서 결합돌기(15)가 형성되어진 작동테(16)가 위치될 수 있도록 돌출테(7,7a)의 사이로 요입테(3a)를 형성하고, 전방으로 노출되는 돌출테(7a)의 중앙으로는 결합돌축(1)이 출입할 수 있도록 요입홈(10)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홈(10)의 일측면으로는 작동테(16)의 결합돌기(15)가 출입할 수 있도록 구멍(8)이 천공된 결합테(2)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결합테(2)의 나사돌기(5a)와 결합돌축(1)의 나사돌기(5)를 이용하여 상부연결체(30)와 하부연결체(60)의 나사구멍(14,14a)에 나사결합하여 고정시키고 결합돌축(1)을 결합테(2)의 요입홈(10)으로 진입시킬 경우에는 결합테(2)의 작동테(16)를 일측으로 가압하면 작동테(16)의 내입홈(11)에 형성된 스프링(12)이 가압되면 작동테(16)의 결합돌기(15)가 요입테(3a)의 구멍(8)에 삽입된 상태에서 요입홈(10)의 내측으로 돌촐되어 있다가 후진되면서 요입홈(10)으로 결합돌축(1)이 진입토록 한후 작동테(16)를 놓으면 스프링(12)의 복원력에 의하여 결합돌기(15)가 결합돌축(1)의 요입테(3)에 걸리게 되면서 결합돌축(1)이 고정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돌축(1)이 결합테(2)의 요입홈(10)으로 진입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요입테(3a)를 형성토록 되어 있는 돌출테(7a)의 전방으로는 경사면(9)을 요입홈(10)과 연결되어지도록 형성하고 결합돌축(1)의 전방으로는 만곡돌기(4)를 형성하여 진입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작동테(16)가 요입테(3a)에 위치토록 하기 위하여 나사돌기(5a)에 근접되어 있는 돌출테(7)의 외경은 작동테(16)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요입홈(10)과 근접되어 있는 돌출테(7a)의 외경은 작동테(16)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작동테(16)가 요입테(3a)에서 작동될 경우에 탈리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또한 작동테(16)의 정확한 작동을 안내토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12)이 형성된 내입홈(11)의 외측으로 가압표시부(13)를 형성하여 정확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스프링이 작동테의 내입홈(11)에 위치토록 설명되고 있으나 결합돌기가 구멍에 결합되어지는 부분에 결합돌기의 외측에 형성토록 하여 구멍에 스프링이 어느정도 가압된 상태에서 나사결합하여 고정토록 할 경우에도 본원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작동테를 스프링이 내입토록 되는 내입홈(11)이 형성되는 부분의 살을 두??게 하고 또한 구멍이 형성되는 부분에도 살을 두??게 할 수 있는 것이고 결합돌기의 고정을 위하여 결합돌기가 작동테에 결합될 경우에 외측에는 단턱요입부를 형성하여 결합돌기의 헤드(15a)가 작동테의 외부로 노출되어지지 않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설치된 텐트에 외력이 가하여질 경우에도 결합돌축의 요입테에 작동테의 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결합이 되면서 탈리되지 않는 것이고 소형화로 인하여 제품의 간편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텐트의 폴대가 방사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우산식으로 들어올려 원터치로 펴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는 텐트에 있어서, 상부연결체의 나사구멍에는 요입테가 형성된 결합돌축이 결합되고 하부연결체의 나사구멍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되는 작동테가 형성된 결합테가 결합되어 결합테의 요입홈으로 결합돌축이 진입되어 작동테의 결합돌기가 결합돌축의 요입테에 걸려지게 되면서 고정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결합돌축의 요입테의 전방으로 만곡돌기(4)가 형성되어 돌출테의 경사면에 의하여 용이하게 요입홈(10)에 진입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KR2019990004554U 1998-10-19 1999-03-22 고정수단이 형성된 텐트 KR200245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554U KR200245695Y1 (ko) 1999-03-22 1999-03-22 고정수단이 형성된 텐트
AU61262/99A AU6126299A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EP99947995A EP1127203A1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CNA2003101047505A CN1502765A (zh) 1998-10-19 1999-10-19 一种通过弹性键搭架与收拢的帐篷
NZ511212A NZ511212A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CN 200310104746 CN1572996A (zh) 1998-10-19 1999-10-19 一种通过弹性键搭架与收拢的帐篷
CN 200310104751 CN1266362C (zh) 1998-10-19 1999-10-19 一种通过弹性键搭架与收拢的帐篷
CA002347778A CA2347778A1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JP2000577380A JP2002527655A (ja) 1998-10-19 1999-10-19 ワンタッチで張りかつ折り畳むテント
CN 99813405 CN1131922C (zh) 1998-10-19 1999-10-19 一种通过弹性键搭架与收拢的帐篷
PCT/KR1999/000624 WO2000023676A1 (en) 1998-10-19 1999-10-19 A tent which is pitched and disassembled by one t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554U KR200245695Y1 (ko) 1999-03-22 1999-03-22 고정수단이 형성된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226U true KR19990022226U (ko) 1999-06-25
KR200245695Y1 KR200245695Y1 (ko) 2001-10-27

Family

ID=5475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554U KR200245695Y1 (ko) 1998-10-19 1999-03-22 고정수단이 형성된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6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4607A1 (en) * 2003-12-04 2005-06-16 Ki-Hyun Kim Tent and frame for automatic umbrella style canopy t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4607A1 (en) * 2003-12-04 2005-06-16 Ki-Hyun Kim Tent and frame for automatic umbrella style canopy 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695Y1 (ko) 200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289B2 (en) Connector of instant set-up foldable tent frame
KR20040025005A (ko) 착탈성이 우수한 이동식 막사의 결합부재
KR200245695Y1 (ko) 고정수단이 형성된 텐트
US6553586B1 (en) Folding bed frame
KR100935459B1 (ko) 높낮이 조절식 지주골조용 고정부재
KR19990004078U (ko) 고정수단이 형성된 텐트
KR200483476Y1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KR200172095Y1 (ko) 상다리
KR20060122187A (ko) 캐노피
KR200402093Y1 (ko) 액자 구성용 고정구
JP2887750B2 (ja) 回動フック
CN201011980Y (zh) 一种床脚连接结构
KR102505937B1 (ko) 텐트 프레임
KR200285369Y1 (ko) 절첩식 상다리
KR200177540Y1 (ko) 암수 한 쌍이 일체로 구성된 단추
KR200161820Y1 (ko) 차량의 글로브 박스 힌지연결구조
KR200187112Y1 (ko) 리모콘의 절첩식 안테나 구조
KR950002725Y1 (ko) 상다리
KR200245697Y1 (ko) 우산식텐트의 절첩방지용 폴대
US20030182851A1 (en) Foldable garden frame
KR200208711Y1 (ko) 회동체가 형성된 클립
KR200336601Y1 (ko) 자동잠금 방식의 우산대의 우산살 지지부
KR960004214Y1 (ko) 파라솔 살통
KR200244908Y1 (ko) 절첩식 우산커버
KR200199472Y1 (ko) 우산의 상캡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