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202U - 손전등기능내,외장형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손전등기능내,외장형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202U
KR19990022202U KR2019990004221U KR19990004221U KR19990022202U KR 19990022202 U KR19990022202 U KR 19990022202U KR 2019990004221 U KR2019990004221 U KR 2019990004221U KR 19990004221 U KR19990004221 U KR 19990004221U KR 19990022202 U KR19990022202 U KR 199900222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rtable mobile
flashligh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민
Original Assignee
박광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민 filed Critical 박광민
Priority to KR2019990004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202U/ko
Publication of KR19990022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202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전등 기능이 있는 내,외장형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필요한 경우에는 큰 도움이 되지만 항상 휴대하기 곤란한 손전등의 기능을 누구나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함으로써, 가끔 필요한 경우를 위해 별도의 손전등을 항상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도 필요할 때 언제라도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는 손전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생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손전등 기능이 있는 내,외장형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손전등 기능 내,외장형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Portable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s with a flash}
본 고안은 손전등 기능이 있는 내,외장형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대인이 항상 휴대하는 필수 품목 중의 하나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휴대폰이나 페이저(일명 삐삐) 등과 같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손전등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면서 그 기능의 다양화를 도모하며 생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손전등 기능이 있는 내,외장형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휴대폰이나 일명 삐삐라고 불리는 페이저는 그 기기의 무게와 부피 및 항상 휴대하여야 하는 부담에도 불구하고, 전자사전이나 주소록 등의 부가 기능과 함께 통신을 목적으로 하는 본래의 용도 이외에는 활용도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한편, 손전등은 처음 발명된 이래 현재까지 일상 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생활 필수품 중의 하나로 자리잡아 왔으나, 자주 사용되지 않음으로 인해 항상 휴대하기가 곤란하며, 정작 필요할 때에는 놓아둔 곳이 잘 생각이 나지 않아 여기 저기 찾아야 하고, 설령 찾았다 하더라도 그동안 오래 방치해 둔 결과로 인해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어 곧바로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필요한 경우에는 큰 도움이 되지만 항상 휴대하기 곤란한 손전등의 기능을 누구나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가함으로써, 가끔 필요한 경우를 위해 별도의 손전등을 항상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배터리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도 필요할 때 언제라도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는 손전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생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손전등 기능이 있는 내.외장형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 기능 내장형 플립형 휴대폰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 기능 내장형 폴더형 휴대폰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 기능 내장형 페이저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a 내지 2d는 본 고안에 따른 외장형 전구홀더의 여러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 기능 외장형 플립형 휴대폰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 기능 외장형 폴더형 휴대폰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 기능 외장형 페이저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구홀더 11 : 전구
12 : 전원 잭 13 : 스위치
100 : 단말기 본체 101 : 전원출력단자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교체 가능한 전구를 포함하면서 단말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스위치 또는 단말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ON/OFF 되도록 한 손전등용 전구홀더를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덮개를 갖추어 내장하여 필요한 경우 덮개를 열어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에 전원출력단자를 장치하여 이 전원출력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전원 잭을 갖춘 외장형 전구홀더의 잭을 단말기 본체의 상기 전원출력단자에 삽입하거나 빼내면 그대로 ON/OFF 되도록 하여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형 전구홀더는 교체 가능한 전구를 포함하면서 그 홀더의 일측에 스위치를 갖추어 필요한 경우에 이 스위치로 ON/OFF 되도록 하여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 기능 내장형 플립형 휴대폰, 폴더형 휴대폰 및 페이저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단말기 본체(100)에 전구홀더(10)를 내장하여 전구(11)를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전구(11)는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구홀더는 단말기 배터리와 전선 또는 PCB 상의 전원라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 수단으로는 도 1a 내지 도 1c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의 일측에 별도의 스위치(13)를 두어 전구(11)를 ON/OFF 시킬 수 있도록 되거나, 또는 별도의 스위치없이 단말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단말기 버튼을 사용하여 ON/OFF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단말기 본체(100)에 이 전구홀더(10)를 위한 덮개를 갖춤으로서, 손전등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로 인한 접속 불량 문제 또는 미관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첨부한 도 2a 내지 도 2d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외장형으로 사용되는 전구홀더에 대한 여러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전구홀더(10)는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는 접속 수단, 예를 들면 이어폰 등의 접속용 잭과 같은 단말기 본체(100)의 전원출력단자(101)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전원 잭(12)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전구홀더(10) 내부에는 전구(11)가 포함되어 있다.
이 전구(11)는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속용 전원 잭(12)은 일자형으로 연장되거나 L자형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 전원출력단자(101)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첨부한 도 2b 와 도 2d에서는 상기 전구홀더(10) 상에 전구(11)를 ON/OFF 시킬 수 있는 별도의 스위치(13)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의 스위치(13)는 전구홀더(10)의 전원 잭(12)을 단말기 본체(100)의 전원출력단자(101)에 삽입한 상태에서 전구(11)를 스위치로 ON/OFF 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전구홀더(10)를 외장형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시켜 사용하는 여러 구현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 기능 외장형 플립형 휴대폰, 폴더형 휴대폰 및 페이저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단말기 본체(100)에 전원출력단자(101)를 장치하고 이곳에 전구홀더(10)의 접속용 전원 잭(12)을 삽입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손전등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전구홀더(10)를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에 스위치 수단으로는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 상에 별도의 스위치(13)를 두어 전구를 ON/OFF 시키거나, 또는 첨부한 도 2b와 도 2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구홀더(10) 상에 직접 스위치(13)를 장착하여 전구(11)를 ON/OFF 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로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구(11)를 ON/OFF 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때의 조작 수단은 단말기 본체(100)에 있는 버튼 층에서 선택된 어떤 1개 이상의 버튼을 이용하여 ON/OFF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장착된 전원출력단자(101)에 외장형 전구홀더(10)의 접속용 전원 잭(12)을 삽입하거나 빼내기만 하면 그대로 ON/OFF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손전등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100)의 전원출력단자(101)를 소정의 마감 부재, 예를 들면, 휴대폰에 있는 이어폰 접속단자를 막아주는 고무마개 등과 같은 마감 부재를 사용하여 막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이물질 등의 침입으로 인한 접속불량문제 또는 미관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현대인이 항상 휴대하는 필수 품목 중의 하나인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손전등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항상 휴대하기가 곤란하며 정작 필요할 때는 보관해 둔 곳을 몰라 여기 저기를 찾아야 하고, 설령 찾았다 하더라도 그동안 오래 방치해 둔 결과로 인해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어 곧바로 사용할 수 없는 등의 기존 손전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야간 차량 고장 시 추돌 방지를 위한 신호용, 야간 차량 고장수리용, 야간 보행용, 야간 긴급구조 신호용, 또는 기타 위험 방지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고 생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교체 가능한 전구를 포함하면서 단말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스위치 또는 단말기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ON/OFF 되도록 한 손전등용 전구홀더를 상기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덮개를 갖추어 내장하여 필요한 경우 덮개를 열어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기능 내장형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2.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본체에 전원출력단자를 장치하여 이 전원출력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전원 잭을 갖춘 외장형 전구홀더의 잭을 단말기 본체의 상기 전원출력단자에 삽입하거나 빼내면 그대로 ON/OFF 되도록 하여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기능 외장형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 전구홀더는 교체 가능한 전구를 포함하면서 그 홀더의 일측에 스위치를 갖추어 필요한 경우에 이 스위치로 ON/OFF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 기능 외장형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KR2019990004221U 1999-03-17 1999-03-17 손전등기능내,외장형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KR199900222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221U KR19990022202U (ko) 1999-03-17 1999-03-17 손전등기능내,외장형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221U KR19990022202U (ko) 1999-03-17 1999-03-17 손전등기능내,외장형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202U true KR19990022202U (ko) 1999-06-25

Family

ID=5475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221U KR19990022202U (ko) 1999-03-17 1999-03-17 손전등기능내,외장형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220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112A (ko) * 1999-07-21 2000-11-06 정석화 다용도 휴대폰
KR20020012735A (ko) * 2000-08-08 2002-02-20 김재명 내외장 및 착탈식 플래쉬 기능을 추가한 영상 통화용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112A (ko) * 1999-07-21 2000-11-06 정석화 다용도 휴대폰
KR20020012735A (ko) * 2000-08-08 2002-02-20 김재명 내외장 및 착탈식 플래쉬 기능을 추가한 영상 통화용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760B1 (ko) 조명램프를 가지는 휴대용 무선전화기
KR19990022202U (ko) 손전등기능내,외장형휴대용이동통신단말기
KR100274298B1 (ko) 플립형 휴대전화 단말기
KR100809232B1 (ko) 블루투스 헤드셋
KR101199359B1 (ko) 암밴드
KR200163707Y1 (ko) 전등기능이구비된휴대폰
KR200177006Y1 (ko) 휴대폰용 램프
KR200179807Y1 (ko) 후레쉬를 겸한 핸드폰
KR200305263Y1 (ko) 액세서리를 부착할 수 있는 휴대폰
JP2003323801A (ja) 懐中電灯付携帯電話機
KR200366812Y1 (ko) 손전등 기능이 내장된 핸드폰
KR200170850Y1 (ko) 핸드폰용 이어프리 스피커 마이크
KR200404825Y1 (ko) 손전등
KR200214977Y1 (ko) 손전등 겸용 무선통신기기
KR20070097630A (ko)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케이스
KR200297276Y1 (ko) 여닫이식 배터리가 부착된 휴대폰
KR200301255Y1 (ko) 휴대폰케이스
KR100619943B1 (ko) 이동단말기
JP2002152358A (ja) 電灯付携帯型電話機器
KR19990007915U (ko) 후레쉬를 부착한 휴대폰
KR20060011746A (ko) 휴대폰
KR200165277Y1 (ko)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KR200367653Y1 (ko) 후레쉬 겸용의 핸드폰
KR200165448Y1 (ko) 이어마이크폰 휴대장치의 폴리머 밧데리회로
KR200291139Y1 (ko) 메모지 수납공간을 갖는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