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937B1 - 텐트 프레임 - Google Patents

텐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937B1
KR102505937B1 KR1020210021948A KR20210021948A KR102505937B1 KR 102505937 B1 KR102505937 B1 KR 102505937B1 KR 1020210021948 A KR1020210021948 A KR 1020210021948A KR 20210021948 A KR20210021948 A KR 20210021948A KR 102505937 B1 KR102505937 B1 KR 102505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ece
bar
connection piec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160A (ko
Inventor
우준식
Original Assignee
우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준식 filed Critical 우준식
Priority to KR102021002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93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텐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프레임은 허브와, 허브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폴과,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지지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폴을 포함하고, 연결폴은 한 쌍의 지지폴 중 어느 하나의 지지폴과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바와, 한 쌍의 지지폴 중 다른 하나의 지지폴과 힌지 결합되는 제2연결바와, 제1연결바 및 제2연결바 사이에 개재되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를 상호 축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텐트 프레임{FRAME OF TENT}
본 발명은 텐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텐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캠핑, 낚시 등과 같은 야외 여가 활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햇빛 및 바람 등을 차단하여 사용자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텐트의 수요도 함께 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개폐 가능한 내부공간을 갖는 텐트천과, 내부공간이 일정 형태를 유지하도록 텐트천을 지지하는 텐트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텐트 프레임은 구조에 따라 분리된 지지폴을 사용자가 직접 조립하는 분리형 프레임과 허브를 중심으로 결합된 지지폴이 동시에 접히거나 펼쳐지는 원터치형 프레임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원터치형 프레임은 설치 및 철거의 용이성으로 인해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허브에 의해서 복수의 지지폴이 지탱되는 구조로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꾸준히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지지폴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연결폴을 구비하여 구조적 강도를 높인 텐트 프레임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텐트 프레임은 설치 및 철거시 마다 연결폴을 결합 및 분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지지폴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폴을 구비하여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텐트 프레임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932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 쌍의 지지폴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폴을 구비하여 구조적 강도가 향상되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텐트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허브와, 허브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폴과,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지지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폴을 포함하고, 연결폴은 한 쌍의 지지폴 중 어느 하나의 지지폴과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바와, 한 쌍의 지지폴 중 다른 하나의 지지폴과 힌지 결합되는 제2연결바와, 제1연결바 및 제2연결바 사이에 개재되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를 상호 축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텐트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구는 제1연결바와 결합되며, 일측부와 하부에 걸쳐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고, 수용홈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일면에 정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연결편과, 제2연결바와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고, 좌우로 긴 타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편과,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연결축을 포함하고, 제1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은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2관통홀의 장축 길이 범위내에서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연결편은 일면의 내측에 각각 일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며, 제2연결편은 외측면에 고정홈에 삽입 가능한 고정돌기가 상호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고,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은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가까워진 상태에서 고정홈으로 삽입된 고정돌기로 인해 연결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이 불가하며, 일직선으로 펼쳐져 멀어진 상태에서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된 고정돌기로 인해 연결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연결바 및 제2연결바는. 지지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결합구에 의해 지지폴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구는 제2연결편의 제1내부공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되, 일단부에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하향 경사진 제1슬라이딩면이 형성되는 누름부와, 제1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제2연결편의 제2내부공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되, 일단부에 제1슬라이딩면과 면접촉되는 제2슬라이딩면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2연결편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연장바가 형성되는 이동부와, 제2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이동부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누름부는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가까워진 상태에서 제1연결편에 의해 가압되어 연장바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이동부를 밀며,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이 상호 멀어진 상태에서 제1연결편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탄성부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이동부에 밀려 원위치로 복귀되고,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은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가까워진 상태에서 제1연결편의 삽입홈으로 삽입된 연장바로 인해, 연결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이 불가하며,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멀어진 상태에서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된 연장바로 인해 연결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폴의 회동에 따라 연결폴도 함께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구성되어,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연결편에 대한 제2연결편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하여 연결폴이 펼쳐진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접히지 않도록 고정하거나 외력에 의해 접힘 가능하도록 고정 해제할 수 있어, 구조적인 견고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의 텐트 프레임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의 텐트 프레임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폴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폴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작동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프레임의 사용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펼침 상태의 텐트 프레임(1)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 상태의 텐트 프레임(1)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텐트 프레임(1)은 텐트 프레임(1)의 중심을 이루는 허브(10), 허브(10)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폴(20) 및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지지폴(20)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폴(30)을 포함할 수 있다.
허브(10)는 복수의 지지폴(20)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방사상으로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도록 지지폴(20)을 연결 및 지탱하는 구성요소로서, 텐트 프레임(1)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지지폴(20)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허브(10)는 지지폴(20)과 힌지 결합되는 결합판(111)과 결합판(111)의 하부 중앙에 수직 결합되는 가이드바(112)로 구성되는 고정체(11), 가이드바(11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동체(12) 및 일단이 이동체(12)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지지폴(20)과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보조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지지폴(20)은 이동체(12)의 이동에 따라 회동하는 보조대(13)에 의해 일시에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지지폴(20)은 텐트천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허브(10)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지지폴(20)은 상부 지지폴(21)과 하부 지지폴(2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부 지지폴(21)과 하부 지지폴(22)은 결합편(23)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연결폴(30)은 한 쌍의 지지폴(20)을 연결하여 텐트 프레임(1)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지지폴(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지지폴(20)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연결폴(30)은 상호 겹치지 않도록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폴(30)은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지지폴(20) 중 어느 하나의 지지폴(20)과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바(31),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지지폴(20) 중 다른 하나의 지지폴(20)과 힌지 결합되는 제2연결바(32) 및 제1연결바(31)와 제2연결바(32)를 상호 축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바(31)와 제2연결바(32)는 허브(10)에 대한 지지폴(20)의 회동에 따라 함께 축회동하며 그 사잇각이 변화될 수 있다. 지지폴(20)이 허브(10)를 중심으로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1연결바(31)와 제2연결바(32)의 사잇각은 180°일 수 있으며, 지지폴(20)이 허브(10)를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제1연결바(31)와 제2연결바(32)의 사잇각은 180°미만 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텐트 프레임(1)은 지지폴(20)의 펼쳐짐 또는 점힘에 따라 연결폴(30)도 함께 펼쳐지거나 접혀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제1연결바(31) 및 제2연결바(32)는 지지폴(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결합구(34)에 의해 지지폴(20)과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길이조절수단(미도시)에 의해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설치된 텐트 프레임(1)에 맞게 연결폴(30)의 위치와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33)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이때, 도 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가 잘려나간 제1연결편(331)을 도시한다.
연결구(33)는 제1연결바(31)와 결합되는 제1연결편(331), 제2연결바(32)와 결합되는 제2연결편(332) 및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를 관통하여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연결축(3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편(331)은 일측부와 하부에 걸쳐 수용홈(3311)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홈(3311)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일면에 정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제1관통홀(33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편(331)의 일측부는 제1연결바(31)의 결합 방향과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연결편(332)은 일부가 수용홈(3311)에 배치되며, 타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제2관통홀(33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관통홀(3321)의 장축(3321a)은 제2연결바(32)와 평행할 수 있으며, 제2관통홀(3321)의 단축(3321b)은 제1관통홀(3312)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연결축(333)은 제1관통홀(33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의 제1관통홀(3312) 및 제2관통홀(332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은 연결축(333)에 의해 상호 축회동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2관통홀(3321)의 장축 길이 범위 내에서 외력에 의해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연결편(331)은 수용홈(3311)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내면에 각각 고정홈(3313)이 상호 대향되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홈(3313)은 제1연결편(331)의 일측부를 향해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2연결편(332)은 외측면에 고정홈(3313)에 삽입 가능한 고정돌기(3322)가 상호 대칭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폴(30)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작동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이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가까워진 상태의 연결구(33)를 도시한다. 이때,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은 고정홈(3313)으로 삽입된 고정돌기(3322)에 의해 연결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이 불가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이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멀어진 상태의 연결구(33)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4의 (a)에서 제1연결바(31)와 제2연결바(32)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에 의해 제1연결편(331)에 대한 제2연결편(332)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은 고정홈(3313)으로부터 이탈된 고정돌기(3322)로 인해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연결편(331) 내 제2연결편(332)의 위치에 따라 고정돌기(3322)가 고정홈(3313)으로 삽입 또는 이탈되며, 연결구(33)의 회동 가능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용자는 텐트 프레임(1)의 설치 후 연결폴(30)이 접히지 않도록 세팅할 수 있으며, 철거 시에는 연결폴(30)이 접힘 가능하도록 세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이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제1연결편(331)이 고정홈(3313)으로부터 이탈된 고정돌기(3322)를 가리지 않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연결구(33)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고정돌기(3322)를 적어도 일부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33')을 도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5의 연결구(33')는 도 3 및 도 4의 연결구(33)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구(33')는 수용홈(3311') 및 제1관통홀(3312')을 갖는 제1연결편(331), 일부가 수용홈(3311')에 위치하며 제2관통홀(3321')을 갖는 제2연결편(332) 및 제1관통홀(3312')과 제2관통홀(3321')에 삽입되는 연결축(3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편(331')은 타면에 삽입홈(3314')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편(331')의 타면은 수용홈(3311')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일면과 수직한 면으로 제2연결편(332')의 삽입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연결편(332')은 상측이 개방된 제1내부공간(3323') 및 제1내부공간(3323')과 연통되며 일측이 개방된 제2내부공간(33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내부공간(3324')은 제1내부공간(3323')의 중심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개방된 일측 테두리에 후술할 이동부(335')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332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연결구(33')는 가압에 의해 제1내부공간(3323')을 따라 이동하는 누름부(334'), 누름부(334')의 가압에 따라 제2내부공간(3324')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335') 및 제2내부공간(3324')에 배치되어 이동부(335')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3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334')는 제1내부공간(3323')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내부공간(3323')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334')는 상단부에 상향 경사진 경사면(33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 하향 경사진 제1슬라이딩면(33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3341')과 제1슬라이딩면(3342')은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누름부(334')는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이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가까워진 상태에서 제1연결편(331)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이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멀어진 상태에서 제1연결편(331)에 의한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즉, 누름부(334')는 제1연결편(331')에 의해 덮이거나 노출될 수 있다.
이동부(335')는 제2내부공간(3324')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내부공간(3324')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335')는 일단부에 제1슬라이딩면(3342')과 면접촉되는 하향 경사진 제2슬라이딩면(33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부에 제2연결편(332)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연장바(33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슬라이딩면(3342')은 제2슬라이딩면(3351')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이동부(335')는 가압된 누름부(334')에 의해 연장바(3352')가 제2연결편(33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336')는 연장바(3352')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제2내부공간(3324')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슬라이딩면(3342')과 제2슬라이딩면(3351')이 접촉을 유지하도록 이동부(335')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336')는 압축하는 힘에 저항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누름부(334')의 가압 해제 시 이동부(335')를 밀어 이동부(335')와 누름부(334')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폴(30')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작동 예시도이다. 이때, 도 6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폴(30')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의 (a)는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이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가까워진 상태의 연결구(33')를 도시한다. 이때,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은 삽입홈(3314')으로 삽입된 연장바(3352')에 의해 회동이 불가할 수 있다.
연장바(3352')가 삽입홈(3314')에 삽입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누름부(334')는 제1연결편(331')에 의해 가압되고, 가압된 누름부(334')에 의해 이동부(335')가 이동하며 제2연결편(332')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삽입홈(3314')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6의 (b)는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이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멀어진 상태의 연결구(33')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의 (a)에서 제1연결바(31')와 제2연결바(32')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외력에 의해 제1연결편(331')에 대한 제2연결편(332')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1연결편(331')과 제2연결편(332')은 삽입홈(3314')으로부터 이탈된 연장바(3352')로 인해 회동이 가능할 수 있다.
연장바(3352')가 삽입홈(3314')으로부터 이탈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누름부(334')는 제1연결편(331')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고, 이동부(335')는 탄성부(336')에 의해 제1내부공간(3323')을 향해 이동되어 삽입홈(3314')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한편, 누름부(334')는 제1내부공간(3323')을 향해 이동되는 이동부(335')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3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33)와 동일하게 고정돌기(미도시) 및 고정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이중 회동 고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연결구(33')는 회동이 불가한 상태에서 억지로 회동시키는 힘에 대해 충분한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트 프레임(1)의 사용 예시도이다.
사용자는 지지폴(20)을 방사상으로 펼치고, 연결폴(30)이 텐트천(T)의 고정띠와 겹치지 않게 결합구(34)의 위치를 조절하고, 연결폴(30)이 절곡되지 않도록 연결구(33)를 세팅하여 텐트 프레임(1)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연결폴(30)이 절곡 가능하도록 연결구(33)를 세팅하여 텐트 프레임(1)을 철거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텐트 프레임
10 : 허브
20 : 지지폴
30 : 연결폴

Claims (5)

  1. 허브와, 상기 허브에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폴과,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지지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폴을 포함하는 텐트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연결폴은,
    상기 한 쌍의 지지폴 중 어느 하나의 지지폴과 힌지 결합되는 제1연결바와,
    상기 한 쌍의 지지폴 중 다른 하나의 지지폴과 힌지 결합되는 제2연결바와,
    상기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연결바와 상기 제2연결바를 상호 축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1연결바와 결합되며, 일측부와 하부에 걸쳐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는 한 쌍의 일면에 정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바와 결합되며, 일부가 상기 수용홈에 배치되고, 좌우로 긴 타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연결편과,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은,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2관통홀의 장축 길이 범위내에서 상호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 가능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제2연결편의 제1내부공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되, 일단부에 상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하향 경사진 제1슬라이딩면이 형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제1내부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상기 제2연결편의 제2내부공간을 따라 이동 가능하되, 일단부에 상기 제1슬라이딩면과 면접촉되는 제2슬라이딩면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제2연결편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연장바가 형성되는 이동부와,
    상기 제2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제1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이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가까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편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연장바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이동부를 밀며, 상기 제1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이 상호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편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탄성부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이동부에 밀려 원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제1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은,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가까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편의 삽입홈으로 삽입된 연장바로 인해,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이 불가하며,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연장바로 인해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프레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편은,
    상기 일면의 내측에 각각 상기 일측부를 향해 연장되는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편은,
    외측면에 상기 고정홈에 삽입 가능한 고정돌기가 상호 대칭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편과 상기 제2연결편은,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가까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된 상기 고정돌기로 인해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이 불가하며, 일직선으로 펼쳐져 상호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이탈된 상기 고정돌기로 인해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 및 상기 제2연결바는,
    상기 지지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결합구에 의해 상기 지지폴과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프레임.
  5. 삭제
KR1020210021948A 2021-02-18 2021-02-18 텐트 프레임 KR10250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48A KR102505937B1 (ko) 2021-02-18 2021-02-18 텐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48A KR102505937B1 (ko) 2021-02-18 2021-02-18 텐트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60A KR20220118160A (ko) 2022-08-25
KR102505937B1 true KR102505937B1 (ko) 2023-03-02

Family

ID=83111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948A KR102505937B1 (ko) 2021-02-18 2021-02-18 텐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9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39Y1 (ko) * 1999-09-14 2000-03-15 함세일 휴대용 텐트의 장대 결합부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320A (ko) 2009-04-30 2010-11-09 한재갑 텐트의 프레임
KR20150144559A (ko) * 2014-06-17 2015-12-28 우준식 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539Y1 (ko) * 1999-09-14 2000-03-15 함세일 휴대용 텐트의 장대 결합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60A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7012B1 (en) Lower joint folding preventing device for one touch type dome shaped tent
KR100705063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KR101060454B1 (ko) 받침대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558356B1 (ko) 자동 텐트의 프레임 및 이를 채용한 텐트
KR100658836B1 (ko) 스탠드 장치
US7621289B2 (en) Connector of instant set-up foldable tent frame
CN109981850B (zh) 一种移动终端
EP3276105A1 (en) Joint structure
US5551463A (en) Skeleton for a telescopic umbrella
US7559518B2 (en) Support for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KR102505937B1 (ko) 텐트 프레임
CN210747873U (zh) 一种折叠桌
KR100946076B1 (ko) 캐노피 텐트용 폴대
US6173723B1 (en) Structure of a skeleton for umbrellas
KR102223232B1 (ko) 소프트박스용 스피드링 조립체
KR100643157B1 (ko)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US6382652B1 (en) Standing device for a collapsible stroller
CN210690968U (zh) 一种眼镜脚组件
KR200344232Y1 (ko) 자동 우산식 캐노피 텐트의 프레임
US20110079261A1 (en) Joint assembly
KR200497325Y1 (ko)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CN212259021U (zh) 一种折叠式手机的转轴结构以及折叠屏手机
JP3093594U (ja) マイクロホンスタンド
KR200359030Y1 (ko) 우산식 자동텐트 프레임
KR101170508B1 (ko) 캐빈텐트의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