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035U - 건전지 교체가 용이한 리모콘 - Google Patents

건전지 교체가 용이한 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035U
KR19990021035U KR2019970034524U KR19970034524U KR19990021035U KR 19990021035 U KR19990021035 U KR 19990021035U KR 2019970034524 U KR2019970034524 U KR 2019970034524U KR 19970034524 U KR19970034524 U KR 19970034524U KR 19990021035 U KR19990021035 U KR 199900210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mote control
battery case
replac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4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035U/ko
Publication of KR19990021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035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리모콘의 건전지 수납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건전지를 슬라이드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사용자가 건전지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건전지 교환가 용이한 리모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리모콘의 본체(10)의 일측단에는 접속단자(12)가 내설된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수납부(11)에는 일측에 건전지 삽입구(21)를 갖는 건전지 케이스(20)가 슬라이드 결합된다.
또한, 상기 건전지 케이스(20)의 내측일단에는 스프링(31)으로 결합된 스톱퍼(30)가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30)의 일측에는 상기 스톱퍼(30)의 일단에 맞물리는 고정턱(32)으로 구성되어 건전지(40)를 고정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전지 교체가 용이한 리모콘
본 고안은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콘 건전지의 교체를 슬라이드식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한 건전지를 제거하고 새건전지로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전지 교환이 용이한 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콘은 가전제품 예를 들어, TV, 오디오, 개인용 컴퓨터 등의 작동을 원격 조정하는 것으로, 리모콘에는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이 내설되고, 케이스상에 다수개의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리모콘은 가전제품의 본체와 별도로 분리되어 적외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조정되며, 사용자가 간단히 휴대하기 편리하고 소형으로 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을 동작시키는 동력으로서는 일반적인 1.5V 건전지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모콘의 건전지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리모콘의 내측일측에 건전지 수납부를 형성하여 상기 수납부에 회로장치와 연결된 접속단자를 양쪽으로 이격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접속단자사이에 건전지를 끼워 사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리모콘은 건전지를 교환하기 위해 접속단자 혹은 두 개의 건전지 사이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건전지를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기 때문에 건전지의 교체가 불편하다.
또한, 오래된 건전지에서 누액이 나와 누출된 누액으로 인해 건전지 단자가 녹이슨 경우에는 건전지를 외부로 인출시키기가 더욱 어렵게 되어 무리하게 건전지를 인출시키는 경우에는 리모콘의 건전지 단자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리모콘의 건전지 수납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건전지를 슬라이드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사용자가 건전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건전지 교체가 용이한 리모콘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모콘의 건전지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따른 건전지 케이스가 리모콘의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 커버의 내부에서 건전지가 교체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따른 건전지 케이스가 리모콘의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
12 : 접속단자 14 : 형합홀
20 : 건전지 케이스 21 : 건전지 삽입구
22 : 고정돌기 23 : 걸림고리
30 : 스톱퍼 31 : 스프링
32 : 고정턱 33 : 단턱
40 : 건전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부를 지니고 그 내벽에 접속단자가 내설된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를 갖는 리모콘의 본체와;
상기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에 슬라이드되어 삽입 및 인출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 건전지가 삽입되어지고 배출된는 건전지 삽입구을 갖는 건전지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건전지 케이스의 내측일단에 스프링으로 결합된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톱퍼의 일단에 맞물리는 고정턱으로 구성되어 건전지의 삽입위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리모콘의 본체에 삽입되는 건전지 케이스를 별도로 독립시켜 상기 건전지 케이스에 건전지를 수납하도록 구성하고 건전지 케이스를 본체의 수납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건전지를 장착할 때에는 건전지 케이스 속으로 건전지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넣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따른 건전지 케이스가 리모콘의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전지 커버의 내부에서 건전지가 교체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리모콘 본체(10)의 일측단에는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11)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상기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11)는 내측이 건전지 케이스(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진입구측의 일부분에는 형합홀(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진입구측 내면에는 고정턱(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11)의 내측벽에는 리모콘의 회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속단자(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11)로 삽입되고 건전지(40)를 장착할 수 있도록 건전지 케이스(20)가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건전지 케이스(20)의 외측일단부에는 본체에 상기 건전지 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해 걸림고리(23)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 측면에는 건전지 삽입구(21)가 관통되게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건전지 삽입구(21)의 지름은 일반적인 AA 사이즈를 갖는 건전지의 직경에 맞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건전지 삽입구(21)의 내측단부에는 단턱(33)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턱(33)의 일측에는 스프링(31)이 결합된 짧은 바 형상의 스톱퍼(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스프링(31)은 스톱퍼(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건전지 케이스(20)의 외측일단에는 고정돌기(22)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 따른 건전지 케이스가 리모콘의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건전지(40)를 갈아끼우기 위해 리모콘의 본체(10)로부터 건전지 케이스(20)를 분리하게 되는데, 상기 걸림고리(23)를 누른 상태에서 외부로 밀게 되면 상기 걸림고리(23)가 형합홀(14)에서 이탈되며 상기 건전지 케이스(20)가 리모콘의 본체(10)로 부터 슬라이드되어 배출되게 된다.
상기 건전지 케이스(20)가 배출된 후에는 상기 건전지 케이스(20)의 외측일단에 형성된 고정돌기(22)가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11)의 내부일단에 형성된 고정턱(32)에 의해 지지되어 건전지 케이스(20)가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 후 상기 건전지 케이스(20)의 건전지 삽입구(21)에 새 건전지(40)를 밀어 넣으면 방전된 건전지(40)는 반대쪽으로 밀려나가고 상기 새 건전지(40)가 건전지 삽입구(21)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건전지 삽입구(21)의 내측 일단에 형성된 스톱퍼(30)는 방전된 건전지(40)가 밀려나갈때는 회전하여 단턱(33)에 닿게 되고 새 건전지가 삽입될 때에는 다시 스프링(31)의 작용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어 새 건전지의 삽입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건전지 삽입구(21)에 건전지(40)의 삽입이 끝나게 되면 건전지 케이스(20)를 리모콘의 본체(10)속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삽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건전지 삽입구(21)의 개방된 입구로 노출된 건전지 양측단의 + - 극이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11)의 내측에 형성된 접속단자(12)와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전지 케이스(20)의 외측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고리(23)가 상기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의 일측단에 형성된 형합홀(14)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반적인 전자제품의 원격조종에 사용하는 리모콘의 건전지 수납부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고 건전지 수납부로 건전지(40)를 슬라이드식으로 밀어 넣어 건전지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전지(40)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전자제품의 원격조종에 사용되는 리모콘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부를 지니고 그 내벽에 접속단자(12)가 내설된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11)를 갖는리모콘의 본체(10)와;
    상기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11)에 슬라이드되어 삽입 및 인출가능하게 건전지가 진입하고 배출되는 건전지 삽입구(21)을 갖는 건전지 케이스(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교체가 용이한 리모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 삽입구(21)의 내측일단에 스프링(31)으로 결합된 스톱퍼(30)와;
    상기 스톱퍼(30)의 일측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단턱(33)에 밀착되면서 건전지(4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교체가 용이한 리모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전지 케이스(20)가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11)에 삽입되었을 때, 건전지 케이스(20)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건전지 케이스 수납부(11)의 가장자리를 절결하여 형합홀(14)을 형성하고, 상기 건전지 케이스(20)의 표면에는 상기 형합홀(14)에 체결 고정되는 걸림고리(23)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전지 교체가 용이한 리모콘.
KR2019970034524U 1997-11-28 1997-11-28 건전지 교체가 용이한 리모콘 KR199900210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524U KR19990021035U (ko) 1997-11-28 1997-11-28 건전지 교체가 용이한 리모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524U KR19990021035U (ko) 1997-11-28 1997-11-28 건전지 교체가 용이한 리모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035U true KR19990021035U (ko) 1999-06-25

Family

ID=69679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524U KR19990021035U (ko) 1997-11-28 1997-11-28 건전지 교체가 용이한 리모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03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92Y1 (ko) * 2011-06-02 2013-08-05 장을호 건전지의 외장 라벨 구조
US20210074964A1 (en) * 2019-09-11 2021-03-11 Datalogic I.P. Tech S.R.L. Strap link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battery pa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92Y1 (ko) * 2011-06-02 2013-08-05 장을호 건전지의 외장 라벨 구조
US20210074964A1 (en) * 2019-09-11 2021-03-11 Datalogic I.P. Tech S.R.L. Strap link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battery 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7022A (en) Enclosed battery holder
KR0158042B1 (ko) 건전지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건전지 홀더
US7766849B2 (en) Disposable massage apparatus
EP1677230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167199A (zh) 电池驱动的器具
US20020025455A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reverse insertion of a storage battery
US5254927A (en) Battery charger with appliance plug socket
CN217703206U (zh) 电动螺丝刀
KR19990021035U (ko) 건전지 교체가 용이한 리모콘
US6240631B1 (en) Push-pop coin cell battery compartment and method of use thereof
JPH0652297U (ja) 携帯オーディオ機器用リモコン
CN210897757U (zh) 一种安全插接式连接器及应用其的灯具
KR200308232Y1 (ko) 잭연결식 건전지 수납케이스
KR100519553B1 (ko) 잭연결식 건전지 수납케이스
US6403254B1 (en) Battery means for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KR100911683B1 (ko) 노트북 컴퓨터에 전지팩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포함하고 있는 노트북 컴퓨터
JPH04372195A (ja) 電子機器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CN211081289U (zh) 一种门及门锁
KR0135906Y1 (ko) 원격조정기용 배터리 커버의 탈, 장착구조
JPH0454684Y2 (ko)
KR19990029977U (ko) 리모콘 건전지 케이스
KR101072138B1 (ko) 이동 단말기
KR200285561Y1 (ko) 배터리 충전기능을 갖는 전동 완구
KR20010000803U (ko) 충전이 가능한 건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