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0632A -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 - Google Patents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0632A
KR19990020632A KR1019970044098A KR19970044098A KR19990020632A KR 19990020632 A KR19990020632 A KR 19990020632A KR 1019970044098 A KR1019970044098 A KR 1019970044098A KR 19970044098 A KR19970044098 A KR 19970044098A KR 19990020632 A KR19990020632 A KR 1999002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signal
priority
synchronization
arbi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설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44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0632A/ko
Publication of KR1999002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632A/ko

Links

Landscapes

  • Bu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재권이 필요한 보드 설계시에 적절한 방법으로 자원들에게 버스를 할당하는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데이지 체인형 버스 중재 구조 및 중앙 집중형 버스 중재 구조는 우선 순위를 두어 우선 순위에 따라 독립적 종속적으로 버스를 점유하여 사용되는 디바이스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우선 순위가 낮은 디바이스가 버스를 점유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매우 느린 프로세스 속도를 가지는 결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여러 자원에게 버스 사용에 있어 동등한 순위를 부여하여 특정 자원이 버스를 오래 점유하지 못하도록 하고, 이와 같은 흐름이 반복됨에 따라서, 한 번에 한 번씩의 순위가 할당되어 어느 특정 요구가 버스를 장시간 점유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고, 자원마다 골고루 버스를 점유하도록 하여 버스 점유 효율을 높임으로써, 상술한 결점을 개선시킬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
본 발명은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재권이 필요한 보드 설계시에 적절한 방법으로 자원들에게 버스를 할당하는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데이지 체인(daisy chain)형 버스 중재 구조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자원의 우선 순위가 할당되어 있어 버스를 할당받아 자료를 송/수신하는 제 N 디바이스(130)가 버스를 점유하고자 하는 경우, 인증 신호는 직렬로 연결되어 중재부(100)에서 인증신호가 발생되어 제 1, 2, ...디바이스(110, 120, ...)의 허가를 거친후에 제 1, 2, ...디바이스(110, 120, ...)에서 버스 사용을 하지 않는 경우에만 인증을 받아 버스를 할당 받아 사용함으로 인하여 임의의 자원의 버스 점유하는 속도가 늦어지는 결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중앙 집중형 버스 중재 구조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인증 신호의 연결이 병렬로 연결되어 버스를 점유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제 2, ..., 제 N, ... 디바이스(110, 120, ..., 130, ...)가 서로의 간섭없이 중재부(200)에서 바로 버스의 사용 인가를 가질수 있으나, 현재 쓰이고 있는 버스 중재 장치들은 우선 순위가 할당되어 있어 일 예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제 1 디바이스(210) 자원이 여러번 버스를 점유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제 2 디바이스..., 제 N 디바이스(220, ..., 230, ...)의 경우 동작을 멈추고 대기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설계시 순위를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프로세스의 특성에 따라서는 우선 순위가 낮은 디바이스는 버스를 거의 점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데이터 처리가 늦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결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중앙 집중형 버스 중재 구조는 우선 순위를 두어 우선 순위에 따라 독립적 종속적으로 버스를 점유하여 사용되는 디바이스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우선 순위가 낮은 디바이스가 버스를 점유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매우 느린 프로세스 속도를 가지는 단점이 있으며, 데이지 체인형 버스 중재 구조는 직렬로 연결되어 상위에 연결된 디바이스에서 버스를 점유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위는 버스를 점유할수 없으며, 또한 인증 신호가 직렬로 전송됨으로 인증 신호가 전송되는 도중 상위에서 버스를 점유하여 사용고 하면, 하위의 디바이스는 버스를 점유할 수 없으며, 버스를 하위에서 점유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위의 디바이스들을 모두 거쳐 인증을 받으므로 속도가 늦어지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여러 자원에게 버스 사용에 있어 동등한 순위를 부여하여 특정 자원이 버스를 오래 점유하지 못하도록 하고, 자원마다 골고루 버스를 점유하도록 하여 버스 점유 효율을 높이는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통 동기화 클록 래치 방식으로 클록을 카운트하고, 하나의 클록마다 입력된 버스 요구 신호를 감지하여 먼저 감지된 디바이스에게 버스의 사용권을 주어 보다 빠른 중재 장치를 실현하는 데에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의 디바이스에게 버스 사용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디바이스로 각각의 디바이스의 버스 점유 허가 신호를 송신하며, 버스 사용 신호를 디바이스와 주고 받는 동기화 중재부와, 동기화 중재부와 연결되어 동기화 중재부로 사용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타당한 경우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버스를 점유하고 사용하는 각각의 제 1, 제 2, ..., 제 N 디바이스,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지 체인(daisy chain)형 버스 중재 구조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를 설명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중앙 집중형 버스 중재 구조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를 설명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를 설명한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따라 동기화 중재부의 세부 블록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따른 동기화 중재부에서의 버스 점유 요구에 따라 버스 점유하여 버스를 동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타이밍도의 일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동기화 중재부
310, 320, 330 : 제 1, 제 2, 제 n 디바이스
400 : 버스 인증부 410 : 카운터부
420, 430 , 440 : 제 1, 제 2, 제 n 감지부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에게 버스 사용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로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의 버스 점유 허가 신호를 송신하며, 버스 사용중임을 알리는 버스 사용 신호를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와 주고 받는 동기화 중재부(300)와, 동기화 중재부(300)와 연결되어 동기화 중재부(300)로 사용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타당한 경우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버스를 점유하고 사용하는 각각의 제 1, 제 2, ..., 제 N 디바이스, ...(310, 320, ..., 330, ...)와, 동기화 중재부(300) 내에서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와 연결되어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로부터 버스 점유 요구를 수신하여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로 버스 점유 허가 신호를 송신하는 버스 인증부(400)와, 동기화 중재부(300) 내에서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가 점유된 주기를 카운트하고 타 디바이스로부터 버스 점유 요구 수신하여 버스 점유 요구한 기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부(410)와, 동기화 중재부(300) 내에서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 버스 인증부(400) 및 카운터부(410)와 연결되어 버스 요구 신호를 수신하며, 해당 디바이스를 감지하고 버스를 점유하고 있는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로부터 버스 요구 신호를 수신하며, 버스가 타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있음을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에 보고하는 각각의 감지부(420, 430, ..., 440, ...)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기본 구조는 도 2와 같은 독립적 중앙 집중형 버스 구조의 형태를 가지며, 공통 클록 입력(302)을 가진다.
그리고, 동기화 중재부(300)는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에게서 버스 사용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로 디바이스(310, 320, ..., 330, ...) 버스 점유 허가 신호를 송신하며, 버스 사용 신호를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와 주고 받는다.
제 1, 제 2, 제 n 디바이스(310, 320, ..., 330, ...)는 동기화 중재부(300)와 연결되어 동기화 중재부(300)로 사용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타당한 경우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버스를 점유하고 버스를 사용한다.
그러나, 제 1, 제 2, ..., 제 N, ... 디바이스(310, 320, ..., 330, ...)는 각각이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이 아니고, 동등한 순위를 가지고 있다. 단, 클록 동기를 맞추기 위하여 불특정 다수의 디바이스로 부터의 동시 버스 점유 요구시에만 우선 순위가 할당된다.
제 1 디바이스(310)의 버스 점유 요구로 버스 점유 요구(312)하는 경우 동기화 중재부(300)는 제 1 인증 신호(314)를 제 1 디바이스(310)로 송신하여 버스를 점유 및 사용을 허가한다.
제 2 디바이스(320)의 버스 점유 허가는 버스를 요구한 채로 있다가 제 1 디바이스(310)의 버스 점유 허가(314)에 따라 버스 사용중(316) 임을 감지하고 제 2 디바이스(320)의 버스 점유 허가 요청 신호(322)를 동시에 감지하고 있다가 제 1 디바이스(310)의 버스 점유가 종료되면, 제 1 디바이스(310)의 사용 인증 신호(314)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버스 사용 인증을 이전에 대기하고 있던 제 2 디바이스(320)의 사용 인증 신호(324)를 발생시켜 제 2 디바이스(320)로 송신한다.
제 1 디바이스(310) 사용 점유 요구가 종료되면, 제 2 디바이스(320)의 버스 점유 허가 요구(322) 또는 기타의 디바이스로부터 동시 버스 점유 허가 요구가 있는 경우 카운트부에서 카운트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은 디바이스의 버스 점유 허가 요구에 대한 인증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디바이스가 버스를 점유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2 디바이스(320)의 카운트가 제 1 디바이스(310)을 제외하고 제일 높은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면, 제 1 디바이스(310)의 버스 점유가 종료되면, 제 2 디바이스(320)의 버스 점유 허가 요구(322)가 있는 경우, 제 1 디바이스(310)에서 버스 점유 요구(312)를 다시 하여도 제 2 디바이스(320) 버스 사용 인증 신호(324)를 발생시킨다. 즉, 제 1 디바이스(320) 버스 점유가 종료되면, 기타의 디바이스로부터 이전에 버스 점유 허가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요구 인증 신호를 발생시킨 디바이스에게 점유 점유 요구 인증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동시에 다수의 디바이스로부터 버스 점유 요구가 입력된 경우면, 우선 순위가 높은 디바이스에 우선권을 준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3에 따라 동기화 중재부(300)의 세부 블록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에 대하여 살펴보면, 버스 인증부(400)는 해당 디바이스로 부터의 버스 사용 요구에 대해 인증 신호를 해당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카운터부(410)는 기준 클록을 가지고 버스 사용 인증 요구가 입력되어 버스 사용이 허가된 기준 클록 수를 저장하고 대기중인 버스 사용 인증 신호의 대기된 기준 클록 수를 카운트하여 저장하므로서, 다음으로 버스 인증을 하여야 하는 블록을 지정하도록 한다.
일 예로 제 1 디바이스(310)가 사용중인 경우면, 카운터부(410)에서는 제 1 디바이스(310)가 몇 개의 기준 클록 동안 버스를 점유하여 사용하였는가를 저장하며, 제 1 디바이스(310)가 버스를 점유하여 사용중인 카운트 동안 타 디바이스에서 버스 점유 요구가 입력되었는가를 한 주기 마다 감시한다.
그리고, 버스 사용 요구가 입력된 기타의 디바이스로 부터의 버스 사용 요구 대기 시간을 카운트하여 클록의 카운트가 3이고 제 N 디바이스(330)의 버스 사용 요구가 입력된 클록의 카운트가 3인 경우면, 제 1 디바이스(310)의 버스 점유가 종료되는 시점을 카운트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제 2 디바이스(320)가 버스 점유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감지부(420, 430, ..., 440, ...)는 버스 인증부(400) 및 카운터부(410)와 연결되어 버스 사용 요구 신호를 수신하며, 타 버스로 부터의 버스 사용 요구 허가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카운트부(410)에서 기준 클록을 바탕으로 입력된 버스 사용 요구 허가 신호가 입력된 카운트를 카운트 하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감지부(420, 430, ..., 440, ...)는 해당 버스를 점유한 디바이스가 버스를 점유하여 사용중임을 알리는 버스 사용 신호를 각각의 디바이스로 송신하고, 자신의 디바이스가 버스를 점유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해당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다.
도 5를 참고로하여 도 3에 따른 동기화 중재부(300)에서의 버스 점유 요구에 따라 버스 점유하여 버스를 동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타이밍도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 1 디바이스(310) 버스 점유 요구 신호(b)가 제 1 감지부(420)를 통하여 입력된다(502).
이를 인지한 버스 인증부(400)에서는 제 1 디바이스(310)로 버스 점유 인증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제 2 디바이스(320)로부터 버스 점유 요구 신호를 수신한다(504).
제 2 디바이스(320)에서 버스 점유 요구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클록()를 기준으로하여 입력된 버스 점유 요구를 카운트한다.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로 제 1 디바이스(310)가 버스 사용 중임을 알리는 버스 사용 신호를 송출한다(506).
제 1 디바이스(310)로부터 버스 점유 요구 신호가 종료된다(510).
제 1 디바이스(310)의 버스 점유 인증 신호를 종료하고, 제 2 디바이스(320)로부터 버스 점유 요구 신호가 입력되었음을 버스 인증부(400)에서 대기한 카운트 수와 함께 인식한다(512).
타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제 1 디바이스(310)의 버스 사용 신호를 종료하고, 제 2 디바이스(320)의 버스 점유 인증 신호를 제 2 디바이스(32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 1 디바이스(310)로부터 버스 점유 요구 신호가 입력되었지만 제 2 디바이스(320)가 버스 점유 요구를 이전에 하였으므로 제 2 디바이스(320)에 버스 점유 우선권이 주어진다(514).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로 제 2 디바이스(320)가 버스 사용 중임을 알리는 버스 사용 신호를 송출한다(506).
이와 같은 흐름이 반복됨에 따라서, 한 번에 한 번씩의 순위가 할당되어 어느 특정 요구가 버스를 장시간 점유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동등하지 않는 경우의 우선 순위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림에서와 같이 동기화 중재부(300)의 카운트 수를 늘려 자유로이 지정할 수 있으며, 공통 클록의 사용으로 인한 동기화로 서로 각각의 신호를 주고 받는(Handshake) 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도 3과 같이 모든 신호를 독립시킴으로써, 동기화 중재부(300)의 회로를 단순화 시킬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자원에게 버스 사용에 있어 동등한 순위를 부여하여 특정 자원이 버스를 오래 점유하지 못하도록 하고, 이와 같은 흐름이 반복됨에 따라서, 한 번에 한 번씩의 순위가 할당되어 어느 특정 요구가 버스를 장시간 점유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고, 자원마다 골고루 버스를 점유하도록 하여 버스 점유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특정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전술하였는데, 이러한 기술된 바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에게 버스 사용 요구 신호를 수신하여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로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의 버스 점유 허가 신호를 송신하며, 버스 사용 신호를 디바이스와 주고 받는 동기화 중재부(300)와;
    상기 동기화 중재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동기화 중재부(300)로 사용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타당한 경우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버스를 점유하고 사용하는 각각의 제 1, 제 2, ..., 제 N 디바이스, ...(310, 320, ..., 33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중재부(300)는: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와 연결되어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로부터 버스 점유 요구를 수신하여 버스 점유 허가 신호를 송신하는 버스 인증부(400)와;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가 점유된 기간 또는 대기한 기간을 카운트하여 이를 저장하는 카운터부(410)와;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 상기 버스 인증부(400) 및 상기 카운터부(410)와 연결되어 버스 요구 신호를 수신하며, 해당 디바이스를 감지하고 버스를 점유하고 있는 디바이스 이외의 디바이스로부터 버스 요구 신호를 수신하며, 버스가 타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있음을 각각의 디바이스(310, 320, ..., 330, ...)에 보고하는 각각의 감지부(420, 430, ..., 4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점유 요구는 동시에 입력된 경우면,
    우선 순위를 두어 우선 순위가 높은 디바이스에 우선권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점유는,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중 동시에 입력된 경우 우선순위가 높은 디바이스로부터 버스 점유 요구 신호가 종료된 경우 우선 순위가 높은 디바이스의 버스 점유 인증 신호를 종료하고, 상기 디바이스 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디바이스로부터 버스 점유 요구 신호가 입력되었음을 인식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디바이스의 버스 사용 신호를 종료하고, 우선 순위가 낮은 디바이스의 버스 점유 인증 신호를 상기 우선 순위가 낮은 디바이스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
KR1019970044098A 1997-08-30 1997-08-30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 KR19990020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098A KR19990020632A (ko) 1997-08-30 1997-08-30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4098A KR19990020632A (ko) 1997-08-30 1997-08-30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632A true KR19990020632A (ko) 1999-03-25

Family

ID=66038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098A KR19990020632A (ko) 1997-08-30 1997-08-30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06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75B1 (ko) * 2002-01-04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수신 채널을 분리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및 그 통신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75B1 (ko) * 2002-01-04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수신 채널을 분리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통신장치및 그 통신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8314A (en) Circuitry for allocating access to a demand shared bus
US5878279A (en) HDLC integrated circuit using internal arbitration to prioritize access to a shared internal bus amongst a plurality of devices
US4488218A (en) Dynamic priority queue occupancy scheme for access to a demand-shared bus
US20080046619A1 (en) Simultaneous Transmissions Between Multiple Master Buses and Multiple Slave Buses
US4374413A (en) Arbitration controller providing for access of a common resource by a plurality of central processing units
US4682282A (en) Minimum latency tie-breaking arbitration logic circuitry
US4611275A (en) Time sharing device for access to a main memory through to a single bus connected between a central computer and a plurality of peripheral computers
US4395753A (en) Allocation controller providing for access of multiple common resources by a plurality of central processing units
US6700899B1 (en) Bit slice arbiter
FI78994C (fi) Distribuerad prioritetsnaetslogik foer att moejliggoera att en enhet med laegre prioritet befinner sig i en position foer hoegre prioritet.
US56805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bitrating among processors for access to a common bus
US5867670A (en) Self-control type bus arbitration circuit and arbitration method therefor
US7698485B2 (en) Round-robin bus protocol
US4376975A (en) Arbitration controller providing for access of a common resource by a plurality of central processing units
KR19990020632A (ko) 동일 우선 순위를 가지는 동기화 중재 장치
JP3039451B2 (ja) 優先度調停装置
JP2538874B2 (ja) 共通バス調停方式
EP0226053A1 (en) Bus arbitration controller
JPS61213955A (ja) バス占有制御方式
TWI257551B (en) Bus arbitration system and method
JPS5848130A (ja) バスプライオリテイ制御装置
KR100359314B1 (ko) 데이터 버스 중재기
RU2156U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оритета
KR0165521B1 (ko) 버스 아비트레이션 장치
JP2577420B2 (ja) データ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